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수분시 꽃가루 현탁에 따른 '후지' 사과의 착과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유진기,강인규,Yoo, Jingi,Kang, In-Kyu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4 慶北大農學誌 Vol.32 No.4

        본 연구는 액체에 현탁한 화분을 이용한 인공수분방법이 농촌의 노동력 절감과 '후지' 사과의 결실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액체현탁화분의 화분발아율은 6시간 경과시까지 fructose 20% 용액에서 화분발아율을 20%수준으로 다른 용액에 비하여 낮은 발아율 유지하여 화분을 안정적으로 보존해 주었다. 인공수분 처리에 따른 정화아의 중심과 착과는 화분현탁액 65 g (/20 L), 무처리, 면봉 및 인공수분기(러브터치) 처리구들이 정상적인 결실을 보였다. 수확시 과실품질은 과형지수, 경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함량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노동력절감은 액체현탁화분 처리가 면봉처리에 비하여 3.56배 감소한 결과를 보여 경영비를 줄이는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sing a pollen suspension for artificial pollination on the labor costs, fruit set, and fruit quality attributes of 'Fuji' apples. The pollen germination rate was 20% in a 20% fructose solution after 6 hours, and the pollen remained stable for 6 hours in the same solution. The king fruit per flower cluster exhibited a normal fruit set, regardless of the treatment. Plus, none of the artificial pollination applications affected the fruit length/diameter ratio, flesh firmness, soluble solids concentration, or titratable acidity in the harvested 'Fuji' apple fruits. However, the labor savings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pollen suspension treatment when compared with the cotton swab or love-touch. Therefore, the labor cost was four-fold less in use of pollen suspension than in use of cotton swab for artificial pollination.

      • KCI등재

        수확 후 1-Methylcyclopropene 처리방법이 ‘썸머프린스’와 ‘썸머킹’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 품질과 세포벽 대사에 미치는 영향

        유진기(Jingi Yoo),김선향(Seon-Hyang Kim),권중근(Jung-Geun Kwon),조영제(Young-Je Cho),강인규(In-Kyu Kang) 한국원예학회 2020 원예과학기술지 Vol.38 No.5

        본 연구는 수확 후 1-MCP(SmartFresh™)를 0.5μL·L<SUP>-1</SUP>과 1μL·L<SUP>-1</SUP>의 농도로 각각 1회 및 2회 처리하였을 때 저온저장 중 ‘썸머프린스’와 ‘썸머킹’ 사과의 과실 품질과 세포벽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저온저장 중 과실 품질 변화를 보면, 두 품종 모두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1-MCP 처리구의 과실들이 경도와 산 함량이 높게 유지되었으며,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EC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1-MCP를 처리하였을 때 낮은 내생 에틸렌 발생량을 보였고, 처리 농도 및 횟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감모율은 ‘썸머프린스’ 사과의 경우 1-MCP 처리구들이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낮았으며, ‘썸머킹’ 사과는 저장기간 동안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분지수는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왁스는 두 품종 모두 저장기간 동안 관찰되지 않았다. 저온저장 동안 세포벽 중층의 구성성분인 total sugar와 uronic acid 함량은 두 품종 모두 1-MCP 처리구들에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유지되었다. 세포벽분해효소 활성을 보면 ‘썸머프린스’ 사과에서 무처리구는 저장 4개월 후에 β-Gal, α-Gal, β-Glc, α-Man, 및 α-Ara 효소들의 활성이 증가하였고, ‘썸머킹’ 사과의 무처리구는 저장 2개월 후 β-Gal, β-Glc, β-Xyl 및 α-Ara 효소들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두 품종 모두 1-MCP 처리구들에서 세포벽분해효소들의 활성이 현저히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썸머프린스’와 ‘썸머킹’ 사과에 1-MCP를 처리하는 것이 에틸렌 발생량 및 세포벽 대사 변화를 억제시켜 저장 중 과실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1-MCP 처리 농도 및 횟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아 0.5μL·L<SUP>-1</SUP>를 1회 처리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0.5 and 1 μL·L<SUP>-1</SUP>) and application times (0.5, 1, 0.5+0.5 and 1+1 μL·L<SUP>-1</SUP>) of 1-methylcyclopropene (1-MCP, SmartFresh™) treatment on post-harvest quality and cell wall metabolism of ‘Summer Prince’ and ‘Summer King’ apple fruit during cold storage. Compared with control fruit, 1-MCP treatments maintained higher flesh firmness and titratable acidity in both apple cultivars. In contrast, the soluble solids content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ll treatments. The internal ethylene concentration was higher in control fruit, but fruit with 1-MCP treatments expressed lower ethylene concentration. Weight loss in ‘Summer Prince’ fruit treated with 1-MCP was lower than in control fruit during storage. The starch index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ll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greasiness or other storage disorders were not detected during storage. Both cultivars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sugar and uronic acid in both 1-MCP treatments than the control. ‘Summer Prince’ apple had increased cell wall degrading enzyme activity of β-Gal, α-Gal, β-Glc, α-Man, and α-Ara enzymes after 4 months of storage in control fruit. Likewise, ‘Summer King’ apple had increased activity of β-Gal, β-Glc, β-Xyl, and α-Ara enzymes after 2 months of storage in the control fruit. Both cultivars showed lower cell wall degrading enzyme activities in 1-MCP treatments than in the control. In conclusion, 1-MCP treatment of ‘Summer Prince’ and ‘Summer King’ apple fruit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quality by inhibiting internal ethylene and cell wall metabolism. However,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repeated applications of 1-MCP treatment were not different in this study.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0.5 μL·L<SUP>-1</SUP>1-MCP treatment could be considered an economically effective concentration for this study.

