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지혜반 유아들의 그림책 함께 읽기에서 나타난 의미 구성적 과정 탐색

        원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참여 유아는 충청남도 B시 S분교장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지혜반 유아 5명(남아 3명, 여아 2명)이었다. 본 연구는 2021년 4월 13일(화)부터 2021년 6월 10일 (목)까지 9주 동안 유아들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여 그림책 함께 읽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그림책 함께 읽기 과정은 연구자가 교사로 참여한 형태로 유아들과 함께 선정한 그림책 18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교사와 유아들의 그림책 함께 읽기 과정은 동영상 녹화와 오디오 녹음을 하였고 유아들의 반응일지, 연구자의 저널, 유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교사와 유아들의 그림책 함께 읽기와 면담의 전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전사와 개방 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혜반 유아들의 그림책 함께 읽기에서 나타난 의미 구성적 과정은 ‘그림책 속에 숨은 재미에 빠져들다’, ‘그림책의 이야기를 나의 이야기로 옮겨오다’, ‘텍스트를 넘어 상상의 날개를 달다’로 크게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유아들은 그림책을 함께 읽으면서 그림책 읽기 자체를 즐기고 그림책에 몰입하였으며 흥미로운 요소들을 발견하면서 독자만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그림책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우스꽝스러운 장면과 행동에서 재미있다는 반응을 보였고, 다음 장면을 유추하고 해석하며 기대의 불일치나 엉뚱함에서 재미있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또한, 유아들은 작가가 그려놓은 그림책의 그림을 자신만의 의미로 해석하고 재미있는 소리와 움직임으로 채워 넣으며 그림책 읽기에 즐거운 반응을 보였다. 한편, 유아들은 등장인물의 심리를 읽어내어 공감하거나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을 자신과 동일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독자만의 재미를 느끼며 의미를 구성하였다. 작가가 만들어 놓은 주인공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창의적인 캐릭터를 만들어 등장인물들과 소통하며 즐거움을 느끼는 의미 구성적 과정을 나타냈다. 교사는 이러한 유아들의 의미 구성적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유아들이 자유롭게 그림책을 즐기고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정서적 지지와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그림책을 함께 읽으면서 그림과 텍스트가 주는 의미를 자신만의 사회적인 환경과 맥락을 바탕으로 재해석하고 독자만의 이야기로 새롭게 의미를 구성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그림과 텍스트를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전 지식을 기반으로 해석하고 그 의미를 추론하고, 추리하며, 예측하였다.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는 정보가 자신이 아는 사실과 맞지 않으면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를 근거로 자신의 정보를 관철하려는 반응을 보였으며, 자신의 지식을 활용하고 공유하며 독자만의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였다. 교사는 이러한 유아들의 의미 구성적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유아들이 삶의 경험을 반영하여 그림책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아들과 주변 자원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격려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그림책과 유아,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가 상호 교류하면서 그림책 속에 담긴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고 기발하고 재미있는 상상으로 채워나갔다. 유아들은 떠오르는 생각을 자유롭게 나누었고 그림책의 그림과 사건을 단서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거나 다음 장면을 유추하는 의미 구성적 과정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은 의미 구성적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였고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진정한 주체로서 그림책을 창의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였다. 교사는 이러한 유아들의 의미 구성적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그림책 읽기의 다양한 접근법에 대한 선행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들의 풍부한 의미 구성적 과정에 동참하였다.

