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에서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를 이용한 치료 효과 연구

        송은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으로 대표되는 염증성 장질환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재발과 악화를 반복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악화시킨다. 줄기 세포 치료는 최근 염증성 장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잠재적인 치료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새롭게 개발된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tonsi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MSC)는 줄기 세포 고유 기능을 모두 가지며 비교적 채취가 용이하고 여러 기증자로부터 받은 세포가 잘 융화되어 자란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MSC를 dextran sulfate sodium (DSS)로 유도된 만성 장염 마우스 모델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급성 및 만성 장염을 유도하였다. 편도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에서 채취된 T-MSC는 유도된 장염 모델에 복강 내 투여 또는 정맥 투여 방법으로 주입하여 그 효과를 정상 대조군 및 DSS 장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육안적 장염의 평가는 disease activity index (DAI)와 장길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조직학적인 분석은 histologic colitis scoring system을 따랐다. 대장 조직의 IL-6, TNF-α, IL-10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투여 방법을 정맥 내 투여 방식과 복강 내 투여 방식으로 비교하였으며 투여 용량은 1x106, 2x106, 5x106 세가지 용량으로 투여하여 비교하였다. 투여 간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 6일, 16일에 투여하는 군과 투여 간격을 짧게 하여 실험 6일, 9일, 12일, 16일에 투여하는 군을 비교하였다. T-MSC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Interleukin-1β (IL-1β)로 전처치를 시행하여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HEK 장염 대조군은 장염 유도한 30일 동안의 평균 DAI가 4.4 ± 1.7 mm로 증가되어 있었으며 평균 장 길이가 64.6 ± 7.13 mm 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짧아져 있었다. T-MSC 투여에 의하여 평균 DAI는 2.9 ± 1.0 로 유의하게 감소된 소견을 보였으며(p < 0.01) 장 길이 단축도 유의하게 완화되었다(60.4 ± 5.1 vs. 67.5 ± 6.2 mm, P < 0.05). 장염 유도 30일 동안 DAI가 T-MSC 투여군에서 HEK 장염 대조군에 비하여 지속적으로 높았으며 이 차이는 실험 18일경에 가장 극대화되었다. 장염 유도 마지막 날인 30일 째에 채취한 조직의 조직학적 점수는 HEK 장염 대조군에 비하여 T-MSC 투여군에서 낮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석하였을 때 IL-6가 T-MSC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36.2 vs. 1.72, p < 0.05). TNF-α, IL-10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MSC의 용량에 따른 효과 차이는 없었으며 오히려 1x106 T-MSC를 투여한 군에서 DAI가 가장 낮았다. 투여 간격이 긴 군에 비하여 투여 간격을 짧게 하였을 때 DAI도 더 낮고 장 길이도 더 긴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IL-1β로 전처치를 시행한 T-MSC의 효과 증가도 명확하지 않았다. 결론: T-MSC는 DSS로 유도된 급성과 만성 장염 마우스 모델에서 DAI와 장 길이 단축의 육안적 장염을 호전 시키고 IL-6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를 낮춰 항염증 효과를 보여주었다. T-MSC는 염증성 장질환의 새로운 치료 물질로서의 가능성이 있으며 추후 T-MSC 만성 장염 모델에서의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더 많은 개체 수에서 발전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Stem cell therapy has come into the limelight as a potential therapeutic approach for various diseases, includ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Tonsil-derived stem cells (T-MSCs), a newly developed source of MSCs, have many advantages including retention of stemness, high differentiation capacity and shorter doubling time. Here, we examined the therapeutic effect of T-MSCs in a mouse model of IBD. Methods: Acute and chronic colitis was induced in 7-8-week-old C57BL/6 mice. For the induction of acute colitis, the mice were treated with 3% DSS (dextran sulfate sodium) for 7 days. T-MSCs were administered to the mice via the intraperitoneal or intravenous route on day 3 of DSS treatment. For the induction of chronic colitis, the mice were treated with 1.5% DSS for 5 days, followed by 5 days of drinking water continuously for three cycles (total of 30 days). T-MSCs were administered on days 6 and 16 of DSS treatment. Colitis severity was assessed daily by determining the disease activity index (DAI), colon length, histologic grading and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TNF- α, and IL-10). We compared various options for optimizing the T-MSC treatment. We evaluated the dose-dependent effect of T-MSCs by administering 1x106, 2x106 and 5x106 cells to the mice. T-MSCs were injected on days 6 and 16 of DSS treatment (long interval) and on days 6, 9, 12 and 16 of DSS treatment (short interval). Pretreatment with IL-1β was also evaluated. Results: Mice with DSS-induced chronic colitis (HEK colitis group) showed an elevated mean DAI (4.4 ± 1.7 mm) and shortened mean colon length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After