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활용 방안 연구

        공득희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is a language course that has recently experienced a surge in demand at universities. However,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requires more time than other languages to reach the Advanced Level, it is treated similarly to other language courses and is offered as an elective course at universities. Also, unlike the Korean language classes that are taught in Korea, the courses available in the United States give their learners very little opportunity to practice and ignite their skills. Thus, a very effective teaching method is required in order to maximiz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ers during the limited amount of class time, and utilizing tasks is an effective way of encouraging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utilize tasks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Korean learners within the English-speaking communitie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draws essential factors from a need analysis and a textbook analysis completed by elementary learners in the English-speaking communities. The need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upon students that were taking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at fiv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Texas, and the investigation focused on gathering information about the types of Korean task topics, task activities, and task interactions. The need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topics that learners desired for their classes were primarily “greetings”, then “work and career”, and then “news and current affairs”, but according to the textbook analysis, there was only a minimal number of elementary level textbooks that dealt with such topics. Research shows that the topic of “work and career” was dealt only by Textbook S and that “news and current affairs” was dealt only by Textbook A. Furthermore, in an investigation to check whether the beginning level topics suggested by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Mod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well integrated into the textbooks in the English-speaking regions, it wa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61% (Textbook A) to 73% (Textbook I) of the textbooks dealt with topics of the beginning level. The type of task activity that was most preferred by the learners was “playing games”, but the “playing games” task only amounted to 8.8% in the textbooks, and other task activities such as “role playing”, “talking with pictures” and “solving complex problems” also appeared very infrequently. Furthermore, some textbooks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the tasks and the learning topics although tasks should conform to their corresponding learning topics. Korean teacher should be cautious abou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opics and tasks because it may be difficult for the task to activate the knowledge that was gained in the suggestion and practice stages, and may even drive away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The type of interactive learning that learners preferred the most was the small-group activities with 3-6 people, but an analysis about the tasks in the textbook showed that the most suggested tasks were in pairs, individuals, small-groups, and entire classes, it that order. Therefore, the followings with tasks utilization are suggested, based upon the need analysis that was performed upon elementary learners in U.S. universities and also upon the Korean textbook analysis that was drawn from textbooks available in English-speaking regions. First, teachers should utilize the tasks in the application stage of the classes since the Korean courses in U.S. universities have short class periods that may make it difficult to run entirely task-oriented classes. Second, it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nd the topics that the learners at the U.S. universities desire. Third, it should either present a diversified array of tasks or suggest the task types that the learners prefer so that the learners may take interest and actively complete the tasks. Fourth, it should reflect the interaction task types that the learners demand. Fifth, the procedures of the task activities need to be specific and feasible. The suggested task utilization methods are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textbooks, and demands of the elementary learners at U.S. universities. Thus, th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will sufficiently contribute to the Korean language courses in U.S. universities, and enhance them to be classes with practical and effective communication. However, this research has its limits since it was focused on elementary learners and because there was limited participation in the need analysis surveys. It is proposed that subsequent studies should have the universality to incorporate all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that the need analysis be done on a larger pool of participants. Additionally, it is urged that tasks that are diverse, systematic and suitable for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be developed, including textbooks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and that a study be commenced to confirm whether the textbooks efficiently induce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최근 대학에서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외국어 교육이다. 