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e-러닝 콘텐츠를 활용한 방과후 학습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컴퓨터교육 중심으로
유현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 및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자 지식 창출의 원동력이 되는 유능한 인적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각자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분야에 뛰어나고 자신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학생을 육성이 목표이다. 현재 공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방안이 제2의 학교라고 할 수 있는 방과후 학교이다. 방과후 학교는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시간에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혁신적인 교육 체제’를 의미한다(채명이,2009). 방과후 학교는 지금까지의 특기·적성 교육과 방과후 학교 교육 활동을 보다 확대하여 체계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학생들 개개인의 자발적인 선택과 유의미한 활동을 통하여 지적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우고, 나아가 적극적인 자아 탐색을 통해 능동적으로 진도를 개척해 나가는 데 그 목적을 둔다. 21세기 학교 교육은 창의성과 다양성을 요구하는 고도의 지식 정보화 사회로 암기 위주의 획일적인 교육 활동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다양한 특기·적성 및 흥미를 획기적으로 신장시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민감한 교육 수요자들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적극 수용해야 한다. 따라서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잠재된 소질과 특기를 계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유상규, 2003). 본 논문에서 방과후 컴퓨터 교육을 포함한 방과후 학교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방과후 학교에 대한 개념을 분명히 해야한다. 방과후 학교를 학교의 기능 확대를 위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보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컴퓨터 교육이 중요시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수자에 대한 새로운 방안도 함께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 초등학생들이 컴퓨터 방과후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그 문제점을 해소시켜 더욱 활성화되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중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진단평가를 통하여 실력을 평가해 보고 자신에게 적합한 수업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둘째, 오프라인의 활동에서 결석이나 잦은 학교 행사로 인하여 학습량의 결손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보충학습을 할 수 있다. 셋째, 학습의 진행도와 피드백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학습시스템은 기존의 오프라인 활동과 병행하여 오프라인 교육과 e-러닝 콘텐츠 교육의 장점을 살리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본 논문을 통하여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의 연결이 가능한 어느 장소에서나 컴퓨터 관련 학습을 할 수 있다. 둘째, 웹을 통한 컴퓨터 학습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 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앞으로 본 학습시스템과 오프라인 활동을 병행하여 적용해봄으로 수요자들의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수렴해야한다. 그리고 효율적인 방과후 컴퓨터 교육 활동을 위해서 궁극적으로 학습시스템의 연구 보완이 추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After-school learning is started as a part of social education for complementing school education, and raising talented people who will take important roles in the future. This after-school learning has been introduced to meet the needs of times, because knowledge &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requires people to have abilities to broaden their own specialties and to solve problems effectively in everyday life b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lso,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computer, which is a key factor in information society, is getting emphasized. People have much interests and participate in after-school computer education. This thesis aims to study an efficient way of teaching by using e-learning contents, which can be adapted to rec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 e-learning enhances students’ knowledge on classes by breaking from old teacher-directed learning and drawing their interests based upon self-directed learning which develops students’ creativities, and then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s on computer visually and gradually by utilizing web. This thesis has been done on the basis of prior conducted researches and analyses concerning the actual educational conditions. It shows a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urrent after-school learning system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way that can help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s a supplementary system for off-line education which has not satisfied demanders’ needs. In addition, it suggests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model regarding to computer education by means of e-learning contents. Lastly, we introduce improved contents of education and curriculum, and examine the result of the study through the survey.
스마트 앱을 이용한 수세기 프로그램이 초등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세기 능력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현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ounting program using smart application on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dism spectrum disorder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a baseline phase, a intervention phase, and a maintenance phase. The independent variable, a counting program using smart application, included the strategies such as visual cues, self-monitoring, self-escluation, time delay, and least prompt procedur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unting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srt, A counting program using smat application had posive effects on improving the counting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couning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maintained two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Second, a counting program using smart appli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esorders were maintained two week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Multi-photon excitation이 가능한 Actuator 적용을 위한 LCE의 합성 및 특성분석
LCE is a material that combines the anisotropy of liquid crystal and the elasticity property of polymers. LCE can be driven by various energy sources such as electricity, pH, heat, and light. Among them, LCE controlled by photon energy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operated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spatial restrictions. Contemporarily, azobenzene derivatives have been adopted for polymeric networks to access photo-response property. In this study, for more complex motions, two azobenzene derivatives with or without electron withdrawing groups, which can manifest photo-isomerization at the different wavelength, have been synthesized. The absorption wavelength of the azobenzene derivative with electron withdrawing group was introduced and the optical isomerization wavelength was detected at more than 500 nm. The crosslinking density was adjusted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mono- and diacrylate RMs. The functional group of each monomer was acrylate and reacted through photopolymerization to produce films. Four monomers and a photoinitiator were mixed and cured into a film. The curing process was confirmed by IR spectrometry.
