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교과 "음악과 생활" 분석 : 통합수업 중심으로

        손지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넘쳐 나는 정보들로 가득 차있다. 현대인들은 다양한 자격증을 따고, 대학에서는 학부제를 도입하였다. 이것들은 모두가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지식을 섭렵한다는 통합성의 개념과 일맥상통한다. "음악과 생활“교과는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2·3학년의 선택교과목이다. 학생들이 자신의 음악적 능력과 관심분야를 넓히기 위하여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생활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여 음악에 대한 심미적 안목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기르는 교과이다. 다음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음악과 생활”교과의 교수·학습방법의 일부분이다. 교육부,『제7차 교육과정 고시〔별책 12〕음악과 교육과정』1997. p.54 *다 항 - “활동영역을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영역으로 구분하고, 수업에 따라 영역별로 접근하기도 하고, 통합적으로 접근하기도 한다.“ *마 항 - “음악과 다른 예술과의 연관성, 생활에서의 음악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여 음악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도록 한다.“ 위의 내용들은 수업의 내용과 방법에 따라 음악 활동영역의 통합, 다른 예술, 생활 등 다양한 다른 영역의 활동을 음악과 통합하여 지도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음악과 생활” 교과는 통합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다양한 수업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문화권, 다양한 형식의 곡과 다양한 교수 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통합적 성격의 수업은 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율성 또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한곳만을 바라보는 학생들에게 포괄적 안목 등을 키워준다. 이러한 면에서 “음악과 생활“ 교과서의 출간은 새로운 음악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줄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음악과 생활“ 교과서의 통합수업 내용 중 타 교과와의 통합 수업 내용이 미흡함을 발견하였다. ‘타 교과와의 통합수업‘이란 음악과 타 교과와의 통합으로 간 학문적인 성격의 새 교과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위해 타 교과의 특수성과 교수 방법 등을 도입한다는 개념이다. 음악교육과정에서 그 동안 인지적 영역만이 강조되어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는데, 타 교과와의 통합 수업을 통해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을 균형 있게 교육할 수 있다. 또 음악을 좋아하지 않는 학생이 자신이 좋아하는 타 교과목과의 통합 수업을 통해 음악을 좋아하는 계기를 마련 할 수 있다. 무엇보다 교과 통합 수업은 학생주도의 모둠 학습을 필요로 하는 성격의 것이 많다. 이는 학생들에게 협동심은 물론 이해심과 문제 해결력,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 등을 키워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효과적인 통합수업을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연구하였다. 첫째 - 통합성의 개념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주장과 그 유형. 둘째 - “음악과 생활” 교과서의 통합적 성격의 분석 내용. 셋째 - 제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교과목 통합 수업의 실례와 교과지도안. 통합 수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교육과정을 만들고 자신의 학습을 주도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는 수업의 주도자가 아닌 안내자,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술, 국어, 사회, 역사교과목들과의 통합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수방법과 학생중심의 수업이 되기 위한 교사의 역할 등을 연구하였다. 미술교과와의 통합 수업에서는 추상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현대작가의 그림을 통해 학생들의 느낌을 음악으로 표현하는 수업방법을 모색하였고, 국어교과와의 통합수업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업 모형인 감상보고서에 대하여 논하였다. 또 사회교과에서는 모둠학습을, 역사교과에서는 음악사와 관련된 수업의 예를 들었으며, 최근 음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무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체육교과와의 통합수업은 구체적인 수업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이중 일부는 “음악과 생활“교과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일부는 본 연구자가 교육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직접 연구·작성하였다. 통합 수업은 교사의 다양한 능력과 준비성을 필요로 한다. 통합 수업을 계획하기 위해 각 분야에 걸친 다양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교사는 효과적인 통합 수업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자기연마를 하며, 동료 교사와의 유대관계를 돈독히 하고, 서로 교과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여야한다. 자율적, 창의적, 전인적, 한국인 육성을 위해 통합 수업은 교육현장에서 지향되어야 한다. The 21st century is filled with the overflowing information. Contemporary people have got various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and universities have adopted the faculty system. All of these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cept of integration that allows the acquisition of various knowledge in various fields. The followings are a part of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7th Curriculum: Item 3 - "The scope of activities is classified into the area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ve works, and appreciation; and the access may be tried individually or by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nature of instructions." Item 5 -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other arts, as well as the role and value of music in life, should be understood in order to develop the attitude of honoring music." The above guidelines indicate that the instructions of music may he provid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its areas of activities, or through the integration of music with the activities of other areas of various activities in other acts and life. The “Music and Life" course for the 7th Curriculum suggests various works on the basis of the integration concept. It covers various cultural groups, various melody types, various instruction methods, and so on. The instructions in the nature of integration would be beneficial in developing the creativity, self-regulation, or the comprehensive viewpoints for those students limited to the selected areas out of the school works mainly designed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In this respect, the publication of the "Music and Life" textbooks would serve as the momentum for showing a new direction in music education.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found, among the integrated instructions of the "Music and Life" textbooks, the insufficiency of the integrated instructions with the other subjects. The 'integrated instruction with other subjects' does not create a new course of inter-scientific nature through integrating music and other subjects. Instead, it is the concept of adopting the specificity and instruction methods of other subjects for the effective lessons of music. The subject of music is somewhat away from the 'applicability' out of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Its value and application, however, may be further elevated through its integrated instructions with other subjects. Moreover, those students who are not fond of music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like it through the integrated instructions with other subjects they are interested in. Above of all, the integrated instructions have the high likelihood of requiring the group study to be initiated by students. It will facilitate the cultivation of cooperation, understand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other qualities required for democratic citizens. In this paper, the author intended to look into the following areas for the effective instructions of integration: First, the opinions of several scholars are reviewed regarding the concept of integration, together with their types. Secon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on the nature of integration are presented for the "Music and Life" textbooks. Third, the case of integrated instructions and the draft actual instruction works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7th Curriculum. The ultimate purpose of integrated instructions is to make the students to become the teachers of their own. In this situation, the teacher's role changes as well, and the teacher's concern toward the students should be individualized. The teacher plays the role of the assistant in integrated instructions. Integrated instructions require various talents and preparation on the part of the instructors. It is because the planning of integrated instructions needs various knowledge in various fields. As such, the instructors need continuous efforts and self-cultivation for the effective instructions of integration. Moreover, the integrated instructions should be promoted on the national dimension for the fostering and production for self-regulating and creative Koreans.