그러나 한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고급 수준(Advanced level)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지만 다른 외국어 수업과 비슷하게 취급되어 대학교의 교양강좌로 제공되고 있으며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수업과는 달리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사용하여 발화하는 기회가 매우 적다. 따라서 부족한 수업시간 내에 학습자 간에 의사소통이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매우 효과적인 교수법이 필요한데, 과제(Tasks)를 활용하는 것이 학습자 간에 서로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의사소통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과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초급 영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요구 조사(Need analysis)와 교재 분석 결과를 근거하였다. 학습자 요구 조사는 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대학교에서 한국어 수업을 외국어로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내용은 한국어 과제의 주제 유형과 과제의 활동 유형, 그리고 과제의 상호작용 유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요구 분석에서 학습자들이 수업시간에 배우기 원하는 과제의 주제 유형으로 ‘인사’ 다음으로 ‘일과 직업’ 그리고 ‘뉴스 및 시사 문제’였는데 이 부분을 다루고 있는 초급 교재는 매우 적었다. ‘일과 직업’은 S교재에서만 다루고 있었고, ‘뉴스 및 시사문제’는 A교재에서만 다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더욱이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에서 제시한 1급 수준의 학습 주제들이 영어권 교재 속에 잘 내포하고 있는지 분석한 바에 의하면 교재의 약 61%(A교재)에서 73%(I교재) 정도가 1급 수준의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제의 활동 유형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제일 선호하는 유형은 ‘게임하기’였으나 교재들에 나타난 ‘게임하기’과제는 8.8%에 불과했고, ‘역할극하기’, ‘그림을 활용한 말하기’, ‘복잡 문제 해결하기’ 등의 과제 유형의 빈도도 매우 낮았다. 뿐만 아니라 과제들은 해당 학습 주제와도 맞아야 하는데, 몇 교재의 과제는 학습 주제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와 과제의 불일치는 제시 및 연습 단계에 습득된 지식 내용이 과제를 통해 활성화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한국어 교사는 주의해야 한다. 상호작용 유형에서 학습자들이 제일 선호하는 활동은 3~6명의 소그룹 활동이었으나 교재들 속에 제시된 과제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짝 활동의 빈도가 제일 높았고, 개별 활동, 소그룹 활동, 교실전체 활동 순으로 빈도를 보였다. 따라서 미국 대학교 초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조사와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대학교 한국어 교육은 수업 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수업 전체를 과제 중심으로 이끌어가기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과제를 수업 단계에 있어서 활용 단계에서 구성하고 실행하도록 한다. 둘째, 미국의 대학교 학습자들의 특성과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과제의 주제 유형을 반영한다. 셋째, 학습자들이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도록 다양한 과제 유형을 제시하거나 그들이 요구하는 과제 유형을 반영한다. 넷째,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과제의 상호작용 유형을 반영한다. 다섯째, 과제의 활동들은 수행 절차가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해야 한다. 지금까지 제시한 과제의 활용 방안은 미국 대학교 초급 학습자들의 특성 및 요구 분석과 교재분석에 근거하였으므로 미국 대학교의 한국어 수업이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의사 소통의 수업이 되도록 충분히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초급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다루었다는 점과 요구도 조사에서 참여자의 수가 적은 것이 어느 정도 한계점을 가질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초, 중, 고급의 모든 단계를 다룰 수 있는 보편성을 갖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과 더 많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요구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고 다양하고 체계적인 과제를 포함한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과 그 교재가 과연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의 향상을 유도하는지 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 북미 대학 한국학 전공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 캐나다 앨버타대학 동아시아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강주연 경희사이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for academic purpose curriculum for majoring in Korean studies with the background of North American college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study analyse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at North American Universities,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status of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at University of Alberta, and the Korean-language learning students’ needs. The result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Koran for academic purpose curriculum is based on the format of KGP, KGAP, KSAP and KSP education in general. However, KAP education was not so strong to link the basic level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o the academic purpose of Korean studies. Because of this weakness, most of the courses relating to Korean studies are run through the medium of English, and also KSAP courses focus on readings related to the study topics, which leads the curriculum to be constructed to emphasize and improve the vocabulary and reading skills.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of University of Alberta aims to develop the areas of linguistics, culture, and literature as Korean studies concentration. Overall students are motivated by and interested in Korean popular culture through mass media, and prefer to learn more about the areas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translation. The students perceive that Korean language competency, and especially KAP, is essential in pursuing Korean studies as a concentration area for their major or minor. Based on the analyses, the study developed KAP curriculum for majoring Korean studies through critically embracing the curriculum of North American colleges and reflecting the departmental educational goals and students’ needs of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The curriculum proposes KAP goals and objectives, course designs,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and assessment. It includes 4 domains of KGP, KGAP, KSAP and KSP in the KAP program and is developed to connect each domain as well a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d to maintain connectivity to the Korean studies.