성인의 게임 중독과 게임 몰입의 차이 : 우울, 낙인감, 자기통제,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중심으로
유현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게임 중독, 게임 몰입과 우울, 낙인감, 자기통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관계를 알아보고, 게임 중독과 게임 몰입을 점수의 수준에 따른 군집으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전국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삼고,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어판 Young(1998)의 인터넷중독 척도(김혜원,2001), 한국어판 Csikszentmihalyi(2000)의 몰입 척도(권재원,2004),한국우울증척도(이민수,이민규,2003), Vogal&Wade,Haake(2006)이 개발한 자기 낙인 척도(이민지, 손은정,2007), Harvey(2001)이 개발한 Stigmatization Scale(주금옥, 2002),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홍현기외, 2012), K-Coping Strategy Indicator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계층적 군집화 방법인 Ward의 방법으로 덴드로그램과 Elbow methodfmf 확인한 후, 비계층적 군집화 방법인 K-means 군집분석을 통하여 게임 중독과 게임 몰입의 수준에 의해 구분되는 군집의 수를 확인하였다. 군집별로 우울, 낙인감, 자기통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요인들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게임 중독은 게임 몰입과 우울의하위요인, 자기낙인, 사회적 낙인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회피중심과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자기통제의 하위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중심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게임 몰입은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인 집중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군집분석을 통하여 총 4개의 집단(중독-몰입 동반 집단,중독집단, 보통집단, 몰입집단)으로 나누어졌고, 보통집단과 몰입집단의 관계를 제외한 각 군집들은 우울, 낙인감, 자기통제, 스트레스 대처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게임 중독이 높은 집단은 우울, 낙인감, 자기통제, 스트레스 대처전략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순수 몰입 집단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의의와 연구 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사회적 배제 경험 후 인지적 탈융합 개입이 분노와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cognitive defusion technique based on emotional acceptance and attention distraction technique based on emotion suppression and experience avoidance. Seventy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from 67 participant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social exclusion through Cyberball game. Then,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in term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a cognitive defusion group, attention distraction group. The word repetition technique was used for the cognitive defusion treatment and the time-out technique was used for the attention distraction treatment.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examination were performed. The changes of state anger, state shame, and defusion were measured by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reatments decreased anger and shame after therapeutic intervention, but the reduction effect of the cognitive defusion group was more significant and showed meaningful interaction effect. After recalling, the reduction effect was maintained in both groups at the follow-up examination, but the decreased anger and shame in the cognitive defusion treatment remained significantly lower. This suggests that cognitive defusion is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anger and shame as compared with the attention distraction. Finally, limitations and proposal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정서수용을 기반으로 하는 인지적 탈융합 기법과 정서억제 및 경험회피를 기반으로 하는 주의분산 기법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학생 총 70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67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사이버볼 게임을 통하여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도록 하였으며, 그 이후 인지적 탈융합 처치와 주의분산 처치의 조건으로 무선 할당하여 개입을 실시하였다. 인지적 탈융합 처치에는 단어반복읽기 기법을 사용하였고, 주의분산 처치에는 타임아웃기법을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그리고 회상을 한 이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의 상태분노, 상태수치심, 탈융합의 변화를 종속변인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두 처치 모두 치료적 개입이후 분노감과 수치심이 감소하였으나, 인지적 탈융합 집단의 감소효과가 더 뚜렷하여 의미 있는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회상 후, 추후검사에서는 두 집단 모두 감소효과가 유지되었으나, 인지적 탈융합 집단에서 감소한 분노와 수치심이 유의미하게 낮게 유지되었다. 