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썸네일의 디지털 포렌식 조사 기법 연구

        윤대호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은 통화가 주 목적이었던 기존 피쳐폰의 수준을 넘어 문서 편집, 사진 촬영, 내비게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현대인에게 있어서 필수품이 되었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스마트폰이 범죄에 활용되기도 하고 범죄 혐의를 입증하는데 있어서 기여를 하기도 한다. 그 중에서도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국내 사용자의 대다수가 이용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도 썸네일은 그래픽 파일을 탐색하면서 알아보기 쉽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원본 그래픽 파일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Metadata에 저장함으로써 이를 분석하면 그래픽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래픽 파일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썸네일에 대한 분석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는 과정 중의 하나이다. 이에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썸네일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실제 범죄수사에 있어서 썸네일을 분석하여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스마트폰의 썸네일에 대한 연구는 기초적인 수준이며 범죄 수사에 있어서도 활발하게 쓰이지 않고 있다. 특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제조사별로도 다양한 버전을 제조사별 특징을 살려 활용하고 계속 업그레이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생성되는 썸네일에 대하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삼성 및 LG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썸네일은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최초 출고단계에서 설치되어 생성되는 썸네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썸네일의 종류별로 내부 구조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으로부터 분석을 위해 추출하는 방법을 논리적 방식과 물리적 방식으로 구분하였고 썸네일의 특성을 활용하여 카빙하는 기법을 알고리즘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실제로 구현한 도구를 제작하여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범죄수사간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 높은 사이클 특성을 가진 리튬/공기 전지용 전극 및 촉매물질에 대한 연구

