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미술에 나타난 장식적 요소와 상징성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안종찬 목원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thesis is concentrated on my works arts exhibited at Taejon culture center from Oct 18 to Oct 23, 1992.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y works as decorational and symbolic elements. And I compared western art history basis with the features of my works. Although decorational and symbolic elements have had many different standards and interpretations age after age, they have correlation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Since 1970s in art history, there came out pattern painting introduced decoration against doubt in Modernism. New Expressionism and Transabantgarde changed into post Modernism. Post Modernism in concerned about purity in Modernism, external nature of paintings against nature, impurity. In my analysis, I treated decorational elements as Art Nouveau on Aesthestic Movement in Britain and analyzed symbolic elements with P. Gauguin, E. Bernard and other artists in the late 19th century. Anselm Kieffer, Transavantferde and other artists in New Exoressionism. I had been inspired the materials of my works in old architecture, grave, decoration on pillars of Korean classical decoration. So I had expressed the materials selected on my works. The expressed materials in this way have same symbolic characteristics. Or they have no meaning. And also I tried to study another possibility of paintings by showing old materials and modern images together on my works.

      • COVID-19에 따른 대학교 기숙사 거주자의 인식 및 행태변화 연구

        안종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0년 세계는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선포한 팬데믹(Pandemic)상황을 맞이하였고, 이는 대학교 기숙사 거주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한편, 대학교 기숙사는 여러 지역 출신의 학생들이 모여서 생활하는 공동주택으로서 서로 다른 생활(행태)패턴과 과밀화된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서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이나 침입 절도 및 성범죄와 같은 심각한 문제에 대응을 위한 대책들, 특히 건축적 관점의 예방 또는 피해 최소화 방안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것 또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환경(물리적)특성, 생활(행태)특성, 안전(범죄)특성 등에 대한 조사지표를 도출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COVID-19 확산에 따라 변화된 대학교 기숙사 거주자(학생)의 인식과 행태의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대학교 기숙사 건축계획에 필요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첫째, 환경(물리적) 측면에서 COVID-19 이후 만족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인실을 혼자 사용하고 있는 것이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주었고, 기숙사 환경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주 이용하는 공간 및 실의 좁은 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이후 일부 학습공간과 운동공간을 폐쇄하였으나,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행태(심리) 측면에서 COVID-19 이전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시간대는 야간 및 심야(24시-09시)시간에 생활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및 각종 캠퍼스 활동으로 기숙사를 비우는 시간이 많고, 야간에 귀가해 잠을 자기 위한 공간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VID-19 이후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시간대는 균등하게 나타났다. 이는 COVID-19 이후 외부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감소하였고, 학습 및 취미생활을 하는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안전(범죄) 측면에서 COVID-19 이전 기숙사에서 인식하는 범죄 불안감은 2인 1실 사용에 따른 대물범죄와 침입절도 불안감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숙사에서 남성과 여성이 인식하는 대물범죄 불안감의 원인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성은 룸메이트에 대한 불신 여성은 외부출입문 보안장치 부족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기숙사에서 달라진 거주특성을 경험한 집단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이 확산되면서 기숙사 공간별 이용 빈도 및 만족도 변화를 분석하여 기초자료 및 근거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spread of COVID-19 in 2020, the world faced a pandemic situation proclaimed by the WHO, which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living environment of university dormitories. Meanwhile, as an apartment house where students from various regions live together, university dormitories have different kinds of problems, such as various kinds of life patterns(attitude) and overcrowde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reality is that damage prevention or damage minimization measures are not sufficiently discussed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including measures to deal with the infectious diseases like COVID-19, theft, and sexual crime. This research created survey indicators for environmental(physical) characteristics, life(attitude) characteristics, and safety(crime) characteristics through investigation of prior research, and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residents(students) in university dormitories changed by the spread of COVID-19 through a survey, and finally studied the implications for the university dormitory construction plan. First,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physical) increased after COVID-19. The biggest influence on this increase was the single use of a double room.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nvironmental satisfaction of the dormitory the most were frequently used and narrow spaces and rooms. The fact that some study and exercise spaces were closed after COVID-19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Second, in terms of attitude, prior to COVID-19, students used dormitories most during the night(20-09) because they did not use the dormitory a lot during the class and various campus activities, and used the dormitory to sleep at night. After COVID-19, time spent in dorms was equal throughout the day because external activities have decreased and time for learning and hobbies has increased. Third, in terms of safety(crime), prior to COVID-19, students felt a lot of anxiety about property crime and intrusion due to 2 people 1 room system. In particular, the targets of anxiety about property crime perceived by men and women in the dormitory were different. The man was anxious about his roommate, and the woman was anxious about the lack of security devices on the outside door. This research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nge by COVID-19 regarding use frequency and satisfaction by dormitory space as basic data by comparing and analyzing groups that experienced different living characteristics in the same dormitory.