      • 조선시대 강원지역의 서적간행 연구

        원미경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강원도지방에서 간행된 서적에 관한 연구로서, 연구의 자료로 강원도 간행 책판이 수록된 책판목록과 ?조선왕조실록?의 강원도 서적간행 기사를 활용하였다. 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해석하고 복원하는데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서적만큼 풍부한 자료를 담고 있는 기록은 없다. 강원도의 서적간행을 살펴보면, 조선초기에는 목판인쇄 판각의 수준이 다른 지역과 같은 수준을 보이며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반면 조선후기에는 다른 지역과 달리 서적간행의 필수조건인 물적·기술적 요소가 충족되지 못하여 서적간행이 저조하였다. 지역별로는 행정체계의 상위에 위치한 원주·강릉·춘천 등지가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고 향교나 서원 등 교육기관이 발달하여 문학서적과 유학서적 그리고 교육과 유학적 교화에 필요한 사회교훈서적의 간행이 많았다. 철원의 경우 군사서적의 출판이 다른 지역에 비해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군사적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고, 특히 강원도 지형은 산록완사면이 발달해 있는 유리한 지형조건으로 말미암아 양잠업이 장려되어 이에 관련된 농업서적이 정선 등지에서 간행된 점을 눈여겨 볼 만 하다. 문집은 조선후기에 감사를 비롯한 지방관들에 의해 사적 출판물로 변모되었으며, 당시 강원도 지역이었던 울진과 평해의 경우 서원에 배향된 인물을 중심으로 문집이 간행된 경우가 많았다. 춘천의 경우 근대에 이르러 출판활동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화서학파 학맥의 중심지로 부상하며 대학자로 구국항쟁을 전개했던 의암 유인석선생이 출생하였던 가정리에서, 위정척사 사상을 주창한 화서학파와 관련된 서적의 출판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렇듯 ‘서적의 역사’만 보아도 시대 정신을 유추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강원도에서의 서적간행은 전국적으로 보았을 때 미흡하였지만, 역사의 전개에 따른 필요성 증대나 지역의 성격에 맞는 역할에 따른 서적의 간행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researched books published in Gangwon-do and used book publishing articles in Gangwon-do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book plate lists containing Gangwon-do published book plates as the data of this study. For interpretation and restoration of history and culture of one region, there is no better record than books which have very significant historial data. When searching for book publishing of Gangwon-do, in the early of Joseon the level of woodblock printing engraving showed same level with other regions and active movement while in the latter of Joseon book publishing was low because physical/technical elements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of book publishing not like other regions. In case of region, owing to Wonju/Gangreung/Chuncheon etc., locations on the top of administration system were developed, the publishing of literal books, books for studying abroad, and social instructive books needed to education and Confucian edification where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Hyanggyo or Seowon (lecture hall) were developed. In case of Cheolwon, it can be known that it was a military strategic point in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at the publishing of military books were made more than any other reg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silkworm farming related books were published in Jeongseon etc. because silkworm farming was recommended due to geographical condition which piedmont was developed in Gangwon-do. Anthology has been changed into private publication by local officers including governor in the latter of Joseon, in those days, Uljin and Pyeonghae incorporated into Gangwon-do, and there were many cases that anthology was published focusing on persons oriented to Seowon. In case of Chuncheon publishing activity was remarkable in these days because the publishing of books related Hwaseohakpa (화서학파) which claimed Wejeongcheoksa (preserving the right learning and excluding the evil one) in Gajeong-ri where emerged as a center of academic clique of Hwaseohakpa, UiAm In-seok Yu who was a great scholar and developed a protest for his own nation was born. Like this, the periodical spirit can be analogized even viewing 'The history of books'. Book publishing at Gangwon-do in Joseon Dynasty was insufficient in the level of nation but it 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publishing of books by the increasing need to history development or by the rol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 of region.

      • 가전문학의 교수ㆍ학습 방법 연구 : 가치탐구 학습법과 <국선생전>을 중심으로

