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요양시설급여 및 재가급여 서비스 이용의사와 결정요인에 관한 노인세대 중년세대간 비교연구

        원미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comparing study of utilization decision-making and decision factors for institution and home care service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y between old age and middle aged Mi Hee, Won Major in the Old's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Myungji University The matrix system of a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has been completed with the followings; Long-term Care Insurance Law has been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on April 27th, 2007,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and ordinance regulations have been provided on Sept. 27th, 2007, and on Oct. 17th, 2007. Meanwhile, in a case of entrance service of a care facility, it fell into charged and not-charged. Patients, or his or her family had to defray expenses of over ₩1,000,000 for the charged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re is no classification of charged or not-charged, and all participants shoulder the 20% of a facility-pay service cost and the 15% of a home care service cost except public assistance recip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are the utilization decision-making and decision factors of whether to use care facility or home care service for the subjects who are beneficiary of long-term care insurance and over age 65, people who support the one, in fact, or people who will be the beneficiary in short(under age 6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1. 58.2% of elderly want care facility and 41.5% of them want home care service. For the middle aged(under age 65), 56.2% of them answered that they want care facility and 43.8% want home care service. Both old age and the middle aged prefer care facility more than home care. 52% of elderly want care facility and 48% of them want group home. 31% of the middle aged who prefer care facility would use general care facility, and 62.2% answered to use the group home. It indicates that middle aged people prefer home care, homelike atmosphere, more. 2. As results to identify which factors influence the utilization decision-making, particularly by generations and by characteristics, the middle aged people generally show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ce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decision-making, but show slight difference according as spouse’s existence. 3. It indicates that 67.6% of elderly who are imposed the expense oneself feel a heavy burden, and 32.4% answer that the cost is proper or moderate. It shows that, for the cost of home care service for 36.6% of elderly feel a heavy burden, and 63.4% answer proper or moderate. And, it indicates that 46.7% of the middle aged people feel a burden and 53.3% answer proper or moderate. It shows that, for the cost of home care service for middle aged, 13.8% feel a burden and 86.2% answer proper or moderate. Thus, it indicates that the middle aged people feel less pressureon the expense than elderly. This study also sifts out recognition of other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reasons of choosing care facility rather than home care service, the main reason of choosing home care payment, responsibility of care, and etc. As not being in force of the long-term care law and the enforcement ordinance, and they have recently been promulgated, utilization decision-making and the decision factors classified by types of payment applying long-term care insurance law are analyzed without precedent researches applying settled long-term care insurance law. Thus, it puts actual evidence to practical use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research, and it brings up a policy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a plan which establishes infra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case of Japan's long-term care insurance 2007년 4월 27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국회를 통과된데 이어 2007년 9월 27일 시행령이, 2007년 10월 17일에 시행규칙이 마련됨으로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틀이 완전히 갖추어지게 되었다. 그동안은 요양시설 입소 서비스의 경우 유료시설 및 실비 또는 무료시설로 구분되어 있었고 유료시설의 경우 비용이 100만원이상 소요되어 요양보호대상자 및 가족의 부담이 되었으나 요양보험제도하에서는 무료, 유료의 구분이 없어지고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를 제외한 모든 대상자가 시설급여 서비스는 20%, 재가서비스는 15%의 자부담으로 요양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적용 대상인 65세 이상의 노인 및 노인을 실제 부양하거나 가까운 미래에 수급권자가 될 65세 미만 중년세대를 대상으로 현재 서비스가 필요하거나 향후 서비스가 필요할 때 요양시설 입소나 재가서비스 중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 의사가 있는지, 또 이용의사결정요인은 무엇이지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1. 