T-MSC treatment, DAI was significantly reduced (4.4 ± 1.7 vs. 2.9 ± 1.0; p < 0.01) and colon shortening was lessened (60.4 ± 5.1 vs. 67.5 ± 6.2 mm; p < 0.05) compared to the HEK colitis group. The DAI of the T-MSC-treated group was continuously lower than that of the HEK colitis group throughout the 30 days of colitis induction; the difference was maximal at day 16 of colitis induction. The histopathologic sc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IL-6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MSC-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HEK colitis control group (36.2 vs. 1.72; p < 0.05). TNF-α and IL-10 level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No dose-dependent effect of T-MSCs was evident. In the group treated with T-MSC at a short interval, the mean DAI was lower and the mean colon length was greater than those in the group that received T-MSC injection at a long interval, albeit not significantly so. IL-1β pretrea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AI or colon length. Conclusions: In our stud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T-MSC reduced gross inflammation of the colon, as evidenced by reduced shortening of the colon and a lower disease activity index in a murine colitis model. However, the histopathologic improvement of the T-MSC-treated group was not significant. T-MSCs may be a possible option for treatment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Whether T-MSCs have therapeutic potential for chronic colitis warrants further evaluation in a larger-scale study.

      • 중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성향과 갈등해결전략 연구

        송은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의 가해, 피해의 대상이 되는 또래관계에 초점을 두고, 중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성향과 갈등해결전략의 차이와 남녀차를 연구함으로써 각 경험유형에 맞는 상담 및 심리 치료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3개 남녀공학 중학교의 1, 2, 3 학년 총 803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척도를 통해 집단따돌림 경험유형(가해 집단, 피해 집단, 가해-피해 집단, 일반 집단)을 분류하였다. 각 경험유형별 대인관계성향과 갈등해결전략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여기에서 대인관계성향은 지배-우월, 독립-책임, 동정-수용, 사교-우호, 경쟁-공격, 과시-도취, 반항-불신의 7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뉘며, 갈등해결전략은 절충 및 협력전략, 회피전략, 양보전략, 지배전략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따돌림 경험유형별 분포에서는 일반 집단, 가해 집단, 가해-피해 집단, 피해 집단 순으로 많았고, 집단따돌림 가해와 피해 경험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따돌림 경험유형별 대인관계성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해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대인관계에 있어서 지배-우월적인 성향이 가장 높고, 반대로 피해 집단은 지배-우월적인 성향이 가장 낮았다. 또, 가해와 피해 점수가 모두 높은 가해-피해 집단은 대인관계에서 경쟁-공격적인 성향이, 가해와 피해 점수가 모두 낮은 일반 집단은 대인관계에서 동정-수용적이고 사교-우호적인 성향을 많이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인관계성향에 있어서 경험유형별로 성차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가해 집단을 제외한 세 집단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인 관계에 있어 지배-우월적인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인관계에서 권위적이며 상대에게 지시하고 복종을 요구하는 등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따돌림 경험유형별 갈등해결전략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절충 및 협력전략은 일반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오고 피해 집단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어, 가해나 피해의 경험이 기준치보다 낮거나 전혀 없는 청소년은 갈등상황에서 친구에게 양보하거나 둘 다에게 괜찮은 방법을 찾는 전략을 주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배전략에서는 가해-피해 집단이 가장 높고 일반 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가해와 피해의 경험을 모두 가지고 있는 청소년이 갈등상황에서 있어서 친구에게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고 설득하려는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갈등해결전략에 있어서 경험유형별로 성차를 검증한 결과, 집단따돌림 가해 집단과 일반집단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절충 및 협력의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언급한 대인관계성향에서의 성차와 결부지어서 해석할 수 있겠다. 