        원미경 대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가전문학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 가치탐구 학습법과 <국선생전>을 중심으로 -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원 미 경 지도교수 이 병 찬 문학을 읽는다는 것은, 인간을 이해하고 그 인간들이 모여 사는 사회를 이해하며, 인간들이 이루어낸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사회에서 다른 사람과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먼저 나를 이해하고, 나와 함께 사는 다른 사람들을 이해해야 한다. 문학 작품 속에는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습관들이 자연스럽게 담겨 있기 때문에, 문학을 통해 우리는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으며, 우리가 사는 사회의 문화를 습득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학의 세계로 안내하는 문학교육, 그 중에서도 우리의 고전문학 장르 중 가전문학을 통해 일차적으로는 학습자에게 한국인의 삶이 녹아 있는 고전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고, 둘째로 장르에 대한 이해를 도와 학습자가 고전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마지막으로는 사유와 성찰의 방식을 배워 사물과 현상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주는 교육 방법 개발을 목표로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가전 분야의 연구와 가전 교육 전반에 관한 연구에서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알아볼 것이며, Ⅱ장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가운데 고등학교 문학영역의 교육과정과 목표를 살펴보고 가전문학에 대한 명칭, 문학사적 위치, 갈래의 특성 등 가전문학 전반에 관한 정리를 하고자 한다. 또한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교육과정의 전체를 살펴보면서 가전 교육의 목표나 가치, 문제점 등을 확인함으로써 가전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무엇을 전달할 것인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가전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가전 작품이 수록된 2009 개정 교육과정 문학교과서의 현황을 파악해 보고, 가전 작품이 교과서 내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정리할 것이다. 이어 Ⅳ장에서는 가전문학을 바르게 이해하고 내면화하기 위해, 가치탐구학습법을 활용한 가전교육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치탐구와 성찰의 토대가 될 수 있는 가치탐구학습법의 이론적 배경과 전략을 알아보고 이를 통한 가전 교육의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제시한 가치탐구모형을 토대로 하여 실제로 수업을 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가전문학을 포함한 문학전반에 대한 학습자의 가치관의 변화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고를 통해 가전문학을 중심으로 한 가치탐구학습 수업이 학생들의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를 알고, 그 변화를 통해 앞으로 가전 교육의 교수·학습방향 설정에 미약하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ABSTRACT Won, Mi Kyoung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jin University It reads the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f human society and understand that humans live together, to understand the culture, humans figured this place. To live in a society mingle with others, we must first understand me, and understand the other people who live with me. Because they contained a habit that we think and act naturally literature, we are able to understand our own and other people through literature, we will live to learn the culture of the society. In this article literature to guide into the world of these literary education, as among them primarily through ‘Gajeon’ literature of our classic literary genre it gives provided the chance to get the classic dissolved lives to learners of Korean and second understanding of the genre help the learner to become a classic for the opportunity to relearn and finally seek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that foster the critical tim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ings and phenomena and learn the way of thinking and reflection as a goal. Chapter Ⅰ To this end, will recognize that some achievements have been in the study for research and education across the electronics sector through previous studies, chapter Ⅱ 2009 revised curriculum of high schools look at the curriculum and goals of the literary area ‘Gajeon’ literature name on, and to the literary historical locations, including branches of the characteristics summarized in the overall ‘Gajeon’ literature. Also I want to browse the goals or by checking the value of by looking at the whole concept of training courses for the top ‘Gajeon’ education, issues such as what to do to pass students through ‘Gajeon’ education. Chapter Ⅲ reports identify the statu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literature textbook contained appliances work is to look at ‘Gajeon’ education status, whether the ‘Gajeon’ will organize work and how being addressed in the textbooks. In chapter Ⅳ followed to explore, a professor of utilizing value inquiry learning method appliances education and learning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correctly understand and internalize the ‘Gajeon’ literature. Learn the value and worth to explor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plores strategies of learning that can be the foundation for reflections we propose a specific teaching methods of ‘Gajeon’ education through this. Lastly, the lesson to explore the value of the model presented in the last chapter Ⅳ, chapter Ⅴ based, and through surveys to identify and evaluate changes in the values ​​of students of literature, including the overall ‘Gajeon’ literature. The value of literature with a focus on the ‘Gajeon’ through a paper exploring how the lessons learned an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through the change if the wind is weak in teaching and learning help set the future direction of ‘Gajeon’ education.

