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Best linear estimation을 이용한 선호색 검출

        염지영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LCD, PDP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가격, 디자인, 수명, 소모 전력, 크기 및 화질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소들 중에서 화질은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최근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여러 나라와 기업에서 진행 중이다. 디스플레이에서의 화질은 색 재현 능력을 말하며,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는 3개의 primary(삼원색, R, G, B)의 색도 좌표계에서의 위치, 색역, 컬러 색역 사상 알고리즘, 선호색 보정 등을 들 수 있다. 선호색이란 사람의 기억 속에 인식되어 있는 색으로 크게 피부색, 풀의 녹색, 하늘?바다색으로 나눌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색이 사람들이 기억하는 색(선호색)과 같을 때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와는 반대로 디스플레이 되는 색이 사람들이 기억하는 색(선호색)과 다를 때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나쁘다고 생각한다. 디스플레이 되는 색을 사람들이 선호하는 색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선호색 보정이다. 선호색 보정은 크게 선호색 검출과 보정의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선호색 검출은 디스플레이에 입력된 영상에서 어느 영역이 피부색, 녹색, 하늘?바다색인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선호색 보정은 선호색 검출을 통하여 얻은 피부색, 녹색, 하늘?바다색 영역의 색을 사람들이 선호하는 색으로 바꾸는 과정이다. 선호색 검출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으면 선호색이 아닌 다른 색이 선호색으로 검출되거나 선호색이 검출되지 않는다. 선호색 보정은 검출된 영역에 대해 수행하기 때문에 선호색 검출이 정확히 수행되지 않으면 선호색이 아닌 다른 색도 같이 보정되거나 선호색이 보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확한 선호색 검출이 선행되어야 선호색 보정의 성능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Best linear estimation을 이용한 선호색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선호색 검출 방법은 hue angle의 범위[3], 사각형 모델[6], 색 분포 통계(Bayes rule)[7], Neural network[8], Genetic algorithm[8]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hue angle의 범위를 이용한 방법과 패턴 인식 방법 중에 하나인 Best linear estimation을 이용하여 선호색 검출을 수행한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이 기존 방법의 성능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ceptual visual quality is major factor which determine performance of display device. Perceptual visual quality in display device is based on its color reproduction. Color reproduction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such as primary coordinate in chromaticity coordinate system, color gamut, color gamut mapping algorithm, preferred color correction, and so on. Preferred color is the color which people favorite and impression. Preferred color can be divided into skin color, grass green color, sky and sea color. If the displayed color is closed to preferred color people will think the perceptual visual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is good. Otherwise, people will think the perceptual visual quality of the display is poor. The goal of preferred color correction is to improve the perceptual visual quality of display device by modify the displayed color to preferred color. Preferred color correction consists of preferred color detection and preferred color correction. The preferred color detection detects the skin color, green color, sky and sea color from input image in display device. If the preferred color detection is not implemented correctly, other color is detected as preferred color or preferred color is not detected as preferred color. Then the following preferred color correction will not product satisfied result. So, preferred color detection is the important pretreatme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referred color correction. This paper proposes a preferred color detection method. Proposed preferred color detection method has two steps. The first step is implemented by using hue angle range. And second step is implemented by Best linear estimation method. The experiment result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of proposed preferred color detection method is better than previous methods.

      • 영어 체험교실의 활용실태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이용방안

        염지영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survey aimed at finding out the most efficient way to use English Zone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eastern areas of Jeollanam-do. For this study, I observed English Zone of four schools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20 Elementary English teachers working at sixty different schools located in eastern areas of Jeollanam-do. I tried to seek the efficient utilization plan after checking the current status. First, the main purpose of 'English Experience Class Programs' is to take English course after class rather than regular English curriculum. As a result, the study shows that students improve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English by offering them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speak English. In addition, various school events related to English learning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appropriate use of English in context and enhance English speaking skills. Second, most teachers agree that utilization of 'English Experience Class Programs' is effective for students not only relieving fear and pressure from English but also taking English as natural by communicating with foreign English teachers very often. They also support that the utilization of 'English Experience Class Programs' helps students improve the basic command of English. Third, the study indicates more English teachers and somewhat realistic environment for language practice are needed to manage 'English Experience Class' effectively and teach students authentically. In fact, there are several problems pointed out such as the insufficient working space for English teachers, the lack of time because of a lot of school work, and the housing problem of foreign English teachers. Moreover, teachers should be given more training in guiding 'English Experience Class', English teaching methods, and classroom English. The most efficient utilization plan of English Zone through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earning in 'English Experience Class' should focus on understanding and acquiring the English culture. When English Zone has students feel familiar with English, actively participate in a variety of productive activities, and perform the experience learning,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m with constant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ommunicating in English with their voluntary will and clear motive. Therefore, teachers will have to pay attention to how to upgrad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boost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In other words, teachers need to prepare for authentic materials which can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lead students to hav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To accomplish these goals effectively, professional English teachers who try to explore the effective ways to take advantage of 'English Experience Class' ought to make continuous effort and do their best.