        윤대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ast decade, lithium ion batteries have played a dominant power source for items ranging from portable electronics to hybrid electric vehicles. However, they still do not offer enough energy density to meet the ever-increasing demands of many applications despite extensive research to explore ways to increase their charge-storage capability. As a new energy storage system to overcome this problem, Li-air batteries have attracted numerous attentions because they have the potential to provide several times higher capacity than commercial Li-ion cells. Much research effort has been devoted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Li-air cells. However, they still are facing fundamental and practical challenges such as low rate capability, limited cycle life resulting from the instability of the electrode and electrolyte, and significant overpotential on charge due to slow kinetics of dissociation from reaction products (such as Li2O2). To solve these problems, two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these critical issues are highly attributed to the air electrode, the reaction place between lithium ion and oxygen, and electrolyte directly contact with electrode. Carbon, one of the general components of the air electrod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ir electrode, because it provides reaction site and store place of the reaction products. However, unfortunately, it facilitates the unwanted reaction such as formation of Li2CO3 and decomposition of electrolyte, which deteriorate the cyclic performance of air cell. In this study, the suppression of unwanted reactions due to carbon during cycling is main issue. With aim to suppress the unwanted reactions, the surface of graphene was passivated by PEDOT:PSS.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the Li2CO3 and decomposition of electrolyte. Furthermore, PEDOP:PSS could act as semi-binder, so the electrode could be prepared without using other binder such as PVDF. Considering that the relatively high conductivity of PEDOT:PSS, the electrode prepared without non-conducting binder could provide improved rate capability. So passivation of carbon using PEDOT:PSS could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enhancing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Li-air batteries. As the second study, we characterized the cyclic performance of an electrode employing a carbon nanotube (CNT)/Co3O4 nano composite. The lithium anode and electrolyte were replaced every 50 cycles in order to exclude the effect of a corrupted anode and electrolyte and to determine the “real” cyclic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The overpotential of the cells increased during the first 50 cycles; however, it almost vanished when the lithium anode and electrolyte were replac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ncreased overpotential of the cells during cycling is highly attributed to the corrupted lithium anode and electrolyte. The cycle life of the cell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replacement of the lithium anode and electrolyte. This confirms that air electrodes have the ability to maintain their designated capacity (such as 1000 mAh·gelectrode−1) for much longer cycles if the lithium anode and electrolyte can be made more stable. A polydopamine-coated electrode and a LiI-containing electrolyte were introduced and characterized in order to obtain enhanced cyclic performance of the air electrode. 최근, 이차전지는 기존의 IT위주의 응용분야에서 벗어나, 전기자동차 (EV)나 에너지저장시스템 (ESS) 과 같은 대용량 분야로 적용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차세대 전지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중 리튬/공기 이차전지는 기존의 상용화된 이차전지에 비해 대단히 높은 에너지 밀도 (11,400 Wh⦁Kg-1)로 인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새로운 타입의 이차전지 시스템이다. 리튬/공기 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 높은 과전압, 낮은 수명특성, 그리고 높은 에너지 밀도에 비해 낮은 고율특성 (상용화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경우 0.2 C rate 일 때 약 42 mW⦁g-1인 반면에 리튬/공기 전지는 ~0.46mW⦁g-1 정도이다.) 등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상용화 되기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극의 연구 개발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첫째로 공기극으로 사용되는 카본의 표면 개질을 통해 원치 않는 부반응을 제어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카본은 넓은 비표면적과 높은 전자 전도도를 가지고 있어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공기극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충전 시 인가되는 높은 전압 하에서 카본의 높은 활성으로 인해 전해질을 분해시켜 여러 원치 않는 유기물들을 생성시키고, 방전 시에 생성되는 Li2O2와 반응하여 분해하기 힘든 물질인 Li2CO3를 형성한다. 이러한 원치 않는 부반응 생성물들은 이상적인 반응생성물인 Li2O2에 비해 분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충전 시 높은 과전압을 초례하고 이런 물질들은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사이클이 진행되는 동안 공기극 표면에 쌓여 수명특성의 저하를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카본의 표면을 전도성 폴리머인 PEDOT:PSS로 코팅하여 반응 생성물이나 전해질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원치 않는 반응의 발생을 제어하여 수명특성을 향상시켰다. PEDOT:PSS는 폴리머이기 때문에 가볍고 전자 전도도 (약 1000 S/cm)도 높아 카본의 특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수용성이기 때문에 유기계 전해질에 녹지 않으며 우수한 내열성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리튬/공기 이차전지에서 공기극으로 사용되는 카본의 코팅물질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더구나 PEDOT:PSS는 접착성이 높아 저항의 요소가 될 수 있는 binder를 넣지 않고도 극판의 제작이 가능하여 전극 전체의 전자 전도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PEDOT:PSS에 silver paste를 같이 섞어주어 PEDOT:PSS의 전자 전도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Ag입자가 반응 생성물을 분해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촉매로써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 성능을 더욱 향상시켰다.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성능특성을 위한 두 번째 연구로 공기극의 최적화 조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두 번째 연구역시 원치 않는 부반응을 막기 위해 폴리머를 이용하여 카본의 표면을 코팅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PEDOT:PSS를 사용한 반면에 두 번째 연구에서는 Polydopamine을 사용하였다. Polydopamine은 원치 않는 부반응을 막아줄 뿐 만 아니라 소수성을 띄는 카본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시켜 전해질과의 wetting angle을 낮춰준다. 전해질과의 wetting angle이 낮아지면 전해질을 통해 이동해 오는 산소와 리튬이온의 공급이 원활해져 활성 반응 면적을 넓혀주는 효과를 가져 온다. 활성 반응 면적의 증가는 방전용량의 증가 뿐 만 아니라 수명특성의 향상에도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공기극의 최적화를 위해 폴리머코팅 뿐 만 아니라 반응생성물의 원활한 분해를 위해 산화물촉매와 redox mediator 두 가지의 촉매를 사용하였다. 산화물 촉매는 Co3O4를 사용하였고 카본과의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 카본과 복합화를 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촉매활성을 높이기 위해 polydopamine을 binding agent로 사용하여 균일하고 미세하게 CNT/Co3O4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Redox mediator는 전해질속에 분자상태로 녹여서 사용하는 촉매이다. 분자상태의 redox mediator는 충전시에 양극에서 전자를 받아 이온화가 된 후 반응생성물 (Li2O2)로 이동하여 반응생성물을 이온상태 (Li+, O2)로 산화시킨다. 산화물 촉매는 반응생성물과 전극 사이의 접착면 부터 분해시키는 반면에 redox mediator는 반응생성물이 전해질과 맞닿아 있는 겉 표면부터 분해시키기 때문에 두가지 종류의 촉매를 동시에 사용하면 반응생성물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과전압을 낮추고 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위에 명시한 polydopamine 코팅, 산화물촉매 그리고 redox mediator를 사용하여 최적화된 공기극을 제작하였고 이 세 가지 방법이 수명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과정에서 공기전극 뿐 만 아니라 전해질과 음극으로 사용되는 리튬이 사이클 특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를 배제하기 위해 본 실험에서는 일정 사이클 후 전해질과 음극을 교체하는 방식을 통해 공기전극만의 사이클 특성을 비교하도록 노력하였다.

