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8세기 프랑스 호메로스 논쟁 연구:|논문| 18세기 프랑스 호메로스 논쟁 연구: 몇 가지 쟁점들 / 신정아 몇 가지 쟁점들

        신정아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2009 프랑스고전문학연구 Vol.12 No.-

        La Querelle d'Homère est souvent considérée comme la dernière étape de la fameuse Quere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dans laquelle se sont trouvés impliqués tous ceux qui comptaient dans la vie intellectuelle en France à la fin du XVIIe siècle. En fait, la Querelle d'Homère dont les deux acteurs principaux étaient Houdar de la Motte et Anne Dacier et qui concernait la traduction de l'Iliade d'Homère, a fait aboutir la tension entre deux forces qui a traversé les â̂ges. Si on examine de près cette querelle, on peut voir apparaître quelques enjeux différents: homérique, traductologique, philosophjque et polémique. Tout d'abord, la Querelle d'Homère est une dispute sur la valeur d'Homère et de son œuvre Iliade. Madame Dacier voit en lui, d'ailleurs comme les autres partisans de l'Antiquité, un modèle sans imperfections à imiter, tandis que Houdar de la Motte, un moderne invétéré, n'hésite pas à le déprécier tout en imputant ses défauts à son époque. La prise de position de chaque partie à l'égard d'Homère se traduit bien par leurs approches respectives différentes de la traduction, ce qui constitue un autre enjeu de la Querelle. Pour Madame Dacier, qui a traduit en 1711 l'Iliade d'Homère en prose, la fidélité au texte source, c'est-à-dire au texte homérique est restée un souci majeur tout au long de sa traduction. Elle a ainsi choisi de le traduire en prose car la prose était à ses yeux le meilleur choix pour rester fidèle à la lettre aussi bien qu'à l'esprit du texte. En plus elle a eu recours sans cesse à ses connaissances philologiques pour expliciter le sens du texte tout en donnant en note des informations nécessaires au lecteur. Par contre, l'intention de La Motte n'était pas de rendre fidèlement le texte homérique en français, mais d'en faire un bon poème français afin de prouver la supériorité des Modernes et de la langue française par rapport à l'antiquité. C'est dans cette optique qu'il s'est permis sans scrupule de corriger et de raccourcir l'original. Or la Querelle d'Homère qui a opposé Houdar de la Motte et Mme Dacier autour de l'épineux problème du texte d'Homère aurait dû s'intégrer naturellement dans un débat plus général, voire philosophique mê̂me si les deux acteurs principaux n'ont fait que reprendre quelques arguments forgés par leurs prédécesseurs sans rien apporter de nouveau. Pourtant, bien plus que le faux problème de la supériorité, cette querelle a posé la question du progrès et de la naissance d'idées nouvelles, ce qui a constitué le fonds de la philosophie des Lumières. Enfin, quand on parle de la Querelle d'Homère, on ne peut pas ne pas évoquer le problème de l'écriture polémique, car dans cette querelle, c'est curieusement non pas le fonds de la pensée mais la manière de la présenter, à savoir le style, l'écriture qui ont décidé de la partie gagnante.

      • KCI등재

        Overpassivization Erro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Writings

        신정아 한국응용언어학회 2011 응용 언어학 Vol.27 No.3

        Second language (L2) learners often overuse incorrect passive sentences when using intransitive verbs. This phenomenon is called overpassiviz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mber of L2 learners’ overpassivization errors related to four most frequently overused verbs―happened, occurred, appeared, and died―by L2 proficiency level focusing on intermediate learners (further divided into low-, mid-, and high-intermediate based upon standardized test scores) and frequency of use and verb type as factors that modulate the pattern of overpassivization errors. Using Korean college learners’ English writings as a corpus, a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overpassivization errors decreased in academic writings as proficiency levels increased. The pattern of overpassivization errors differed by frequency of use in general and types of individual verbs. In particular, the most frequent verb in general among the four verbs, happened, showed that the occurrence of overpassivization gradually decreased as the level of proficiency increased. Overpassivization errors of the other verbs―occurred, appeared, and died―significantly decreased in high-intermediate learners’ writing, but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low- and mid-intermediate learners’ writing. The study yields pedagogical implications in that L2 learners’ overpassivization errors can be remedied as instruction is provided to increase proficiency.

