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논술 지도 방법 연구

        송현종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논술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게 되었다. 대학 입시에서 논술형 문제를 채택하게 된 것이 그 직접적 계기일 것이다. 교육 활동에 대한 비판이 활발해지면서 단편적인 지식의 암기와 획일적인 답을 요구하는 객관식 선다형 문제 풀이에 대한 대안으로 논술의 중요성 강조되었고, 논술 지도에 대한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래서 현재 논술 글쓰기 지도 문제는 일선 교육 현장에서 주요한 과제중 하나이다. 논술은 대학이 안고 있는 적격자 선발의 고민을 좀 더 합리적으로 보완할 수 있고, 중등 교육에서 고민하고 있는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논술과 관련된 학습은 대학 입시에서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기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가꾸어 나아가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하겠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표현하기를 원하면서도 그렇게 못하는 이유는 체계적인 글쓰기 훈련이 거의 없었고, 한 편으로 글쓰기에 관심이 없었던 데 원인이 있었다. 민주 시민의 자질을 갖춘 생활인을 육성하는 것이 학교 교육 목표라고 할 때, 자신의 생각을 말이나 글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은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으로서 지녀야 할 필수 능력이다. 현재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대학입학시험 준비 차원에서 논술 지도에 특별한 대책을 세워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도를 모색하려 하고 있으나, 투입할 수 있는 자료와 평가할 자료가 모자라서 지도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 지금 실정으로는 일선 교육 현장에 알맞은 논술 지도 방안이 적절히 제시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논술 지도 자료를 개발해 내는 작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논술의 중요성을 살피고, 에서 출발하여 우리 학생들이 여러 면에서 종합적인 사고를 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내용 생성과 조직을 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논술 지도 방향을 제시했다. 종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비판적 창의적 사고의 방법, 그리고 논술과 관련된 다양한 논리들을 살펴봄으로써 체계화된 논술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우리 교육에서 소홀히 해 온 사고력 배양의 폭을 넓힌다는 데 의의가 있다. Nowadays it's not uncommon to hear "Essay Writing" in our society. The direct motivation for that is an essay writing test chosen for the SAT. As the criticism against current education system is arousing, people put importance on essay writing for the alternative to objective test, suggesting many methods for teaching essay writing. Therefore it's currently one of the principal assignments in practical education field to teach essay writing. Essay writing could be one of the ways to get out of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that is only targeting for entering the university and a burden to the secondary education and it can also rationally help universities find out qualified applicants. In this light, it is necessary to learn essay writing not only for getting a good test score in SAT but also for the better life as a member of a certain society ,maintaining it continuously. Basically the reason many people can't express their own opinion logically even if they're willing to do that is that they haven't gotten a chance of practicing writing systematically ,nor thinking of the writing itself. The ability to express his own thought in verbal language or writing is the essential one for the person being educated at the secondary school, considering fostering the well-qualified democratic citizen is the main aim of school education. There's an endeavor to search systematic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essay writing, a part of preparation of SAT in the practical education field but it's not easy to teach due to the shortage of input and evaluation materials. The method of essay writing appropriate for practical education field must be suggested in present situation and thus it devoutly requires to work on developing of teaching materials in essay writing. Therefore I tri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essay writing and suggest the way to teach essay writing which let our students pursue multiple ways of thinking in every aspect, and express what they've found out effectively in this thesis. I suggested systematic way of teaching essay writing by searching the method of critical, creative thinking for the multiple ways of thinking and a variety of logics related with essay writing. It is significant to broaden the width of cultivating thinking ability, which has been quite neglectful in our education field.

