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드 모르간의 수학교육 철학과 교수법의 재조명

        손홍찬,고호경,Son, Hong-Chan,Ko, Ho-Kyoung 한국수학사학회 2007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0 No.4

        드 모르간은 집합 단원에서 나오는 이름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알려진 수학자이다. 그는 19세기 영국의 대수학과 논리학에 영향을 끼치는 등 매우 폭넓은 연구업적을 남긴 수학자임과 동시에 위대한 수학 선생이기도 하였던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드 모르간의 생애와 수학에서의 업적을 간단히 살펴본 후, 그의 수학교육에서의 철학과 교수법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훌륭한 수학 교사가 갖추어야할 사항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Augustus De Morgan, British mathematician, a great mathematics teacher. Although his name is well known to everybody who is interested in set theory, his major mathematical legacy would arise from his novel research in logic. In this article, we first investigate De Morgan's life briefly; we then consider his precious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his students' remarks and his works. Finally, by considering his teaching style, we highlight some of the ingredients that go into making a great mathematics teacher.

      • KCI등재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피타고라스 삼원수 성질의 탐구

        손홍찬 ( Hong Chan So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논문집 Vol.25 No.1

        본 고에서는 중학교 3학년 영재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 수업 결과를 바탕으로 스프레드시트 환경에서 학생들이 생성수의 조건 변화에 따른 피타고라스 삼원수의 다양한 성질을 탐구할 수 있었음을 논하였고, 스프레드시트 환경이 스프레드시트의 구체적 수치로부터 학생이 발견하고 증명한 성질을 보다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었음을 논하였다. 또한 피타고라스 삼원수의 다양한 성질을 탐구함에 있어서 교사의 적절한 안내가 필요함을 함께 논하였다. In this paper, we listed and discussed the properties of the Pythagorean triples which 5 gifted 9th graders could draw in spreadsheets environments. And we also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In detail, in spreadsheets environments students could make the table of Pythagorean triples easily under several conditions of generate numbers of Pythagorean triples. And they could draw several properties of Pythagorean triples from the tables and could prove them. In spreadsheets environments it is easy to give students chances of generalization of the properties of Pythagorean triples which they had obtained from the concrete table of Pythagorean triples.

      •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피타고라스 삼원수 성질의 탐구

        손홍찬 ( Hong Chan So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 학술지 Vol.2011 No.-

        본 고에서는 중학교 3학년 영재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 수업 결과를 바탕으로 스프레드시트 환경에서 학생들이 생성수의 조건의 변화에 따른 피타고라스 삼원수의 다양한 성질을 탐구할 수 있음을 논의하고, 스프레드시트의 구체적 수치로부터 학생이 발견하고 증명한 성질을 보다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음을 논한다. In this paper, we listed and discussed the properties of the Pythagorean triples which 5 gifted 9th graders could draw in spreadsheets environments. And we also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In detail, in spreadsheets environments students could make the table of Pythagorean triples easily under several conditions of generate numbers of Pythagorean triples. And they could draw several properties of Pythagorean triples from the tables and could prove them. In spreadsheets environments it is easy to give students chances of generalization of the properties of Pythagorean triples which they had obtained from the concrete table of Pythagorean triples.

      • KCI등재

        중학교 수학 영재아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인식과 특성에 관한 연구

        홍영석,손홍찬,Hong, Yong-Suk,Son, Hong-Chan 한국학교수학회 202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4 No.3

        이 연구는 중학교 수학 영재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의미 인식과 수학적 정당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당화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17명의 중학교 수학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검사지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영재학생들은 수학적 정당화에 대하여 입증, 체계화, 발견, 지적 도전과 같은 다양한 의미로 정당화를 인식하였고, 연역적 정당화의 선호도가 높았다. 실제 정당화 활동의 결과, 대수와 기하 문항 모두에서 연역적 정당화가 많았지만 대수 문항에서는 경험적 정당화도 많은 반면 기하 문항에서는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연역적 정당화를 완성한 경우, 자신의 정당화에 만족함을 보였지만 수학적 문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명제의 일반성을 연역적으로 정당화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불만족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영재학생들이 경험적 추론의 유용성과 한계를 깨닫고 연역적 정당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대수적 번역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당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for middle school math gifted students. 17 middle school math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s and written exams. Results show that the gifted students recognized justification in various meanings such as proof, systematization, discovery, intellectual challenge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the preference for deductive justification. As a result of justification exams, there was a difference in algebra and geometry. While there were many deductive justifications in both algebra and geometry questionnaires, the difference exists in empirical justifications: there were many empirical justifications in algebra, but there were few in geometry questions. When deductive justification was completed, the students showed satisfaction with their own justification. However, they showed dissatisfaction when they could not deductively justify the generality of the proposition using mathematical symbol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justification education that can improve algebraic translation ability is necessary so that gifted students can realize the limitations and usefulness of empirical reasoning and make deductive justification.

      • KCI등재후보

        게임개발을 위한 팀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수학영재의 공동체배려와 조직관리능력 기술에 미치는 효과

        황용원 ( Yong Won Hwang ),손홍찬 ( Hong Chan So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5 初等 數學敎育 Vol.18 No.3

        연구에서는 게임개발을 위한 팀 프로젝트 활동이 수학영재의 공동체배려와 조직관리능력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영재를 위한 리더십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영재학생들은 15차시의 팀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공동체배려와 조직관리능력 요인의 기술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이는 동료들과 함께 수학이론 학습, 게임규칙 확인, 게임 개발 아이디어회의, 게임 자료 제작, 산출물발표 준비 등의 과정을 경험하며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과목과 분리된 리더십교육이 아닌 수업주제의 특성과 융합된 리더십교육으로도 영재학생들에게 리더로서의 역량을 길러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am project activity for game making on the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ommunity car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capacity. 7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of 4th grade are selected and participated. After 15 hours activities during 2 months of team project on game making, their community car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capacity were improved. This results suggested that leadership education is possible in mathematics curriculum for mathematics gifted students.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반힐레 기하수준에 관한 연구

        최민정 ( Choi Min Jeong ),손홍찬 ( Son Hong Cha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3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기준으로 상·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이들의 반힐레 수준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상집단 83명의 경우 1수준은 13명(15.6%)으로, 2수준은 31명(37.3%)으로, 3수준은 34명(41.0%)으로, 4수준 이상에 해당하는 학생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집단 90명의 경우 1수준 미달은 16명(18%)으로, 1수준은 34명(38%)으로, 준2수준은 17명(19%)으로, 2수준은 23명(26%)으로 나타났고, 준3수준 이상에 해당하는 학생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 두 집단 사이에 반힐레 수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으로써 수준별 수업을 위한 별도의 교재 개발의 필요성과 반힐레 기하수준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GSP와 같은 역동적 공학 환경 하에서의 교수·학습을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n Hiele levels of 86 high achievement students and 90 low achievement students from 5 middle schools from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urban areas with the aim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low achievement students in mathematics. In this study, most low achievement students were at level 2 or below. Thus according to the van Hiele theory, the teacher must be careful in prepar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hen trying to enhance levels of the lower achievers. This study comments on different kinds of methods including recommendation for the use of dynamic geometry software in mathemat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