노인세대의 경우 조사대상자 본인이 장기요양대상이 될 때 58.5%가 시설입소를, 41.5%가 재가서비스를 받는다고 하였으며, 중년세대의 경우 56.2%가 시설입소를 43.8%가 재가서비스를 받는다고 응답하여 노인세대 및 중년세대 모두 요양시설 입소를 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요양시설 입소를 원하는 노인세대의 경우 52%가 일반요양시설을, 48%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이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중년세대의 경우 37.8%가 일반요양시설을, 62.2%가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이용하겠다고 응답하여 세대간 차이를 보였으며, 중년세대가 가정과 같은 분위기의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서비스 이용의사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대별, 특성별로 이용의사를 확인한 결과 대체로 일반적인 특성과 이용의사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중년세대인 경우 배우자 유무에 따라 서비스 이용의사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서비스 비용의 본인 자부담에 관한 질문에서는 노인세대의 경우 시설입소비용이 67.6%가 부담된다고 하였으며 적당하거나 저렴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은 32.4%로 나타났고, 재가서비스 비용은 36.6%가 부담되고 63.4%가 적당하거나 저렴하다고 응답하였다. 중년세대의 경우 시설입소 서비스가 55.6%가 부담된다고 하였고 44.3%가 적당하거나 저렴하다고 하였으며 재가서비스는21.8%가 부담이 되고, 78.1%가 적당하거나 저렴한 편이라고 생각하여 노인세대보다 중년세대가 비용에 대한 부담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타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식, 시설입소 서비스를 선택한 이유, 재가 급여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 수발 책임 등에 대하여도 조사를 하였다. 장기요양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이 공포 된지 얼마 되지 않고 또 아직 시행되지 않은 관계로 확정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적용한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적용하여 급여유형별 이용의사와 이용의사 결정 요인을 분석하여 봄으로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일본의 개호보험 사례에 비추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정책 및 인프라 구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 동적 균형 조절 시 체간 및 하지 근육의 활성도 변화

        원미희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동적 균형 조절 시 측정 환경에 따른 체간 및 하지 근육의 활성도 변화를 알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실험 참여에 동의한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동적 체 평형 장치를 이용해 개안(開眼)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목표점이 있을 시, 개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목표점이 없을 시, 폐안(蔽眼)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균형 유지 시 나타나는 체간 및 하지 근의 활성도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 시 각각의 동작 수행 중 표면 근전도 시스템을 사용해 좌․우측의 복직근, 외복사근, 흉최장근, 다열근, 내측광근, 대퇴이두근, 내측비복근, 및 전경골근 으로부터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시 생성되는 근 활성도에 대한 비율(%MVIC)로 표준화 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모든 자료에 대해 Window용 SPSS 통계프로그램(Version 18.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개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목표점이 있을 시, 개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목표점이 없을 시, 폐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균형 유지 시 각각의 근 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해 반복 측정 일원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One Way ANOVA)을 사용하여 근 활성도의 변화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이에 대해 Tukey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전반적으로 닫힌 사슬 상태에서의 동적 균형 조절 시 개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목표점이 있을 시와 개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목표점이 없을 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개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목표점이 있을 시와 폐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균형 유지 시에는 좌측 외복사근, 좌․우 다열근, 좌․우 내측광근, 좌측 대퇴이두근, 좌․우 전경골근, 좌․우 내측비복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개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목표점이 없을 시와 폐안의 닫힌 사슬 상태에서 균형 유지 시 좌측 외복사근, 좌측 흉최장근, 좌․우 다열근, 좌․우 내측광근, 좌측 대퇴이두근, 좌․우 전경골근, 좌․우 내측비복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개안과 폐안의 동적 균형 조절 시 각각의 근육의 활성도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시각이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다.

      • 자기리더십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기술 및 사회.정서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원미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학교생활 또래관계영역을 비중 있게 다루고 아동 스스로 주인이 되어 활동을 이끌어나가고 참여하는 <서로의 성장을 돕는 우리는 친구> 자기리더십프로그램(교육인적자원부, 2004)을 적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동들의 친사회적 행동 기술의 변화 및 아동이 지각하는 외로움과 그 외로움에 따른 고립 상태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가? <연구문제 2>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적 고립감 감소에 영향을 줄 것인가? 연구 대상으로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M초등학교 4학년 중 동질집단 두 집단을 선정한 후 특별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실험집단(27명)에게는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28명)은 창의발명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양윤란․오경자(2005)의 또래관계기술 척도와 허승희(1993)의 사회․정서적 고립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직후 동일검사지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t-test를 통해 평균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회․정서적 고립감 수준 정도에 따라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이 아동의 고립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전-사후 평균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아동들의 차시별 활동결과지와 프로그램 종료 후 작성한 소감문을 