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工員名票』을 통해 본 戰時體制期 舊日本陸軍造兵廠의 조선인 군속동원

        심재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6

        ‘만주사변’(1931)과 중일전쟁(1937)으로 진행되던 일제의 침략전쟁은 진주만 공습’(1941년 12월 7일)을 통해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으로까지 확대되었다. 전역의 확대는 일제의 전쟁 수행능력을 초과하는 것이었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중일전쟁 시기부터 진행된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강제동원을 보다 확대ㆍ강화하였다. 이로 인해 연인원 약 200만 명에 이르는 조선인들이 노무자, 군인ㆍ군속, 위안부 등의 형태로 일제의 전쟁 수행에 투입되었다. 식민통치 말기 자행된 조선인에 대한 강제동원은 일제 식민통치의 기만적인 성격을 보여준다는 점과, 피해당사자의 삶 뿐만 아니라 그 가족의 삶을 굴절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현재까지도 한국 사회의 치유되지 않는 상처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제의 강제동원에 대한 실태 파악의 일환으로써 1990년대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인계한 명부들 중 일부(『工員名票』)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약 48만 명 분에 해당되는 명부 자료들이 존재하고, 이 자료들은 동원 주체가 작성하였다는 점에서 강제동원의 전반적인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들 자료에 대한 분석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들 자료 중 『工員名票』 내의 「工員名票」와 「工員名簿」의 분석을 통하여 구일본육군조병창의 조선인 군속工員 동원의 현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육군조병창은 일본 육군에서 사용되는 각종 병기를 생산하는 기관으로서, 이 자료들에 수록된 일본육군조병창은 사가미相模육군조병창과 나고야名古屋육군조병창 및 그 산하의 다카기鷹來제조소 등이다. 사가미육군조병창 명표는 약 552명의 조선인을 등재하고 있으며, 1944년 11월 18일과 1945년 3월 6일에 각각 충북과 경북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동원하는 양상이 파악된다. 한편으로 여성노무동원(조선여자근로정신대)이 군속동원으로 전환되는 양상도 파악된다. 나고야육군조병창의 경우 ‘명부’의 형태로 다카기제조소는 ‘명표’의 형태로 등재되어 있다. 나고야육군조병창 명부의 경우 125명이 등재되어 있는데, 원본이 아닌 가공의 흔적을 보이고 있다. 이들 역시 1945년 3월 15일 경기도 김포군과 안성군에서 집단적으로 동원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총 79명이 등재된 다카기 제조소의 경우도 1945년 3월 11일 경기도 수원군에서 집단적으로 동원되었음이 확인된다. 또한 사가미육군조병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성노무동원의 군속동원 전환 양상도 확인된다. 이들은 육군조병창 내에서 仕上工, 工手, 鍛工, 鑄工, 旋工, 運搬工, 筆生, 縫工, 壓伸工, 雜種工 등의 다양한 직종에 투입되었다. 현재 이들이 투입된 부서의 성격은 자료상의 한계로 인하여 정확하게 파악되지는 않는다. 한편 이 「工員名票」와 「工員名簿」에 등재된 인원이 각각의 조병창 및 제조소로 동원된 조선인 전체를 기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는다. 일본측 자료를 통해 확인되는 조선인 수가 이 자료들에 수록된 조선인 수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 정부가 1990년대 제공한 자료들이 불완전한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추가적인 자료의 확보가 요구되어진다. 본고에서 수행한 분석은 일본 정부가 1990년대 제공한 자료에 수록된 전체 48만명 분 중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현재 이 자료들에 대한 DB는 국가기록원에 ... Following aggressive wars, such as the Manchurian Incident(1931) and the Sino-Japanese War(1937), the Empire of Japan’s invasion has been expanded on the Asian and Pacific area the through the Attack on Pearl Harbor in 1941. The expansion of warfare went over the Japan’s capacity to do battle, so they reinforced and enlarged the Mobilization on the Chosense which has been going from the Sino-Japanese War. About 2million Chosenese