      • 메를로-퐁티의 공간론을 통해 본 초등학교 공간의 교육현상학적 의의

        원미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간은 공간 속에서 삶을 살아가며 그 속에서 생활방식을 습득한다. 특히 초등학교 공간은 어린이들이 자신의 삶을 형성해 나가는 데 중요한 환경이므로 학교 공간의 영향력은 무엇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간의 신체를 지각된 세계의 주체라고 주장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론을 초등학교 공간에 적용하여 현상학적 의미를 탐색해 보고 초등학교 공간의 교육현상학적 의미에 따른 시사점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몸 개념, 지각의 의미, 세계-에의 존재와 현상학적 공간 특성을 고찰하고 둘째, 어린이와 공간의 의미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공간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셋째,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공간 특성을 토대로 초등학교 공간의 현상학적 의미를 살펴본 후 교육적 시사점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주로 하였으며, 학교 공간의 현상학적 분석 및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초등학교 6개교를 표집 하여 학교 평면도와 교실배치도를 분석하고 학교 공간의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공간의 교육현상학적 의의에 대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 투영된 어린이와 초등학교 공간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교는 어린이의 성장과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학교의 교육활동 중심에는 어린이가 있어야 하며, 어린이가 주체가 되어 삶을 전개해 나가는 학교 공간이 진정한 초등학교 공간으로 존재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 메를로-퐁티의 공간론을 통해 살펴본 초등학교 공간의 교육현상학적 의미에 따른 시사점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를로-퐁티에 의하면 우리의 몸은 본능적으로 공간을 지각하므로 공간과 신체를 나누어 생각할 수 없다. 즉 공간에서 창조적 의미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공간이 상호 얽힌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체험이 유의미한 체험이다. 둘째, 가소성이 큰 초등학생은 주변 환경의 영향이 절대적이다. 따라서 학교 공간은 사회적 배경이 다른 동일한 연령대의 어린이들이 집단을 이루어 상호작용하면서 사회관계를 배우고 익히면서 그들의 삶을 만들어 가는 장소이며 체험 공간이다. 셋째, 학교가 어린이들의 삶이 만들어지는 체험 공간이며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것들이 그들의 삶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일익을 담당한다면 어린이들은 학교에서 신나고 즐거운 경험이 많아야 한다. 즉 학교 공간은 어린이들의 신체가 주체가 되어 학교 공간과 상호 얽힌 관계에서 체험이 이루어지는 상황적 공간이 되어야 한다. 초등학교 공간은 어린이들의 다양한 경험이 체화되어 그들의 삶이 만들어지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학교 공간의 중심에는 어린이가 있고 어린이와 공간이 상호 얽힌 관계에서의 체험이 체화되어 어린이들의 삶이 전개되어 나갈 때 진정한 학교 공간으로 존재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학교는 어린이들이 신체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며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표현하는 신나고 즐거운 공간이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정태적인 학교 공간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학교 공간을 이해하고 어린이들이 신체적 활동으로 그들의 능력을 표현할 수 있는 역동적인 학교 공간의 조성이 필요하다.

      •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유엔협약상 물품의 계약적합성에 관한 연구 : CISG 제35조 적용에 따른 판결례를 중심으로

        원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s of Goods"(CISG), prepared by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UNCITRAL) and adopted by a UN Diplomatic Conference in Vienna in 1980, entered into force on 1 January 1988. and CISG entered into force towards Republic of Korea on March 1, 2005. The number of contracting Nations has been successfully increasing. Furthermore, the disputing cases governed by CISG are appearing continuously in national courts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Board. Now CIS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acts for international sales of goods laws supported by legal communities worldwide. The study on this Convention(CISG) which governs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in a uniform manner is more required than any other time.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formity of the goods which is regulated by Article 35 through 44 of the CISG. To help understand CISG, domestic laws of several countris were mentioned. In addition, some of the cases, international or domestic, in which the issue concerning the CISG were raised and debated were also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eller's obligations for fitness of goods to the contract under the Article 35 of CISG, except where both parties have agreed expressly, and to give suggestion in actual transactions. The provisions in the CISG on the conformity of goods with the contract are included in Article 35.