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랜드스케이프(Landscape)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김영욱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our surroundings, there are landscapes of the unlimited sky and forests. These daily landscapes continues to change every hour, depending on the time, location, weather, and other factors. The various landscapes evokes invisible, complex emotions and interacts and communicates with our inner selves. A landscape is a section of animals, humans, buildings, land, and nature seen from a single viewpoint, and is also known as scenary. Studies using landscape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art are frequent, but it is limited to textile art in the field of fashion. The visual influence of the landscape evokes invisible, subjective emotions of an individual and it also evokes thoughts in texts. As for studies on text, there are no studies combining the landscape and text, whereas there are many preceding studies on humanities, philosophy, speech, and fashion. Thus, this study aims to use landscape images and texts and incorporate their complementary and mutually expandable relationships into fashion design works. The following points are the results of theoretical contemplation of landscape images and texts. First, the landscape image as a picture can be broken down into time and space. The time component can be related to factors such as day, night, and seasons. The space component can be broken down into whole and partial expression of the landscape through component factors. Second, a text consists of phrases, clauses, and sentences. It may develop into typography, where symbolic/additional meanings are granted through visual/formative expressions. Third, landscape images and text may hav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when the contexts of their expression and meaning are similar/identical. Through this relationship, the range of interpretation can be limited, the inference of the symbols and meanings can be induced, and the deliverance of the message can be reinforced. That is, the landscape image and text play explanatory functions on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xt of the image and text is different, they have a mutually expandable relationship. This expands the limits of inference, leading to expansion and conflict in various areas of symbols and meanings.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points, the modern fashion examples reflecting landscape images and text were sorted and analyzed in terms of meaning and composi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meaning of modern fashion examples using landscape images, it is possible to infer the perspective and meaning of landscape that the brand wants to express. As for composition, when the landscape image is expressed on the entire outfit, it is possible to intentionally connect the image of each item. The illusion effect appears, such as focusing the visual connectivity of readable images. On the other hand, in partial outfit expression, the connection of items is not possible, but the image can receive more attention. The modern fashion examples using text were also sorted into meaning and composition to be studied. As for meaning, it can be seen that the symbols and ideologies of the collection were directly borrowed from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the text. As for composition, when the text is expressed as a whole, it focuses on the role of a formative image rather than the meaning implied through the patterned text. On the other hand, in partial expression of the text, the text and the margin coexist, and the focus is on message delivery and representation of the text. Modern fashion examples combining images and text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complementary and mutually expandable relationships.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s, the image and text represents(image) and describes(text) the context and meaning, thus leading to objective interpretation. In mutually expandable relationships, various meanings and contexts are manifested through contradiction/non-connection/conflict between the image and text, thus leading to subjectiv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contemplation and case analysis, a fashion design study of 8-piece outfit that combines the whole expression of the landscape image with the text in typography was conducted. First, in fashion design planning, the theme was combining landscape images and text. Based on this theme, the researcher used landscape images taken with mobile phone as textiles. As for the text, an English typography was used. The meaning of the landscape image of this work is nature and streets of the