      • KCI등재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Fruit Quality Attributes and Storage Disorders in Cold-stored ‘Sangjudungsi’ Persimmon Fruit

        Jingi Yoo(유진기),In-Kyu Kang(강인규),Jun-yeun Park(박준연),Kyoung-ook Kim(김경욱),Nay Myo Win(나이묘위),Seulgi Ryu(류슬기),Dae Hyun Kim(김대현),Myoung-Gun Choung(정명근),Jinwook Lee(이진욱)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상주둥시’ 감을 3개월동안 -1, 0.5, 3℃에 저장하면서 감 과실의 과실품질 변화와 저장장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른 감 과실의 에틸렌 발생량은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그 발생량이 낮았으나 호흡율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과실의 경도는 모든 처리구들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였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과실 경도의 저하는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저장기간이 길어지고 저장온도가 높을 수록 과실의 연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과실의 감모율도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도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더 높게 유지되었다. 감 과실의 과정부와 과실측면의 과피색 L<SUP>*</SUP>, a<SUP>*</SUP>, b<SUP>*</SUP> 값의 변화는 저장온도 -1℃와 0.5℃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으나, 3℃처리구에서는 과피색의 변화가 현저히 적었다. 저장중 발생하는 생리장해증상인 과피흑변, 과실연화 및 부패정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그 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과실품질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fruit quality attributes and physiological disorders including peel blackening in ‘Sangjudungsi’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fruit stored in air at -1, 0.5 or 3℃ for up to 3 months. Higher storage temperature reduced ethylene production but not respiration rate, compared with lower storage temperature. Flesh firmness decreased continuously as storage time passed but firmness was reduced rapidly in the fruits stored at higher storage temperature. Fresh weight loss increased at higher storage temperatures. Soluble solids content was higher at lower storage temperature than at higher storage temperature. All color variables (L<SUP>*</SUP>, a<SUP>*</SUP>, b<SUP>*</SUP>) were reduced by lower storage temperature, compared with higher storage temperature, regardless of tissue regions. Fruit softening increased as storage duration advanced and with the increase in storage temperatur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angjudungsi’ persimmon fruits stored at higher storage temperature (3oC) could not retain fruit quality properly on account of lower flesh firmness and higher incidence of peel blackening and fruit decay, compared with lower storage temperature.