      • 확률적 주파수 고정 루프를 이용한 기준 신호가 없는 서브 샘플링 기반 클록 및 데이터 복원 회로의 모델링

        안종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반도체 제조 공정과 유선 통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칩의 집적도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연산을 최소화시켜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거나 외부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최소화시켜서 칩 코스트를 줄이는 디자인 기술의 중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유선 통신에서 수신단으로 많이 사용되는 클록 및 데이터 복원 회로에서 기준 신호가 없는 타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기준 신호가 없는 타입은 오로지 데이터로만 클록을 복원시키기 때문에 주파수 루프와 위상 루프를 적절히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고정 루프는 확률적 방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기존에 연구되었던 구조 보다 디바이더의 단수를 줄여서 디자인의 복잡도와 락(Lock) 타임을 줄였다. 또한 위상 고정 루프는 클록 및 데이터 복원 회로의 데이터 트랜지션을 파악하기 위해 링 카운터를 통해 샘플링 횟수를 증가시켜 서브 샘플링 방식을 구현하여 지터를 최소화하였다. 제안된 모델링은 Verilog-A를 이용하여 모델링 되었고 rms 지터는 763fs이며 peak-to-peak 지터는 3.59ps이다. 주파수 루프의 경우 0.6us의 락 타임을 가진다. 이는 Bang-Bang type의 위상감지기와 비교하여 rms 지터는 40%의 향상이 있었고 peak-to-peak 지터의 경우 65%의 향상이 이뤄졌다. 또한 10의 Dividing factor를 사용했을 때에 비하여 락 타임은 78% 향상되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processes and wired communication, the importance of chip integration is increasing. For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design technology that reduces the load of the system by minimizing operations or reduces chip costs by minimizing signals used outside is increasing. Therefore, research on types without reference signals in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s, which are often used as receiver in wired communicati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t is important to properly configure frequency loop and phase loop because types without reference signal restore clock only with data. In this paper, the frequency fixed loop is based on a stochastic method, and the number of dividers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ly studied structure, reducing the complexity and lock time of the design. In addition, the phase-locked loop minimizes jitter by implementing a sub-sampling schem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amplings through the ring counter to detect the data transition of the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The proposed modeling was modeled using Verilog-A with an rms jitter of 763fs and a peak-to-peak jitter of 3.59ps. In the case of a frequency loop, it has a lock time of 0.6us. Compared to the phase detector of the bang-bang type, the rms jitter improved by 40 %, and the peak-to-peak jitter improved by 65%. In addition, compared to the use of the 10 dividing factor, the lock time was improved by 78%