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the parties to contracts for international sale of goods, the Article 35 stipulates four criteria to judge the fitness of the goods to contract: fitness for the ordinary purpose, fitness for any particular purpose, possession of the quality of sample or model and use of usual or protective container or package. The Article 35 also provides a exception for sellers against the lack of fitness: in case at the time of the conclusion of the contract the buyer knew or could not have been aware of such lack of fitness. Unless otherwise stipulated, the conformity should by judged when the risk posses to the buyer according to the Article 36. As of December 2008, CISG has 70 States parties which have deferent legal traditions and economies. The amount of case law grows constantly. Currently about 1,000 cases are available from various sources. Case law has definitely contributed to the goal of the uniform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CISG. A reviews of decisions of courts and Arbitral tribunals interpreting CISG would assist judges, arbitrators, lawyers and parties to business transactions. It would also further the uniformity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CISG. In reviewing decisions, common views of case law will be highlighted and divergent approach will also be presented. This would eventually facilitate the emergence of the uniform interpretation of CISG. After reviewing related Articles, Books and some common and civil laws, I suggest several point useful to real transactions as follows: First, when sellers and buyers make contracts, they should keep in mind to insert the criterion and the time evaluating the fitness their contract. Second, they also should insert the Merger Clause to defend the confusion arising from various kinds of representations. Third, they should make the Warranty Clause clear in their contract for the limitations and also for the term of warranty. Finally, the application of mandatory rules of buyer's country is a separate issue from the seller's obligation for the fitness; It is the special condition which should be judged in another aspects. 국제매매계약은 국제간의 거래로서 매매목적물의 인도, 대금지급 등이 한 나라 안에서가 아니라 여러 나라에 걸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당사자 간에 적용되어야 할 법, 즉 준거법의 채택이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국제매매계약에 있어서는 당해 거래에 참가한 계약 당사자 간 자치의 원칙에 따라 오랜 기간을 통해 형성되어온 관습 및 관행이 존중되어 왔으므로, 계약 당사자는 계약의 교섭, 성립, 이행, 종료기의 각 단계별로 그 특정한 내용을 적용 및 원용하여 이로부터 합의에 의한 법적 구속력을 우선시하여 왔다. 그러나 다국가 간에 이루어지는 국제매매거래에서 기대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여 계약 당사자가 추구하는 이해를 보장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적용법의 선정 및 적용의 곤란, 분쟁해결을 위한 법적 기준의 불안정성, 계약 내용에 대한 당사자의 법리적 해석의 상이, 각 국가 간 법원 및 중재기관의 판결에 대한 상대적 불공평성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국제상거래법위원회(UNCITRAL)에 의하여 제정된 국제물품매매에 통일적으로 적용될 국제규범인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United Nations Conference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 이하 CISG)은 이와 같은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실체법적 대안이다. 또한 계약 당사자 간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며 신속하고 원활한 상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법리적 방편으로서 1980년 4월 10일 비엔나 외교회의에서 채택되어 1988년 1월 1일부터 발효된 이후 현재까지 준거법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08년 12월 1일 현재 미국, 중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등 우리나라의 주요 무역 상대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 70개국이 CISG에 가입하였다. 