즉, 또래를 대함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들보다 자기주장이 강한 반면, 막상 또래와의 갈등상황에 놓이게 되었을 때는 친구와 나 둘 다에게 괜찮은 방법을 찾아 협상하려는 경향이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대인관계성향과 갈등해결전략에서 집단따돌림 경험유형별로 차이가 있으며, 성차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집단따돌림의 예방과 치유에 도움을 주기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는, 집단따돌림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는 또래 관계에서 집단따돌림을 경험유형으로 나누어 보고 그에 따른 대인관계성향과 갈등해결전략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도 이해하여 각각의 경험유형과 성별에 맞는 차별화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being involved in community estran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n to investigate their propensity to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strategies of conflict resolution. In this study, relating types to community estrangement were distributed into bullying, victim, bullying-victim, and normal groups. The propensity to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classified by 7 low factors; control-superiority, independence-responsibility, sympathizing-accepting, social-friendly, competitive-offensive, ostentatiousness-intoxication, resist-distrust. Also, the strategies of conflict resolution were assorted by 4 low factors; compromising-cooperating strategy, avoiding strategy, disclaiming strategy, dominating strate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3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devices of measurement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nd three scales - scale for the experience of bullying or victim, scale for the propensity to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cale for the strategies of conflict resolution were applie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bullying students are more than victim students and boys has more frequent experiences than girls both as bullying and as victim. Second, the bullying group showed highest grade in control-superiority propensity, whereas victim group took lowest grade. And normal group which has low scores in both bullying and victim experiences took highest rank in scores of sympathizing-accepting and social-friendly propensity. Girls took control-superiority propensity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pensities more frequent than boys in the victim, bullying-victim, and normal group. Last, It was the normal group that most often used the compromise-integrating strategy in thei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mong the group types related community estrangement. On the other hand, the victim group most rare used the compromise-integrating strategy. The dominating strategy scores were highest in the bullying-victim group and lowest in the normal group. In the bullying group and normal group, girls showed more high degree of the compromise- integrating strategy in thei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ithin friendship than boys.

      • 중학생의 주생활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송은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 ‘주거 환경과 안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 수업을 통해 중학생의 주생활 안전의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내용은 첫째,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과 안전교육 7대 표준안,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을 분석하여 안전관련 내용 요소를 추출한 후 주생활 단원을 재구성한다. 둘째, 안전한 주생활 실천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습 자료와 설문지를 개발한다. 셋째,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업에 적용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적합성을 검토한다. 선정한 학습 주제를 토대로 개발한 총 4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2015년 12월 21일부터 12월 29일까지 경북 문경시 소재 남자중학교 1학년 전체 4학급 121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SPSS WIN(ver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개발한 주생활 안전의식 함양 수업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환경과 안전’ 수업을 위해 실생활의 문제를 인지하고 실천적 추론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총 4차시의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차시별 실천적 문제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누구에게나 안전한 주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쾌적하고 안전한 실내환경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안전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선정하였으며 교수·학습 단계는 도입(생각 열기, 학습 목표 안내) - 전개(문제 인식, 정보 탐색 및 대안 선택, 가치 탐구 및 추론) - 정리(수업 정리 및 발전, 과제 제시)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교수․학습 과정안의 특징은 가정교과의 ‘주생활’ 수업에 ‘안전’의 요소를 적용하여 주생활에서의 안전사고에 대해 인지하고 예방하며 안전한 생활을 실천하는 안전의식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 교수․학습을 위해 학습 활동지(26개), 교사용 자료(8개), 읽기 자료(8개), PPT자료(4개)를 함께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주생활안전 수업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77.8%가 자신의 집안에서 안전사고가 일어난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가정내 안전사고 발생 장소는 부엌, 방, 욕실·화장실, 거실, 현관, 계단·승강기, 대문이나 출입구, 베란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사고 경험 대상자는 학생 자신, 어머니, 형제자매, 아버지, 가족전체, 이웃·친척의 순이며, 안전사고의 유형은 넘어짐, 부딪힘, 베임, 끼임, 미끄러짐, 화상, 낙상, 갇힘, 화재 등의 순이었다. 