      • 체력요인에 의한 세탁파크로 종목의 경기력 결정요인 분석

        윤대호 목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체력요인에 의한 세팍타크로 종목의 경기력 결정요인 분석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2년 현재 전국의 고등학교, 대학교에 재학중인 세팍타크로 선수들로 경력이 1∼2년의 남자선수를 Position별로 28명으로 총 83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들의 포지션별 선수집단이 기초체력 요인간의 변량분석 빈도, 백분율, 평균표준편차를 분석하기 위해 기초체력 전문 측정기구인 SPC CO LTD를 이용하여 포지션별 선수집단의 기초체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절차와 자료처리는 전국의 세팍타크로 선수들이 있는 고등학교 대학교를 표집대상처로 선정하여 연구자와 보조자가 직접 방문하여 기초체력에 대해 설명한 후 체격, 체력을 측정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0.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법은 기술통계분석인 빈도 및 백분율,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토대로 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osition 간의 체력구조는 차이에서는 택공이 다른 포지션 보다 체중이 높은 곳으로 나타났고 신장 또한 택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osition별 선수집단의 기초체력 요인간의 차이에서는 킬러와 피더가 택공보다 포지션별 기초체력에서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osition별 선수집단의 운동수행능력 요인간에는 차이에서는 킬러가 피더와 택공보다 포지션별 운동수행능력에서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analysis of determinants on the performance in Sepaktakraw by the factors of physical strength. For this purpose, a population was established which consisted of a total of 83 male Sepaktakraw players-28 for each position-with a career of one or two years who attend high school or university as of 2002, and SPC CO LTD, a technical tool for measuring basic physical strength, was used to measure basic physical strength in order to analyz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ANOVA among the factors of basic physical strength in the group of each position. The researchers and assistants visited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selected as the places for sampling which Sepaktakraw players attend, explained basic physical strength, measured physical sizes and strengths, and used the SPSSWIN 10.0 version, a statistical program, to proces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tical purposes. For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implemente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ANOVA analyses. On the basis of the hypotheses, this study generated the following concrete results: First, for differences among positions in the structure of physical strength, Teckong had a higher weight and height than other positions. Second, for differences among basic physical strength variables of the player group by the position, Killer and Peater has much higher basic physical strength by the position than Teckong. Third, for differences among motor performance ability variables of the player group by the position, Killer has much higher motor performance ability for each position than Peater and Teckong.