      • KCI등재후보

        청소년 비만과 가족 내 환경 및 정신사회적 요인과의 관련성

        신정아,배상필,김효순,박혜순 대한가정의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3 No.8

        Background: Adolescent obesity has a high risk of developing into adult obesity and may cause many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milial environment and psychosocial factors of adolescent obesity. Methods: A total of 1,153 students from one middle school located in suburban area were chosen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 obese group was defined to have an obesity index higher than 85 pecentile,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which ranged between 25 and 75 percentile. The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n familial environment and psychosocial factors, their parents' BMI, physical activity, self esteem inventory, depression self rating scale, and FACES III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scale III). Results: Maternal BMI of the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The mean self esteem score of the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Depression self-rating score of the female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weight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ing between the obese group and the normal weight group. Conclusion: In multivariate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dolescent obesity and higher maternal BMI and lower self-esteem. It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and support the psychosocial factors in the management of adolescent obesity. (J Korean Acad Fam Med 2002;23:1024-1032) 연구배경: 청소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으며, 여러 신체적·정신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가족 내 환경 및 정신·사회적 요인들이 청소년 비만과 실제적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2000년 구리시 소재 일개 중학교 남녀 학생 1,4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이 중 1,153명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청소년의 비만도를 구하여 전체의 25∼75 백분위수에 해당하는 군 604명을 정상 체중군으로 정하였고, 85 백분위수 이상인 군 183명을 비만군으로 정하여 단면 연구를 시행하였다. 가족 환경, 부모의 체질량지수, 신체 활동량, 자기 존중감 척도, 우울 성향 척도, 가족의 결속력과 적응력(FACES III)에 관해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결과: 어머니의 체질량지수는 비만군에서 정상 체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아버지의 체질량지수, 부모의 연령, 학력, 직업, 형제수, 출생 순위, 출생 체중, 운동 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군의 자아 존중감이 정상 체중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우울 척도가 여자 비만군에서 정상 체중군에 비해 높았다. FACES III로 평가한 가족 유형은 비만군과 정상 체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 시 어머니의 높은 체질량 지수와 낮은 자아 존중감만이 비만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 KCI등재

        韓国の神話を通してみる『源氏物語』の上巳の祓―「三月十三日」の問題をめぐって―

        신정아 한국일본학회 2009 日本學報 Vol.79 No.-

        本稿で取り上げた問題は源氏物語の須磨巻における光源氏の上巳の祓である。光源氏は父桐壺院の死後、政争に敗れて須磨に退去したが、一年後の春三月朔日に上巳の祓をした。祓の最中源氏が無実を訴える歌を詠むと、突然暴風雨が襲い、嵐は二週間近く荒れ狂った。この場面にはさまざまな問題が論じられてきた。古注釈はこの嵐を周公旦の故事によって説明し、源氏の夢に現れた桐壺院については醍醐天皇堕地獄説話を指摘した。近年では源氏は上巳の祓によって故桐壺院の霊を呼び、住吉神の神意を受ける機会を得たと解されている。また暴風雨についても「無反省な源氏への神の怒り」、「無実の源氏に対する天の感応」、「源氏の罪を洗い流す禊」など多義的な解釈がおこなわれてきた。そういう中でこの暴風雨の表現に大嘗祭の大祓詞との類似性を指摘し、嵐を源氏の王権形成の場であるとする論がある。本稿はこの論を継承する。光源氏は七歳の時に「帝王の相」があると予言され、その後も天皇の父になるという夢占いがあった。源氏物語はそういう光源氏の王権物語の構造を持っている。本稿は須磨の嵐をその文脈において読み解くものである。そのためにまず上巳の祓について『河海抄』の注を手がかりに分析し、次いでこれまで明解を得なかった「三月朔日」と「十三日」という日付の問題を韓国の上巳の祓をめぐる神話を媒介にして検討し、上巳の祓と日付の問題に光源氏が王の資格を獲得する意味構造があることを明らかにする。