토대로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리더십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의 또래관계기술 수준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래관계기술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협동/공감에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기리더십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의 사회․정서적 고립감 수준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요인 정서적 외로움과 사회적 외로움 및 정서적 고립과 사회적 고립 점수에서도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집단 아동의 수준별 사회․정서적 고립감 사전-사후 평균차이를 비교한 결과 고․중 집단인 아동들에게 전체적으로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높은 집단은 정서적 외로움과 정서적 고립, 중간 집단은 사회적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하위요인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집단 간 사회․정서적 고립감 전체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는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실험집단 아동들의 사회․정서적 고립감이 높은 집단에게는 정서적 외로움과 정서적 고립을 감소시키며 중간 집단에게는 사회적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의 일반화를 위하여 다른 지역, 다른 대상으로 반복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다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가 어느 정도 지속되며 유지되었는지에 대한 추후검사도 실시하여 장기적인 효과 검증과 함께 다양한 생활영역 및 활동내용을 재구성하여 통합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접근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아동들 뿐 아니라 적용대상 범위를 넓혀 어떤 상황의 아동에게 효과적인지를 검증하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유색보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원미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리는 일반 성분, 식이 섬유성 탄수화물(arabinoxylan, xylan, cellulose, hemicellulose 등), phytochemicals(β-glucan, hydrocynamic acid 등), 천연색소 및 항산화 성분을 보유하고 있다. 항산화 성분 중 anthocyanin은 유색미, 유색보리 등의 곡류, 포도, 나무딸기, 적양배추, 꽃양배추 등의 과채류, 자색감자나 자색고구마와 같은 뿌리 또는 줄기의 저장기관 및 꽃이나 열매 등에 존재하고, pH에 따라 주황에서부터 적색, 분홍색, 보라색 및 청색의 다양한 수용성 색소로서 자연계에 약 300여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리는 종자의 껍질 유무에 따라 쌀보리, 겉보리로 나뉘며, 쌀보리는 식용으로 쓰이고, 겉보리는 맥주보리라고 불리며 동물의 사료나 맥주공정에 사용한다. 또한 전분의 성질에 따라 메보리와 찰보리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색보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분석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일반보리에 비해 색이 진한 품종의 유색보리가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성이 높음을 검토하기 위해 유색보리 40종을 그룹화 하였다. 그룹화 방법은 0.1% TFA(trifluoroacetic acid)를 첨가한 ethanol 용매로 추출하여 분석한 총 anthocyanin 색소의 함량과 유색보리 가루의 색도 중 a값 즉, 적색도를 SAS system의 군집분석 Proc Cluster Ward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여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유색보리 40종은 GroupⅠ 10종, GroupⅡ 10종, GroupⅢ 20종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른 그룹화 결과를 총 anthocyanin 색소 함량과 항산화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그룹화를 검정하였다. 또한 색소 추출물의 색도 분석, 색소물질 확인, TLC 분석, 총 anthocyanin 색소 함량, cyanidine-3-glucoside 함량 분석을 하였고, 항산화 효과 실험으로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ctivity) 측정, SOD-liked 활성 측정, lecithin oxidation 저해활성 측정,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 hydrogen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하였다. 따라서 총 anthocyanin 색소 함량과 항산화 효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색소 함량이 높은 품종이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룹화 시킨 유색보리와 대조군으로 춘추쌀보리와 겉보리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화학적 분석은 일반 성분, 무기 성분, 총 식이섬유 함량, β-glucan 함량, 색도 분석,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함량, 입도 분석, 수분결합능력, 수분흡수속도, 팽윤력과 용해도, X선 회절도, 주사전자 현미경을 통한 입자 형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일반 성분은 유색보리가 춘추쌀보리나 겉보리에 비해 조회분을 제외한 일반 성분 함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 성분 중 Ca 함량은 유색보리가 겉보리에 비해 더 높았으며, 춘추쌀보리에 비해서는 낮음을 알 수 있었고, Mg 함량은 춘추쌀보리나 겉보리에 비해 유색보리 GroupⅠ이 높았으며, Cu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K 함량과 Mn 함량은 유색보리가 춘추쌀보리보다는 높고, 겉보리보다는 낮았다. 유색보리 GroupⅢ가 총 식이섬유 함량과 β-glucan 함량 모 두 높았으며, β-glucan 함량은 유색보리가 춘추쌀보리나 겉보리보다 2배 정도 높음을 보였다. GroupⅠ의 아밀로펙틴 함량이 94.06%로 찰성임을 알 수 있었으며, GroupⅡ, GroupⅢ, 춘추쌀보리와 겉보리의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함량이 약 20%와 80%로 나타나 메성임을 알 수 있었다. 보리입도 범위는 0-150㎛로, 10.0-30.0㎛의 범위에서 GroupⅠ이 41.09%,GroupⅡ가 35.82%, GroupⅢ가 0.51%, 춘추쌀보리가 38.95%, 겉보리가 40.98%로 가장 많이 분포되었다. 수분결합능력, 수분흡수속도, 팽윤력과 용해도는 GroupⅠ에서 높게 나타났고, 아밀로펙틴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X-ray 회절도는 유색보리, 춘추쌀보리와 겉보리 모두 15-25°에서 피크를 보이며, 전형적인 A형을 나타냈다. 특히, GroupⅠ은 회절도의 폭이 좁고, 예리하여 결정성이 컸다. 