      • 보강재가 적용된 인공어초 지반의 지지력, 침하 및 세굴 특성 연구

        윤대호 부경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 따른 임해공업단지 조성, 연안의 매립, 해안의 육지화, 무분별한 어획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연안해역의 서식 환경이 점차 악화되어 가고 있다. 이로 인해 해양 식량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수산자원이 점차 감소하여 어획 소득이 급격하게 저감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고자 정부에서는 인공어초를 이용한 수산자원회복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인공어초(artificial reef)는 인공적으로 해저 및 해중에 인공 구조물을 설치하여 대상 해양 생물의 정착 및 보호와 배양을 목적으로 하는 어장 시설로서 해양생물의 생활 환경과 그 특성을 고려한 수산자원 조성 방법으로, 군집되는 해양생물의 종류 및 개체 수가 자연적인 암초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인공어초시설사업은 1971년부터 사업에 착수하여 초기(1971∼1980년)에는 시험시설단계로 소규모로 시설사업을 추진하여 왔으나, 1991년 이후에는 동사업의 시설효과가 입증되면서 전국 11개 연안 시·도로 사업이 확대되었으며, 매년 지속적으로 사업비가 투입되고 있다. 인공어초 설치를 위한 적지 선정의 경우 일반적으로 수심, 유속, 용존산소, pH, 해저 지형, 지반 상태 등 다양한 항목을 조사하고 이를 검토하여 판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전 조사에도 불구하고 일부 해저 지반의 경우 인공어초의 자체 무게 및 해양 외력 조건 등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라 인공어초의 침하 또는 매몰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인공어초의 유실 및 파손이 관측되는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또한 해수 흐름의 영향이 탁월한 지역에 인공어초가 설치될 경우 구조물의 영향으로 인하여 인공어초 주벼에 국부적인 해저지형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세굴 현상은 인공어초가 매몰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인공어초가 설치된 지반에서 발생하는 침하 및 세굴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들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인공어초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리학적 조건에 대한 특성 또는 현장에 설치된 인공어초의 보존 상태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지반공학적인 측면에 대한 접근은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인공어초의 침하 또는 세굴 현상을 저감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인공어초 침하 및 세굴 방지 기법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인공어초의 형상 등에 기인한 것으로 이와 같이 새로운 인공어초를 제작할 경우 시간적·경제적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어초 적지 선적의 폭을 증대시키고 기존에 개발되었던 인공어초의 계획적인 활용을 위해 침하 및 세굴 저감용 보강재를 개발 및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보강재는 대표적인 토목용 보강재인 지오그리드(geogrid)를 이용하여, 인공어초의 형상 및 재질 등과 같은 새로운 인공어초의 제작이 아니라 기존의 인공어초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침하 및 세굴을 저감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강성이 취약한 지오그리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오그리드와 대나무매트(bamboo mat)를 결합한 geogrid-bamboo mat(GBM)을 제작하였으며, 보강도는 멵거을 인공어초 하부 면적 대비 1배, 2배, 3배 및 5배와 같이 다양한 배율로 적용하여 각각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지지력 실험, 수조 침하 실험, 2차원 흐름 세굴 실험 등 다양한 실내 실험을 통해 인공어초가 설치된 지반의 보강 유·무에 따른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 저감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모래, 실트 및 점토 등 지반 조건을 달리하여 각 조건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수조 침하 실험은 총 3단계의 하중 조건(인공어초 무게 대비 1배, 2배 및 4배)으로 각각 24시간 동안 관측하였으며, 2차원 흐름 세굴 실험은 Froude 상사법칙을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적용된 수리학적 조건은 남해안의 실제 관측 데이터를 기준으로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하여, 실내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치 해석을 수행하여 인공어초의 세굴 특성에 대한 비교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An artificial reef is a human-made structure installed in the seabed to protect and cultivate marine life. Artificial reefs can be used effectively to create a spawning ground, habitat, sea ranch, or sea forest. To avoid settlement and scouring of the seabed,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oil type, grain size distribution, shear stress,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re all considered. This study examines an artificial reef that was actively installed to restore marine ecosystems and increase fish catching. An artificial reef that is installed on soft ground will lose its function due to settlement and scouring of the seabed.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ettlement and scour characteristics of the seabed installed artificial reef according to soil types, reinforcement types and reinforced area. To reduce settlement and scour of the seabed under the artificial reef, two types of seabed reinforcement were applied in this study: a geogrid and geogrid-bamboo mat (i.e., a geogrid and bamboo mat in combination). The soil types tested were clay, silt, and sand deposits. Several series of laboratory tests, including the California bearing ratio (CBR) test, large size settlement test, and two-dimensional (2-D) water channel test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il type and reinforcement type, with different reinforced areas, on the settlement and scour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model of the artificial reef had a hollow, cuboid shape,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artificial reef in South Korea. Froude similitude wa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the 2-D water channel scour test. Hydraulic experiemntal conditions were calculated based on actual observational data of the South Sea of Korea. To find out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oils installed artificial reef,calculated bearing capacity increase ratio (BIR) from CBR test. The variations of BIR value tends to increase as the reinforced area increases, especially three times of reinforced area. In addition, the BIR values of geogrid-bamboo mat(GBM)-reinforced soil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eogrid-reinforced soils, because the geogrid-bamboo mat has a high flexural rigidity compared to the geogrid. The settlement test results showed that a largest settlement occurred in the clay deposit without reinforcement, which was about 25% height of the artificial reef. From settlement test restuls, this study calculated settlement reduction ratio (SRR) with each soil types with different reinforced type. For different soil types, SRR values were fround to range from 38.5~63.6% for sand deposits, 30.5~42.9% for silt depostis, and 32.6~44.7% for clay deposits. Soils reinforced with a GBM show a greater reduction in settlement compared to geogrid-reinforced soils due to the high bending stiffness. From 2-D water channel scour test carried out to investigated scour patten with sand and silt deposits. Reinforced with a geogrid or geogrid-bamboo mat tend to reduce as the reinforced area increases. Scour ratios of soils reinforced with a geogrid-bamboo mat were found to be smaller than those of geogrid-reinforced soil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geogrid or geogrid-bamboo mat reinforcement of soft ground contributes to reduce settlement and scour. Numerical analysis shows the velocity vector and scouring patten around artificial reef which is same condition with experiment. The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s with the experimental test results and a scouring patten It was found that improved soft ground with reinforcement which installed artificial reef, reduced settlement and a case of scouring patten. The settlement and scour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an artificial reef on soft ground.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reinforcement of soft ground can reduce settlement and scouring of the ground.