      •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본 조선족 여성의 재현

        신정아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6

        미디어재현은 텍스트에 담긴 이미지와 스토리를 분석하는 관점이다. 미디어를 통해 재현된 인물과 사건이 갖는 의미를 생산과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양방향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콘텐츠 수용 방식의 변화는 더 이상 텍스트 연구만으로는 콘텐츠가 갖는 의미와 효과, 실천적 맥락 등을 통찰하기 어려운 시점에 와 있다. 미디어소통은 이러한 재현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콘텐츠 연구방법이다. TV 프로그램 연구에서 시작된 미디어소통 프로그램을 완결된 텍스트로 바라보지 않고, 프로그램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 수용자의 상황, 재현된 미디어의 특성과 유통 생태계, 프로 그램의 포맷과 장르 등을 가로지르며 새로운 관계맺기를 시도하는 역동적인 소통의 장으로 파악한다. 이는 미디어를 통해 재현되는 이야기들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수용되면서 누구에게, 어떤 공감대를 형성했는지를 파악하고, 그 의미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과거 시청자들이 수동적 소비자로 머물 러있을 때에는 텍스트의 내용과 의미, 수용상황과 맥락을 분석하는 것만으로 프로그램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1인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다양한 플랫폼을 횡단하는 콘텐츠의 시대에 텍스트는 더 이상 일회성 생산물에 머무르지 않고,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필요에 의해 자유로운 변형과 복제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달라진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의 생애주기는 생산자 가 아닌 역동적 수용자의 해석과 변형, 유통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콘텐츠는 미디어를 통한 양방향 소통의 산물로 인식되어야 하며, 콘텐츠가 갖는 의미와 효과 역시 생산과 전달이라는 일방향이 아닌 다양한 관계맺기를 통한 소통하기로 접근해야 한다. 미디어소통은 이기상의 ‘사이놓기 이성’, 플루서 의 ‘기술적 상상’ 등의 개념에 담긴 새로운 기술 시대의 주체와 세계 간의 관계맺기 방식에서 출발한 다. 미디어소통은 생산자와 수용자, 수신자와 발신자의 관계를 정보전달과 복제라는 수동적·일방향적 구조가 아닌 상호이해와 공존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문화적 가치가 발현되는 소통과 공감의 장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국내 미디어의 조선족 재현의 추이를 살펴보고, 최근 개봉한 영화 <우상>(이수진 감독, 2019)의 여성 조선족 재현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 한-중 수교를 전후로 하여 한국 미디어에 등장하기 시작한 조선족 캐릭터는 TV와 영화, 뉴스보도 등을 통해 다양하게 재현되어 왔다. 2010년 영화 <황해>(나홍진 감독)를 기점으로 조선족 남성 캐릭터의 폭력적 재현이 장르화되면서 이후 한국영화 속 조선족은 범죄자라는 인식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클리셰는 TV 드라마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OCN과 SBS 등에서 조선족 남성을 잔혹한 범죄자로 반복 생산해오고 있다. 여성 조선족의 재현은 수교 초기에는 결혼이주여성으로 그려지면서 한국 사회에서 순응하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이후 식당도우미, 돌봄 노동자, 불법체류자 등의 이미지로 확대 재현되면서 비록 신분은 불안정하고 낮은 계층이지만 자기 주도적으로 운명을 개척해나가는 당찬 여성이미지가 새롭게 형성되기도 했다. 여성 캐릭터의 범죄 재현은 2016년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이언희 감독)를 시작으로 본격화되었다. 2017 년 영화 <악녀>(정병길 감독), 2018년 드라마 <미스트리스>, 2019년 영화 <우상> 등을 통해 모성과 범죄를 결합시켜 추방과 배제의 서사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남성 조선족 재현이 잔혹한 범죄의 원형으 로 한국 수용자들에게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면, 여성 조선족의 재현은 모성의 실천이라는 궁극적인 윤리의 측면에서도 한국인 여성과의 대비 또는 한국인 남성에 대한 원한 등을 통해 폭력을 정당화시키는 잔혹한 캐릭터로 묘사된다.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 미디어의 조선족 재현은 공포와 두려움, 혐오를 양산하는 장이 되어 왔다. 한국에 거주하는 85만의 조선족 동포들의 수용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왜곡되고 과장된 이미지를 반복 재생산하면서 혐오의 일상화를 부추겨왔고, 이는 2017년 영화 <청년경찰>(김주환 감독) 을 기점으로 조선족 사회의 집단적 분노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감독과 제작사를 상대로 한 명예훼 손 소송과 국가인권위원회 제소를 통해 드러난 재한 조선족 동포단체의 목소리는 한국 미디어의 부정적 재현에 대한 깊은 문제제기이자 새로운 소통의 장을 요구하는 공존의 몸부림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 어소통의 관점에서 조선족 재현의 문제를 성찰하고, 다문화 혹은 상호문화의 시대를 맞이한 한국 사회 에 필요한 인식과 실천의 방법을 모색해본다.