people went into the Japanese imperial wars, as soldiers, laborers, civilian workers in military(軍屬) and comfort women(慰安婦). The Japanese mobilization on the Chosenese people destroyed the life of victims and their family, and left the Korean society indelible wounds. It is also important that it shows us the deceitfulnes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1990’s, the Japanese government handed over the documents which contain the 480 thousands person’s list as a cop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se documents to survey the Japanese Mobilization, because it made by Japanese themselv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is subject. As a part of actual condition survey of Imperial Japan’s forced mobilizat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List of Factory-hand Card(『工員名票』). Especially, it investigates the aspects of the Mobilization of Chosenese Civilian Workers in Military(軍屬) in the Japanese Army Arsenal. Japanese Army Arsenal(日本陸軍造兵廠) was a place where various arms and ammunition were made for the Japanese Army and made up of several arsenals(造兵廠) and factories(製造所). Among them, Sagami Army Arsenal(相模陸軍造兵廠) and the Nagoya Army Arsenal(名古屋陸軍造兵廠) which conatained the Takaki Factory(鷹來製造所) have recorded mobilized Chosenese in the List of Factory-hand Card(『工員名票』). In the Card of Sagami Arsenal(相模造兵廠名票), 552 Chosenese are registered. They were mobilized colletively at the Chungcheongbuk-do(忠淸北道) on 18th of November in 1944 and the Gyeongsangbuk-do(慶尙北道) on 6th of May in 1945. It was typical mobilize a mass of people at the certain region and the certain time on the Japanese Mobilization. Also it shows that the some famale laborers have been switched to Civilian Workers in Military(軍屬). There are 125 registered Chosenese in the List of Nagoya Arsenal(名古屋造兵廠名簿). They were mobilized colletively at the Gyeonggi-do(京畿道 安城郡, 金浦郡) on 15th of May in 1945. The List of Nagoya Arsenal looks manipulated, so there is a possibility of existence of the original documents. These kinds of aspects were also shown up in the card of Takaki Factory(鷹來製造所名票). Meanwhile, it is believed that there are more mobilized Chosenese than those in the List of the Factory-Hand Card(『工員名票』), because there are other documents which were made by Japanese Army Arsenal, showing that more Chosenese people were mobilized on that facilities. It means that the materials which were giv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were incomplete. This article analyzes only 700s people who were mobilized to the Japanese Army Arsenal. It is only a tip of the iceberg. For the survey a big picture of Japanese Mobilization, it is required to enter the whole data of 480 thousands Chosenese people which were giv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1990’s.