city, dyed with various colors of the certain hours. The composition of expressed wholly on the outfit. The text of the English typography contains words that are relevant to the landscape image, and also words that are irrelevant, and the composition was expressed partially on the outfit. Thus, the relationship of the landscape image and text in this work is both complementary and mutually expandable. Second, in fashion design designing, the silhouette was exaggerated with oversize, with clear expression of the straight line, curved line, and diagonal lines. To maintain visual balance of the exaggerations, the size of the top and bottom were designed in contrast. The top has oversized bodice with design points of large collars. There are various lengths, from cropped length to length that covers the ankles. The focus of the bottom was put on the silhouette of the straight line, curved line, and diagonal lines, and there are various lengths from short to maxi. The design points are the changes in the crotch length and cuffs at the bottom hems. A total of 17 pieces of clothes were made, including 2 coats, 6 jackets, 2 blouses, 1 one-piece dress, and 6 pants. Polyester material was used, depending on glossiness. The colors of the pieces consists of colors extracted from the landscapes. The main colors are ones that can be seen often in everyday life, such as blue of the sky, orange of the certain hours, and green of natural objects. The point colors are pink and violet, which can only be seen for a short time of the day. As for the expression technique, the digital textile printing was used for landscape images, and the text was expressed with embroidery. As for the details, different typography was embroided on the back of all top outfits to give a sense of unity, and additional embroidery was placed in various positions. Third, in the fashion design work production stage, the above development process, pattern making, and fitt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and the works were made after several modif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creative fashion design research method by attempting to combine landscape image and text, and a combination of digital and analog techniques in expression. Hopefu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field of creative fashion design research, and to setting the direction for relevant follow-up studies. 우리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는 제한 없는 하늘과 숲이 어우러지는 풍경이 있다. 이러한 일상적인 풍경은 시간, 장소, 날씨와 같은 요인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한다. 이에 따라 풍경은 보이지 않는 복합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거나 인간의 내면과 상호작용하며 교감을 일으킨다. 랜드스케이프(Landscape)는 동물, 인물, 건물, 대지와 자연의 한 단면으로 경관을 뜻하며, 풍경이라고도 한다. 랜드스케이프를 활용한 건축, 환경, 미술 등의 연구 사례는 빈번하나, 패션과 관련해서는 섬유 예술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랜드스케이프라는 시각적인 영향과 더불어 보이지 않는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은 텍스트로도 사유를 불러일으키는데 텍스트와 관련한 연구는 인문, 철학, 회화, 패션 등의 선행연구는 빈번한 반면에 랜드스케이프와 텍스트의 결합과 관련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해 이들의 상호보완적이고 상호확장적인 관계성을 패션디자인 작품에 접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 관련 이론적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으로서의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는 시간성과 공간성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성은 낮과 밤, 계절의 요인과 연관 지을 수 있으며, 공간성은 구성적인 요인을 통해 랜드스케이프의 전체적인 표현과 부분적인 표현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 텍스트는 구, 절, 문장, 단어로 살펴볼 수 있으며, 시각적/조형적 표현을 통해 상징적/부가적 의미가 부여되는 타이포그래피로 발전되기도 한다. 셋째,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는 이들이 표현하고 의미하는 맥락이 유사/동일할 때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해석의 영역이 제한되거나, 상징 및 의미의 유추를 유도시키고, 나아가 메시지 전달이 강화될 수 있다. 즉,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는 설명적 기능을 서로에게 수행한다. 반면,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의 맥락이 상이할 때 상호확장적인 관계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각자의 맥락의 유추가 자유로워 다양한 상징 및 의미의 영역으로 확장 및 충돌이 나타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가 반영된 현대 패션 사례를 의미와 구성 측면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를 활용한 현대 패션 사례의 의미 측면에서는 해당 브랜드가 표현하고자 하는 랜드스케이프의 관점 및 의미 유추가 가능하다. 구성의 경우,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를 전체 착장에 표현할 때에는 아이템별로 이미지의 의도적인 연결이 가능하고, 읽어낼 수 있는 이미지의 시각적 연결성을 집중시키는 등 일루전(Illusion) 효과가 나타난다. 반면, 부분적으로 착장 표현 시, 실루엣과 디테일의 해체를 통한 아이템 간의 경계선으로 이미지의 주목성을 높일 수 있다. 텍스트를 활용한 현대 패션 사례 역시 의미와 구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의미는 해당 컬렉션의 상징 및 사상을 텍스트가 지닌 사전적 의미를 통해 직접적으로 차용하고자 한 것을 볼 수 있다. 구성은 텍스트를 전체적으로 표현할 경우 패턴화된 텍스트를 통해 내포된 의미보다는 조형적인 이미지의 역할에 중점을 지니게 된다. 반면, 텍스트의 부분적 표현에서는 텍스트와 여백이 공존하며, 텍스트가 지닌 메시지 전달 및 표상에 집중된다. 이미지와 텍스트를 결합한 현대 패션 사례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와 상호확장적인 관계로 분류해 분석하였다. 