      •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한 맥락 기반 표정 생성 방법 연구

        윤대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develop facial expression generation system via. Generative AI models based on the emotional context. Emotional descriptions about facial expressions are generated in the given situation using the developed GPT-4 model in this study. They are then fed into the DALL-E 2 model to produce the corresponding facial expression images. An automated pipeline is established to facilitate this process, forming a 'context-based facial expression generation system'. Furthermore,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xpressions generated by this system, we compared the generated expressions with real facial expressions using metrics such as FID (Frechet Inception Distance), MAE(Mean Absolute Error), MSE (Mean Squared Error), and RMSE (Root Mean Squared Error). Additionally,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our context-based system more accurately generates expressions of emo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our method can enhance the quality of facial expressions by generated AI, applicable even with the advent of new image or language models. This system holds potential for generating a wide range of expressions, extending the capabilities of existing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beyond basic emotions to more complex social emotions. 본 논문은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모델을 사용하여 특정 상황에 대한 설명(맥락)과 해당 상황에 놓인 인물의 감성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해당 상황에 놓인 인물의 얼굴 표정을 이미지로 생성하는 표정 생성 시스템을 개발하고 평가한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서 GPT-4 모델이 제시된 상황과 감성에 맞는 표정을 텍스트로 생성하도록 만들었으며, 만들어진 표정 텍스트를 다시 DALL-E 2 모델에 입력하여 표정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구현하였다. 이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맥락 기반 표정 생성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맥락 기반 표정 생성 시스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생성된 표정과 실제 표정을 FID(Frechet Inception Distance), MAE(Mean Absolute Error), MSE(Mean Squared Error), RMSE(Root Mean Squared Error)등의 지표로 비교하였으며,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맥락 기반의 표정 생성 시스템이 Arousal 감성을 표현하는 표정을 더 잘 만들어내는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생성 AI를 통해 수집되는 얼굴 표정의 품질을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써 향후 새로운 이미지 생성 모델이나 새로운 언어 모델이 출시되어도 적용될 수 있으며, 만들어진 시스템으로 다양한 표정을 생성하여 기존의 표정 인식 기술이 기본 감성(basic emotion)의 범주를 넘어 사회 감성(Social Emotion)과 같은 복잡한 감성 표정을 인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인광유기발광 소자에서 삼중항 여기자의 확산 방지층의 효과에 대한 연구