      • 초등 5~6학년군 영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 분석

        염지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5~6학년군 영어 교과서 나타난 쓰기 활동을 교육과정 성취기준, 쓰기 활동의 유형, 창의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교과서 쓰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5~6학년군 영어 교과서 3종을 택하여 각 교과서의 쓰기 활동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통제 정도에 따른 쓰기 유형 및 창의성 교육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교과서 쓰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여 교과서 쓰기 지도 및 교과서 쓰기 활동 개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따른 분석 결과로 ‘주어진 낱말이나 어구를 넣어 문장 완성하기’, ‘실물, 그림, 도표를 보고 한두 문장으로 쓰기’와 관련된 쓰기 활동의 빈도가 높았고 ‘철자법과 구두점 쓰기’, ‘예시문 참고하여 초대장 쓰기, 감사․축하 편지 쓰기, 자신․가족에 관한 짧은 글 쓰기’ 활동의 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낱말, 어구, 한두 문장 쓰기 활동이 많이 제시된 것은 쓰기를 듣기, 말하기, 읽기와 연계하여 지도하되 쓰기 활동의 수준을 음성 언어 및 읽기 활동의 수준보다 약간 낮게 구성하여 학습자의 쓰기 활동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문장의 철자법과 구두점에 대한 쓰기 활동이 적게 나타났는데 문장 쓰기가 본격적으로 제시되는 5~6학년에서 철자법과 구두점을 바르게 이해하고 쓸 수 있도록 보완하여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대장 쓰기, 감사나 축하 편지 쓰기 등과 같은 짧은 글쓰기 활동은 실생활과 관련된 쓰기 활동으로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양식을 제공한다면 영어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와 자신감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쓰기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3종의 교과서는 통제 쓰기 활동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유도 쓰기와 자유 쓰기 활동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영어 학습의 입문기인 초등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의사소통에 필요한 기초적인 표현을 연습할 수 있도록 통제 쓰기 활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학습자 인식 조사 결과 가장 쉽게 생각하고 가장 선호하는 활동으로 통제 쓰기 유형인 ‘베껴 쓰기’와 ‘재생’ 단계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학습자의 요구와 초등 영어의 수준을 고려하여 볼 때, 교과서 쓰기 활동에 통제 쓰기의 유형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수의 학습자들이 유도 쓰기와 자유 쓰기 활동을 어렵지만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꼽은 만큼, 교사는 학습자가 낱말이나 어구, 문장이나 예시 글을 따라 쓰는 것부터 시작하여 자신이 쓰고 싶은 내용을 써보는 유도 쓰기, 자유 쓰기 단계의 유의미한 쓰기 활동으로 확장하는 점진적인 쓰기 과정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쓰기 활동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 요소를 분석한 결과 3종의 교과서 모두 공통적으로 창의성 교육 요소와 관련한 쓰기 활동이 일부 제시되어 있었고 주로 유도 쓰기, 자유 쓰기 활동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학습자 설문 조사 결과 창의성 교육 요소가 포함된 쓰기 활동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창의성 교육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쓰기 활동보다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는 교과서 쓰기 활동을 통해 창의성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향후 개발·적용될 영어교과서는 초등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성을 발휘하고 함양할 수 있는 쓰기 활동을 제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 글루타민의 cytosolic phospholipase A2 억제에 의한 마우스 염증 질환 개선

        염지영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종양괴사인자 (tumor necrosis factor; TNF)-α는 주로 단핵구와 대식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다기능적인 사이토카인으로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의 주요한 조절자이다. TNF-α의 전염증성 특징은 효소 cytosolic phospholipase A2 (cPLA2)를 활성화하는 능력으로 보여진다. 비 필수 아미노산인 글루타민 (L-glutamine; Gln)은 MAPK phosphatase (MKP)-1 단백질의 빠른 생산을 통해 cPLA2를 탈인산화하여 불활성화 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글루타민이 cPLA2를 활성화하는 TNF-α의 활성을 억제하는지 그리고 TNF-α가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질병 모델인 자가 면역 콜라겐-유도 관절염과 dextran-sodium sulfate (DSS)-유도 대장염에서 글루타민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마우스에 TNF-α를 처리하였을 때 폐 조직에서 cPLA2가 빠르게 인산화 되었고, 글루타민 후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cPLA2 대사산물인 leukotriene (LT) B4 (5-lipoxygenase 대사산물)와 prostaglandin (PG) E2 (cyclooxygenase 대사산물)는 TNF-α를 주사한 마우스의 폐 조직에서 증가하였으며, 글루타민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또한 MH-S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활막세포 (RA-FLS)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도 in vivo 실험에서와 유사하게, 글루타민은 TNF-α에 의해 유도된 cPLA2의 인산화뿐만 아니라 cPLA2 생산을 억제하였다. MKP-1 siRNA나 triptolide는 in vivo, in vitro 모두에서 TNF-α에 의해 유도되는 cPLA2의 인산화뿐만 아니라 cPLA2 대사산물에 대한 글루타민의 효과를 억제하였다. TNF-α를 주사한 마우스에 p38 억제제인 SB202190의 전처리는 cPLA2 인산화, LTB4와 PGE2의 생산을 억제하였다. 글루타민의 구강 또는 복강 내 투여는 콜라겐-유도 관절염과 DSS-유도 대장염을 완화시켰다. 이러한 성적으로 글루타민이 TNF-α에 의한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 압전배면체를 이용한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대역폭 제어