우리나라는 2004년 2월 17일 가입서를 UN 사무총장에게 기탁하였고, 2005년 3월 1일 발효하였다. CISG가 실제 거래에서 국제매매법의 통일이라는 기본목적과 함께 CISG를 채택하는 국가가 점차 늘어가고 있어 CISG가 국제매매계약의 준거법이 되는 경우가 점증할 것임이 분명하다. CISG는 전문과 4편(Part), 101개 조문(Article)로 구성되어 있고 매매에 관한 대륙법과 영미법의 법체계를 조화시킨 것으로 특히 CISG상의 매도인의 계약적합성 의무는 영미법 상의 담보이론에서 착안된 것으로 생각되나 영미법 상의 Warranty라는 말을 피하고 「물품의 적합성에 관한 매도인의 의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국제물품매매에서 매도인은 물질적인 측면에서 품질, 수량, 중량, 포장에 있어서 계약에 적합한 물품을 인도할 의무를 부담할 뿐만 아니라 권리적인 측면에서도 그 권리이행에 지장이 없는 계약물품을 인도해야 할 의무를 부담한다. 현대 국제상거래에 있어서는 포장이나 용기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이것들도 물품의 적합성에 포함시켜 규정하고 있으며 물품이 계약에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도 어디까지나 당사자 간의 계약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당사자 간의 합의된 사항이 없는 경우, CISG에서는 적합성의 결여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를 물품의 계약부적합성으로 하여 매수인에게 구제방법을 제시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매도인에게 하자담보책임을 지우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국제물품매매에 대한 법 통일을 위하여 채택된 CISG상 규정되어 있는 계약물품의 적합성 기준을 살펴보고, 그러한 적합성 기준을 위반했을 경우 당사자들의 구제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CISG 제35조 매수인 국가의 공법규정에 적합한 물품인도와 관련된 중요한 각국 법원의 판례를 검토하고 그 판결례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논란이 되었던 식품안전과 관련된 사안에서 국제물품매매에 관한 준거법의 적용과 관련하여 계약물품의 적합성이 결여되었을 때 당사자의 구제방안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향후 국제물품매매에서 발생하는 분쟁에 대해 계약당사자가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살펴보고자 한다. CISG은 국내법원리가 아니라 국제법원칙, 이에 관한 학설, 외국 법원의 판례 등을 참조하여 해석하여야 할 것이나 협약의 해석, 적용에 관한 판례가 많이 집적되어 있지 않고 같은 유형의 사안에 대하여 다르거나 심지어 반대되는 견해를 밝힌 판례가 다수 발견된다. 체약당사국의 법원이 자국의 국내법원칙을 적용하려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국제매매계약에서 CISG의 위상은 높아져 갈 것이며, 우리나라의 주요 무역 상대국이 이미 CISG에 가입하였기에 앞으로 체약당사국의 협약 해석에 관한 견해가 주요쟁점화 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물품의 계약적합성(CISG 35조) 중 매도인이 매수인 국가의 공법 규정에 적합한 물품을 인도해야하는 의무에 대해 고찰해보고 우리나라에서 수입식품관련 사례를 CISG에 적용하여, 해석함에 있어서 하나의 참고기준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서론인 제1장을 포함하여 모두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CISG의 탄생역사부터 CISG의 구성과 적용범위에 대해 개괄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CISG상 물품의 적합성 기준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CISG 제35조에서 매도인의 계약의 약정이 있는 경우의 적합한 물품의 인도의무(CISG 35조1항)와 그러한 약정이 없는 경우에 CISG에 의한 매도인의 계약에 적합한 물품의 인도의무(CISG 35조2항)에 대해 살펴본다. 그 구체적인 요건으로서 수량의 적합성, 통상 또는 특정 목적상의 품질의 적합성, 견본 또는 모형의 적합성, 포장의 적합성이 결여되었을 경우 발생하게 되는 효과를 알아보고 그밖에 물품의 부적합에 대한 입증책임 부분과 계약적합성 여부의 판단시기, 물품의 품질의 착오 부분과 담보책임의 면제 또는 제한조항에 대하여서도 살펴보려 한다. 제4장에서는 이러한 CISG상의 물품 적합성 기준을 바탕으로 부적합에 대한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국 법제의 비교검토를 통해 CISG상의 묵시적 품질기준의 이론구성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민·상법과 영미법계의 법제를 검토해보고 CISG 이외의 국제통일계약법 규범인 국제상사계약에 관한 UNIDROIT원칙(PICC)와 유럽계약법원칙(PECL)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CISG에 규정되어 있는 매수인의 의무로서 매도인의 부적합에 대한 담보책임을 묻기 위한 전제조건에 대해 알아본다. 매수인이 수령한 물품이 계약이 부적합한지 여부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통지하여야 할 의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해태하였을 경우의 매도인의 담보책임의 면책이 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제6장에서는 매수인이 부적합 물품의 검사와 통지의무를 준수한 경우, 매도인에게 하자담보책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매도인의 계약위반에 대한 매수인의 권리를 구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제7장에서는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수입식품안전문제 중 명시적 품질의무 위반사례인 꽃게 납 검출사건과 묵시적 품질의무 위반사례인 멜라민 분유 사건을 중심으로 관련된 CISG의 판결례의 사실관계와 판결내용의 검토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매도인의 매수인 국가의 공법규정에 적합한 물품에 대한 의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우리나라 사례의 사실관계와 함께 비교검토 본다. 그리고 제8장에서 결론으로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문의 내용을 정리한다.