      • 우리나라 직장탁아사업의 효과에 관한 조사연구 : 경영주 및 근로자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중심으로

        손지미 淑明女子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supply of day care services by providing a basic resource on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which can promote employers' understanding on it and can help the government to plan an effective policy for expansion of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4centers in all day care service operation that had been identified by Ministry of Labour in Seoul and 243 parent employees using the day care service. The survey population included all 15 centers, but out of the 15 centers, 14 centers were onl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responded. Out of the 404 parent employees, percent of response was 60.2 %, because 50 parents did not respond and 111 parents did not participate in the survey according to their official reasons and personal reasons. Two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be surveyed ; one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r use with managers of the centers based on Perry's questionnaire. Another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r parents based on the Perry's questionnaire, questionnaire of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nd a questionnaire of child development with advices of experts in child study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t is identified that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center operation gives the unique benefits to employer, which are enhanced recruitment, lower job turn over, a more improved working attitude of the users of the centers and an increase of productivity through the managers' and the parents' perceptions. 2. It is identified that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gives various benefits to a parent They are promotion of a patent's psychic stability by releasing from the child care and work conflicts and stress, helping child care in safety and education, the lower cost of child care, and the improvement of a parent-child relationship through the parents' perceptions. 3. It is identified that the child can develop properly, socially, intellectually, emotionally through the parents' percept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identified that not only employers can benefit in many ways of management by providing day care service for working parent employees but also parents and their children can benefit in various aspects by using the service.