주사전자현미경의 관찰결과, 색이 진한 품종일수록 외피가 두껍고 여러 겹으로 밀집되어 있으며, 겉보리는 기공이 여러 개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분의 크기와 모양을 관찰한 결과, 유색보리와 춘추쌀보리의 경우 납작한 타원 형태를 보였으며, 겉보리는 구형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화학적 특성 결과, 유색보리 GroupⅠ이 찰성이 강한 보리 품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색보리가 겉보리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colored barley, chunchu naked barley and hulled barley. Forty kinds of colored barley were grouped into three, GroupⅠ(10 species), GroupⅡ(10 species), and GroupⅢ(20 species) by the statistical Proc Cluster Ward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ata; total anthocyanin contents and Hunter's a value of barley extracts prepared from 0.1% TFA-added in ethanol. We confirm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nthocyanin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lored barleys. Chunchu naked barley and hulled barley were also analyzed as control group in this experiments. The general compositions except crude ash were higher in colored barley groups comparing with control group, chunchu naked barley and hulled barley. Calcium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is order; chunchu naked barley, colored barley and hulled barley. Magnesium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is order; colored barley, hulled barley, and chunchu naked barley. Copper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is order; hulled barley, chunchu naked barley and colored barley. Potassium and manganese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is order; hulled barley, colored barley and chunchu naked barley. Colored barley's β-glucan contents were twice of chunchu naked barley's and hulled barley's. The amylose contents of various barley species showed big differences. From the results of amylose and amylopectin contents, we found that GroupⅠ could be waxy species and GroupⅡ and GroupⅢ could be nonwaxy species(amylose : amylopectin = 20 : 80). The average diameter of barley granule was as follows; GroupⅠ 12.55㎛, GroupⅡ 18.00㎛, chunchu naked barley 16.38㎛ and hulled barley 16.41㎛, respectively. The GroupⅠ showed the highest water binding capacity and water uptake rate constant. The swelling power and the solubility showed gradual increase up to 55-60℃, but showed the sharp increase around 65-70℃. The GroupⅠ showed the highest swelling power and the solubility.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which showed strong high peak around 15-25° implied that starch type of all the tested barley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typical type A. The Scanning electron microphotographs(SEM) showed that the outer-layers of colored barley(GroupⅠ, GroupⅡ, GroupⅢ) were thin, multi-layered and dense. Whereas the outer-layer of hulled barley was more porous and thick compared with colored barley. There also were differences in the size and shape of starch granules; those of colored barley and chunchu naked barley were flat and oval, whereas those of hulled barley were sphere. Therefore, especially GroupⅠ of colored barley was proved to be promising glutinous crop. Colored barley will be novel functional food ingredients having high amounts of anthocyanin and high antioxidative effects compared with general barley.

      • Ni을 치환한 Y-type hexaferrite의 자기적 특성 연구

        원미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Ferrite의 종류 중 하나인 Y-type hexaferrite는 자기전기효과(Magnetoelectric effect, ME)를 발현하고 다중강성(Multiferroic) 성질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MHz부터 수 GHz까지의 대역에서 안테나, 전파 흡수체와 같은 RF디바이스 소자로 이용된다. 이러한 많은 특징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Y-type hexaferrite 시료 Ba2Co2-xNixFe12O22 (x = 0.0, 0.5, 1.0, 1.5, 2.0) 를 직접합성법으로 제조하고 자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먼저 X-선 회절 (X-ray diffraction, XRD) 실험을 통하여 Ba2Co2-xNixFe12O22 (x = 0.0, 0.5, 1.0, 1.5, 2.0) 물질의 결정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시료는 R-3m의 공간군을 갖는 rhombohedral 구조임을 알 수 있었고, Ni의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격자상수는 감소하였다. 이는 Ni2+의 이온반경(0.69 Å)이 Co2+ (0.745 Å) 보다 크기 때문이다. 온도와 자기장에 따른 자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 진동형 자화율 측정기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VSM)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장에 따른 자기적 특성 측정 결과 Ni의 치환량이 증가할수록 시료의 포화자화 (Saturation Magnetization, MS) 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전이 온도 (spin transition temperature, TS) 와 퀴리 온도 (Curie Temperature, TC)를 확인하기 위해 시료 진동형 자화율 측정기로 온도에 따른 자화값을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helicalmagnetic 스핀구조에서 collinear ferromagnetic 스핀구조의 자기 상전이가 일어났고, 상전이가 일어나는 온도인 상전이 온도는 Ni의 치환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퀴리온도는 증가하였다. Ba2Co2-xNixFe12O22 (x = 0.0, 0.5, 1.0, 1.5, 2.0) 시료에 대하여 미시적 자기 특성과 초미세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뫼스바우어 분광기 (Mössbauer spectroscopy) 측정을 하였다. 모든 시료는 4.2 K에서 750 K까지 여러 온도 구간에서 측정되었으며 퀴리온도 이하에서 Lorentzian 6-sextets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i 이온의 치환량이 증가할수록 결정학적 부격자인 3bVI, 6cIV*, 6cVI, 18hVI, 6cIV, 3aVI에 해당하는 모든 Fe site의 초미세자기장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것은 이온들 간의 초교환 상호작용이 활발해져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 평균 이성질체 이동치 (isomer shift) 값을 통해 Fe 이온들의 상태는 Fe3+ 상태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각 부격자의 면적비를 통해 Ni 이온이 octahedral site를 선호하여 치환됨을 알 수 있었다. 