        염지영 부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broadband characteristics of ultrasonic transducers has been reported by many researchers. Many of these studies have used the sound absorption and scattering effects by the backing layer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vibrator. These methods, which control the impedance and scattering effect of the backing layer with mixing the thermosetting resin and the metal particles, are required to be thick enough for the sound absorption effect. However, these methods are not suitable for the transducers needing thin thickness, such as insertion type ultrasonic diagnosis probes for human body. In this study, we propose a transducer with thin thickness and broadband characteristics using piezoelectric backing layer. The mechanical energy generated from the driving piezoelectric vibrator can be converted into the electrical energy by the direct piezoelectric effect in the piezoelectric backing layer and consumed and controlled by the electrical impedanc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terminals of the piezoelectric backing layer. In order to obtain the theoretical analysis method, a calculation method with the equivalent circuit was derived for the analysis of the input admittance and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transducer. As a result of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lectrical impedanc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terminals of the piezoelectric backing lay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ange of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 change was the largest when the electrical impedance was inductance. The ultrasonic transducer fabricate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analysis results has the thickness about three times as large as the driving piezoelectric vibrator. From the results of the input admittance characteristics, the frequency of the fundamental resonance mode was changed in range of 59%.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external impedance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terminals of piezoelectric backing layer, the optimum impedance range was obtained based on the optimization by the theoret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6 dB bandwidth of the fabricated transducer could be widened to about 55% by applying the optimized impedance. The suggested ultrasonic transducer with piezoelectric backing layer in this study could be expected to be applicable not only in the field of medical diagnosis but also in many ultrasonic industries such as nondestructive testing and underwat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염지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2년차 적용 시점에서 단위 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개발의 주요 경향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발견하며 그에 대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 시․군․면단위 102개 초등학교의 2012학년도 학교 교육과정, 1학년 교육과정, 3학년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의 중요 사항들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계획을 분석한 결과, 지역사회 및 학교, 학생의 특성에 맞게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계획을 재구성한 학교는 소수에 불과했으며, 대다수의 학교는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계획을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제시된 창의적 체험활동 내용을 그대로 재진술 하여 거의 모든 학교들의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계획이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에 따른 내용 및 시간배당은 학교별로 다르지만, 각 학교, 학년별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별 시간편성 유형, 영역 구성 방법, 모형 편성 방법이 매우 흡사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1학년, 3학년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계획을 분석한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도입 이후 각 학교에서는 이전의 교과외 활동 교육과정보다 다양하고 특색 있는 내용을 편성․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자율활동 중 행사활동 내용은 여전히 연례적이고 형식적인 일회성 행사로 편성․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 특색활동이 여전히 정보통신활용교육, 한자교육, 보건교육 프로그램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동아리활동은 대부분의 단위 학교 1, 3학년에서 학년제로 동아리를 구성하였으며, 학급별 동일 주제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리 활동 내용은 학술, 문화 예술, 스포츠 활동이 고른 비율로 편성․운영되고 있으나 실습 노작의 성격을 가지고 편성된 동아리 활동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나타났다. 