안전사고를 직접 경험한 경우, 우리 가족이 안전생활을 철저히 실천하고 있으며 학교에서 생활안전교육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사고 경험이 사고의 위험성을 쉽게 인지하여 안전생활을 위해 더욱 노력하는 태도를 기르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수업은 실천적 문제를 이용한 수업 주제와 학습 자료, 모둠 활동 수업과 다양한 안전사고 사례 조사·발표, 학생 활동 중심 수업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업 내용의 이해가 쉽고, 재미있으며,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수업이었다. 학생들은 이 수업 내용이 오래 기억될 것이며 다른 친구들과 다른 학교에서도 배우기를 추천하면서 평소보다 더 즐겁게 참여하였다. 넷째, 본 수업은 안전의식의 함양에 효과적이었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주생활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인식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었으며, 나의 행동이 우리 가족과 사회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에게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고 어린이와 노인을 배려하는 자세를 가지게 되었으며 생활용품의 안전관련 표시사항을 읽어 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 노력하며, 집을 비울 때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해 자주 환기를 시키는 등 배운 것을 앞으로 실생활에서 실천하며 우리 가족에게도 알려 함께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안전한 주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주생활 안전의식을 함양하여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인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스스로 탐색하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업은 ‘안전’의 핵심 개념을 제시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기준의 달성에 기여하며, 안전한 사회를 위한 국가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기에 가정교과의 주생활 안전교육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 공군기술부사관 집단정체성척도 개발

        송은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Development of a Group Identity Scale for Technical Non-Commissioned Officers in Korea Airforce Song, Eun-Mi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eong-Hoi)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dissertation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a new scale of group identity for Airforce Technical Non-Commissioned Officers in Korea(ATNGI),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group identity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group members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earch on identity theories(social identity theory and collective identity theory) and interviews with fifty Airforce Technical Non-Commissioned Officers(ATNOs), 71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o perform factor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responses to a 71 preliminary items of 362 ATNOs(calibration samples). Based on the result of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se calibration samples, 31-item in 4-factor of ATNGI-scale was construc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4 constructs, and it showed a good fit of the model. The first factor(9-item) was related with behavioral, the second(8-item) was with cognitive, the third(8-item) was with evaluative, and the last(6-item) was with affective components of group identity. These were named ‘behavioral involvement',‘self categorization',‘group self-esteem', and‘group attachment'. A review of the scale by a panel of experts provides initial evidence of nomological validity. The convergent, the discriminant, the cross validity test, and the reliability test were performed on a validation sample①(N = 343), The test-retest test was performed on a validation sample②(N = 168). The convergent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all factors were satisfactory. The result of the cross validity showed good in indexes of the model fit. Internal consistency measures of reliability of all factors were appropriate(Chronbach's α = .83 ~.87). Furthermore the result of the test-retest test was satisfactory(r = .91).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test were performed on a validation sample②(N = 168). The intercorrelation of th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NGI and subjective well-being.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TNGI and anxiety or depression. Additionally, ATNG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e ATANO's. Furthermore, The ATNGI showed significant regression coefficient to the Well-being, anxiety, depress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are discussed.