이는 주의분산 처치와 비교 하여 인지적 탈융합 처치가 분노와 수치심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제안을 논의하였다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이 거주자의 건강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주시 33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유현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는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이 실제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거주민의 건강 및 정신건강을 개인변수와 환경변수로 나누어 설명하려 하였고 건강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설문조사에 의한 자료 대신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불하는 진료비로 대체함으로써 의학적인 전문 데이터에 의거하여 좀 더 객관적인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개인변수와 관련해서는 공시지가와 주택유형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는데 공시지가와 주택유형은 소득과 큰 관계가 있어 소득수준으로 설명하는데 적절하였으며, 환경 변수로는 도시의 토지이용을 주거, 상업, 공업 그리고 공원/녹지로 구분하여 총 12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건강 및 정신 및 행동장애(F코드) 진료비의 구득이 가능한 전라북도 전주시 33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변수별 데이터를 구축한 후 해당 지표들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회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특성과 건강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행정동의 공시지가가 높을수록, 아파트와 연립주택이 많아질수록 건강 및 정신 및 행동장애(F코드) 진료비가 늘어나는 한편, 공시지가가 낮거나, 다세대 주택이 많아질수록 정신관련 진료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거주자의 소득계층에 따라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지불능력이 진료비와 관계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환경특성과 건강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중에서 공원과 건강 및 정신건강의 관계는 행정동 내에 공원의 면적이 클수록 관련 진료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원에서 건강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운동과 레크레이션, 녹지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환경특성과 건강 및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행정동 내에 주거지역과 녹지면적이 늘어날수록 건강 및 정신건강 관련 진료비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주시 주택유형의 70% 이상을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하였을때, 진료비 지출이 많은 아파트 거주자들로 인해 분석에 정의 영향을 끼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녹지면적이 늘어날수록 진료비 또한 늘어나는 것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공원과 상반되는 결과로써 전주시에서 녹지와 아파트는 상당히 유사하게 분포되어있는데 이 때문에 아파트가 가진 진료비의 특성이 녹지의 분석결과에까지 영향을 미쳐 녹지와 건강 및 정신 건강간 정의 영향을 보이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건강 및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개인 변수가 중요하며, 특히 도시계획적으로는 공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행정동 기준으로 등분포시키는 공원계획에 합리적 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상지가 전주시로 한정되어 학문적 일반화가 어려운 점과 정신 건강과의 관계를 토지이용과 소득수준에만 집중시켰다는 점은 연구의 한계이다. 차후에는 통섭적인 모형을 설정한 후, 공원의 조성비용과 국가의 보험 부담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국가 정책추진의 동인이 될 실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pedestrian movement.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pedestrian movement and internet photo on grid street system, and to suggest the new complementary factors of space syntax.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connectivity of space syntax is very high on grid street system. Second, old complementary factors of space syntax h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distribution of the stores.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photos in the internet photo map, a newly suggested index, ha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pedestrian volume, and had the highest level of explanation when supplemented by local integration of space syntax. In conclusion, internet photo and pedestrian movement are closely related and the outcomes of space syntax using the internet photo may be utilized as a preliminary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urban space structure.
Gabriel Fauré「Requiem op.48」합창곡 분석연구