상호보완적인 관계의 경우, 이미지와 텍스트는 맥락 및 의미하는 바를 표상하고(이미지), 서술하는(텍스트)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객관적인 해석을 유도한다. 상호확장적인 관계의 경우, 이미지와 텍스트의 모순/비연계/충돌 등을 통해 다양한 의미 및 맥락이 발현되어 주관적인 해석을 유도한다. 위와 같은 이론적 고찰 및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의 전체적 표현과 타이포그래피로 작업한 텍스트를 결합한 8착장의 패션디자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패션디자인 기획에서는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의 결합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휴대폰으로 촬영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를 텍스타일로 활용하고, 텍스트는 영문의 타이포그래피로 작업하였다. 본 작품의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의 의미는 특정 시간대의 다양한 색감으로 물든 자연과 도시 속 도로의 모습이다. 구성은 전체적으로 착장에 표현하였다. 텍스트의 의미는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연관성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영문을 타이포그래피로 작업하고, 구성은 착장에 부분적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는 상호보완적이고 상호확장적인 관계성을 적용하였다. 둘째, 패션디자인 설계에서 실루엣은 직선, 곡선, 사선의 표현과 오버사이즈로 연출하고, 과장된 것들과의 시각적 밸런스를 위해 상의와 하의는 사이즈 대비를 주었다. 상의는 오버사이즈의 몸판과 빅 칼라로 디자인 포인트를 주었고, 크롭부터 발목을 덮는 길이까지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하의는 직선, 곡선, 사선의 실루엣에 중점을 두고, 숏부터 맥시까지 다양한 길이로 구성하였다. 또한 밑위의 길이 변화와 밑단 커프스를 통해 디자인 포인트를 주었다. 아이템은 코트 2벌, 재킷 6벌, 블라우스 2벌, 원피스 1벌, 팬츠 6벌로 총 17벌의 의상을 제작하였다. 소재는 광택의 유무에 따른 폴리에스터를 사용하였다. 컬러는 랜드스케이프에서 추출한 색감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컬러는 일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색감으로 하늘을 통해 보여지는 블루와 특정 시간대의 오렌지, 자연물의 그린 계열로 구성하였다. 포인트 컬러는 일정 시간 동안만 보여지는 핑크와 바이올렛을 사용하였다. 표현 기법으로 랜드스케이프 이미지는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기법을 활용하고, 텍스트는 자수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디테일의 경우, 모든 착장의 상의 뒤판에 서로 다른 타이포그래피를 자수로 놓아 통일감을 주고, 다양한 위치에 추가적으로 자수를 놓았다. 셋째, 패션디자인 작품 제작 단계에서는 위의 전개 과정 및 패턴 메이킹과 가봉의 여러 차례 수정을 통해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본 디자인 연구를 통해 랜드스케이프 이미지와 텍스트의 결합, 그리고 표현 면에서 디지털과 아날로그 기법의 융합을 시도함으로써 창의적인 패션디자인 연구 방법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창의적 패션디자인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제페토에서 한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패션 아이템 개발 연구 -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 패턴을 중심으로 -

        이숙이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Du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COVID-19 pandemic, the non-face-to-face online market has expanded. As a result, the metaverse platform market has also grown. Metaverse platforms are affecting various industries such as fashion, music, and movies, and have emerged as a new market for businesses. Zepeto, a representative metaverse platform, is mainly used by the overseas Zalpha generation(born from the mid-1990s to 2020: a combination of Generation Z and Alpha Generation). They establish and express their identity through digital fashion items of 3D avatars in Zepeto. As a result, digital fashion items have significant value within the platform. Zepeto also generates and shares various digital content, with Korean Wave-related content such as the digital world map, digital fashion items, and digital dramas being particularly active. When Korean culture's unique creativity and high-level digital content manufacturing technology meet, they create Zepeto's content, which is shared as ‘K-Culture’ by various overseas users of Zepeto. Among them, digital fashion items related to ‘K-pop idols’are being consumed mainly by Zepeto overseas users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Wave, and are mak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activation of Korean Wave within Zepeto.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Zepeto's digital fashion items related to K-pop idols using traditional Dokkaebi patterns that represent Korean creativity, folklore, and identity. This has significance in communicating with overseas Zepeto users through digital fashion items and activating the Korean Wave within Zepeto.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focuse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examining the Metaverse and the Zepeto platform,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llyu(Korean Wave) in reality and the current status of fashion companies entering Zepeto. Then,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goblin patterns are researched by dividing them into different eras. In the second part, based on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Hallyu, a 'Hallyu idol' is selected from Zepeto and their digital fashion items, as well as 'digital fashion items with traditional Korean goblin patterns', are fully investig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quantity, style, color, and pattern. In the third part, a logo design incorporating the traditional Korean goblin pattern and six pattern design principles are developed based on the case