      • 전경린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의 인식양상에 관한 연구

        송은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n a series of Jeon Gyonglin's works: three short stories--"Fantasy and Delusion", "The Bird Is Always There", "Philosophy of Wife's Chamber" and a novel entitled "A Woman Driving a Goat". The research is aimed at finding out how female characters in the four works develop their relationships in Korea's patriarchal family system and how they are awakened to and formulate their identities. Writer Jeon Gyonglin made her debut in the Korean literary circle when she wrote a prize-winning entry: "The Moon over the Desert" in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sponsored by the vernacular journal Dong-a Ilbo in 1995. Another successful entry winning the prize at the literary event by Munhak Dongne (literally the Literary Neighborhood) with her novel "A Woman Driving a Goat" a year later earned her attention in the literary circle. Firmly establishing her position representing female writers in her ages with her successive eye-catching novels, she was reputed to be a poignant writer making a sharp voice about realities in society faced by Korean women after the 90's. So much as called "the witch of the 90's", she proved herself iconoclastic with her dogged efforts to bring to light the identity issue of the Korean women which was in serious danger at the time. Her deep probing attention to the identity issue of Korean women had been the main theme of her incessant obsession since her debut. Female characters in Jeon's works tend not to show themselves positioned within the patriarchal family but to explore their identities coming out of it. Having lived as an "other being" in the patriarchy all along, the female character tries to show her existence liberated from the rigid routine even breaking the taboo in the conservative background.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to giving the identity to the female character who even dares to break the taboo in searching for it as written in Jeon's novels. But it is to be noted that her female characters are more concerned in probing their internality and even go so far as to become tragic women experiencing and formulating their identities. Those female figures show us their images of the generation, sort of dual states mirroring the society of the period. It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we are left with our choice to find out clues about their real identities from the episode. The ultimate goal of feministic literature ought to be directed toward narrating to women episodes and experiences of other women. Their repeated experiences enable themselves to find their new roles regarding their newly established identities. Female characters in "Fantasy and Delusion" and "The Bird is Always There" find themselves getting conscious of their new identities while denying themselves while their identities are endangered. Those housewives in "Philosophy of Wife's Chamber" and "A Woman Driving a Goat" successfully find their new identities showing their independence by concentrating on exploring their internality. Jeon's stories have significance in that women's passive identity formed in relation to the patriarchal family setting in her works is shown to shift to their independence in asserting their new identities. Modern society is currently changing in the direction where men and women struggle together to live in a harmonious happy community. Jeon has given us opportunity to reevaluate women's positions in the hitherto patriarchal, though somewhat invisible, circumstances while letting them ask a question: "Who am I, and what can I do in this world?" Men and women both exist and live together in reality. Women's real issues which men hardly seem to truly recognize are shown to them so that they can be led to reassess them and have time for self-reflection. Jeon Gyeonglin, more than anybody else, has true affection for women's lives and persistent attention to them. Her characters boldly show female issues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their own identities in various experiences. Your efforts to thoroughly read and understand dual states of women's identity as shown in their independent lives are to give significant clues in finding women's true identity who used to live as an "other being" in the male-dominated Korean society. 본 논문은 전경린의 단편「환과 멸」,「새는 언제나 그곳에 있다」, 「부인내실의 철학」 , 중편소설「염소를 모는 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네 작품을 통해 여성 인물들이 가부장적 가족제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여성 인물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정체성을 자각하고 형성해 가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전경린은 1995년 「사막의 달」이 당선되면서 문단에 모습을 드러냈다.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한지 1년 만에 「염소를 모는 여자」로 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문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발표하는 소설마다 문단의 이목을 끌며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 작가로 자리 매김한 전경린은 90년대 이후 여성이 처한 현실에 날카로운 목소리를 내는 귀기의 작가로 평가받는다. 특히 위기에 처한 여성 정체성 문제를 양지로 끌어내는 강렬함은 90년대의 마녀로 불릴 만큼 전복적이다. 여성의 정체성에 대한 깊은 탐색의 시선은 전경린이 등단 이후 끊임없이 천착해 온 주제이다. 전경린의 여성 인물들은 가족 안에서의 자신의 위치보다 그것으로부터 벗어난 존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타자로 성장했던 여성들은 이러한 일상에서 벗어나 금기의 위반을 통하여 존재를 확인하고 자아 찾기를 시도하였다. 전경린 소설이 여성의 정체성을 문제 삼는 과정에서 금기의 위반을 통해 자기 존재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현대세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개인의 내면성을 탐구하는데 관심을 기울인 결과 여성 인물들이 자신의 주체를 경험하고 형상화하려는 노력을 드러내는 것이며, 자아를 찾기 위해 비극적 여성되기를 자처하는 여성 인물들의 모습은 당대 사회의 부정적인 금기의 양상을 제시해주고 그에 대한 실마리를 우리들 스스로가 찾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여성주의 문학의 궁극적 지향점은 여성에게 여성의 경험을 들려주는 것이며 여성은 그 경험의 반복을 거듭하면서 여성 정체성과 관련된 새로운 역할을 구해나가는 작업이다. 