      • TIG-FSW Hybrid 접합기술을 이용한 Al6061-T6/Ti-6Al-4V 접합부의 접합성 및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송현종 조선대학교 선박해양공학과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기오염 및 지구온난화 그리고 자원고갈로 인하여 21세기를 맞이한 현대사회의 각종 산업분야에서 최대의 핵심 과제는 “친환경적 녹색성장”일 것이다. 특히, 수송기기(철도차량,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 산업에서는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 및 중량을 최소화 하기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수송기기 차체의 중량은 연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경량화의 요구가 급증하였고 차체에 경량 부재의 적용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경량 소재 중에서도 알루미늄 합금은 경량이고 비중이 강의 1/3로서 비강도가 높고, 특히 각종 원소와의 결합을 통한 합금성이 우수하다. 또한, 소성가공성이 좋고 전기전도도 및 대기 중에서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구조 및 기능성금속으로서 다른 경량 소재에 비해 적용범위 및 활용도가 높은 비철재료이다. 하지만 기존의 용융용접방법으로는 알루미늄 합금을 용접하는 경우 용접 열에 의한 변형 및 기공,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쉬우며 접합부의 강도저하가 비교적 쉽게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특성이 상이한 재료의 접합일 경우에도 접합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등을 개선한 접합방법으로 마찰교반접합(FSW : Friction Stir Welding)기술이 적용되어지고 있다. 이 기술은 1991년 영국 TWI(The Welding Institute)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고상접합법의 하나로 회전하는 Tool을 피접합체에 삽입하여 마찰발열에 의해 접합체를 연화시켜 소성유동을 통해 접합하는 비소모성 접합방법으로서 용접에 의한 변형이 적고 비소모성 접합방법일 뿐만 아니라 용접결함, 흄, 유해광선의 발생 없이 우수한 품질의 접합부를 얻을 수 있으며, 기계적 특성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환경친화형 접합방법으로 많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이종재료 접합방법으로 리벳팅 및 바이메탈을 이용한 용융 용접을 적용하였으나 이에 소요 공정 시간의 증가 및 용접열에 의한 용접결함(변형, 잔류응력, 응고균열, 기공, 산화 등) 뿐만 아니라 금속간 화합물생성으로, 접합부의 강도저하로 건전한 접합부를 얻기가 어렵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FSW를 이용하여 이종재료를 접합할 경우 물리적인 성질이 상이하여 동종재료의 FSW접합 방식으로는 건전한 접합부를 쉽게 얻을 수 없어 두 재료 중 연질인 재료에 마찰교반접합 Tool을 삽입하여 건전한 접합부를 얻은 결과가 보고된바 있으나 아직은 연구가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알루미늄과 티타늄 합금의 이종소재 접합기술의 부재로 국내외 산업응용분야에서의 실제 구현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밀도 이면서 비강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과 비강도는 물론 내식성 및 고강도를 갖고 현재 공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티타늄 합금의 이종재료를 FSW에 TIG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접합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아울러 기계적 특성(인장시험, 경도시험) 및 금속학적 특성(광학현미경, SEM, EDS)을 파악하여 이종재료의 접합성을 평가하고 산업분야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평가지표 개발

        송현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에 따라 건강증진사업의 중요성이 세계 각국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에서도 보건소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이렇게 최근 사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하여 연구가 미비하였던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평가지표를 개발함에 있어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한 사업의 목적 및 내용에 부합하면서, 보건소 실무자가 평가에 참여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로직모델을 이용하여 평가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평가모형은 투입, 활동, 중간결과, 최종결과의 4영역으로 구성하였다. 투입영역에는 인적 요소, 물적 요소, 경제적 요소, 활동영역에는 수행활동 요소, 제공자 요소, 대상자 요소, 지역사회협력 요소, 외부 요인을, 중간결과영역 및 최종결과영역은 각각 개인차원 요소와 지역사회차원 요소를 포함하였다. 영역별 개별지표는 투입영역의 경우, 인적 요소에서 3개, 물적 요소 및 경제적 요소에서 각각 1개의 개별지표를 개발하였으며, 활동영역의 경우, 수행활동 요소에서 15개, 제공자 요소에서 2개, 대상자 요소에서 3개, 지역사회협력 요소에서 3개, 외부요인에서 2개의 개별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중간결과영역의 경우, 개인차원 요소에서 4개, 지역사회차원 요소에서 2개의 개별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최종결과영역의 경우, 개인차원 요소에서 2개, 지역사회차원 요소에서 3개의 개별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총 41개의 개별 평가지표의 내용타당도, 기준타당도, 구성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의 경우, 건강증진연구사업 평가위원인 학자, 건강증진거점보건소 실무자,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 및 지역보건정책과의 과장 이하 사무관인 정책결정자의 세 집단에서 추출한 44인 중 응답자 11인의 검토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기준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18개 건강증진거점보건소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각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주무 담당자 1명을 대상으로 한 우편조사와, 보건소당 30명씩의 내소자를 성별, 연령별로 할당추출한 후 면접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로 평가한 순위와 건강증진거점보건소 기술지원 및 평가단의 평가 순위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준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투입 및 활동과 결과간에는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구성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투입 및 활동영역의 순위와 결과영역의 순위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어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지표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을 평가하는데 타당한 지표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소의 다양한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체계를 개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to test its validity. The modified logic model was used as the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Using this model, four dimensions, eleven sub-dimensions, and forty-one individual indicators were developed. These evaluation indicators are superior in reflect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also flexible enough to accommodate diverse programs. These indicators also emphasize the role of process evaluation, and the diversity of outcomes. To test content validity, the Delphi method was used. Eleven panelists in three expert groups(professionals, practitioner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policy makers) generally agreed with the validity of evaluation indicators. To examine criteria and construct validity, these indicators were used to evaluate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conducted by the 18 Key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data came from the interview surveys of the main health promotion practitioner and 30 visitors from each center. The ranks of these eighteen Community Health Centers were computed from these dat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nking either by these indicators or by the existing indicators, which was developed by Technical Support and Evaluation Team for criteria validi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anking between input, process and outcome dimension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valid to evaluate Community Health Center's health promotion program. It can be used both by the Community Health Center for internal evaluation, and by the stakeholders for external evaluation.