      • 직장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에 관한 연구

        손지미 淑明女子大學校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산업경제발달이 모성취업의 급격한 증가와 여성 경제활동 참가추이의 M자형 곡선을 나타냄에 따라 일·가족은 상호분리관계가 아닌 공생적인 관계로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노동시장변화와 아동양육의 사회화 추세 속에서 여성근로자의 취학전 자녀의 양육은 취업 및 직무수행, 직무만족의 주요 저해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일·가족간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 보고되고 있다. 또한 근로부모는 보육서비스의 주요쟁점으로서 보육서비스의 이용가능성(편의성)과 이용적정성(비용), 신뢰성을 중시하고 요구하는데 비해 아동보육에 대한 사업체의 책임을 법제도화한 직장보육의 발달은 부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로, 근로자를 위한 가장 적합한 보육유형분석을 위하여 직장보육실시 사업체 및 기관의 여성근로자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보육만족도, 일·자녀양육 스트레스경험, 직무만족도, 근무태도(결근, 지각, 조퇴)를 비교함으로써 직장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로, 직종과 직종·직장보육에 따른 보육만족도, 일·자녀양육 스트레스경험 수준, 직무만족도, 근무태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직종별 직장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를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직장보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하는 직장보육실시 사업체 및 기관 17개처에 근무하고 있는 여성근로자 460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용 설문지 보육만족도 측정 일·자녀양육 스트레스 척도 직무만족 척도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과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사실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직장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는 직장보육이용 근로자와 다른 보육이용 근로자간의 보육만족도, 직무만족도, 근무태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직장보육이 다른 보육유형보다 근로자 및 자녀복지와 사업체 경제에 더 큰 긍정적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자녀양육 스트레스경험 수준을 보면, 일·자녀양육 스트레스경험에서는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녀양육으로 인한 근무 스트레스 유무와 빈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직장보육이용 근로자의 근무스트레스가 월등히 적음이 밝혀졌다. 둘째, 직종별 부모양육보충 효과는 보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전문직 여성근로자의 경우가 전반적으로 높고,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경우가 가장 낮다고 볼 수 있다. 이 점은 직종이 보육만족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자녀양육 스트레스경험과 근무태도에 있어서는 직종이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직종이 근로자의 일·자녀양육 스트레스경험과 근무태도에 효과를 미치는 주요변수가 아님을 시사하여 준다. 셋째, 직종별 직장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는 보육만족도, 직무만족도, 근무태도 중 결근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전문관리직 직장보육이용 근로자의 보육 및 직무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고, 결근이 적었다. 반면에 생산직 직장보육이용 근로자는 보육 및 직무만족도가 직종별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낮고, 결근은 잦은 편임을 보여 주었다. 이는 생산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직장보육에 발전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보육유형집단간의 비교에서 나타난 관련 최저점수중 생산직 직장보육이용 근로자의 경우가 보육유형에서 가장 낮은 점수인 가정보육이용 근로자의 경우와 직종에서의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경우보다 현격하게 높은 편이어서 보육만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장보육의 긍정적 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는 직장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와 다른 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간에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세 가지 보육유형(가정보육, 지역보육, 직장보육) 중에서 직장보육이 일·자녀양육 스트레스경험을 제외한 세 가지 종속변수(보육만족도, 직무만족도, 근무태도)에서 부모양육보충 효과가 큰 것으로 규명되었다. 그리고 일·자녀양육 스트레스경험 척도에서 통계적 차이가 유의하지 않음은 직장보육 서비스의 보완 및 개발의 여지를 시사하여 준 것으로서 보육시간 유형의 다양성 부족과 환아 프로그램이 거의 제공되지 않는 데에 기인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여성근로자의 부모양육보충 효과는 보육유형에서 보면 가정보육이, 직종에서는 생산직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난 점은 보육의 질적 측면에서 시사점이 큰 것으로 제기된다. 본 연구의 함의를 제시하면 이론적으로는 직장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실증적인 규명에 주목하여 근로자의 역할론적 관점과 경영주의 경영론적 관점을 기초로 하여 근로자·자녀복지와 경영주의 경제발전에 대한 긍정적 효과의 가능성을 가시화 하였고 구체적으로 실증하였다는 점에 있다. 정책적으로는 국가보육정책의 보육유형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동시에 직장보육정책의 우선적인 대상과 직장보육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을 제기하여 준다. Following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became not a separate one, but rather a symbiotic one through a steep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ing mothers and the unique shape of M-wave in the womens economic activity rate by age. Due to the changing demographics and the trend of substitute child rearing,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reported that child care problem is not only the barriers of being employed, working and job satisfaction, but the main factor for the work/family stress. However,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ESCC) is still under- developed, although working parents strongly demand the establishment of an accessible, affordable and reliable day care centers for their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the supplementary effect of the ESCC on satisfaction of (1) child care arrangement, (2) work/parenting stress, (3) job satisfaction and (4) work-behavior such as absenteeism, tardiness and early left, by way of analyzing and comparing three employee groups: firstly, according to three child care arrangements; (1) those who use the ESCC center, (2) those who use the home care by relatives, nannys and housekeepers etc., (3) those who use a community day care center, secondly, according to the three categories of occupation; (1) professional and managers, (2) clerks (3) craftswomen. 460 employees who work at 17 workplaces with the ESCC center for employee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urveyed. A pilot study established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data collection instruments. These research instruments collected data on the employees satisfaction of child care arrangement, work-parenting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ork-behavior. Analyses of variance(ANOVA) and chi square(χ2) analyses were adopted to examine the surveyed data.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employees who used the ESCC had significantly more satisfaction in child care arrangement, job satisfaction and showed less absenteeism, tardiness and early left. Especially professional and managing employee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ESCC and had the best work-behavior among three kinds of occupations.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craftswomen who use the ESCC were comparatively lower in their satisfaction of child care arrangement and worse in work-behavior, but significantly more satisfaction of child care arrangement and lower in absenteeism compared with other craftswomen groups who use the home care and community child care arrangement.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ork/parenting stress among female employee groups both in child care arrangement and in occupation, but female employees using the ESCC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working stress in connection with the parenting than the employees using alternative child care arrangement. Analysis suggested that three employee groups of occupational categories in this stud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ir satisfaction of child care arrangement and job satisfac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behavior and work/parenting stress in three child care arrangement types. In addition,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fessional employees using the ESC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raftswomen.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it can be alluded that the ESCC programs might not coincide with the parents need for the child care servi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ESCC program might be need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the perspective of theory, the supplementary effect of the ESCC was investigated more thoroughly and empirically for working parents and the welfare of their children, and for the employers who are eager to develop their business through a good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better child care arrangement. In addition to this, the background of the supplementary effect of the ESCC could be explained further on the basis of the related theories, which are role theory and psychological theories of business man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governmental policy, the research finding will contribute to what types of child care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and what type of the governments ESCC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to different class of occupation as a priority group to receive the benefit.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 중학교 영어과 ICT활용 수업 현황 분석