        윤대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OLED, Orgarnic Light-Emitting Diode)에 삼중항 여기자 확산 방지층(TEBL, Triplet Exciton Blocking Layer)을 도입하여 발광층(EML, Emitting Material Layer)에서 인접 층으로의 여기자 확산방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먼저 10nm 두께를 가지는 발광층에 4% 농도의 dopant를 doping 하여 여분의 여기자를 다수 발생하도록 유도한 뒤, 이를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으로 확산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정공 수송층과 발광층 사이에 여기자 확산 방지층을 삽입하여 확산 가능한 여기자가 발광층 내부에 구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기본적인 유기발광소자는 Anode/HIL/HTL/TEBL/EML/HBL/ETL/EIL/Cathode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Anode로는 ITO, HIL(정공 주입층, Hole Injection Layer)로는 HAT-CN. HTL로는 NPB, EML의 Host에는 CBP, Green dopant로 Ir(ppy)3를 사용했고, HBL(정공 차단층, hole Blocking Layer)로는 TPBi, ETL(전자 수송층, Electron Transport Layer)에는 Alq3, EIL(전자 주입층, Electron Injection Layer)로는 LiF를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Cathode로는 Al을 사용하였다. 확산 방지층으로는 TAPC(4,4’,4’’-tri(N carbazolyl) triphenylamine)와 TPD(N,N′-Bis(3-methylphenyl)-N,N′diphenylbenzidine)을 사용하였으며, 각각 T1 level이 2.87eV, 2.34eV 로서 T1 level에 따른 확산차단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TEBL의 두께는 2nm~10nm까지 총 5단계로 나누어 두께에 대한 확산차단 효과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TAPC는 CPB보다 0.27eV 낮은 T1 level을 가지며 차단 효과가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인접 층으로의 여기자 확산이 활발하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반면, TPD는 CBP 대비 0.26eV 높은 T1 level을 가지며 2nm의 얇은 두께에서도 발광 Spectrum과 CIE 1931 color coordinates를 통해 확연한 차단 효과를 확인하였다.