온도에 따른 초미세자기장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는데, helicalmagnetic 스핀구조에서 collinear ferrimagnetic 스핀구조로 자기 상전이가 일어나는 온도에서 초미세자기장 값은 기울기가 크게 변하며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ZFC 측정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짧은 시간 동안 시료의 손상이 없이 정확한 퀴리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Mössbauer thermal scan method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 ZFC 측정, 1-line의 Mössbauer spectrum이 측정된 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주파수에 따른 투자율 특성을 알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기 (Network analyzer) 측정을 하였다. 측정 결과 x = 0.5, 1.0 시료가 2 GHz에서 0.1 이하의 낮은 손실을 가져 Ni을 치환한 Y-type hexaferrite 소재가 RF 소자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실업계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원미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s of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on, Mi Hee The Department of Counselling &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 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Baek, Wook-hyun,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lf-growth group counseling' on improving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14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14 students in Dangjin count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10 times for 5 weeks.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by Hyung Tae, Kim, 2005) was performed to experimental group. In data process for verifying the hypothesis, comparison of pre-examin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pre and post-examination between two groups and analyzed by using paired t-test. All statistics were analyzed through SPSS/WIN 10.0. The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below: The research hypothese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Hypothesis Ⅰ>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group counseling through the Self-growth program might make better progress in Achievement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Hypothesis Ⅱ>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group counseling through the Self-growth program might make better progress in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Hypothesis Ⅱ-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group counseling through the Self-growth program might make better strides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in the subarea of self-efficacy including confidence. <Hypothesis Ⅱ-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group counseling through the Self-growth program might make better strides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in the subarea of self-efficacy including self-regulating efficacy. <Hypothesis Ⅱ-3>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s group counseling through the Self-growth program might make better strides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in the subarea of self-efficacy including preference for challenging tasks. The result of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help students develop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2.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help students develop their Self-efficacy.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at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fashioned by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is,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effect on improv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Self-effica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useful for researchers to develope some other Th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help students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 분자간 상호작용 형성을 이용한 향상된 기능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이온 전도체 개발 및 Alternariol의 전합성

        원미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ion-conducting polymer for fuel cell applications using the intermolecular interaction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PEMFCs) have been noticed as the promising power sources because of their attractive benefits.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which protons transfer the anode to cathode, is the key component of PEMFC. Nafion is widely used as PEM due to their high proton conductivity as well as excellent chemical stabilities. But, their high cost and the environmental hazards limit the commercial applications in PEMFCs.