봉사활동은 모든 학교에서 교내 봉사활동이 강조되는 반면,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대한 강조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봉사활동 내용이 지역, 학교, 학년별 특색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편성되기 보다는 자연환경 보호 활동만이 강조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진로활동은 초등학생 발단 단계에 적합한 자기 이해 활동과 진로 정보 탐색 활동이 높은 비율로 편성․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제시된 입학 초기 적응활동 운영 계획을 분석한 결과, 단위 학교에서는 학습자의 수준, 학교 및 지역 사회의 여건을 고려하여 입학 초기 적응활동의 수업 시수를 자율적, 탄력적으로 편성하고 있으나 내용면에서는 학교별 중점 편성 영역 및 총 시간수 대비 영역별 지도 시간 편성 비율이 비슷한 학교가 많은 것으로 보여 진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올바른 정착을 위하여 단위 학교에서는 자율성과 창의성을 발휘하여 각 학교별, 학년별로 좀 더 다양하고 특색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나이에 따른 전두엽 기능의 변화 : 인지기능의 변화를 중심으로

        염지영 한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두엽은 출생 이후 10대 후반까지 계속 발달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가장 먼저 그 기능이 퇴화한다. 본 연구는 전두엽의 다양한 기능들이 전 생애에 걸쳐 어떤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가를 인지 과제의 수행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6세 아동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과 9세 아동 30명(남자 13명, 여자 17명), 대학생 30명(남자 14명, 여자 16명), 50대 중년 27명(남자 10명, 여자 17명)및 70대 노인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전두엽 기능 중 집행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배외측 영역을 평가하는 7가지 검사, 내측 영역을 평가하는 1가지 검사 및 복측 영역을 평가하는 2가지 검사를 실시하였고 운동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3가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두엽의 배외측 영역에서 담당하는 주의집중능력, 작업기억능력, 언어 유창성, 시공간적 추론능력 및 개념형성 능력은 아동기에서 대학생 시기까지 점차 향상되나 그 이후로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저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같은 배외측 영역이 담당하는 분배적 주의집중능력(divided attention)은 6세부터 대학생까지 수행이 증가하여 중년까지 지속되다가 50대 이후로 노인이 되면서 점차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시각적 자극을 분석하고 구성하는 능력과 규칙을 학습하고 행동을 계획하며 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기능들은 6세와 9세 아동기 사이에 향상된 후 대학생시기와 중년기까지 유지되다가 그 이후가 되어서야 저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동화된 반응을 억제하고 융통성 있게 적절한 반응을 선택하는 전두엽의 내측 영역의 기능은 배외측 영역의 일부 기능처럼 아동기부터 대학생 시기까지 향상되었고, 대학생 이후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저하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반면 충동을 억제하는 능력과 정서에 입각한 의사 결정 능력을 담당하는 복측 영역의 기능은 대학생시기가 되어야 비로소 본격적으로 발달하고 중년기까지는 그 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이후로 저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운동 능력 중에서 정교하고 빠르게 손을 움직이는 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하여 대학생 시기에 최고조에 이른 후 중년까지 유지되다가 노인이 되면서 퇴화하는 반면, 손의 힘은 대학생 시기에 최고조에 이른 뒤 노인이 될때까지도 변화하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나이에 따른 배외측 영역 검사들 간의 상호관련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6세 아동기에서부터 대학생시기까지에는 일부 검사들 간의 상관관계만이 발견되었으나, 중년기와 노년기에서는 검사들 간의 상관관계가 2배 이상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검사들간의 상관관계가 나이에 따라 증가한다는 사실은 특정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신경기제가 노화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고 다른 신경기제의 도움을 받는다는 탈분화 가설(dedifferentiation hypothesis; Lindenberger & Baltes, 1994)을 지지한다. 본 연구 결과는 전두엽이 담당하는 인지기능들이 그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하위영역별로 각각 다른 발달경로를 거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그러나 같은 배외측영역이 담당하는 인지기능들 중에서 다른 발달 경로를 지닌 세 종류의 인지기능들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기존의 하위영역 분류에서 더 나아간 좀 더 세부적인 전두엽 영역의 분류가 전두엽의 인지기능 연구를 위해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frontal lobes begin to develop after birth until the late teens. With aging, however, it is the first to degenerate among all the cortical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cognitive functions in the frontal lobes change across the lifespan. The subjects were 60 aged 6 (15 males, 15 females) and aged 9 (13 males, 17 females) children, 30 college students (14 males, 16 females), 27 middle-aged adults (10 males, 17 females), and 30 older adults (15 males, 15 females). They were given seven dorsolateral prefrontal area, one medial frontal area, and two ventral prefrontal area tests to evaluate executive functions of the frontal lobes. In addition, three motor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motor functions of the frontal lobes. The results for the tests were as follows. In dorsolateral prefrontal area, five abilities (attention, working