      • KCI등재

        전시체제기 시바우라(芝浦)海軍施設補給部의 조선인 군속 동원

        심재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7

        전시체제기에 일본이 자행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에서, 동원의 주체였던 일본 정부 및 기업이 작성한 ‘명부자료’를 분석ㆍ연구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구체적인 동원 실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일본 해군으로 강제동원된 조선인 약 7만9천 명의 기록으로 이루어진 「舊日本海軍 朝鮮人 軍屬 關聯 資料(2009)」(이하 「해군군속자료(2009)」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바우라해군시설보급부(이하 시바우라보급부)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국제조약의 제약이 사라진 1937년부터 일본은 미국과의 주된 전투지역으로 상정한, 이른바 ‘남양군도’라 부른 서부 태평양 지역에 대한 군사시설의 구축을 강화하였다. 해군 주도로 진행되던 공사는, 보다 신속한 시설 확충을 위해 1940년 12월, 이를 전담하는 부서로써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제4함대 산하에 第4特設海軍施設部(이하 제4시설부)를 설립했다. 시바우라보급부는 제4시설부의 인력과 자재를 공급하는 후방 지원업무를 담당하던 부서가 1943년 4월 확대ㆍ개편된 것이었다. 시바우라보급부는 최초 설립 목적과는 달리, 제4시설부 외에도 第8特設海軍建設部와 다수의 特設海軍設營隊 등의 여러 부대ㆍ부서의 인력과 자재의 공급을 담당하였다. 즉 전체 서부 태평양 지역의 공사에 필요한 인력의 공급을 담당한 부서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 지역으로의 조선인 군속 투입에는 시바우라보급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파악된다. 「해군군속자료(2009)」에서 ‘소속’이 시바우라보급부로 확인되는 인원은 약 9천5백 명에 이른다. 이는 해당 자료에서 확인되는 약 44종 197개의 부대ㆍ부서 중, 단일 부대로써는 가장 많은 수이다. 제4시설부에 투입된 약 4천 3백 명을 합친, 총 1만 3천 8백 여 명의 동원 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은 태평양전쟁 이전부터 일본이 이미 점유하고 있던 ‘南洋群島’ 지역은 물론이고, 길버트ㆍ비스마르크ㆍ솔로몬 제도 및 웨이크 등 새로이 침략ㆍ점령한 지역에까지 투입되었다. 한편 1944년 중반 이후부터는 주로 도쿄와 같은 일본 지역에만 투입되었다. 둘째, 이들의 투입시기는 1941년 2월부터 확인되며, 1942년 약 6천 명, 1943년과 1944년 각각 약 2천 8백 명씩이 서부 태평양 지역으로 투입되었다. 언제부터 조선인 군속들이 해당 지역으로 투입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진주만 기습 이전부터 투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들의 출신 지역은 13개 도, 241개 府ㆍ郡에 분포하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동원되었지만, 전남에서 가장 많은 수가 동원되었고, 전북, 경북, 경기, 강원 등지에서도 다수의 인원이 동원되었다. 이때 郡을 단위로 특정 시기에 특정 지역에서 동원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시바우라보급보와 제4시설부 소속으로 각 지역에 투입된 조선인들은 전체 인원의 약 30%에 달하는 약 4천1백 명이 사망하였다. 이들의 사망 형태는 투입 지역의 전투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미군의 지상 공격으로 점령당한 ‘전멸 지역’의 경우 미군과의 직접적인 전투로 사망하는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미군이 우회ㆍ진격함으로써 고립된 ‘고립 지역’의 경우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 높은 비율을 나타낸다. 한편 이동하기 위해 승선한 선박이 미군의 공격으로 침몰함으로써 사망한 경우도 다수에 이른다. In the study on the compulsory mobilization committed by Japan during the Asia-Pacific War, analyzing and examining the list information written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businesses, the two main players that played a principal role in the mobilization is crucial. This is because such examination can provide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actual conditions of mobilization. To that end, this paper sheds light on what actually occurred at the Shibaura Naval Engineering Supply Offic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hibaura Supply Office). The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s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analyzing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2009)”(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2009)) which is composed of the records of 79,000 Koreans who were forcefully mobilized to the Japanese Navy. Starting in 1937, when the restrictions imposed by an international treaty were lifted, Japan reinforced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facilitie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the so-called “South Sea Islands.” This region was proposed as a main battlefield against the U.S. In December 1940, the navy, leading the construction efforts for a faster expansion of facilities, founded the Fourth Specially Established Naval Civil Engineering Offic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as a department in charge. At that time,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was under the Fourth Fleet, which had jurisdiction over the region. The Shibaura Supply Office was an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department that used to be responsible for supplying labor and resources for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on the home front in April 1943. However, the Shibaura Supply Office, apart from its initial purpose, had to provide manpower and resources not only to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but also to many other military units and departments including the Eighth Specially Established Naval Civil Engineering Office and a number of specially established naval civil engineering offices. In other words, it was the supply office in charge of providing manpower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projects taking place across the entire Western Pacific Region. In this regar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hibaura Supply Office played a pivotal role in assigning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to this area. According to the "Document of the Korean Employee (2009)", the confirmed number of Korean civilians 'belonging to' the Shibaura Supply Office reached approximately 9,500. This is the largest number for a single military unit among the 44 types of 197 military units and departments, which have been confirmed in the relevant documen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obilization of a total of 13,800 Korean employees, including 43,000 deployed to the Fourth Engineering Office, are as follows: First, even before the Pacific War, they were deployed not only to the South Sea Islands, which Japan had already taken over, but also to the Gilbert Islands-Bismarck Archipelago-Solomon Islands as well as Wake Island, the islands that Japan had invaded and gained control over. However, after mid-1944, Korean civilians were assigned only to the regions within Japan, such as Tokyo. Secondly, the time they were first deployed has been confirmed to February 1941: some 6,000 were deployed in 1942 and around 2,800 each in 1943 and 1944 to the Western Pacific Region. Although the exact dates they were first transported to the areas concerned is not clear, it can be confirmed that Koreans were in place even before the attack on Pearl Harbor. Thirdly, the areas where Korean civilians came from included 241 Urban Prefectures and Counties across 13 Provinces; however,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were from Jeollanam-do Province. It appears that people were mobilized from certain ares - by County - at specific times. It can be also concluded that the time of mobilization ...