      • 세라믹 복사코팅재 제조 및 에너지 절감효과에 관한 연구

        宋鉉鍾 명지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복사율 공업로는 기존 공업로에 비해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을 이룰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러 조성의 복사 코팅재를 제조하여 복사코팅재에 의한 에너지 절약효과를 입증하였다. SiC와 Cr₂O₃ 분말로 구성된 코팅조성은 500℃에서 복사율이 0.79로 나타났으며 이 조성에 의한 에너지 절약효과를 분석하였다. 복사 코팅재가 800 와 l000℃로 가열됨에 따라 8~11%의 에너지절감 효과와 15~22℃의 온도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복사율 코팅재에 의해서 기존 공업로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시킬 수 있을 것으로 결론지었다. 복사재 코팅조성에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세라믹섬유가 부피백분율로 30% 혼합된 복사 코팅재의 복사율은 0.79에서 0.75로 감소되었다. 그러나 세라믹섬유를 20% 함유하는 복사 코팅재의 파괴에너지는 50%가 증가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알루미노살리케이트 섬유 대신에 사용된 탄화규소 섬유는 코팅재의 복사율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음을 코팅재의 복사율 측정시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It has been known that high-emissivity furnace provides an energy-efficient alternative to a conventional furnace. Various emissivity coatings were developed and the effect of the coating composition on emissivity was evaluated. The coating composition composed of SiC and Cr₂O₃ particulates at 500℃ showed an emissivity of 0.79 and its energy performance was assessed. The emissivity coating achieved energy-savings of 8∼11% and caused furnace temperature rising of 15∼22℃ at emissivity-coated furnace substrate temperatures of 800℃ and 1000℃. It was concluded that high-emissivity coating could reduce energy consumption due to the use of conventional industrial furnaces. Addition of alumino-silicate ceramic fiber up to 30 vol% to the emissivity coating lowered the emissivity of the coating from 0.79 to 0.75. However, it was found that addition of ceramic fiber up to 20 vol% offered about 50% increase in the fracture energy of emissivity coating. Substitution of the alumino-silicate fiber with silicon carbide fiber apparently helped the coating to maintain high emissivity, which was verified by emissivity measurement of the coating.

      • 소아 성장 관련 한의약 임상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송현종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o make comprehensive feature of clinical trials using Korean medicine and their result by toda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linical trial trend, clinical effect, and study methods of growth on children. Methods: Through medical website (OASIS, RISS, KISS, NDSL, KISTI, DBPIA), clinical literatures about Korean medicine and growth on children searched and Hand-searching. Anla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distribution mainly by subject, years, journals, Intervention, Duration, Patient, Outcome and its efficacy. Results: 53 literatures were searched according to inclusion criteria of growth on children. 4 literature review, 9 Not Korean medicine treated, 11 in vivo, in vitro studies, 1 case study and 1 clinical review. No english literature was searched about Korean medicine Clinical Research of Growth on Children. 17 literatures were selected finally. Although 14 of 17 showed positive effects and other 3 hav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relation,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fact that each studies had the significant effect for study indications in the results of studies. Conclusions: To put clinical trials to use of Korean medicine in the treatment growth on children, scientific and objective-based studies should be needed.