      • KCI등재

        몰리에르의 두 『학교』 비교 분석 — 웃음과 교훈을 중심으로

        신정아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2020 프랑스고전문학연구 Vol.23 No.-

        Cette étude a pour but de comparer les deux œuvres de Molière, intitulées L’école des maris et L’école des femmes et d’examiner ainsi un premier tournant décisif dans l’œuvre de Molière, caractérisé par la naissance de la comédie de la maturité, en cinq actes et en vers, qui sera nommée plus tard ‘la grande comédie’. Dans ces deux pièces publiées successivement en 1661 et en 1662, Molière reprend un bon thème comique, éprouvé depuis les fabliaux, la ruse de la Femme triomphant de la lourdeur de l’Homme et se joue à un heureux équilibre entre les éléments de comique et de farce. Mais il existe bien d’écarts entre les deux pièces. L’intrigue de L’école des maris sait où elle va sans surprise ni rebondissement. Il s’agit ici de la démonstration d’une thèse. Et Sgranarelle, un des protagonistes principaux a la simplification caricaturale des traits. On dirait un personnage farcesque. En un mot, en comparaison de L’école des femmes, cette pièce manque de naturel dans l’ensemble. On ne peut pas pourtant ne pas y voir l’intention de l’auteur de donner aux hommes une leçon en mê̂me temps qu’un divertissement, et d’exercer une influence sur les mœurs contemporaines, ce qui constitue une des caractéristiques de la grande comédie comme L’école des femmes. Dans ce sens, on pourrait dire que l’une, en effet, est la suite et le pendant de l’autre; et le titre chosi par l’auteur marque ce lien et ce rapport plutôt qu’il n’exprime le sens et le but de la nouvelle comédie. 본 논문은 몰리에르의 연극 『남편들의 학교』와 『아내들의 학교』를 웃음과 교훈의 문제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몰리에르 연극 세계에서 첫 번째 전환기라고 할 수 있는 대희극으로의 이행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히 ‘학교’라는 이름을 제목에 단 두 작품은 1년 6개월의 짧은 간격을 두고 잇달아 무대에 올랐다. 방해를 무릅쓰고 결혼에 성공하는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공통의 줄거리로 하면서도 두 작품은 각각 3막과 5막이라는 형식상의 차이 외에 플롯의 구성이나 이야기 전개 방식, 인물들의 성격, 문체와 세부적인 디테일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즉, 『남편들의 학교』에서 인물의 성격이나 몸짓, 혹은 그들이 처해있는 상황이나 행동 방식 등이 아직까지 다소 인위적이고 단순한 희화화 단계에 머물러있다면, 『아내들의 학교』의 경우는 자연스럽고 생동감이 넘치는 인간적인 진실이 묘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도출되는 교훈이나 철학 역시 전작에 비해 보다 자연스러운 방법을 통해 본성의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두 작품은 모두 중세 소극처럼 즉각적이고 배설적인 웃음을 유발하는 것을 넘어 관객의 교화까지 염두에 둔 고전주의 연극의 원칙을 희극에 도입하여 실천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대희극’으로 불리게 될 몰리에르 연극의 자장 안에 함께 들어와 있다. 몰리에르의 걸작 대희극 『아내들의 학교』는 이미 『남편들의 학교』에서 배태된 씨앗이 만개한 결과물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TonEBP and SMIT expression in human placenta