study, and applied to nine digital fashion items. The ultimate goal is to register and release the final products on the Zepeto Studio after approval. Additionally, we are planning to create a virtual digital fashion brand called 'DOKKABI' in Zepeto, utilizing the developed digital fashion items. The study method involved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o collect examples of Hallyu trends currently active on the Zepeto platform and develop characteristic digital fashion item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cademic papers, internet articles, and publications related to keywords such as ‘Metaverse’, ‘Zepeto’, ‘Hallyu fashion’, and ‘Dokkaebi patterns’. Based on this, three Hallyu idol groups that well represent three characteristics of Hallyu were selected, and as of February 28, 2023, a total of 13,442 digital fashion items related to the three groups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item quantity, color, style, and pattern. Additionally, 402 digital fashion items related to traditional dokkaebi patterns were searched using keywords such as ‘도깨비(in Korea)’, ‘Korean dokkaebi’, ‘Dokkaebi(in English)’, and 'Goblin' on Zepeto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three Hallyu idol groups. Based on the analysis, traditional Korean dokkaebi patterns we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o develop patterns using Adobe Illustrator, a 2D graphics program. Motifs were desig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okkaebi patterns from different eras, and a principle fit design was composed based on the motif design. The composed principle fit design was applied to the digital fashion item template using Adobe Photoshop and implemented on Zepeto 3D avatars in the Zepeto studio.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ix principle fit design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okkaebi patterns from different eras were developed, and two principle fit designs were applied to each of the three Hallyu idol groups that best represent these characteristics. Nine digital fashion items were developed, three for each team, using the principle fit designs, and a ‘DOKKABI’ word mark logo was designed as a motif using the origins of dokkaebi, ‘돗가비’ and ‘DOKKAEBI’, to ensure consistency among the developed digital fashion items.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officially released on the Zepeto platform and can be purchased within the platform, serving as a means of communication with overseas consumers to promote Hallyu. Through this research, we aimed to create new value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Hallyu by combining traditional Korean Dokkaebi patterns and digital fashion on the rapidly growing metaverse platform Zepeto, with a focus on the overseas younger generation. Additional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igital K-fashion item analysis and development for Hallyu content marketing and for overseas users with a high interest in K-fashion on the Zepeto platform.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lead to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gital fashion items in subsequent studies to promote Hallyu on Zepeto. IT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코로나 19(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시장의 확장과 더불어 메타버스 플랫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패션, 음악, 영화 등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새로운 비즈니스의 시장으로 부상하였다.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는 해외 잘파(Zalpha) 세대(1990년 중반 ~ 2020년까지: Z세대 + 알파 세대)가 주 이용자이다. 이들은 제페토에서 3D 아바타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표현함으로써 디지털 패션 아이템은 제페토 안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제페토에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들이 생성되고 공유되고 있으며 특히 한류 관련 제페토의 디지털 월드맵, 디지털 패션 아이템, 디지털 드라마 등의 콘텐츠가 활성화되고 있다. 한류는 한국만의 독창적인 문화와 수준 높은 디지털 콘텐츠 제조기술이 만나 제페토 콘텐츠들로 생성되면서 제페토의 다양한 해외 이용자들에게 ‘K-문화화’되어 공유되고 있다. 그중에서 ‘한류 아이돌’ 관련 디지털 패션 아이템은 한류에 관심도가 높은 제페토 해외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제페토 내의 한류 활성화에 많은 이바지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해학성, 민예성, 상징성 등을 잘 표현하고 있는 전통 도깨비 문양을 활용하여 한류 아이돌들과 관련된 제페토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개발하고 그것을 활용한 가상 디지털 패션 브랜드를 론칭하고자 한다. 이는 제페토에서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통해 해외 이용자들과 소통하며 한류를 더욱 활성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론적 배경에서는 메타버스와 제페토 플랫폼에 대해 고찰하고 현실에서의 한류 특징과 제페토에 진출해 있는 패션 기업들의 현황을 조사한다. 그 후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의 변천사와 특징을 시대별로 나누어 연구한다. 두 번째, 사례분석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다룬 한류의 3가지 특징을 기준으로 이를 잘 반영한 제페토 내에서의 ‘한류 아이돌’을 선정한다. 