      • 금융 분야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베트남의 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현옥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began with the economic exchange of the two countries and has focused on practical, ready-to-use learning. Due to this trend, a high proportion of Korean language courses in Vietnamese universities concentrates on language skill education such 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On the contrary, voc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However,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Korean for employment is increasing, and the need for voc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reater than ever. Since the early years of economic exchange, Korean companies entering Vietnam have also transformed into large and diverse industries. As a result,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vocational purposes require a mor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thes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with general business Korean education. Business language education requires a curriculum specified to certain tasks. Based on this nee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usiness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financial sector, where Korean companies are actively entering the local market and also have high demands for employee recruitment. The study investigated the overall current state of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business Korean textbooks used in these institutions.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design of this study. To understand learner needs,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d Vietnamese employees working for Korean financial companies were selected as a learner group.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quirements for the curriculum composi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pecific education content. Due to the nature of the business sector, it was necessary to incorporate the requisites of corporate managers. A needs survey on employee recruitment and competency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ontent was conducted on Korean managers in Korean financial companies.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Vietnamese employee and Korean manager group perceived customer service and financial tasks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content.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studies chose employment preparation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content. The study showed the main interests of each group. Furthermore, all three groups had strong needs to learn about Korean corporate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needs surveys, this study designed the following curriculum for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ly, the curriculum will target students who are intermediate or above, and based on a four-year Vietnamese university, courses will begin in the third year and proceed over two semesters. Compiling the results from textbook analyses and needs surveys, courses were designed to enable students to learn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focused on speaking and writing. This study presented a business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 specific industry, Korean financial companies in Vietnam.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researched and designed a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eeds of 1) Vietnamese employees working in the field of finance, 2) Korean language students who are subject to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3) Korean managers of Korean financial companies, three parties concerned in the finance sector, a specific field in business.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은 양국의 경제 교류에서 비롯되어 실용적이며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언어 학습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의 영향으로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과목 구성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언어 기능 교육의 비중이 높으며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은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에 반하여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수는 점점 늘어나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베트남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의 형태도 초기와 달리 대규모의 다양한 업종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교육 내용의 범위도 다양해짐과 동시에 전문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따라서 범용적인 일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으로는 이러한 사회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우며 비즈니스 언어 교육에 한해서는 특정 업무를 한정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현지 한국 기업의 진출이 활발하고 직원 채용의 수요 또한 높은 금융 분야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베트남 대학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의 