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various alternative polymer electrolytes have been studied for fuel cell applications. The terminally-crosslinked sulfonated poly(ether sulfone) block copolymer (SPES-b) was developed as a proton exchange membrane for DMFC. The properties of the membrane prepared from SPES-b were compared with those of its non-crosslinked counterpart (SPES-bn) and Nafion®-117. A well-defined phase separated morphology between hydrophobic and hydrophilic ionic units of the block copolymer was obtained for SPES-b. A high proton conductivity of 0.09 S/cm and low methanol permeability of 5.3 X 10-8 cm2/s at 20 °C were obtained for the terminally-crosslinked SPES-b membrane. The SPES-b membrane also displayed excellent dimensional, mechanical, hydrolytic and oxidative stabilities. The properties of physically-crosslinked membranes using acid-base interaction or dipole-dipole interaction were compared with its non-crosslinked counterpart membranes. A high proton conductivity of 0.13 S/cm at 80 oC, superior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were obtained from the crosslinked membrane with acid-base interaction. Cyano-containing copolymers formed crosslinking system by dipole-dipole interaction and showed high conductivity of 0.25 S/cm at 80 oC. However, it has lower physical properties from weak crosslinking power, so new functional group is needed such as carboxylic acid for hydrogen bonding. Keywords: Fuel cel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oton exchange membrane, Terminally-crosslinking, Physically-crosslinking, Acid-base interaction, Dipole-dipole interaction. Total synthesis of Alternariol Alternariol is the main toxin-producing metabolite of Alternaria fungi. Although it has lower toxicity than other metabolites of various fungi, It can make crop losses by fouling of tomato, apple, and other plants. It can be obtained from infected plants, but the amount is submilligram. For detailed studies of information such as biosynthesis, formation, and metabolism, artificial synthesis is needed. Although several synthesis conditons have been proposed, the problem of side-product, Alternariol methyl ther, was not solved. For this, our group has been tried pre-demethylation for reducing side-product. Pre-demethylated monomer was used for coupling reaction and possibility of side-product was removed. Keywords: Alternariol, Alternaria fungi, Alternariol methyl ether, Pre-demethylation, BBr3-promoted demethylation, Intramolecular cyclization. 분자간 상호작용 형성을 이용한 향상된 기능의 연료전지용 고분자 이온 전도체 개발 화석연료의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 문제로 인해 전 세계는 새로운 친환경 에너지의 개발에 주목하게 된다. 다양한 대체 에너지 중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연료로 하여 전기를 생산해 내는 장치로, 전기분해에 의해 음극에서 생성된 수소이온을 양극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전해질을 필요로 한다. 전해질로서 고체 고분자 막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나, 고온에서의 수소이온 전도도 감소 및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했을 때의 메탄올 투과도로 인한 안정성 감소 등의 문제는 새로운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을 개발해야 하는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교법을 도입하여 새로운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화학적 말단가교를 이용한 고분자 막은 고온(100 oC)에서 비가교막(0.30 Scm-1) 대비 우수한 수소이온 전도도 (0.77 Scm-1)는를 보였으며 NafionTM-117 (27.9 X 10-7cm2s-1) 대비 현저히 감소한 메탄올 투과도 (5.3 X 10-8cm2s-1)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높은 열적 및 산화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화학적 가교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도입된 산-염기 상호작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을 이용한 물리적 가교 고분자 막은 각각 블렌딩법과 가교작용기 도입법을 통해 제작되었다. 산-염기 상호작용을 이용한 물리적 가교막은 산성 고분자와 염기성 가교제를 이용하였고, 80 oC에서 0.13 Scm-1의 우수한 수소이온 전도도와 비가교막 대비 향상된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사이아노 작용기의 도입을 통해 제작된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가교 고분자 막의 경우 과술폰화가 가능한 단량체를 동시에 도입함으로써 0.25 Scm-1 (at 80 oC)의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를 보인 반면, 화학적 가교에 비한 약한 가교의 힘으로 고분자의 물리적 안정성을 보완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이아노 작용기를 가수분해 시켜 카르복실기 작용기로 전환한 뒤 고분자 사슬간의 수소결합을 유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연료전지, 고분자 전해질 막, 수소이온 교환 막, 말단가교, 물리적 가교, 산-염기 상호작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Alternariol의 전합성 알터나리올(Alternario) 화합물은 독성물질을 생산하는 알터나리아 균의 주요 대사산물이다. 다른 곰팡이 독과 비교했을 때 이 화합물의 독성은 현저히 낮지만, 극소량의 독성만으로도 토마토, 사과 등과 같은 작물에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작물손실과 독성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알터나리올 화합물의 합성과 대사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알터나리올은 알터나리아(Alternaria) 균류에 감염된 작물로부터 추출해 낼 수 있지만 그 양은 굉장히 미량이며, 화합물의 특성 연구에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알터나리올을 인공적으로 합성하기 위해 다양한 합성법이 제시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특성 연구에 적용시켜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인공의 합성법으로는 합성의 부생성물(side-product)인 알터나리올 메틸 에테르(Alternariol methyl ether)가 존재하여 전체 수득률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어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탈메틸화 과정을 통해 최종 생성물의 합성과정에서 메틸 에테르 화합물이 남아있지 않도록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제어: 알터나리올, 알터나리아 균류, 알터나리올 메틸 에테르, 선-탈메틸화 반응, BBr3 하 탈메틸화 반응, 분자내 고리화반응.