      • 본래성과 비본래성 : 하이데거와 융의 궤적을 따라서

        송현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글은 마르틴 하이데거와 칼 구스타브 융의 저작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본질이 초월적인 영역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인간이 초월적인 본성이 계시하는 본래적인 길에 놓여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 글의 주된 관심은 첫째, 근원적인 존재사태가 갖는 의미를 드러내고, 둘째, 그 의미를 경험함에 따라서 병의 치유, 즉 정신건강을 회복함과 동시에, 존재하는 것들의 본질적인 고통을 극복하려는 구원에 있다. 여기서 철학적 관심은 존재사태의 이중성에 대한 이해와 인간본질의 정초로 드러나고, 종교적 관심은 병과 고통의 극복이라는 점에서 치료적인 방법으로 드러난다. 이 글은 철학과 종교의 소통에 장벽을 두려 하지 않는데, 그 까닭은 철학을 이론이성의 도구와 체계 속에서 한정하려 하지 않으며, 종교 또한 체계적 교리로 엮어진 도덕률의 원천으로 간주하지 않고자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의 재료들은 오로지 근원적인 사태에 대한 '철학함'이라는 사유와 '종교적 경험'이다. 이 글이 철학적 테마에 종교적 테마를 접합하는 까닭은 철학의 형이상학적 진술과 논리적인 추론으로는 인간, 자연, 세계의 살아있는 신비와 은폐되어 있는 영역을 포괄하여 총체적으로 다룰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연유에서 하이데거는 철학 자체를 형이상학을 넘어서는 근원에 대한 사유경험으로 규정하고 있고, 융 또한 정신현상의 초월성과 개시성을 경험 과학적으로 밝히고 있다. 철학과 형이상학에 대한 두 학자의 '극복'은 개념적 논증 대신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인간의 경험에 주어진 사태들을 근원적으로 사유하고, 총체적으로 탐구하도록 이끌었다. 이 글은 크게 하이데거의 사유를 통해 드러난 고대 그리스정신과 융의 탐구를 통해 드러난 연금술의 전통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하이데거와 융의 비교를 통해 철학과 심리학의 대결과 소통을 목적으로 하진 않았다. 왜냐하면 이 글에서 주목하는 바는 철학과 심리학 양자의 학문적 체계의 유사성이 아니라, 존재사태와 인간경험에서 드러나는 숨겨져 있는 초월적인 신비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철학적 용어에 대한 개념적 규정과 경험과학의 상식적 용어는 모두 의미사태의 담지체로서 다루어졌다. 따라서 하이데거 저작과 융의 저작은 용어상의 비교 대신에 존재론적 사태가 담고 있는 경험적 의미의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또한 이 글은 철학사적으로는 하이데거와 융의 사상을 통해서 서양사유의 역사가 지닌 본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자 하며, 철학적으로는 인간의 본래적인 길과, 전체정신을 실현하는 의도를 담고자 하였다. 하이데거의 존재론은 인간이 스스로 주인이 되는 의식철학과 주체철학이 아닌 인간에 주어져 있는 본성(Es)이 주인이 되는 것을 밝히고 있으며, 융의 분석심리학은 의식적 수준의 에고(Ich)가 아닌 무의식의 영역에 있는 자기(Selbst)가 주인이 되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이 점에서 하이데거와 융은 현시되어 있는 것의 이면에 있는 무근거적이고, 무규정적인 숨겨진 영역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서로 상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철학사에 대한 문헌학적 탐구가 철학함이라는 존재론적 변형을 경험하여 되돌아오지 않는다면 철학은 철학사에 대한 독해에 머물고 말 것이다. 피상적인 학문적 차원에서 철학은 철학함이라는 본질적인 사유경험을 망각해왔다. 따라서 고대로부터 집적되어 줄곧 이어져 오는 사유를 간직하고 전승하는 것은 인간의 운명적인 임무임과 동시에 철학의 고유한 존립근거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s of human nature discovered through the transcendental horizon and Man, being set on the authentic way revealed through transcendentality. The study is concerned firstly with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primordial Enowning of Being and secondly, having experienced that, explaining how the overcoming of the inborn contradictions of all beings leads to salvation, just like the curing of sickness and recovering of one's psychic health. The philosophical themes arising here are the essence of the human nature and the twofold nature of the Being, while the religious concerns converge towards the methodological curing and overcoming of pain.