전체적인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베트남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교육과정 설계에 반영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베트남 대학 한국어학과 재학생과 한국 금융 기업에 근무하는 베트남 직원을 학습자 집단으로 선정, 교육과정 구성에 필요한 요구 사항과 세부 교육 내용 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비즈니스 영역의 특성상 기업 관리자의 요구도 반영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한국 금융 기업의 한국인 관리자들에게 직원 채용 및 업무 역량과 교육 내용 중요도에 대해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 조사 결과, 베트남 직원과 한국인 관리자 집단은 세부 교육 내용 중요도 조사에서 고객 상담과 금융 업무 항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학과 재학생은 취업 준비를 가장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택해 각 집단의 주요 관심 분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세 집단 모두 한국 기업 문화 교육에 대해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우선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며 시기는 4년제 베트남 대학을 기준으로 3학년에 시작하고 기간은 두 학기로 진행한다. 교육 내용은 교재 분석, 요구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말하기와 쓰기에 중점을 둔 실제적인 과제 활동을 통해 학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베트남 내 한국 금융 기업이라는 특정 업종을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을 제시했으며, 실제 금융업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베트남 직원과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의 학습 대상자인 한국어학과 재학생, 그리고 한국 금융 기업 한국인 관리자, 즉 금융 분야라는 특정 분야에서 이해관계가 있는 세 집단의 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서정적 자아의 시간의식 : 학위 창작품(시)을 중심으로

        정선남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The Time Consciousness of Lyrical Ego Jeung, Seun-Nam Major of Creative Arts and Media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is manuscript has an purpose on research time consciousness appeared on 42 poetry including "Old Memory 1", a poem writer's creation for degree. Sensitivity appeared in lyrical poetry is common in dailiness. Time in poetic imagination requires close relationship, present factors could be found in time and space through memory reproduction. The present factors in time and space have relationship with the state of staying in nowness, that is non-temporality. Lyricism holds powers to open order of daily life and prospect of harmony. Therefore, the time consciousness of lyrical poetry can fulfill sense of duty of poetic vision and enjoy the quality of life with mind about human's mind and duty, and social order and discernment on space creation and structure. One's personal experience in common and social frame would be ranged over mainly rather to approach time as literary thing. Also lyrical ego and time consciousness would be discussed in which experience in reason and life have relation with the topic of time. Time consciousness means the space where poetic meaning is created rather than a common or essential time. Poetic present is considered in the moment we aim for object or accept continuously through emotion in poetry. As one experience accept certain object and is valid as poetic subject, the form of time and space could be a form of experience. The timely expression can show the world of abstract intuition not direct one and reveal inferential consciousness. Human grow in physically and emotionally as time goes by. History develops over the flow. Therefore human can not be separate from the time. Time shows aspects that it can not be divided by personal consciousness cognizing time. The time consciousness is the main theme in the research of lyrical ego. In the lyrical poetry, time consciousness is essentials and emphasized. The time consciousness can not be drop out in lyrical poetry. The time we experienced is shown in present time in all memories so the time could be lyrical time. A poet personalizes the world and divide the world where one can not identify with world,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one's character. Furthermore, the world around person is not a fixed one but keep changing one. Our meeting is various and complicated. Therefore we can not help but continuously think and worry introspection. I would like to study the change of time through the variation of experience. This can be connected with research of ego and rediscovery. The time consciousness human can know appears differently from space and emotional status. That is, it is recognized and interpreted diversly in people's situation and condition. Thus, the time consciousness can be the method one's sense of time and one's attitude toward it. Eventually how human recognize time is the problem of self-consciousness. The writer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and background of time consciousness by realizing the matter of time rightly in time management. In addition, I anticipate to have an insight in poetic imagination and self-consciousness by understanding time. Key word : Temporality, lyricism , identity, memory, ego, nontime, eternity, unconscious <국문초록> 서정적 자아의 시간의식 정 선 남 미디어문예창작 전공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본고는 필자의 학위 창작품인 시「오래된 기억1」외 42편에 나타난 시간의식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정시에서 드러나는 감수성은 일상성 가운데 보편화된 것이다. 