memory, verbal fluency, visuospatial reasoning, and concept formation abilities) were found to improve from childhood until early adulthood only, and henceforth gradually declined with the age. The development of the divided attention ability was similar with that of the above abtlities, except that the aptitude sustained until middle adulthood before it started to degenerate. Visuoconstructive function, deducing rules, planning of behavior to attain the goal, and self-monitoring abilities, on the other hand, only enriched during the childhood and maintained until middle adulthood before they also began to deteriorate. The medial frontal area, which serves the automatized responses and select more appropriate responses abilities, improved from childhood to early adulthood and then declined gradually with the age. The capabilities of ventral prefrontal area, which are the impulse control and the emotion-based decision making, enhanced starting early adulthood but declined after middle adulthood. For the motor functions, it was found that the fast and dextrous manual movements developed with the age and reached its peak at the early adulthood. It then slowly deteriorated after middle adulthood. However, the hand strength reached its peak during early adulthood and did not change until late adulthood. The correlations among the tests for the dorsolateral prefrontal areas showed different features according to the age groups, In other words,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tests were found for the subjects in the childhood and early adulthood. However, they doubled for the middle and late adulthood. This age-related increase in correlations across tests reflect an age-related difficulty in engaging specialized neural mechanism,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dedifferentiation hypothesis (Lindenberger & Baltes, 199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gnitive functions in the frontal lobes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trends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the frontal lobes that serve the specific cognitive functions. However, among the cognitive functions that the dorsolateral prefrontal area serves, three types of cognitive functions which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trends were found. This suggests that the new areas classification of frontal lobes which has more details than the previous subarea classification is needed to study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frontal lobes.|

      • 梁山 新興寺 大光殿에 관한 考察 : 建築計劃과 佛像 및 壁書를 중심으로

        염지영 동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Buddhist architecture is to enhance the authorities of Buddhism and loyalties of Buddhists. That is, a Buddhist hall built in a temple is not only a place for salvation of all living things by forming the Buddhist pure land but also a place for buddhist service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Buddhist halls have been built in harmony with Buddha statues and Buddhist paintings for the Buddhist service. In the above context, Deaguanggeon(大光殿,the Vairocana hall) of the Shinhung—sa(新興寺) Temple in Yangsan(Treasure No. 1120) can be an adequate object in order to research on correlations of the Buddhist halls, the Buddha statues and the Buddhist paintings in that the hall was obviously built in 1657, and that possibly created simultaneously around the construction of the hall, the Buddha statue and the Buddhist wall paintings have been well preserved. However, a few uncleared questions still make it difficult to believe that the architectural plan for the Vairocana hall at the Sinhung-sa actually reflected a plan for creating the current Buddha statue and the Buddhist wall paintings. First, the screens of both the east and west inner wall paintings, also speculated to have been created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Vairocana hall, are divided by Joongbang(中防,structure member lying across between columns in wooden buildings). Second, as in each of the east and west inner wall paintings are Buddha Bhaisajyaguru and Buddha Amitabha, it is assumed for them to have consisted of Samsebul(三世佛, Buddhas of the three Buddhist pure lands) with the currently inexistent wall painting on Hubulbeok(後不壁, the behind wall of the main hall without regard for the