      • KCI등재

        수확 전 · 후 1-MCP처리가 ‘후지’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유진기(Jingi Yoo),강봉국(Bong Kook Kang),이진욱(Jinwook Lee),김대현(Dae Hyun Kim),이동훈(Dong Hoon Lee),정희영(Hee-Young Jung),최동근(DongGeun Choi),정명근(Myoung-Gun Choung),최인명(In Myung Choi),강인규(In-Kyu Kang)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4

        본 연구는 수확 전 수체살포용 1-MCP(Harvista™)와 수확후 훈증용 1-MCP(SmartFresh™) 처리가 ‘후지’ 사과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Harvista™ 처리는 수확 1, 2, 3주전 0, 95, 125, 250 ㎎·L<SUP>-1</SUP>농도로 각각 처리하였으며, SmartFresh™ 처리는 수확 1일 후 밀폐된 공간에서 1μL·L<SUP>-1</SUP>의 농도로 18시간동안 처리하였다. 과실저장은 0 ± 1℃ 조건에서 180일간 저장하였다. Harvista™ 처리에 따른 수확 시 과실품질을 보면 과중, 과피 적색도, 내생에틸렌 발생량, 경도, 산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저온저장동안 ‘후지’ 사과의 품질변화를 보면 Harvista™를 250㎎·L<SUP>-1</SUP>의 농도로 2, 3주전에 처리한 과실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과실 경도 및 산 함량이 더 높게 유지되었으며, 내생에틸렌 발생량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5.5-10.0%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그리고 저장기간 중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arvista™ 단독처리와 Harvista™ + SmartFresh™ 혼용처리구는 경도, 산 함량, 내생에틸렌 발생량 모두 저장 180일 후에도 수확 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과실품질이 유지되었다. 요인간 상관분석은 Harvista™ 처리시 처리농도와 무관하게 내생에틸렌 발생량이 경도 또는 산 함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Harvista™ + SmartFresh™ 혼용처리 시 Harvista™ 250㎎·L<SUP>-1</SUP>와 SmartFresh™ 처리가 변수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수확후 SmartFresh™처리에 의한 과실품질유지 효과와 함께, 고농도의 Harvista™처리 또한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 유지에도 큰 효과를 보였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eharvest 1-methylcyclopropene (1-MCP, Harvista™) and postharvest 1-MCP (SmartFresh™) treatments on t he f ruit q uality a ttributes o f cold-stored ‘Fuji’ ( Malus domestica Borkh.) apples. Fruits were exposed to 0, 95, 125, or 250 ㎎·L<SUP>-1</SUP> Harvista™ at 3, 2, 1 weeks before harvest (WBH), and treated with 0 or 1 μL·L<SUP>-1</SUP> SmartFresh™ at harvest. Fruit was then stored for up to 180 days at 0 ± 1℃. Fruit fresh weight, Hunter’s value a, internal ethylene concentration (IEC), flesh firmness, titratable acidity (TA), and soluble solids content (SSC) in fruit treated with Harvista™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fruit at harvest. During cold storage, flesh firmness and TA were higher in fruit treated with 250 ㎎·L<SUP>-1</SUP> Harvista™ at 2 and 3 WBH than in control fruit. IEC was 5.5-10.0% lower in fruit treated with 250 ㎎·L<SUP>-1</SUP> Harvista™ at 2 and 3 WBH compared with control fruit as storage duration progressed, while SSC was not affected. Furthermore, flesh firmness, TA, and IEC were affected neither by Harvista™ nor Harvista™ + SmartFresh™ treatments, compared with those fruit quality attributes at harvest. The correlation maps indicated that IEC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irmness and TA, regardless of Harvista™ application levels. In addition,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ruit quality attributes were detected in treatments with 250 ㎎·L<SUP>-1</SUP> Harvista™ + SmartFresh™.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with a single application of SmartFresh™, a higher level of Harvista™ application would help in retention of fruit quality attributes during cold storage.