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discuss philosophical and religious issues without limiting them dogmatically to their respective domains. Philosophy cannot be limited to a tool of conceptualization and a system of speculative reasoning. Religion also is not to be regarded as the closed dogma producing the laws of morality. The standpoint I adopt is that of the communication of Philosophy and Religion. The research for this study was mainly based on thinking as "Philosophizing" about the sourceful fact of Being and "Religious experience" as immediate experience of the wholeness. The reason for unifying philosophical and religious subjects, is that metaphysical statements and logical approaches cannot deal comprehensively with the living mystery that is hidden in the center of Man, Nature and World. For that reason, Heidegger regarded philosophy as experience of Thinking in itself about Source beyond the metaphysical system. Jung also described transcendentality and autonomy of the psychic phenomenon through empirical science. Their "Overcoming" of philosophy and metaphysic, instead of conceptual reference implies primordially phenomenological approach towards the given state of human beings, leads us to experience totality the becoming of "One" for all the opposites through the spiritual attitude. Widely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e space of the Ancient Greek spirituality revealed through Heidegger's own thinking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grounded in the tradition of Alchemy. However this study is only concerned with the comparative aspects between Heidegger and Jung and does not discuss the direct confrontation between Philosophy and Psychology. Because what this study emphasizes is the scientific similarities between this two system of thinking, but the transcendental mystery hidden within the Enowning of Being and at the same time within the phenomenon of life. Considering this, the philosophical terms and common words of empirical science will be used in reference to the fact itself. Thus the contrast between the 'Ways' of Heidegger and works of Jung does not attempt a comparison of terminology, but a disclosure of the ontological fact. Through the thinking of Heidegger and Jung,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authenticity of the History of the western thinking. Spiritually, it advocat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total psyche" and the orientation of man on the authentic way. Heidegger's ontology states that man is not the center of the world as it appears in the philosophy of consciousness or subject, but the transcendental horizon which bears that ability is "It"(Es). Jung's analytical psychology remarks that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develops as "Self" centralizes both conscious and unconscious, and not only at conscious level as Ego. In the respect, Both Heidegger and Jung are ideologically rooted in the same space, the hidden side, the shadow of the revealed things and the space of the un-ground and un-determinated. Finally, Philosophizing means reaching ontological transformation, understood as total change of attitude in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thinking. If the philological investigation did not turn toward philosophizing, philosophy would be limited simply to reading and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the texts. Giving priority to scientific views, philosophy has forgotten the "philosophizing" as the primordial experience of thinking. Philosophy's ground of existence revolves around keeping and handing down the authentic way of thinking from the Ancient and Source, and that is the destined mission of man.