      • 병원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부조화의 연관성

        윤대호 원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 근무하는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 부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병원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감정노동의 정도를 줄이고, 나아가 병원중간관리자의 효율적 인적 자원관리에 필요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병원에 근무하는 중간관리자들 대상으로, 지역별로 서울·경기지역 4곳, 대전·충청지역 4곳, 전북지역 6곳, 광주·전남지역 5곳의 병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26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영역에 대한 Varimax 회전법을 사용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간의 내적 일치도를 보는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조사된 변수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을 파악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부조화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감정노동 부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부조화의 수준 파악을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기술통계는 직무량 요인이 3.14점, 직무 성취 요인 2.62점, 직무 갈등 요인 2.26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감정노동 부조화의 기술통계는 2.83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요인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서는 학력이 직무성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성별에서는 직무갈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병원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요인 차이를 살펴보면 급여 및 병상 규모가 직무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병상규모는 직무성취 및 직무갈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부조화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성별과 결혼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무스트레스 평가요소가 감정노동 부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무량과 직무성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병원중간관리자의 직종별 직무스트레스가 감정노동 부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1.4%로 의료기사직, 간호직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의 관리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중간관리자는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부조화에 관하여 긍정적인 자세로 직무에 임해야 한다. 왜냐하면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의 부조화는 직무만족을 감소시켜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며, 나아가 조직 몰입 및 서비스 성과를 저해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관리자들의 지속적인 소통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감정표현의 부조화 현상이 최대한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이 필요하고, 또한 직무량과 직무성취로 인해 생긴 스트레스를 완화해 나아가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직원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감정노동에 대한 관리자 스스로의 조절 능력을 길러 스트레스 지수를 낮추도록 해야 한다. 왜냐하면 상사와 동료간의 지원체계로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직장 환경 조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직무 및 직장 생활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고,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증대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병원중간관리자들의 감정노동 부조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감정노동 관리를 위한 전담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며, 업무상황에 따른 대처 방법 및 감정표현 규칙 등을 포함한 업무 지침의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고 이를 각 병원의 상황에 맞게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조직차원에서 감정노동의 부조화 해소를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관리자 스스로 감정노동 부조화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업체나 연구소에 의뢰하여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상시 운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dissonance among managers at hospitals and analyz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emotional labor dissonance, thus providing basic empirical data to help to reduce their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dissonance and further to improve the efficient management of hospitals. For those purpose, the 2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hospital managers of 4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4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6 in Jeonbuk Province, and 5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After excluding 14 questionnaires whose answers were insincere or incomplete, total 226 cases were analysed in the study. By using the SPSS WIN 20.0 statistical progra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each area with the Varimax rotation method was conducted. Reflecting internal fitness between items, a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us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variables to figure out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 t-test and ANOVA were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emotional labor dissonance.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ospital managers scored 3.14, 2.62, and 2.26 descriptive statistical points on workload, job achievement, and job conflict, respectively, and recorded 2.83 points on emotional labor dissonance.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job stress according to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job achievement and education, on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etween job conflict and gender, another general characteristic. As for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job stress according to hospit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nections between salary and bad size and workload and between hospital size and job achievement and conflict.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dissonance according to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labor dissona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gender and marriage. Fourth, workload and job achievement, two elements of job stress evalu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labor dissonance. Fifth, the impacts of job stress on emotional labor dissonance among managers, medical technicians, and nurses at hospital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model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for managers at 31.4% compared with medical technicians and nurses. Those findings are suggesting some alternatives to manage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as follows: First, hospital managers need to take a positive attitude toward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dissonance because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dissonance can lower job satisfaction and raise turnover intention, having a negative influence in disturb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rvice performance. Thus, managers should be provided with ongoing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raining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dissonance in their emotional expressions, with measures to relieve stress caused by workload and job achievement. Secondly, a support system of the hospital middle management should be set up for employees so that managers can develop the ability of regulating emotional labor for themselves and lower their stress level since they need a system to do their jobs and lead a working life effectively in a working environment based on mutual trust with their supervisors and colleagues through a support system and have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Finally, there should be measures and management to help hospital managers to reduce their emotional labor dissonance. Such measures and management require the deployment of manpower devoted to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job guidelines including coping measures for each job situation and rule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adjustment of the guidelin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hospital. Thus, there should be searches for plans to resolve emotional labor dissonanc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managers need to commission a specialized organization or research center to develop a meditation program and run it at a regular basis themselves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y to regulate emotional labor dissonance.