시적 상상력에 있어 시간은 유기적이며 기억의 재현을 통한 시간과 공간에서는 현재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시간과 공간에서의 현재적 요소는 과거가 현재성에 머물러 있음의 상태 즉 무시간성과도 관련이 있다. 서정성은 일상적 삶 속의 정돈과 조화의 지평을 열어주는 힘을 보유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정시의 시간의식은 시적 비전의 사명감을 완수하고 인간의 심성과 도리, 사회 질서에 대한 정신자세와 우주의 생성과 구조에 대한 통찰로써 삶의 질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시간을 문학적인 것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일반적이고 사회적인 틀 속에도 개인의 경험적인 부분을 주 핵심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또한 서정적 자아와 시간의식은 사유와 삶속에서의 경험들이 시간이라는 주제와 맺고 있는 관계 안에서 논의한다. 여기서 시간의식은 통속적이거나 본질적인 시간이 아니라 시적의미가 생성되는 장으로서의 시간이다. 시 속에서 대상을 지향하는 순간이나 감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받아들이는 때를 시적 현재로 보고 있다. 하나의 경험이 어떤 사물을 수용하면서 시적 대상으로 성립된다면, 시간과 공간이라는 형식은 바로 경험의 형식이 되는 것이다. 이 때 시간적 표현은 직접적 직관이 아니라 추상적 직관의 세계를 보여주며 추론적 의식을 드러낼 수 있다. 인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육체적, 정신적으로 성장한다. 역사 또한 그 흐름 위에서 발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시간으로부터 결코 독립적이지 못하다. 시간은 시간을 인식하는 개인의 의식과 분리할 수 없는 관계적인 양상을 띤다. 서정적 자아의 탐구에서 무엇보다 시간의식에 관심을 두었다. 이 시간의식이 본질이 되고 또한 강조되고 있는 곳이 서정시이다. 서정시에서 시간의식은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우리가 경험한 시간은 모두 기억 속에서 현재 시점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그 시간들은 대부분 서정적인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시인이 세계를 인간화하고 세계와 일체감을 이룰 수 없는 세계를 구분한다는 것은 한 개인의 개성 전체에 관한 문제로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개인을 에워싸고 있는 세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시각각 변하며 다양하다. 우리들의 만남은 다양하고 복잡하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지속적인 자아성찰의 문제를 생각하고 고민할 수밖에 없다. 경험의 다양성을 통해 시간의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것은 자아의 탐구와 재발견으로 연결될 것이다. 인간이 느끼는 시간 의식은 장소와 심리적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즉 개인이 처한 상황과 조건에 따라 달리 인식되고 해석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 의식은 개인이 시간을 의식하는 방법과 그에 대한 태도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인간이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자아의식의 문제이다. 필자는 시의 운용에 있어서 시간의 문제를 올바르게 파악함으로써 삶의 의미와 시간의식의 배경을 이해하려했다. 또한 시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시적 상상력과 자아의식에 대한 문제를 통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시간성, 서정성, 동일성, 기억, 자아, 무시간, 영원성, 무의식

      • 고통을 즐기는 방법으로서의 시 쓰기 : 학위 창작품(시) 중심으로

        고경희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42편의 창작시를 바탕으로 자신의 어두운 지점들과 고통스러웠던 삶의 한 부분을 진술함으로써 오히려 고통을 즐기게 되는 방법을 찾아 시 쓰기에 이르는 길을 모색한 글이다. 과거의 상처를 망설임 없이 드러내고 마주하는 용기와 내밀한 경험이 있었기에 시를 쓸 수 있었다. 정직하되 거칠지 않으며, 섬세하되 나약하지 말고, 언어는 불편하되 평정을 잃지 않는 시를 쓰고 싶었다. 평소에는 웃음을 잃지 않으면서도 슬픔을 놓고 싶지 않았다. 자신의 상처를 직면하는 시였기 때문에 잊고 싶었던 기억과 잊고 싶지 않았던 기억 사이에서 팽팽한 긴장감을 언어를 통하여 단단히 봉인하고 싶었다. 과거의 아픔과 고통의 장면들을 표면 위로 드러내는 일 자체가 고통이었다. 하지만 과거가 물러서지 않고 현재의 나를 자꾸 건드린다면 그 시간 속으로 기꺼이 들어가야만 했다. 시를 들고 어디까지 가는지 가보자고 했다. 그 과정에서 고통을 웃음으로 대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었고 진정한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상처를 꿰맨 자국들이 여럿 보였다. 그러한 ‘나’를 사랑하기로 했다. 나의 세계가 언어로서 조금 더 넓어지기를 바란다. 시 쓰기는 나를 찾아가는 여행이다. 내면의 또 다른 나를 발견하게 되고, 전혀 다른 얼굴의 나를 만나기도 한다. 상처를 드러냄으로써 불편한 심기를 극복하고 결국은 상처를 떠나보내는 즐거움을 맛볼 수도 있다. 내면의 불구를 극복하고 스스로 고통 속에 가두어 두었던 감옥으로부터 자유를 향하여 온전하게 시적인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것이 나에게는 시를 쓰는 목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나의 시는 야생화라고 생각한다. 나의 시는 그 자리에 그냥 피어있겠다. 거센 바람에 흔들리기도 하고 아무도 알아주지 않더라도 꾸미지 않고 정직한 모습 그대로 나의 자리를 지키겠다. Based on 42 creative poems, this thesis seeks to find a way to enjoy suffering by stating one's dark spots and painful parts of life, and finding a way to write poetry. I was able to write a poem because I had the courage to expose and face the wounds of the past without hesitation and the intimate experience. I wanted to write a poem that was honest but not harsh, delicate but not weak, uncomfortable with language but not losing its composure. Normally, I didn't want to let go of sadness without losing my smile. Because it was a poem facing his own wounds, I wanted to seal the tension between the memories I wanted to forget and those I didn't want to forget through language. Exposing scenes of pain and suffering from the past to the surface itself was painful. But if the past did not back down and kept touching me in the present, I had to be willing to go into that time. I said let's take a poem and see where we're going. In the process, I was able to afford to deal with pain with laughter, and I was able to discover the true ‘I’. There were several marks of stitching wounds. I decided to love that ‘me’. I want my world to be a little bit wider as a language. Writing poetry is a journey to find me. You will discover another inner self, and you will also meet a completely different self. By exposing the wounds, you can overcome the uncomfortable feelings and experience the joy of letting go of the wounds in the end. It is about overcoming the inner disability and moving towards freedom from the prison in which you have been imprisoned in your own suffering and into a completely poetic world. This can be said to be the purpose of writing poetry. I think of my poetry as wild flowers. My poetry will just bloom in its place. Even if I am shaken by strong winds and no one recognizes me, I will keep my place as I am, without embellishment and honesty.