「환과 멸」,「새는 언제나 그곳에 있다」의 여성인물들은 정체성의 위기를 겪으면서 자기를 부정하거나 정체성을 자각하는 모습을 보였다. 「부인내실의 철학」, 「염소를 모는 여자」의 가정주부들은 개인의 내면을 탐구하는데 관심을 기울인 결과 자기를 발견하고 여성이 주체가 되려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즉 작품들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인 수동적 여성 정체성에서 주체적 여성 정체성으로의 이행과정이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현대사회는 남성과 여성이 다함께 행복한 사회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전경린의 작품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보이지 않게 남아있는 우리 사회에서 여성들로 하여금 ‘나는 누구이며 이 세상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다시 한번 검토할 수 있게 해주는 기회가 되었다. 남성과 여성이 따로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라 현실 속에 함께 존재하지만 남성이 진정으로 찾아내지 못하는 여성의 문제들을 보여줌으로써 현실에 대한 재검토를 유도하고 함께 반성의 계기를 마련하자는 의미를 제공한다. 전경린은 누구보다도 여성의 삶에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있는 작가이다. 작품 속의 인물들은 자기를 발견하는 과정을 통해 여성의 문제를 과감하게 보여주었다. 여성들의 삶에 나타난 정체성의 양상을 면밀히 읽어내려는 노력은 남성 중심의 제도와 담론 속에서 타자로 존재했던 여성이 정체성을 찾아가는데 의미 있는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어머니의 자기성찰과 유아의 정서조절과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

        송은미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 regards to the effects of mother’s self reflection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rough this research, authentic data and insight needed in the area of counselling and education for parents who want to raise emotionally happy and socially successful children, will be provided. Online and offline survey from 314 parents with children aged between 3-6 have been conducted for this study. Out of 314 survey responses, some were omitt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and 289 responses have been us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has used various measures such as Intrapersonal Intelligence Assessment Scale(IIAS),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Scale(CCNES), and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Also, mediation effect has been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3.3, and significance using bootstrapping. Additionally, direct effect of mediated model and total effect has been observ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self reflection and mother’s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was analyzed. As a result, mother’s self refle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mother’s supportive reac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to mother’s unsupportive reaction. Also, mother’s supportive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child’s emotional regulations, and mother’s unsupportive reac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Mother’s self refle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child’s emotional regulation. Second, mediation effects of mother’s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 regar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 reflection and child’s emotional regul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mother’s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a partial medi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 reflection and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lso, through bootstrapping method, meaningful mediation effects have been verified. Additionally, the significance of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had been observed, and they all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shows that child’s ability to regulate emotion vari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mother’s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lso, this study verified that in order to increase mother’s desirable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raising the level of mother’s self reflection is effective. These results can present directions for desirable nurturing to the unskilled mothers who fac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from their child. Also,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ational resources to counsel and educate parents who wish to raise their children to be socially and emotionally capable, and to be able to resolve or prevent problems regarding child’s emotional regul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기성찰과 유아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녀를 정서적으로 행복하고, 사회적으로 유능하게 양육하고자 하는 부모 상담과 교육에 실제적인 자료와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만 3-6세 미취학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온라인 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314부를 수집하였다. 이중 불완전한 응답 자료를 제외한 289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용 자기성찰지능 척도,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표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ROCESS MACRO 3.3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추가로 매개모형의 직접효과와 총 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자기성찰은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비지지적 반응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은 유아의 정서조절과 정적 상관을, 비지지적 반응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자기성찰과 유아의 정서조절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 자기성찰과 유아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은 어머니의 자기성찰과 유아 정서조절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추가로 연구모형의 통합적 이해를 돕기 위해 직접효과 및 총 효과의 유의성도 함께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가 부정적 정서를 표출할 때 어머니가 나타내는 반응양식에 따라 유아의 정서조절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바람직한 반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자기성찰수준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를 다루는데 미숙한 어머니들에게 바람직한 양육행동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자녀의 정서조절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하여 자녀를 사회·정서적으로 유능하게 양육하고자 하는 부모들을 상담하고 교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시설장, 교사, 학부모가 지각한 영아보육시설의 실태와 발전방안 : 서울시 영아보육 시설을 중심으로