      • 양빈에 의한 해빈안정화 연구

        안종찬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육지와 바다의 경계에 위치한 해안(beach)은 다양한 역할을 한다. 첫 번째로 방호의 역할을 들 수 있다. 태풍내습시 또는 고파랑 내습시 먼 다바에서 부터 발달된 파랑은 해안으로 접근할수록 그 규모가 증가되는데 해안을 이루고 있는 모래는 파랑에너지를 분산시키며 배후지역을 보호한다. 해안의 모래는 파랑활동으로부터 완충작용을 하며 자연재해로부터 보호해 주지만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 모래의 유실 및 이에 기인된 해안침식은 파의 처오름 높이의 증가와 해안저지대의 침수를 유발하며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킨다. 두 번째로 자정작용의 역할을 들 수 있다. 2000년대 후반에 발생된 기름유출사고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해안에는 수많은 해양오염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양쓰레기도 조류 및 파도에 의해 해안가로 이동되며 동식물들의 사체를 비롯하여 각종 오염물질이 해안가에 쌓이게 되는데 기름, 페놀등의 악성 오염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정화되는 것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해안의 난개발 및 해양환경을 파괴하는 행위는 자정작용을 하는 다양한 미생물 및 생물종을 파괴하는 것과 동일하며 이러한 생물들을 대신해서 해안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결과에서도 많은 부작용이 발생 될 가능성이 있다. 세 번째로는 경제적 활용의 가치이다. 우리나라의 해안은 대부분 국가 소유이며 수많은 사람들이 이를 이용하기 위해 해안을 찾는다. 특히 해안은 바다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예전부터 휴양 및 레저, 관광의 목적을 가지며 아름다운 경치로 이하여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는 주요 자원이다. 해외의 선진국들의 경우 해안에 주로 도시가 건설되며 많은 인프라 및 시설들이 설치된다. 사람들이 밀집될수록 이와 관련된 분야가 생기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해안을 중심으로 발달된 도시들을 볼 수 있다. 오직 레크레이션의 목적으로만 보더라도 관광객들이 모일수록 숙박 및 상가시설이 들어서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사업시설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 활발한 경제활동을 발생시키며 지역 및 사회전체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된다. 이외에도 국토보전의 역할을 하는데 해안의 면적감소는 국토면적의 감소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해안전면에 형성된 양식장 및 어장은 중요한 식량자원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아울러, 해안전면에는 많은 자원들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그 가치를 평가하기에는 불가능하다. 이처럼 우리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갖는 해안은 경제성장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파괴되고 있다. 과거 계절적 영향 또는 태풍 등의 영향으로 침·퇴적이 반복되어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황에 반해 인구의 밀집으로 인한 해안도로의 건설등 해빈폭의 감소는 충분한 파랑의 에너지를 소산시키지 못하고 해빈의 감소에 따른 침식현상과 해안도로의 파손으로 이어지는 현상이 나타고 있다. 또한 어항 및 항만시설들의 설치는 연안흐름 패턴을 변화시키며 파랑집중 등으로 인하여 인근 해안에서는 과도한 침식과 퇴적이 발생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해안침식의 발생과 그에 대한 저감방안을 검토함으로써 안정한 해빈을 유지하여 다양한 해빈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조선 천주교회 신자들의 전례·기도생활 : 전례서와 기도서를 中心으로