      •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생활문화 교육 항목 선정 연구

        김혜영 경희사이버대학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aims to select the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set an example in establishing living culture education item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and focusing on the living culture aspects of Korean culture. It also seeks to propose methods of education that allow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o learn Korean living culture practiced in Korea. Departments of the Korean language at four-year universities in China offer not only linguistics courses, but also courses on cultural functions and performance at work. Most third and fourth year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are indeed fluent in the language itself; however, many have relatively inadequat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despite the availability of these courses. This calls for more dedicated education on Korean culture. The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Korean living culture results in poor interpretation or translation of subtitles and dubbing for Korean dramas and movies. All these require more appropriate education on Korean living cultu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lect appropriate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who are not directly exposed to Korean culture. With the goal in mind,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that must be taught to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the Korean Language were used as a reference,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both Korea and around the world. Furthermore, this study reviewed Korean culture textbooks that are actively used in school, analyzed contents related to living culture education and organized contents o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ubsequently,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majors and professors in Chinese universities to understand what they want in Korean living culture educatio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sponses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professors. Lastly, this study selected primary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tandard curriculum and Korean culture textbooks,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demands for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from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professors. Five Korean language professors from Chinese universities were asked to evaluate, re-review and adjust selected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to verify if they are applicable to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fter the verification process, final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were selected and methods for their utiliz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proposed. This study is relevant in that it identified what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want in Korean living culture education. The study can also be used as basic materials in research on 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in the future.

      • 미얀마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 연구 : 양곤 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희진 경희사이버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their factors. For this study Myanmar learners who have been study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t the Yangon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The issu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gender differs on learning styles in Korean significantly? 2) Is grade affec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in Korean? 3) Do learning styles elements influence the learners’ Korean levels? In order to examine these study questions,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Korean learners of Yangon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quantitative study.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tilizing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SPSS statistical software and independent two-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gender affects Sociological, Physiological learning styles. Second, grade affects Environmental, Emotional, Sociological, Physiological, Psychological learning styles. Last, Environmental, Emotional, Sociological, Physiological learning styles elements affect the learners’ Korean level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shows the relevance of the specific learning styles of Korean learners in Myanmar. For future study, differences in perceiving learning style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or learning styles differences between general Korean learners and academic Korean learners can be explored.