        신정아,권혁무,한기환,이화영 대한해부학회 2012 Anatomy & Cell Biology Vol.45 No.3

        Tonicity-responsive enhancer binding protein (TonEBP) is a signal transcription factor of transporters such as sodium-myo-inositol cotransporter (SMIT), aldose reductase. TonEBP ha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control of intracellular osmolytes and immunomodulating. It is known that TonEBP is abundant in the placenta, but location and function aren’t know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ocalization of TonEBP in the placenta. We assayed the immunohistochemistry of TonEBP and performed in situ hybridization of SMIT in normal human full term placenta. In normal human full term placenta, TonEBP was in villous trophoblasts, extravillous trophoblasts and some endothelial cells. The result of the in situ hybridization of SMIT was similar to that of immunohistochemistry of TonEBP. Neither TonEBP nor SMIT was present in TonEBP knockout mouse placenta. This shows TonEBP is a key factor in SMIT transcription. TonEBP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ransporting of inositol to fetus in placenta.

      • KCI등재

        로컬콘텐츠 기획 및 제작 방안 연구 -이문동 문화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신정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3

        The map, which existed as solid information, has now entered the stage of 'mapping', in which individuals directly participate and produce. The map is now a process of recording and sharing important things in our lives, and it is developing into a medium of action and thought that enables coexistence and solidarity. Cultural map is a community mapping in which residents participate. It is essential to discover the history, culture, and story of the region and to produce it directly. The purpose of the cultural map is to summon the voices of the various local subjects alienated from the existing map and make their lives content and to create new community solidarity and hope in the digital age. The cultural map aims at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space, people and time while exploring the area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ltural values ​​and implications of digital media age map through case studies of Lee Mun - dong cultural map. The research subjects are Lee Moon-dong and Hwigyeong-dong in Dongdaemun-gu, Seoul.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local contents in which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and merchants participate together, students will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local contents as ways to stimulate local culture. 딱딱한 정보로 존재하던 지도(map)는 이제 개인이 직접 참여하고 제작하는 ‘지도 만들기(mapping)’라는 단계로 진입했다. 지도는 이제 우리 삶의 소중한 것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과정이자 상생과 연대를 가능하게 하는 미디어적 실천과 사유의 도구로 발전하고 있다. 문화지도는 주민이 참여하는 커뮤니티 매핑이다. 지역의 역사와 문화, 이야기를 발굴하고 직접 제작하는 것이 핵심이다. 문화지도는 기존의 지도가 소외시켰던 다양한 로컬 주체들의 목소리를 소환하고, 그들의 삶을 콘텐츠화하여 디지털시대의 새로운 공동체적 연대와 희망을 만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지도는 다양한 시선에서 지역을 탐색하면서 사람과 사람, 사람과 공간, 사람과 시간 사이의 문화적 소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문동 문화지도 제작 사례를 통해 디지털미디어 시대 지도가 갖는 문화적 가치와 함의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동대문구 이문동, 휘경동 일대이다. 한국외대 서울캠퍼스 학생들과 이문동 지역 주민과 상인들이 함께 참여한 로컬콘텐츠 제작과정을 통해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으로서 문화지도의 가능성을 탐색해본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Prior Knowledge of the Target Form on Noticing during Output Production

        신정아 한국영어교육학회 2010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6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earners’ prior knowledge of a linguistic form on the noticing function of output (Swain, 1995), which might mediate second language (L2)production and learning. Based on the degree of prior knowledge of the target form,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levels. The noticing scores (measured by underlining in the subsequent input) showed that Level 2 participants—who had partial knowledge of the target form—noticed more target forms than the other levels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duced more target forms on the second output activity than on the first output activity. However, learners’ increased noticing did not lead to immediate increased improvement of production and learning. Some prior knowledge of the target form was able to mediate noticing of the form, but one-time noticing might not be enough for promoting improvement of production and learning of the target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