        안종찬 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천주교회는 조선천주교회와 비교하여 양적 성장은 이루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 어려운 것이 현재 한국천주교회의 모습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한국천주교회가 질적 하락에 대한 우려를 겪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 그것은 아무래도, 신앙 선조들의 순교 정신에 깃들어 있는 꾸준하고 열심한 기도와 전례 생활에 대한 열의가 현재에는 부족하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앙의 선조인 조선천주교회 구성원들의 실제 전례와 기도생활에 영향을 준 기도서와 묵상 신심서의 역할을 밝혀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기도서와 전례, 묵상 신심서적들이 신자들의 전례와 기도생활에 주는 영향을 확인해 보는데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식에 따라, 본고는 서론을 통해 연구의 목적과 범위, 그리고 방법론을 밝힌다. 본론 1장에서는 첨례표를 중심으로 조선 천주교회 신자들의 기도시간에 관하여 조사하고, 전례공간에서는 당시 교회 공동체의 첨례 공간에 대해 설명한다. 2장에서는 당시 신자들의 기도생활에 도움을 준 천주교 서적에 대해서 신유박해에 대한 관변 측 기록인 『사학징의』에 기록되어 있는 책들을 중심으로, 기도서와 전례서, 신심서 위주로 그 저자와 구성과 내용 등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조선 교회 후기에 출판 된 기도서와 전례서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확인한다. 3장에서는 신앙생활의 모범적 증거를 보여준 순교 성인들의 신앙생활에 관하여 살펴본다. 조선천주교회 신유박해부터 정해박해까지의 순교 복자들의 기록 중에서 전례와 기도생활에 대해서 살펴본다. 4장에서는 당시 조선 천주교회 신자들이 신앙생활을 하면서 지켰을 규식과 경문의 절차에 관해 살펴본다. 당시 신자들은 한글로 필사된 다양한 교회서적들을 통하여 평신도로써 지켜야 할 의무와 교리지식을 익혔고, 성사생활과 기도생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관해서도 잘 이해하고 준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에 관한 기록이 거의 없기에 부득이 조선 후기의 규식과 절차를 기준으로 신자들의 삶을 유추해 본다. 5장에서는 전례 신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조선천주교회 신자 공동체를 살펴본다. 전례의 신학적 원리와 믿음과 생활, 그리고 기도라는 관계 속에서 조선 천주교회 신자들의 전례활동과 기도 생활을 살펴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첫째, 조선 천주교회 신자들이 일찍부터 첨례표에 근거한 전례력에 따른 주일과 축일을 지켰다는 사실이다. 둘째, 한글 서학서가 당시 신자들에게 천주교를 단지 학문 연구의 대상에서 확고한 천주 신앙의 믿음으로 옮겨가게 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셋째, 여성 신자들의 기록을 통해 교회 안에서 모든 사람이 동등한 존엄성을 누렸으며, 여성 신자에게도 교회 공동체 직무의 기회가 주어졌음을 볼 수 있다. 넷째, 조선 천주교회 신자들의 전례 · 기도생활은 교회 전례 정신의 기본인 ‘믿는 규범(Lex credendi)을 기도하고(Lex orandi), 기도한 바를 생활해야 한다(Lex vivendi)’는 가르침을 그대로 실천한 삶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확인한 신앙선조들의 전례와 기도생활을 토대로 하여 현재 한국 교회 신앙인들의 전례 · 기도생활을 성찰하고, 신앙생활에서 올바른 전례 참여와 기도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신자들의 실천적 삶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While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has grown quantitatively compared to Joseon Dynasty’s,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its laymen have grown qualitatively. Why are we concerned about its qualitative fall? The answer would be the shortage of passion on steady, fervent prayers and liturgy life dwelling in the spirit of martyrdom shown by faith ancestor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ole of the prayer books and the devotion books that influenced the actual prayers and liturgy, which consequently ascertain if there were influences of them upon laymen’s liturgy and prayers. In accordance with this purpose, this writing suggests its object, range, and methodology in the introduction. In Chapter 1 of the body, we investigate prayer time of the laymen of the Catholic Church in Joseon with feast calendar, and the then feast place as the place for liturgy. In Chapter 2, we investigate the prayer books, liturgy books and devotion books which are introduced in Sa-hak-jing-ui, the governmental record, and helped the prayers of laymen. In Chapter 3, we research martyred saints, who showed an exemplary life of the religious life, and the liturgy and the prayers, examining the records by blessed people, who martyred, during the persecution of 1801 to the persecution of 1827. In Chapter 4, we will examine the rules and the procedures of the prayer that the laymen would follow. We can notice that at that time, they learned the duty and the doctrine as a layman by many transcribed Catholic books, which helped them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Sacraments and prayers. However, because there are few records about it, we unavoidably infer based on the rules and the procedure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In Chapter 5, we investigate the Catholic community of Joseon, considered from the liturgy-theological perspective. We examine the theological principle of liturgy and the liturgy and the prayers of laymen at that time in the relationship of their belief, life and prayer We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laymen followed Sundays and feasts based on feast calendar. Second, the books of Western Learning written in Korean helped change people’s concept of Catholicism, from a study to a religion. Third, through the records by female believers, we see all the laymen respected one another’s dignity, so that women also had chances to contribute to the church community. Fourth, the liturgy and prayers of laymen in Joseon were based on “as we worship, so will we live...and as we worship, so will we become (Lex credendi, Lex orandi, Lex vivendi),” the essence of the church’s liturgy. Based on the liturgy and prayers of faith ancestors, drawn in this study, we help examine the liturgy and prayers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consequently make laymen cognize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f liturgy and prayers to improve their practical life.