      • 로컬푸드체험관광이 지역의 음식가치, 이미지, 애호도 및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원미경 慶州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relationship as to how the food value experienced after an experience tour of local food influences the value of the local region and how the perceived image of the local region influences the preference of that region. The purpose was to help with the popularization of local regions and to suggest ways to use local food for experience tour, which has recently become popular, through a substantial analysi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trends of local studies on the local food experience tour which are not yet very popular in the field of Tourism Studies. The following are the specific goa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전략 분석 연구 : 중국인 중급 학문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원미경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어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한계에 부딪혔을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사소통전략은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의사소통전략 교수가 과연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다수의 이견들이 있어 왔으나, 최근 들어서 많은 연구자들이 교수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의사소통전략 논의를 위해 1차적으로 학습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의사소통전략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재에서 학습한 전략이 학습자에게서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또 어떻게 교수해야 할지 의사소통전략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연구의 주제로 삼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의사소통전략에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대부분의 국내외 연구들에서는 중국인 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대상의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인 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과 관련하여 의사소통전략 연구에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 의사소통전략의 정의와 유형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Kasper&Kellerman(1997), Faerch&Kasper(1984), Nakatani(2005)의 논의를 정리해 본 연구에서 바라보는 의사소통전략의 정의 및 유형은 무엇인가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중국인 중급학습자가 사용하는 의사소통전략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에 필요한 양적 자료를 위해 참여자의 정보, 발화 자료 수집 절차, 자료 분석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4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발화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한국어 교재와 비교했다. 성별에 따라 의사소통전략을 분석하고, 중국인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전략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은 여성학습자가 더 많은 의사소통전략을 사용했으며 전반적으로는 ‘적극적 반응 제공하기, 유지하기, 주의 끌기’ 전략 교수가 가장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5장에서는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하기 전, 학습자 스스로가 의사소통전략을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의사소통전략 이해와 높임말과 반말의 구분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가 필요한 중국인학습자들에게 ‘대체 가능한 의사소통전략’을 교수학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이것을 실제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의사소통전략 교육모형을 제시하였다. ‘말하기 전-말하기-말하기 후’ 단계로 구성해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전략을 충분히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중국인 학습자의 의사소통전략을 교재와 비교해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교수가 필요한 의사소통전략의 양상을 고찰했다. 둘째, 유학목적으로 오는 중국인 학습자가 가장 많이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 교수학습모형을 적용시킬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체가능한 의사소통전략’은 상황별 다양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제시한 교육모형은 실제 교육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의사소통교육은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한 교육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육모형을 적용시키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와 관련해 차후 한계점을 보완한 의사소통전략의 심도 있는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to overcome their communicative limit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successful communication. Despite many debates regarding the need for instructions on communication strategies, many researchers have recently turned to arguing for the potential and necessity of the use of instructions. For the discussion on communication strategies, this study chos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its subject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comparing the study results with communication strategy instructions provided in Korean textbooks, from which the learners received primary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Such topic of research has been chosen in light of the need for research on communication strategies, to study the reasons behind the ineffectiveness of strategies taught in textbooks if not diversely visible in the learners. and also to study the methods of how instruction should be imparted.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Chapter 1 discuss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examines related studies previously conducted regarding communication strategies. On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and abroad that examine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the number of observation targets is also small, which is the reason behind selecting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Chapter 2 looks into the definition and type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communication strategy research. Upon organization of arguments presented by the most illustrative studies on this area, Kasper & Kellerman(1997), Faerch & Kasper(1984), Nakatani(2005), this study presents its own definition and type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Chapter 3 examines the different communication strategies used by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or quantitative data required in the study, participant information, procedures on data collection of utterances, and data analysis and methods have been described. Chapter 4 discusses the analysis of the data of utterances collected for this study and the comparison of analysis results with those of Korean textbooks. Communication strategie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different sex, wi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tterns in communication strategies of Chinese learners. Results show that females among the Chinese learners use greater number of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that “providing active response, maintaining, attention getting” are generally the strategy instruction methods required the most. Chapter 5 focuses on inquiring into the learners on their self-awareness of the us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before the demonstration of instruction and learning models. Study results show that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distinguishing honorific and colloquial language. Based on such findings, “Substitutable Communication Strategy“ has been suggested to Chinese learners who require instructions, to enable utilization of such strategy in instruction and learning. Also, communication strategy instruction models have been provided to be utilized in actual education. The steps have been composed into ”Before Speaking—Speaking—After Speaking“ so that learners may sufficiently learn and utilize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Regarding the above-mentioned research,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upon comparison of the Chinese learners’ communication strategies with those presented in textbooks, this study looks into Chinese learners’ communication strategy patterns that call for the need of instructions. Second, Chinese learners are the greatest in number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which enables the proposed instruction and learning model to be applied in actual classrooms. Lastly, the proposed “Substitutable Communication Strategy” proclaims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various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situations, through which the instruction model has been proposed. This model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s composed to allow for applicability in actual education. Communication instruction is one of the fields that require greater research. The limitation found in this study is that it failed to actualize the application of the instruction model to real life situations. It is anticipate that an in-depth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relation to this study, with greater comprehensive research into communication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