main Buddha of main hall). In addition, the Buddha statue, probably enshrined around the same era, is not Samsebul but the Buddha Triad. Third, the scale of the statue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at of the roomy Buddhist hall. Finally, when viewed through the Buddha statue and wall paintings, the Buddhist hall would be named rather Daewoongeon(大雄殿, the Shakyamuni hall) than the Vairocana hall. Keeping these questions in mi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uch facts as how the plan for building the Buddha statue and the Buddhist wall paintings was reflected in the architectural plan for the Vairocana hall of the Sinhung-sa, and when or how the current Buddha statue and the Buddhist wall paintings were actually created and enshrined in the hall if there were some contradictions between the current ones and the plan. This study comes to conclusions as follows: In the chapter II (the Analysis of the Chronicle and Related Records), through finding out new resources, this study discovered the facts that the Vairocana hall of the Sinhung-sa had been partly ruined, and that the original Buddha statue had been damaged and destroyed. That is, the current Buddha statue, known so far to have been built shortly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hall, was moved from another temple. Also, from the analysis of Sangrangki(上樑記, records of construction)and Joongsuki(中修記, records of repairs),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the classes of patrons and the groups of merchants. In the paragraph 1 of chapter III (the Architectural Plan for Enshrining the Buddha Statue),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on Buddhist halls and Buddha statues from the Chosun Dynasty to estimate the scale of the original Buddha statue in the Vairocana hall of the Sinhung-sa. Through this, it is estimated that the total height of the original Buddha statue used to be at least over 2 meters tall. In the paragraph 2 of chapter Ⅲ (The Architectural Plan for Creating Wall Paintings), this study compared the Vairocana hall at the Sinhung—sa with Buddhist halls from Chosun Dynasty whose wall paintings for worship have still remained. In short, it was nearly likely to be planned to draw the Buddhist wall paintings on the other side of Hubulbeok when the hall was constructed. Meanwhile, creating the side wall paintings had nothing to do with the architectural plan. In the paragraph 1 of chapter IV(Features and Chronologies of the Buddha statue), through the stylistic chronologies, the current Buddha statue is believed to have been created in around 1680 by an artisan named Seong Ho(勝湖, 勝浩, 勝葫). In the paragraph 2 of chapter IV (Features and Chronologies of the Buddhist Wall Paintings), through the stylistic analysi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ide wall paintings were created in around 1801, and that the wall painting on the other side of Hubulbeok was painted in betwee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In particular, through the iconographical analysis of Samguaneumdo(三觀音圖, the wall painting of three Avalokitesvaras) on the other side of Hubulbeok.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iconography of the left Avalokitesvara considered as Alam Guaneum(魚籃觀音,the Avalokitesvara holing a fish tray) had been probably derived from that of Namhea Guaneum(南海觀音, the Avalokitesvara of the South Sea) of Samjaedohwoe(三才圖會). In the chapter V (the question of the name 'Deaguanggeori'), this study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ree Buddhas, achieved by the original Buddha statue and the side wall paintings, in the traditions of enshrining the three Buddhas from the Chosun Dynasty. Also, through such as patterns of reconstruction projects in the 17th century, philosophical tendencies of Sung Sun, an artisan leading the construction of the Vairocana hall, and the iconography of the upper wall paintings of Neamokdori(內目道理, structure member lying horizontally long below rafters),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main Buddha of the Vairocana hall is nearly likely to be a Buddha Vairocana. Shortly, The name Vairocana is probably not a wrong name of the Shakyamuni hall but the original and correct name for the Buddhist hall of the Sinhung-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