      • 종합병원 외래환자의 진료서비스 만족 및 재이용에 관한 연구

        윤대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in a general hospital.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hospitals offer better medical service to patients, determine directionality to improve their management environments, and take competitive advantage over rival hospitals by present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utpatients using a general hospital in Jeollabuk Province.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men (139, 51.9%) than women (129, 48.1%) according to the gender characteristic; there were the most subjects (86, 32.1%) in the age range of 20~29;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were the most at 102 (38.1%); those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ere the most at 97 (36.2%); those who received the second medical examination (179, 66.8%) were more than those who received the first medical examination (89, 33.2%); and those who described their health state as "good in overall" and "average" were the most both at 104 (38.8%). As for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hospitals located in city (189, 70.5%) than in gun (79, 29.5%); the highest 106 (39.6%) subjects said that their hospitals had 300~499 beds; the highest 110 (41.0%) said that their hospitals provided medical service in fewer than 15 departments; there were more non-training hospitals (218, 81.3%) than training hospitals (50, 18.7%); and there were more private hospitals (189, 70.5%) than public hospitals (79, 29.5%). Second, differences in the elements to assess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octor's care service,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gender; the reception procedu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he reception procedure and doctor's care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hospital environments and ot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edical departments. As for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doctor's care service, examination and prescription,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hospital location; examination and prescrip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d; doctor's care service, examination and prescription, hospital environment, ot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and doctor's care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a training hospital. Third,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age, number of visits, and health stat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bulatory care according to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Fourth,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gender and medical departments.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ccording to such hospital characteristics as hospital location, number of bed, and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Fifth, differences in reus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use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number of visits and such hospital characteristics as hospital location, number of bed, and number of medical departments. Finally, doctor's care service,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s on satisfaction with ambulatory car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reuse. It is required to provide doctors with an opportunity for ongoing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outpatients' satisfaction with care,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reuse based on those research findings. It is also needed to monitor the state of internal cleanness constantly and deploy guidance helpers and signposts. Finally,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ways to reduce waiting time by simplifying the reception procedure and install an institution device such as professional counselors to provide patients with clear explanations about the causes and results of exam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환자에게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병원의 경영환경 개선의 방향성과 타 병원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종합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남자가 139명(51.9%)으로 여자 129명(48.1%)보다 많았다. 연령은 20~29세군이 86명(32.1%)으로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102명(38.1%)로 가장 많았다. 진료과는 내과가 97명(36.2%)으로 가장 많았고, 방문횟수는 재진이 179명(66.8%)으로 초진 89명(33.2%)보다 많았다. 건강상태는 “좋은 편이다” 와 “보통 이다”가 각각 104명(38.8%)으로 가장 많았다. 병원 특성에서 병원 위치는 시 지역이 189명(70.5%)으로 군 지역 79명(29.5%)보다 많았다. 병상 규모는 300~499병상이 106명(39.6%)으로 가장 많았으며, 진료 과목은 15개 미만이 110명(41.0%)으로 가장 많았다. 비수련 병원이 218명(81.3%)으로 수련병원 50명(18.7%)보다 많았으며, 운영 형태는 민간병원이 189명(70.5%)으로 공공병원 79명(29.5%)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 평가요소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서는 성별에 따라 의사진료서비스와 병원환경 및 기타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에서는 접수절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에서는 접수절차와 의사진료서비스, 진료과목에서는 병원환경 및 기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원 특성에서는 병원위치에 따라 의사진료서비스와 검사 및 처방, 병원환경 및 기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병상규모에서는 검사 및 처방이, 진료과목 수에서는 의사진료서비스와 검사 및 처방, 병원환경 및 기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련병원에서는 의사진료서비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도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도는 연령과 방문횟수, 건강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병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만족도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은 없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추천의향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추천의향 차이에서는 성별과, 진료과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병원 특성에 따른 추천의향을 분석한 결과, 병원위치와 병상규모, 진료과목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특성에 따른 재이용 차이 분석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이용 차이에서는 방문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병원특성에 따른 재이용 차이에서는 병원위치와 병상규모, 진료과목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여섯째, 외래진료만족도와 추천의향, 그리고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의사진료서비스와 병원 환경 및 기타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외래환자 진료만족 향상과 추천의향과 재이용의 향상을 위해 의사의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내부 청결상태의 지속적 모니터링과 안내도우미, 표지판 등의 배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접수절차의 간략화를 통해 대기시간을 줄이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검사 이유와 결과에 대한 명확한 설명 위해 전문상담사 등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겠다.

      • 지역난방 열원시설 축열조 부식 건전성 평가 및 고찰

        윤대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mal storage tank is a component tha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district heating system by storing excess heat during normal operation and releasing the stored heat when the heat generator is stopped or additional demands occur. In this study, the obsolete thermal storage tank, which had been operated for past 30 years, was dismantled for the first time, and thus the materials used in the thermal storage tank were evaluated by examining its appearance, thinning, corrosion products,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As a result, the shell and bottom plates showed similar values to the minimum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steel grade guaranteed by ASTM A285/A516, and the microstructure was similar to the new products. In contrast, severe corrosion, which exhibited thinning exceeding ~49% of the designed thickness, was found in the roof edge plate, and the type of corrosion is corrosion under insulation. In this part, deteriorated microstructures, such as spheriodized pearlite, decaburization, weak ferrite-pearlite band structure, were observed and hardness decreased by ~27%. As a countermeasure to prevent this corrosion, periodic inspection of the structure, the use of low-chlorinated insulation, and application of coatings such as thermal spray aluminum (TSA) can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