      • 요부 심부근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안종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천시 남동구에 위치한 w요양병원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보존적 치료에 요부 심부근 안정화 운동을 병행한 운동방법이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8주간 주5회 총 40회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체간의 안정화능력척도는 몸통 손상 척도(Trunk Impairment Scale : TIS)를 사용하였으며, 동적 균형능력평가는 기능적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 Test : FRT), 이동성 능력평가는 일어나 걷기 검사(Time Up and Go test : TUG), 보행능력 평가는 시·공간적 보행 변수(Spatio-temporal gait variables)를 알아보았다. 모든 통계적 분석은 윈도우용 SPSS 18.0 (IBM, Chicago, IL, USA) 을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일반적 특성은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과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해 동질성을 검정하였고, Shapiro-wilk에 의한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중재에 따른 전‧후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해 분석하였고, 두 집단 사이의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 전·후 체간의 안정화 능력의 변화는 실험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또한 실험방법에 따른 두 집단 간 전·후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 한 결과 실험군에서 체간의 안정화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2. 운동 전·후 체간의 동적 균형능력의 변화는 실험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또한 실험방법에 따른 두 집단 간 전·후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 한 결과 실험군에서 체간의 동적 균형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3. 운동 전·후 체간의 이동성 능력의 변화는 실험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또한 실험방법에 따른 두 집단 간 전·후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 한 결과 실험군에서 체간의 이동성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운동 전·후 시·공간적 보행 변수에서 보고자 했던 보행속도, 분속수, 활보장, 환측 단하지지지율의 변화는 실험군, 대조군 양측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실험방법에 따른 두 집단 간 전·후 변화량의 차이를 비교 한 결과 실험군에서 보행속도, 분속수, 활보장, 환측 단하지지지율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부 심부근 안정화 운동이 체간의 안정화능력과 균형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보행능력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효과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요부 심부근 안정화 운동과 보행능력의 연관성 실험을 위해서는 보행 시에 체간근의 활성화 변화와 골반 패턴의 변화를 알아보고 체간 안정화 운동과 보행능력의 연관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주요단어: 균형, 뇌졸중, 보행, 요부 심부근 안정화 운동

      • 서어비스시스템의 有用性向上을 위한 OR技法適用에 관한 硏究

        안종찬 忠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1. Introduction The performance of a productivity system can be measured by three dimensions ; cost or price, availability (i.e., delivery time or waiting time), and quality. Cost and quality are significant for the production sector of a productivity system, and they have been improved constantly through standardization and automation from the era of industrial revolution. But in a service system,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3 dimensions is something different from that of a production system, Services, the outputs of a service system, can not be stocked like products which are the outputs of a production system. Accordingly, availability become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a service system, especially in case the service system has nonprofit characteristics where the cost and quality a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public benefits. There maybe 2 ways for improving the availability of a service system. If there is no limit of available manpower, the availability of a service system can be improved to the level where the sum of waiting cost and service cost is minimum. In most cases, however, a service system has many subsystems with limited available manpower, and decision maker must study for the efficient use of these manpower. OR method can be used as a effective tool for the optimal decision in a situation like this. That is, there are limited available manpower, and decision maker want to maximize the availability of the total system through optimum allocation of these manpower to subsystems. 2. Problem OR method can be used only when all variables that are related with the decision can be quantified. If a service system has j station (subsystem) and limited available manpower of m, and the decision maker want to maximize the availability of the total service system, the concept of waiting cost can be used as a measurement scale to quantify the availability of the service system. Yet the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waiting cost is not easy, because there are many variables that are related with the waiting cost. Those variables are, unit price of items, arrival characteristics of items, service time distributions, degrees of utilizations of items, and constants that convert unit price into unit time price. Moreover, if there are many kinds of items, a vast of data should be accumulated, and data processing becomes very complex. Queueing simulation method using computer can be applied to this kind of problem, and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dynamic programming to get the optimal allocation of limited manpower to station. Consequently, queueing simulation and dynamic programming should be conbined and used for this kind of problem. 3. OR Method Under the adequate assumption that do not deteriorate the fidelity beyond the acceptable limit, OR model can be built for the optimum decision. TE (W) ; the total waiting cost of the system E(W_i) ; the waiting cost of station i W_i ; the manpower of station i m ; total available manpower of the system By applying dynamic programming, we can get the solution of optimal allocation of manpower. 4. Case study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to show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model and technique developed above. The calibration service system of “A” Research Institute has 12 subsystem (station) and 35 available manpower. The OR model was applied to the system, and to derive the solution, 3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and PRIME 750 computer was used. The result shows that the total waiting cost can be reduced about 36% by adopting the model. 5. Conclusion Through case study, it is proved that the model and technique developed in this study has very significant meaning, But there are some 1imitations such as following in applying this study to general use, If P_jk denotes the wait time of each item and C_jk denotes the unit time price of each item, then the waiting cost of each station is ; E(W₁)=C_11P_11 + C_12P_12 + ...... C_1nP_1n E(W₂)=C_21P_21 + C_22P_22 + ..... C_2kP_2k . . . . . . E(W_j)=C_j1P_j1 + C_j2P_j2 + ......C_jmP_jm P_jk can be calculated by using queueing simulation technique, and C_jk can be derived from predetermined table. The objective is to minimize the total waiting cost of the system, then the objective function is, Minimize TE (W) = □ E (W_i) under constraint of, □ W_i=m W_i≥1 where, 1) The correlationship between service availability and waiting cost is not validated clearly. 2) The use of the model can have validity only when a vast of data is accumulated, because the waiting cost has many related variables. 3) The assumption of the model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the system that is to be studied.