      • 건축설계의 공공데이터 공간정보 유형화(有形化) 연구

        송현종 慶尙大學校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건축설계는 인문, 사회, 자연, 기술등 인간 생활의 총체적인 자료를 활용한다. 공간정보에만 의존한다면 장소감 상실, 컨텍스트와의 단절 등이 건축설계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이를 건축설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간정보를 재구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정보 활용의 한계점을 고찰하고, 건축설계에 활용가능하도록 공간 정보를 유형화有形化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타당성을 논증하였다. 연구 과정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간정보 활용 건축도시설계 분야의 기존 연구에서 2차원 공간정보 구체화와 3차원 공간정보 추상화가 필요함을 고찰하였다. 둘째, 이에따라 2차원 공간정보 구체화는 컨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3차원 공간 정보 추상화는 차원 축소 모델링 기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컨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차원 축소 모델링 기법을 사례 적용하여, 제시한 기법의 타당성을 논증하였다. 2차원 공간정보를 구체화하는 컨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사례 적용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GIS 기반 진주읍치 공간정보를 재구축하였다. ② 진주읍치 도시역사와 컨텍스트를 단계별로 구조화하였다. 3차원 공간 정보를 추상화하는 차원 축소 모델링 기법으로 진주 객사의 차원 축소 이미지를 제시하였으며, 현대주거사례와 비교하여 모뉴멘탈리티를 객관화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2차원 공간정보의 컨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3차원 공간정보의 차원 축소 모델링 기법은 사례 적용을 통해, 공공데이터 역사 기록물의 형상정보에서 도시역사, 컨텍스트, 유형을 필터링하여 건축설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간 정보를 재구축하는 기법임을 논증하였다. 따라서 컨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차원 축소 모델링 기법은 건축설계의 공간정보 유형화 기법으로 활용가능하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기존 연구와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째, 국가기록원, 국립중앙박물관, 국가공간정보포털, 국토지리정보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등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역사 기록물 형상정보를 통합하여 GIS 전자지도에 지오레퍼런싱하였다. 둘째, 1907년부터 1951년 사이의 역사 기록물 형상정보를 2019년 전자지도에 중첩하여 도시의 원형과 역사적 전개, 지속하는 지형, 영역, 결절점, 통로를 통시적으로 통합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3차원 건물정보를 차원 축소 모델링 기법으로 가공하여 물리적 속성에 기반한 비교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한 지역을 사례 연구하여 연구 기법의 타당성을 논증하였으므로, 앞으로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적층한 공간융합정보 속성정보와 결합하는 연구와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공공데이터 공간정보의 통합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Architectural design utilizes the general data of human life, such as humanities, society, nature, and technology. However, if one relies solely on spatial information, loss of placeness and disconnection from context can occur in architectural design. The spatial information needs to be rebuilt for use in architectural design to make up for this limit.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presented a plan to make space information tangible for use in architectural design, and demonstrated its validity. The research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urvey on the former study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in the architectural city design, it was found that two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concretization and three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bstraction are required. Second, the context mining techniques for two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concretization, and the dimensional reduction modelling techniques for three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bstraction were presented. Third, by applying context mining techniques and dimensional reduction modelling techniques to cases, the validity of context mining techniques and dimension reduction modelling techniques was verified. Summary of the results of application of context mining techniques to concretization on two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is as follows. First, after 35 survey drawings, 12 related drawings, and 3 photos of history records which are opened as public data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Space Information Portal,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were surveyed, these are reconstructed as the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Jinju-eupchi GIS by georeferencing them on electronic maps of spatial convergence information. Second, the city history and the context of Jinju-eupchi between 1908 and 1951 were structured step by step by using electronic maps and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historical records which are superimposed. In summ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① By comparing it with 1908’s survey map,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boundary, and path of Jinju-eupchi in the Office of Border Defense's sealed maps were real. ② It was confirmed that Jinju-eupchi was distributed higher than 25m above sea level in 1917’s survey map. ③ The objectivity of the context shown in the historical records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passages, areas and landmarks shown in the topography in 1917’s survey map with those in the 1918 dry-plate picture taken in Jinju. ④ Expansion and change of the Jinju-eupchi's area were confirmed by 1912’s survey drawing, 1935's drawing, 1942’s construction drawing and 1951’s aerial photo. ⑤ Unchanged terrain, area, paths, and nodes despite Japanese colonial era, flood damage, 6.25 war bombing and the modern city development, were confirmed using data from 1912's map to 1951's aerial photo. By using dimensional reduction modelling technique that abstracts three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the image of dimensional reduction of Jinju Gaegsa was presented, and the monumentality was objectified compared with modern residential case. The conclusions resulting from the above are as follows: By applying context mining techniques to two 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and dimension reduction modeling techniques to three 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it was proved that these two techniques can rebuild the spati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architectural design by filtering city history, context, and type from the historic records in public data. Thus, context mining techniques and dimension reduction modeling techniques are available on making spatial information tangible in architectural design.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using spatial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wo dimensional historical records which are scattered in various agencies like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Space Information Portal,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were superimposed by georeferencing on the GIS electronic map. Second, by superimposing the historical records between 1908 and 1951 on 2019’s electronic map, the city’s origin, historical development, continuous topography, area, node, and path were presented in the diachronical combination. Third, the three dimensional building information was processed into a dimension reduction modelling technique, and a comparison method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was presented.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echniques by case study of an area, studies that extend the spatial scope should continue, studies that combine with layered information, and studies on the integration of public data spatial information scattered across various institutions should continue.

      •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두개저 수술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송현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one of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that can provide the composite images of virtual and real scen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an give more reality and visual information to user. Because of that, recentl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been used in development of surgical navigation systems for various kinds of surgery. It is not an exception in the field of endoscopic skull base surgery. There are so many researches about augmented reality based surgical navigation system for skull base surgery, however, there are no researches about resolving endoscope’s narrow view problem. In this study, we resolved endoscope’s narrow view problem through development of new surgical navig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is system is consisted of endoscope, optical tracking device and augmented reality based surgical images. The optical tracking device is used for measurement of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endoscope. This system displayed the endoscopic images and preoperative reconstructed virtual 3D model from 2D medical images like as CT or MRI. The endoscopic images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screen, and the preoperative virtual 3D model in the outside of endoscopic images. The endoscopic images and preoperative virtual 3D model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endoscopy. Through the screen of this developed system, the operator can receive the expanded endoscopic images and preoperative medical images during the operation. Also, operator can intuitively identify the position or condition of affected area, whole procedure of surgery and the positions of surgical tools. So, unforeseen damages of other organs can be prevented. The augmented reality based navig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makes the endoscopic skull base surgery so more exactly and saf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