        송은미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만 3세 미만의 영아들을 보육하는 영아보육시설의 실태를 파악하여 영아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육시설 52개소의 시설장, 보육교사,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248부 중 통계체제에 의미가 있는 228부를 분석하였다. 시설장, 보육교사 및 학부모가 지각하는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영양, 건강, 안전, 보육프로그램 및 보육서비스, 보육교사의 처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으로 영아보육운영에 가장 중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보육프로그램 및 보육서비스가 3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실내외 환경이 21.5% 순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보육시설 운영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정부 보조금 지원 부족이 34.6%, 시설 설비 부족이 30.7%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프로그램 및 보육서비스에 대한 질문 중 보육계획안 내용의 적절성은 국.공립의 경우 가정, 민간, 가정에 비해 보육계획안의 내용이 영아의 신체, 정서, 언어, 사회성 및 인지발달 등을 도모 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보육시설에서 필요한 운영 시간 형태에 대해서는 ‘야간 보육’이 33.8%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처우에 대한 질문 중, 영아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자질에 대해서는 영아보육 전문지식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45.2%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의 횟수에 대한 분석에서는 전체 71.5%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상별로는 시설장과 교사에 비해 학부모의 경우 받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나타나 대상별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정부지원 서비스에 대한 질문에 영아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교사의 1인당 영아 비율축소’가 29.8%로 나타났으며, 보육시설 개선이 21.1%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영아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발전방안에 대한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의 보육현황에 의하면 영아보육은 민간 보육시설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원 운영의 어려움을 묻는 질문 중 시설 설비 부족에 대한 사항이 국. 공립에 비해 직장(41.3%), 민간(36.8%), 가정(27.1%)의 경우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민간 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서 정부의 지원과 관리를 통해 영아보육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와야 한다고 본다. 둘째, 영아기 발달 단계에 맞는 다양한 보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 영아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맞벌이 부모들의 시간을 고려하여 온라인을 통한 부모교육과 멀티미디어 시대에 걸 맞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부모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해야겠다. 셋째, 교사의 처우의 문제 중 보육교사의 급여에 대한 문제는 전체 68.9%가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이에 영아보육교사에게 아동 수 변동과는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수당이 지급되어야 하며 근무시간 연장에 따른 수당, 연구수당을 지급하는 등 처우개선을 통해 교사수급을 원활히 하여야 한다. 또한 보수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본다. 넷째, 본 연구 조사 중 ‘영아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정부지원서비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을 보면 ‘보육료 지원확대’가 36.0%로 보육료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저소득층 위주의 지원으로 인한 맞벌이 및 다자녀 가구 등 실질적인 보육서비스 수요계층에 대한 미흡한 배려와 엄격한 지원기준 정책의 효과성에 반감을 나타난다. 이에 보육료 전액 지원대상 확대와 맞벌이 가구의 소득산정 기준을 완화하며 두 자녀 이상인 가구에 대한 보육료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본다.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infant care facilities for children less than three years in Seoul to find a qualitative improvement plan for infant care facili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o head of offices of 52 infant care facilities, childe care teachers, and parents and out of returned 248 questionnaires, statistically meaningful 22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summary of physical environment, nutrition, health, safety, child care program, child care service and treatment toward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d by head of facilities, child care teachers, and parents are as follow. First, child care program and service was considered to be the important factor as 32.0% in the operation of child care facilities followed by th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as 21.5% the second important factor. On the difficulties of child care facilities operation, 34.6% agreed to the lack or government subsidies while 30.7% recognized as the lack of facilities and equipment. Second, questions for child care program and child care servic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appropriateness of child care plan needs to be focused on children's body, emotion, language, sociality and cognitive dto be focusin case of government established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in comparisat to home and private child care. On the necessary type of hours of operation, "night care" showed as high percentage as 33.8%. Third, questions on treatment toward child care teachers, 45.2% of respondents agreed to see that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 child ca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important qualities which child care teachers supposed to have. Analysis on the frequency of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aiming at improving expertise of child care teachers, 71.5% agree to see the necessitie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 by