      • 플립트 러닝 기반 한국어 초급 문법 수업 모형 개발 및 효과 연구 :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우연희 경희사이버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가 의사소통 능력 향상으로 설정되면서 문법 교육에서는 문법적 지식보다 어떻게 문법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였고, 필수적인 문법 항목을 언어의 기능과 연계하여 교수해야 함을 강조하는 등 실용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그렇지만 목표 언어 입력과 출력이 제한적인 국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활용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 학습 환경의 제약으로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중국 대학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유창한 문법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학습자 중심의 충분한 출력 활동과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는 플립트 러닝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실험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플립트 러닝의 개념과 교육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초급 문법 교육과의 접점을 모색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수업 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2016년 9월 23일부터 2016년 10월 21일까지 중국 안휘성 A 대학교 초급 학습자 4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 검사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사후 문법 평가지와 설문 조사지로 학업 성취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트 러닝 기반 초급 문법 수업은 학습자의 문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 실험 집단의 평균은 66.05점, 통제 집단의 평균은 54.14점으로 실험 집단의 성적이 우수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드러났다. 특히 학습자의 출력 능력을 평가하는 주관식 문항과 유창성 영역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은 플립트 러닝 기반 수업 후 문법에 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플립트 러닝 수업 방식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문법 학습의 흥미와 사전 학습 여부를 묻는 문항에서 변화의 폭이 컸으며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동료 학습자가 미치는 영향을 묻는 문항에서 기존 방식과 점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원인은 플립트 러닝의 특징인 ‘수준별 학습’, ‘충분한 상호작용 및 학습자 중심 활동’, ‘수업 준비도 및 참여도’, ‘학습 자료의 효용성’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서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위주로 수업을 설계한 것이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것에 유효하였으며 맥락 안에서의 활용과 같이 유의미한 학습 경험, 직접적인 출력 기회를 제공한 것이 실질적인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은 학습자의 문법에 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전반적인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플립트 러닝 초급 문법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실험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습 자료, 강의 동영상 제작 절차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표본의 크기가 작으며 연구 기간이 짧았고 중국인 초급 학습자로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초급뿐만 아니라 중급과 고급으로 표본의 크기를 확장하여 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s a goal of Korean grammar education has been set to enhance communicative ability, grammar education has given attention more on how to use grammar than on grammatical knowledge itself. Moreover, practical traits like essential grammatical items must be taught through connection with linguistic skills have gotten to be focused. However, usage-oriented education for learners is difficult to be offered in learning environment abroad where language input and output are limited.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problems raised from limit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abroad and to enhance fluent grammar competency with correctness of elementary level of Korean learners, this study is to develop flipped learning teaching model with prerequisites of both learner-centered enough output activity and interaction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that end, this study designed teaching-learning model at the point of contact through consideration of concept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flipped learning.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model, experiment for 48 elementary students of A university in Anhui province China mainland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3rd to October 21st 2016.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divided after equivalence check. Grammar evaluation after test,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lipped learning-based elementary grammar teaching has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of learner's grammar competency. According to achievement analysis, control group showed excellent result(average of experiment group is 66.05 and average of control group is 54.14),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s much greater in essay-type question and fluency field which evaluated leaners output competency. Second, leaners got to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grammar after flipped learning-based teaching and showed great satifaction. Especially, great difference appeared in survey questions regarding interest in grammar learning and whether a leaner did prior learning.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effect of colleague learners showed great gap from ordinary teaching.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presented following 'leanrning by level', 'enough interaction and learner-centered activity', 'preparation and participation',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material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flipped-learning. To summarize, learner-centered activity was effective in promotion learners' learning motiv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such as usage in context and direct output opportunity were helpful in enhancement of practical usage competency. Moreover, this process changed learners' awareness toward grammar positively and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whole satifaction. This study has two significances; it developed flipped-learning based elementary grammar teaching model for Korean learners in university of China mainlan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as well through experiment. It also offered teaching plan, teaching material, teaching video making process and methods in detail, which enhanced application in education field.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s for generalization as well; relative small sample size, short research time and elementary level Korean learners in China mainland only. It is expected that sample size should be enlarged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for further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