      • (The) Effect of Pedagogical Timing on the Acquisition of Passives as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in Form-Focused Instruction

        원미희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Pedagogical Timing on the Acquisition of Passives as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in Form-Focused Instruction Within the domain of form-focused instruction (FFI) in second language (L2) learning,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pedagogical timings in the instructional sequence to draw L2 learners’ attention to form (i.e., FFI provided before, during, and after learner task)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passives in terms of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by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whether FFI contributes to the acquisition of English passives as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and (2)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timings of FFI on the acquisition of the target form. In order to address these two issu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co-ed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Korea. The research period lasted 6 weeks that included two-day lessons for each group. A total of 128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intermediat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took part in this study. Four intact classrooms, each consisting of 32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each designated to three different types of FFI (i.e., Pre-task FFI, Within-task FFI, and Post-task FFI) based on different timings to provide FFI.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two-day lessons that included the teacher’s explicit explanation of passives with examples for 10 minutes.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sked to do reading activities individually without any help from the teacher or peers. The activities consisted of (1) a reading passage with the target form of passives embedded and (2) follow-up comprehension ques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FFI from the teacher in two-day lessons but participated in the same activities as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s did, in the same manner. Two-day lessons lasted 45 minutes each and the lessons were taught by the same teacher. Learners’ knowledge outcomes as a result of FFI were measured via a timed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GJT) and an untimed GJT. The Timed GJT and the Untimed GJT were used to tap on learners’ impli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respectively. 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 development in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of passives - were operationalized respectively as the performance on a computerized Timed GJT and a paper-and-pencil Untimed GJT. Pre-tests were conducted two weeks before the research began. Immediate post-tests and delayed post-tests were conducted immediately and two weeks after the entire treatment, respectivel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FI contributed to greater gains of English passives both in terms of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no FFI and these gains were durable over time. Second, as to the comparative effects of three different timings of FFI on L2 knowledge, all three types of FFI facilitated learning passives in both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but FFI provided while the learners performed tasks (i.e., Within-task FFI)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two types of FFI in promoting both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revealed that Within-task FFI group outperformed Pre-task FFI and Post-task FFI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ask FFI and Post-task FFI.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and suggests that FFI promotes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passives in terms of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and the integrated provision of FFI during learner task can play a more effective, contributing role in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of L2 knowledge.

      • 연장전 축구 경기 중 시간에 따른 경기력 관련 생리 및 혈중 염증-면역 지표의 변화

        원미희 대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s of playing 120 minutes full time (included 30 extended time) soccer match on observable and measurable (i.e., body temperature [BT], body mass [BM], heart rate [HR], distance) and analytical (blood gas, substrate, inflammatory and immune) variables in collegiate soccer players. Players were requested to perform at their volitional peak level, and total 5 blood samples were drawn from antecubital veins at prior to start the match (0-min), after first half time (P-45 min), after second half time (P-90 min), after extend time (P-120 min), and after 60 min recovery time (R-60 min), and used for later analyses of above mentioned variables. To compare the mean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at five time points, repeated measures of Oneway ANOVA was adopte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05. BT at P-45 min and P-90 min rose significantly (p<.05), then dropped drastically during P-120 min, revealing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both P-45 min and P-90 min (p<.05). B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oth at P-45 min and at P-90 min compared to 0-min (p<.05), and it was further decreased during extend game period and reach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45 min (p<.001). Mean HR was continuously maintained at ∼80-90 % of maximal heart rate during match, showing small but significant drop during extend match time when comparison made between P-45 min and P-90 min and extend time (p<.05). Total distance covered during first half time was not different to second half time, and