      • KCI등재

        김유정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 연구

        심재욱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8 No.-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politics of Kim Yu-Jeong’s Literature can be consistently grasped in terms of its aesthetic artistry and political artistry as it approaches through the politics of literature created by Jacques Rancière. Kim criticized Artistic arts and at the same time did not agree with Proletariat Literature. Instead, Kim’s Literature dominated by democratic literature, becomes a place of self-expression by numerous individuals such as deulbyeongi and wandering peasant. As a result, it yields a excess of words breakaway from norms and grades in represented object, themes and styles. At the same time, it tries to construct a social subject that mediates 'Jeong' against words of deulbyeongi and wandering peasant. Kim’s Literature reflected the truth of life, the disorder of the world and the democratic state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new change of the world, but at the same time, it did not escape the situation of the colonial Korea in the 1930s. Kim's ‘Jeong’ is the ethics required to restore the rural communities of the colonial Korea. However, the ethics of 'Jeong' again brings about the distinction and grade of important and insignificant things around the community, and treats any desire as impermanent. In short, Kim’s literature is aesthetic as well as political. But the politics does not absolutely carry out 'Aesthetic politics' that makes every individual feel and emancipate as an equal being. 본 논문은 김유정 문학의 정치성은 자크 랑시에르가 창안한 문학의 정치 개 념을 통해 접근할 때 그 미학적 예술성과 정치적 예술성의 면모가 일관성 있게 파악될 수 있다고 보았다. 김유정은 예술을 위한 예술을 비판했으며, 동시에 계급문학에도 동조하지 않았다. 대신 민주적 문학성에 지배된 김유정 문학은 들병이와 유랑민 등 수많 은 개별자들의 자기표현의 장이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재현 대상과 주제와 문 체 등에 있어서의 규범과 서열에서 이탈한 말들의 과잉을 산출한다. 그와 동시 에 김유정은 감성의 분할을 빠져나가는 들병이와 유랑민의 말들에 대항해 ‘정 (情)’을 매개한 집단적 주체화를 시도한다. 결국, 김유정 문학은 세계가 새롭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삶의 진실, 세 계의 무질서, 민주적 상태를 반영했지만 동시에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상황 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김유정이 보여준 ‘정(情)’은 식민지 조선의 농촌공동체 회복을 위해 요청된 윤리다. 그런데 ‘정(情)’의 윤리는 또 다시 공동체를 중심으 로 중요한 것과 하찮은 것의 구별과 서열을 낳고, 어떤 욕망은 무절제한 것으로 취급하게 만든다. 요컨대, 김유정 문학은 미학적인 동시에 정치적이다. 하지만 그 정치는 모든 개인을 평등한 존재로 감각하게 만들고 해방시키는 ‘미학적 정 치’를 절대적으로 수행하지는 않는다.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에서의 MIB-1의 발현과 DNA배수성에 관한 연구

        심재욱,김희숙,홍성란,정환욱,박인서,임경택,김태진,이기헌,박종택,김혜선,김의정,전이경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8 No.4

        Objective: The monoclonal antibody MIB-1 reacts with the same antigen as Ki67 antigen giving an estimate of growth fraction. The authors investigated whether MIB-1 staining, using semiquantative analysis and DNA ploidy study, could be a prognostic indicator of recurrence in endometrial carcinoma. Methods: The tumors from 45 consecutive patients receiving primary surgical therapy for endometrial carcinoma were evaluated with MIB-1 monoclonal antibody and DNA ploidy status. Growth fraction was quantified by counting stained nucleus in HPF. DNA ploidy study was evaluated by flow cytometry. The patients were followed for 5 years and their charts were reviwed to determine recurrence, stage,and grade. Results: MIB-1 staing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histologic high grade (grade Ⅱand Ⅲ) as opposed to low grade(grade Ⅰ) carcinoma (P =0.038). Aneuploid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cidence in advaned stage (stage Ⅲand Ⅳ) as opposed to early stage(stage Ⅰand Ⅱ) (P =0.017). MIB-1 staing and aneuploidy were d with increased incidence of recurrence within 5 years of diagnosi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ce.. Conclusion: In this series of 45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MIB-1 monoclonal antibody staining and aneuploidy to be a prognostic indicators of recurrence.

      • KCI등재
      • KCI등재

        자궁내막암 41 예의 DNA 배수성에 관한 연구 : 조직학적 예후인자와의 연관성

        심재욱,김희숙,홍성란,정환욱,박종택,이종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7

        Flow cytometric DNA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41 paraffin embedded archival specimens obtained from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who had been surgically treated duration in Cheil general hospital.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rgical stage(FIGO, 1989), histological tumor grade, myometrial invasion, vascular invasion, histologic type and DNA ploidy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Diploid DNA patterns were identified in 30(73.2%) specimens and aneuploidy were observed in remaining 11(26.8%). The incidences of aneuploid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stage(P<0.01), and tended to be more frequently founded in association with deeper myometrial invasio, higher histologic tumor grade, positive vascular invasion, poorer histologic typ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e prognosis of endometrial cancer can be precisely predicted by DNA ploidy pattern with other 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