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확 후 1-Methylcyclopropene 처리방법이 ‘썸머프린스’와 ‘썸머킹’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 품질과 세포벽 대사에 미치는 영향

        유진기(Jingi Yoo),김선향(Seon-Hyang Kim),권중근(Jung-Geun Kwon),조영제(Young-Je Cho),강인규(In-Kyu Kang) 한국원예학회 2020 원예과학기술지 Vol.38 No.5

        본 연구는 수확 후 1-MCP(SmartFresh™)를 0.5μL·L<SUP>-1</SUP>과 1μL·L<SUP>-1</SUP>의 농도로 각각 1회 및 2회 처리하였을 때 저온저장 중 ‘썸머프린스’와 ‘썸머킹’ 사과의 과실 품질과 세포벽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저온저장 중 과실 품질 변화를 보면, 두 품종 모두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1-MCP 처리구의 과실들이 경도와 산 함량이 높게 유지되었으며,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EC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1-MCP를 처리하였을 때 낮은 내생 에틸렌 발생량을 보였고, 처리 농도 및 횟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감모율은 ‘썸머프린스’ 사과의 경우 1-MCP 처리구들이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낮았으며, ‘썸머킹’ 사과는 저장기간 동안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분지수는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왁스는 두 품종 모두 저장기간 동안 관찰되지 않았다. 저온저장 동안 세포벽 중층의 구성성분인 total sugar와 uronic acid 함량은 두 품종 모두 1-MCP 처리구들에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유지되었다. 세포벽분해효소 활성을 보면 ‘썸머프린스’ 사과에서 무처리구는 저장 4개월 후에 β-Gal, α-Gal, β-Glc, α-Man, 및 α-Ara 효소들의 활성이 증가하였고, ‘썸머킹’ 사과의 무처리구는 저장 2개월 후 β-Gal, β-Glc, β-Xyl 및 α-Ara 효소들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두 품종 모두 1-MCP 처리구들에서 세포벽분해효소들의 활성이 현저히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썸머프린스’와 ‘썸머킹’ 사과에 1-MCP를 처리하는 것이 에틸렌 발생량 및 세포벽 대사 변화를 억제시켜 저장 중 과실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1-MCP 처리 농도 및 횟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아 0.5μL·L<SUP>-1</SUP>를 1회 처리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0.5 and 1 μL·L<SUP>-1</SUP>) and application times (0.5, 1, 0.5+0.5 and 1+1 μL·L<SUP>-1</SUP>) of 1-methylcyclopropene (1-MCP, SmartFresh™) treatment on post-harvest quality and cell wall metabolism of ‘Summer Prince’ and ‘Summer King’ apple fruit during cold storage. Compared with control fruit, 1-MCP treatments maintained higher flesh firmness and titratable acidity in both apple cultivars. In contrast, the soluble solids content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ll treatments. The internal ethylene concentration was higher in control fruit, but fruit with 1-MCP treatments expressed lower ethylene concentration. Weight loss in ‘Summer Prince’ fruit treated with 1-MCP was lower than in control fruit during storage. The starch index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ll treatments; on the other hand, greasiness or other storage disorders were not detected during storage. Both cultivars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sugar and uronic acid in both 1-MCP treatments than the control. ‘Summer Prince’ apple had increased cell wall degrading enzyme activity of β-Gal, α-Gal, β-Glc, α-Man, and α-Ara enzymes after 4 months of storage in control fruit. Likewise, ‘Summer King’ apple had increased activity of β-Gal, β-Glc, β-Xyl, and α-Ara enzymes after 2 months of storage in the control fruit. Both cultivars showed lower cell wall degrading enzyme activities in 1-MCP treatments than in the control. In conclusion, 1-MCP treatment of ‘Summer Prince’ and ‘Summer King’ apple fruit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quality by inhibiting internal ethylene and cell wall metabolism. However,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repeated applications of 1-MCP treatment were not different in this study.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0.5 μL·L<SUP>-1</SUP>1-MCP treatment could be considered an economically effective concentration for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