가브리엘 포레(Gabriel Fauré, 1845-1924)는 예술가곡을 주로 썼는데 섬 세하고 절제된 작곡기법과 프랑스 전통적 기법을 사용한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또한 드뷔시, 라벨 이전시대의 작곡가로서 낭만주의에서 근⦁현대음 악으로 이행하는 다리 역할을 한 작곡가이다. 포레가 <Requiem Op.48>을 작곡하던 시기에 다른 작곡가들의 <레퀴 엠>은 거대화 된 오케스트라의 영향을 받아 대체로 규모가 크며 장중하고 무겁게 작곡된 것에 반해 포레의 <레퀴엠>은 오케스트라의 규모나 역할 이 작고 오르간과 현악기를 중심으로 선율적인 아름다움을 강조했으며 금 관악기는 특정부분의 색채만을 위해 절제하여 사용하는 등 이 시기의 일 반적인 <레퀴엠>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포레의 <레퀴엠>을 연구하기 위하여 먼저 이론적 배경 으로 포레의 생애와 작곡 배경 및 작품의 개요를 알아보았다. 본론에서는 일곱 개의 곡 중에 합창곡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조 및 형식, 선율과 가사, 리듬, 화성, 선법, 종지로 음악적인 내용을 함께 분석하였다. 포레의 <레퀴엠>은 혼성 4부 합창과 2관 편성의 관현악, 오르간으로 편 성되어 있으며 혼성4부 합창이 6성부 합창으로까지 확대되어 나타나기도 하고 각각의 곡에서 관현악의 편성이 조금씩 다르게 적용되었다. 이 작품은 제1곡 Introït et Kyrie 제2곡 Offertorie, 제3곡 Sanctus, 제4 곡 Pie Jesu, 제5곡 Agnus Dei, 제6곡 Libera Me, 제7곡 In paradisum의 총 일곱 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Dies irae를 포함하지 않 고 제7곡인 In paradisum을 포함한 것과 제4곡인 Pie Jesu를 독립적인 악 곡으로 구성 한 것에서 다른 작곡가들의 <레퀴엠>과 차이를 보인다. 화성 적인 면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화성 진행 방법을 주로 사용하면서 그 안에 증속화음이나 3부 형식을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선법의 사용이나 오르간 의 사용으로 인해 종교적인 색채가 나타나고 포레만의 특이한 종지인 포 레 종지가 나타나는 등 평범한 화성진행 속에 그의 음악어법을 함께 사용 해 독특한 그만의 작품을 만들었다. 이 연구를 통해 낭만시대의 일반적인 장엄하고 무거운 <레퀴엠>에서 벗어나 섬세하고 간결한 포레의 <레퀴엠>이 낭만시대를 보여주는 동시에 근⦁현대로의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abriel Fauré (1845-1924) is a composer who is known for using delicate and understated compositional techniques as well as traditional French techniques. He is also a composer from the pre-Debussy and pre-Ravel era who served as a bridge from Romantic to modern music. When Fauré was composing the "Requiem," other composers of requiems in his time were largely influenced by a very large orchestra with solemn and gloomy tones. Fauré’s Requiem, in contrast, preferred a small size and role of the orchestra while emphasizing the melodic beauty centered around around the organ and strings. The brass instrument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usual requiems of this period by only occasional use for the color of specific parts. In this essay, the author will explore Fauré's life and backgrounds of his works to understand his music world more in depth. The main body will focus on the choral music out of seven songs, with detailed analysis on the former's music elements such as structure, form, melody, lyrics, rhythm, harmony, preposition, and cadence.Fauré's Requiem is composed of a mixed four-part chorus and two-piece orchestra, an organ, and a mixed four-part chorus extended to a six-part chorus, with the orchestration slightly differing in each piece. It consists of seven movements Introit-Kyrie, Offertorie, Sanctus, Pie J esu, Agnus Dei, Libera Me, and In Paradisum. This composition differs from other requiems by including the seventh movement, In Paradisum, without including Dies irae, and the fourth song, Pie J esu, composed of independent pieces. With respect to harmony, Fauré uses the traditional method of harmonic progression in a colorful manner. Furthermore, Fauré created his own unique musical style in harmonic progressions, with religious colors, the organ, and the introduction of his unique modes. This study will show that Fauré’s delicate and simple Requiem broke away from the conventional solemn and gloomy requiems of the Romantic Era and served as a bridge to modern times.
관점수용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현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관점수용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통합 학급에 소속되어 있는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교우관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학생이 소속되어 있는 인천 소재 Y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관점수용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Ada cigala, Arianna Mori와 Francesca Fangareggi (2015)의 논문에 기초하여 현 교육과정 및 교육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종속변인은 교우관계로 또래 생태 평가의 또래 지명도, 지각된 인기, 사회적 선호 항목이 사용되었다. 또래 생태 평가의 시각적 분석 및 분포 분석 결과표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교우관계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교우관계 중 또래 지명도에서는 실험 집단은 1명을 제외한 모든 학생의 지명도가 상승했고 통제 집단은 사전․사후가 같은 학생 7명, 사전에 비해 떨어진 학생이 2명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인기 항목에서는 실험집단이 0.040점 상승하였고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선호 항목에서는 실험 집단이 0.022점 상승하였고 분석 결과 통제 집단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과적으로 관점수용능력 향상 프로그램은 통합학급 학생들의 교우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심어 : 관점수용능력 향상 프로그램, 또래 생태, 교우관계, 지각된 인기, 사회적 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