the subjects that while head of facilities and child care teachers agreed to the necessity, parents answered that it would make no difference. Lastly, questions on primary factor which the government needs to focus on to improve qualitative standard of child care facilities, "reduction on children proportion per teacher" ranked 29.8% followed by improvement on child care facilities of 21.1% Followings are the proposal based on the researchers survey to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 care facilities. First, according to the current child care conditions in Korea, it shows that child care hight depends on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However, the research shows that among questions on the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child care facilities, the lack of facilities were answered to be the most difficult factors in order of workplace (41.3%), private facilities (36.8%) and home (27.1%) compared to government established and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child care facilities needs to be brought by the government support and management. Second, a variety of child car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stage of infant. Furthermore, the situation of dual-income parents needs to be considered to attract positive and proactive participation from them by providing on-line parents education and internet website paced with current multi-media era. Third, among the questions on the payment of child care teacher, 68.9% of respondents answered as inappropriat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n allowance needs to be paid to child care teachers regardless of the fluctuation in number of children also an allowance in accordance with the extended time of duty, research allowances also need to be provided for the better working condition of child care teachers. Enhancing professionalism also needed to be provided by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Lastly, 36.0% of respondents agreed the necessity of " expansion on child care cost support" in terms of parents' recognition on "government service to enhance qualitative standard of child care facilities". However, respondents expressed aversion to the low-income bracket focused policy due to the lack of consideration to the actual child care demand group and strict support standar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trengthening child care support to families with more than two children is necessary by expanding families for full funding in child care cost and alleviating income computation standard for dual income families.

      • 뇌졸중에 대한 신념이 고혈압 관리에 미치는 영향

        송은미 가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독거노인 등 건강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만성질환에 대한 질환관리 실태 및 건강행태 실천 요인을 파악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한 건강관리 서비스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옹진군 방문건강관리사업 등록자 중 건강문제가 있고 고혈압을 진단받은 40세 이상의 남・녀 중에서 서면 동의한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실측자료를 조사 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누락이 많거나 불성실한 10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17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고혈압을 대표로 하는 만성질환자가 혈압관리, 질환에 대한 지식수준 정도 및 건강행태 실천 여부 등 실태를 파악하고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대상자가 건강행동을 하는지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설문과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건강취약계층의 일반적 특성,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8대 건강행위 실천 정도 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분석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건강취약계층의 주요 특성에 따라 혈압조절, 고혈압관리 지식, 8대 건강행위 실천 정도 수준 차이, 그리고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카이제곱 검정과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였으며, 뇌졸중에 대한 신념이 혈압조절과 고혈압관리 지식, 8대 건강행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관적 혈압조절 상태에 따라 “평소 혈압이 잘 조절되고 있다”라고 인지하는 집단이 실제 혈압이 정상범위로 잘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오래 전에 고혈압 진단을 받은 집단일수록 고혈압관리 지식수준이 높았다. 3.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 대상자 여부에 따라서는 프로그램 이수자가 고혈압 관리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8대 건강행동 실천 수준은 혈압관리를 위한 3대 관리법을 모두 수행하는 관리군 집단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고혈압관리 지식은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답한 대상자(저인지군) 들이 고혈압관리 지식수준이 높았다. 6. 혈압조절의 경우 뇌졸중 ‘예방행동 자신감’이 높은 대상자들은 혈압조절이 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8대 건강행동 실천 수준은 ‘예방행동 자신감’이 높은 대상자들이 실천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내용을 도출해보면, 첫째, 실제 측정치로서 혈압이 잘 조절되고 있는 집단은 대상자 스스로 혈압이 잘 조절되고 있다고 느끼는(“잘 조절됨”, “매우 잘 조절됨”) 집단과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갖고 있는(“나는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 운동이나 싱겁게 먹기 등 생활수칙을 잘 실천할 수 있다“) 집단이다. 둘째, 8대 건강행동을 잘 실천하고 있는 집단은 혈압관리를 위한 3대 관리법(약물복용・운동・식이요법)을 수행하고 있는 집단과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갖고 있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만성질환 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대상자에게 적정 수준의 질환관리 및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행태 수준을 파악하여 행태를 교정하고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는 도서 지역의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건강신념모형의 자신감 요인을 포함한 교안을 적용하여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집중 사례관리와 전후 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점차 증가하고 있는 건강취약계층의 건강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 취약계층의 집중관리는 물론 방문건강관리사업 확대에 필요한 예산과 인력지원 및 업무전담 등 재편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