        손지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use of ICT in teaching or studying English and to find out how teachers and students see or evaluate the use of ICT. Eighteen in-service English teachers and five hundred eighty six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eachers have more positive beliefs on ICT use than the students. Teachers believe that the use of IC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students' studying English, but find it difficult to find proper WBT(Web-Based-Teaching) materials and have troubles with ICT facilities in their schools. Students believe that their teachers overuse CD-ROM titles while students themselves prefer to use more Internet based materials. Students consider repetition and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as strengths of ICT use, and distracted attention and troubles with ICT facilities as weaknesses of ICT use. As for the actual use of ICT tools, students mostly use computer for games and chatting, but they hardly study English with computers or Internet. Teachers and students have medial-level competency in ICT tools.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ity and rural area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use of ICT be promoted on the condition that teachers be provided with proper training and materials to use in the classroom. Also,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guide students as to effective ICT use.

      • 진주시 다문화 학생 한국어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손지미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그 실태를 파악한 후,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교육청과 진주시 교육청의 다문화 교육정책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진주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진주지역에서 시행 중인 다문화 학생 지원정책 중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은 ‘거점형 다문화교육센터’,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이 있다. 또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진주다문화가정 한국어교실’과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이중언어 교육을 하는 ‘토요 무지개교실’이 있다.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은 예산과 운영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거점형 다문화교육센터는 서부경남 전체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하는 데에 비해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과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은 학교 단위의 한국어 교육을 하였다. 거점형 다문화교육센터와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은 외부 한국어 교사가 수업을 하고,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은 담임 또는 국어 교사가 한국어 수업을 맡고 있었다. 다문화 학생의 유형과 한국어 수준에 따라 수업 내용도 차이가 있었다. 국내출생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학력 보충을 위한 학습한국어 중심의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중도 입국과 외국인 가정 학생의 경우, 담당 한국어 교사는 전문성과 경험 부족으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주당 한국어 수업의 시수가 가장 높은 프로그램은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이었고, 다문화 학생 맞춤형 교육은 예산 부족 때문에 충분한 한국어 수업을 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문화 학생들은 한국어 교육이 교우관계와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말하기를 가장 좋아하고 쓰기를 가장 어렵다고 하였다. 진주지역 다문화 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개선 방안으로,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지원, 한국어 교재에 대한 지원, 다문화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체계 확보, 교육기관 간의 연대와 협조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