      • KCI등재

        적과제 처리가 ‘홍로’와 ‘후지’ 사과의 착과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유진기(Jingi Yoo),박무용(Moo-Yong Park),강인규(In-Kyu Kang)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5

        본 연구는 ‘홍로’와 ‘후지’ 품종에 benzyladenine(BA, 99% purity), MaxCel<SUP>®</SUP>(1.9% BA), Fruitone(3.5% NAA), MaxCel<SUP>®</SUP> + Fruitone, simazine 등 약제들이 과실의 착과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BA와 MaxCel<SUP>®</SUP>은 100㎎·L<SUP>-1</SUP> 농도로, Fruitone은 0.1㎎·L<SUP>-1</SUP> 농도로 과실직경이 6㎜인 만개 8일 후에, 그리고 simazine은 400㎎·L<SUP>-1</SUP> 농도로 만개 7일후와 14일 후에 2회 처리하였다. 적과제 처리 후 ‘홍로’ 품종의 정화아의 과총당 착과수는 MaxCel<SUP>®</SUP> + Fruitone, MaxCel<SUP>®</SUP>, simazine 처리구가 각각 1.67, 1.84, 1.81개로 무처리구 2.35개보다 적어 적과효과를 보였고, 특히 무착과 과총 비율이 높아 적과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후지’ 품종의 경우 정화아의 과총당 착과수는 MaxCel<SUP>®</SUP> + Fruitone, Fruitone, MaxCel<SUP>®</SUP> 처리구가 1.29, 1.60, 1.76개로 무처리구 2.56개보다 적어 우수한 적과효과를 보였다. 또한, 두 품종 모두에서 MaxCel<SUP>®</SUP> + Fruitone 혼용처리구가 MaxCel<SUP>®</SUP> 단독처리구에 비하여 적과증진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액화아의 경우도 정화아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과중은 ‘홍로’ 품종의 BA 처리구에서, ‘후지’ 품종에서는 BA와 MaxCel<SUP>®</SUP>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그리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두 품종 모두에서 BA, MaxCel<SUP>®</SUP>, MaxCel<SUP>®</SUP> + Fruitone 처리 과실들에서 증가하였지만 다른 과실특성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enzyladenine (BA, 99% purity), MaxCel<SUP>®</SUP> (1.9% BA), Fruitone (3.5% NAA), MaxCel<SUP>®</SUP> + Fruitone, a nd s imazine were applied postbloom as fruitlet thinning agents to mature ‘Hongro’ and ‘Fuji’ apple (Malus domestica Borkh.) trees. BA and MaxCel<SUP>®</SUP> were applied at 100 ㎎·L<SUP>-1</SUP> a.i. while Fruitone at 0.1 ㎎·L<SUP>-1</SUP> a.i. and simazine at 400 ㎎·L<SUP>-1</SUP> a.i. All PGRs were applied at 8 days after full bloom (DAFB, 6 ㎜ fruit diameter) in both cultivars, while simazine was treated twice at 7 and 14 DAFB. In ‘Hongro’, the number of total fruit set per flower cluster in terminal buds was 1.67, 1.84, and 1.81 in MaxCel® + F ruitone, MaxCel<SUP>®</SUP>, and simazine applications,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2.35 of water control. These reductions in fruit set were mainly attributed to the increased ratio of defruited clusters by the thinning agents. In ‘Fuji’ apple, the number of total fruit set per flower cluster in terminal buds was 1.29, 1.60, and 1.76 in MaxCel<SUP>®</SUP> + F ruitone, Fruitone, a nd MaxCel<SUP>®</SUP>,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2.56 of water control in ‘Fuji’ apple. The addition of Fruitone to the MaxCel<SUP>®</SUP> promoted the thinning efficacy in both cultivars, compared to MaxCel<SUP>®</SUP> only. The thinning efficacies were similarly observed with lateral flowers in both cultivars. A significant increase of fruit weight by the postbloom thinning treatments was observed only in the BA application in ‘Hongro’, while the effect was observed in BA and MaxCel<SUP>®</SUP> in ‘Fuji’. While the soluble solids content increased in the BA, MaxCel<SUP>®</SUP> and MaxCel<SUP>®</SUP>+Fruitone treatments in both cultivars, other fruit quality attributes were not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post-bloom thinning agent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