it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extend time. Interestingly, distance induced by activity during initial 15 min was shown the longest one than second and final 15 min of every 45 min playing time (p<.05). Hematocrit [Hct] and hemoglobin [Hb] values were significantly risen as match was progressed (p<.05). Whereas pH, %SO2, and PO2 were increased, PCO2 and HCO3- were decreased as match was continued. Compared to 0-min, glucose and lactat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P-45 min and P-90 min, but it was dropped by near similar level to the 0-min at P-120 mi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Na+, K+, and Ca2+ at P-45 min, P-90 min, and P-120 min even though the patterns of change were not the same. The expression levels of interleukin (IL)-1b, IL-6, and IL-8 were not significantly altered, except IL-10, whic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occer match. The expression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various immunoglobulins (IgG) (including IgG1, IgG2, IgG3, IgG4, IgA, and IgM)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altered at different time points during soccer match.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During full time competitive soccer match that include extend match time, 1. BT will be increased, but BM will be decreased. 2. The longest distance induced by any movements will be shown during initial 15 minutes after kick off the ball regardless of the first half and second half time. 3. Mean heart rate will be sustainably maintained 170-180 beats per minutes during overall soccer match. 4. Hct and Hb level will be risen as soccer match is progressed, which will be occurred concomitantly with BM change. 5. Blood gas and ion components will be differently response showing with no consistent patterns. 6. Blood glucose and lactate concentrations will be swiftly increased during early and mid- term match period, but it will be dropped as match progressed to end of time. 7. The responses of 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will be concomitantly shown but they will exert their unique role into opposite aspect. 8. Immunoglobulin level will be decreased as match is progressed, but it will be rebound up to the level of pre-match status during recovery. Optimal way of improving of multi-aspects of tactical and technical skills as well as endurance and strenuous physical fitness levels need to be additionally considered to prepare for competitive soccer match, particularly expecting of extend time. In addition, various and effective training methods are to be developed and introduced to increase the running distance during decisive match. There will surely be required further studies, which can elucidate of the detailed connection mechanisms between soccer performance and associated variables, especially responses of regulatory hormones and the patterns of movem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players during matches. 이 연구에서는 축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축구 전반전, 후반전 그리고 연장전 경기 시 심박수와 이동거리의 변화 및 혈중 생리 지표 및 염증-면역지표에 대한 생리적 변화를 살피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11명의 대학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선정해 전-후반전 90분과 연장전 30분의 경쟁적인 축구 경기를 수행토록 하였다. 경기 시작 1시간 전, 전반 경기 종료 직후, 후반 경기 종료 직후, 연장 경기 종료 직후, 경기 종료 60분 후 등 총 5회에 걸쳐 정맥혈을 채집하였다. 혈액 표본을 이용해 혈중 사이토카인(IL-1b, IL-6, IL-8, IL-10, TNF-α, VEGF)과 면역성분(IgG, IgA, IgM) 및 혈중 가스(pH, PO2, PCO2, %SO, Hct, Hb)와 이온( Na+, Ca2+, K+) 및 기질 성분(glucose, lactate)을 분석하였다. 전반전, 후반전, 연장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of 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체온은 경기 시작 전과 비교해 전·후반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5), 연장전에서는 전반전과 후반전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체중은 경기 시작 전과 비교해 전·후반전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01), 연장전에서는 전반전과 비교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1). 평균 심박수는 전반전과 비교해 연장전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5), 이동거리는 전·후반전과 비교해 연장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P<.05), 전반 15분까지의 이동거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혈중 Hct와 Hb은 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혈중 pH, %SO2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P<.05). 혈중 PCO2, HCO3-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P<.05), PO2,는 시간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5). Glucose와 Lactate 그리고, Na+, K+, Ca2+의 변화를 살핀 결과에서 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P<.05). 혈중 IL-1b, IL-6, IL-8, IL-10의 발현 변화를 살핀 결과에서는 IL-10에서만 시간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었으며(P<.05), TNF-α와 VEGF의 발현량에 있어서도 시간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P<.05). IgG1, IgG2, IgG3, IgG4, IgA와 IgM 변화를 살핀 결과 시간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P<.05). 위의 결과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경기 진행에 따라 체온은 상승하고 체중은 감소한다. 2. 전반, 후반, 및 연장에 상관없이 경기 시 최초 15분간의 이동거리가 가장 길게 나타나며 경기가 진행됨에 따라 이동거리는 점차 감소한다. 3. 경기 중 평균 심박수는 분당 170∼180회를 나타내며 최대 심박수는 분당 190회 이상을 나타낸다. 4. 경기가 진행됨에 따라 혈중 헤모글로빈과 혈색소 용적률은 상승하며 체중의 변화에 비례해 나타난다. 5. 경기 진행에 따라 Na+의 증가, K+의 감소, Ca2+의 감소를 나타낸다. 6. 경기 진행에 따라 pH, 이산화탄소 분압, 산소 분압 및 산소포화도는 서로 다른 변화 양상을 나타낸다. 7. 경기 초반 혈중 포도당과 젖산은 상승하나 경기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휴식시의 수치로 감소한다. 8. 혈중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사이의 변화는 서로 반대되는 양상을 나타낸다. 9. 혈중 면역글로블린(IgG1, IgG2, IgG3, IgG4, IgA와 IgM)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되며 경기 종료 후 회복 중 휴식 시 상태로 회복된다. 따라서 생리적 지표의 하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연장전 경기를 대비하기 위한 팀의 전략과 전술 및 체력적 보완의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며 경기 중 이동거리의 향상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훈련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함께 체온 및 대사조절 호르몬의 변화를 함께 살필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경기 포지션에 따른 변인들의 세부적인 변화 양상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