      • 금융기관의 위험탐지모형 신뢰성 검증및 활용방안

        안종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빈번한 금융사고로 인하여, 사고 및 부실발생에 대한 위험징후를 조기탐지 하기 위하여 통계적 분석기법을 도입한 위험징후탐지 모형 구축이 금융권에서는 가장 필요한 요구사항이 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위험탐지 모형을 구축 하려할 때 사고데이터의 빈곤으로 데이터 중심의 모형, 즉 마이닝 툴을 이용한 모형을 구축하기 어렵게 되어있는 것이 현실이다. 데이터의 빈곤으로 인하여 전문가 방식의 위험탐지모형을 구축하고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전문가의 주관적인 지식의 모형으로 어느 정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갖는지 신뢰성 검증을 하여 전문가 방식의 위험탐지모형의 객관성을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려는 사람에게 지침이 되고저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전문가방식의 위험탐지모형의 구축방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이를 바탕으로 모형의 변수와 평점표를 도출하고, 위험탐지모형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선정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한 후,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비교 분석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위험탐지 모형변수를 샘플링 하여 추출한 후 평점표를 사고데이터와 정상데이터에 반영한 후 정선된 100개의 사고데이터와 70개의 정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사고데이터의 변수를 통계화하여 사고의 유형을 알아보려고 노력하였으며 위험탐지모형의 모형을 전문가방식, 마이닝방식, 전문가방식이 접목된 위험탐지모형 유형별로 모형별 장단점을 살펴보았고, 단계적으로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위험탐지모형의 활용방안에 지침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With frequent financial accidents, the financial arena has recently tried to establish the fraud-detection-model, which uses the statistic analysis method. Yet, it has been realistically difficult to set up the data-centered-model using mining tool, because of lack of financial accident data. Some have relied on the fraud-detection-model of expert system, but its accuracy and reliability are pretty much doubtful. So, this paper has aimed to examine the objectivity of the fraud-detection-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urpose, the paper has made variables and average scores, based on analyzing the previous studies. The paper has continued to provide both model and hypothesis to test reliability of the fraud-detection-model of expert system by choosing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n so doing, the paper has analyzed 100 financial accident data and 70 normal data in particular to test reliability, after considering average scores obtained by sampling variables of the fraud-detection-model . The paper has made efforts to classify types of finance accident by sorting out variables of those accidents. In addition, the paper has systematically provided the useful guidelines for fraud-detection-model at the same time reviewing merits and demerits of the expert system, the mining model, and the fraud-detection-model of exper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