선정한 ‘한류 아이돌’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과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전수조사하여 수량, 스타일, 컬러, 패턴 4가지로 나누어 분석한다. 세 번째,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을 응용한 로고 디자인 1종, 패턴 원리핏 디자인 6종을 개발하고 9종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에 적용한다. 최종 결과물은 제페토 스튜디오에 등록하고 승인 심사를 받아 출시한다. 또한, 개발한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활용하여 제페토에서 가상 디지털 패션 브랜드 ‘DOKKABI’를 기획한다. 연구의 방법은 제페토 플랫폼에 활성화되고 있는 한류의 사례를 수집하고 특징적으로 나타난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메타버스’, ‘제페토’, ‘한류 패션’, ‘도깨비 문양’ 등의 키워드를 다룬 논문, 인터넷 기사, 간행물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사례 대상을 선별하였다. 이를 통해 한류의 3가지 특징을 잘 나타내는 한류 아이돌 3팀을 선정하고 2023년 2월 28일 기준으로 제페토에서 3팀과 관련하여 출시되어있는 디지털 패션 아이템 13,442개를 아이템별 수량 컬러, 스타일, 패턴으로 나누어 전수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 도깨비 문양과 관련된 디지털 패션 아이템은 ‘도깨비’, ‘한국 도깨비’, ‘Dokkaebi’, ‘Goblin’ 등의 키워드로 제페토에서 검색한 402개의 아이템을 한류 아이돌 3팀과 같은 방법으로 전수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전통 도깨비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패턴을 개발하기 위해 2D 그래픽스 프로그램인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를 활용하였다. 시대별 도깨비 문양의 특징을 모티브로 일러스트 디자인을 선행하고 모티브 디자인을 바탕으로 원리핏 디자인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원리핏 디자인은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디지털 패션 아이템의 템플릿에 적용하고 제페토 스튜디오에서 템플릿을 제페토 3D 아바타에 구현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 도깨비 문양의 시대별 특징을 반영하는 6개의 전통 도깨비 문양 원리핏 디자인 개발하였고 그 특징에 부합하는 한류 아이돌 3팀에 각 2개씩의 원리핏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원리핏 디자인을 활용하여 각 팀당 2개씩 총 6개의 디지털 패션 아이템을 개발하였고 개발한 디지털 패션 아이템들의 통일성을 위하여 도깨비의 어원인 ‘돗가비’와 ‘DOKKAEBI’를 모티브로 ‘DOKKABI’ 워드 마크 로고를 디자인하였다. 연구 결과물은 제페토의 심사를 받고 정식 출시되어 제페토 내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한류 활성화를 위한 해외 소비자들과의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해외 잘파 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 제페토 안에서 한국 전통 문양과 디지털 패션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한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또한, 해외 이용자들을 위한 한류 콘텐츠 마케팅과 디지털 K-패션 아이템 개발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제페토에서 K-패션에 관심도가 높은 해외 이용자들을 위한 디지털 한류 콘텐츠들은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한류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K-패션 아이템 분석과 개발에 대하여 심도 있게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를 통해 제페토에서 한류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디지털 패션 아이템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패션 쇼핑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에 따른 소비자 구매행동 모델 분석 : 여성의류 분야 사용자 수 상위 3사 중심으로

        양지원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flow of fashion distribution is moving around online shopping. Especially, the spread of untact (non-face-to-face) trend led to the growth of online shopping as outdoor activities were rapidly reduced due to the social distance caused by the aftermath of new coronavirus infection (Corona 19). Within the fashion market, the online retail industry has spread the scale of the low-cost clothing market and has developed and existed in more diverse forms. Among online shopping, the transition and growth of the mobile shopping market where consumers can use, search and pay for contents without any time and place. The offline-oriented distributors and large online shopping sites have also also changed into mobile shopping markets that can be continuously exposed by companies, and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that provide various shopping services have emerged. With the emergence of the new generation of MZ, the importance of contents to stimulate the MZ generation, which prefers image and video contents to text, is highlighted, and contents are in line with various commerce as marketing promotion.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that provides shopping mall gathering service provides consumers with convenient shopping service by collecting various shopping malls and providing various contents with speed and convenience as weapons. With the growth of the low-cost clothing market, the shopping mall gathering service application, which is rapidly emerging targeting the MZ generation, is a fashion shopping platform that meets the needs of consumers and has excellent sales increase effect of sellers, and functions as a new strategy for established fashion operators. The growth of mobile commerce environment further expands the online shopping market and has changed the shopping environment where consumers are exposed to products and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model is a model derived from analyzing consumer behavior to derive marketing and advertising strategies. It has changed from 'AIDMA model' to 'AISAS model' and 'AISCEAS model' reflecting changes in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tents composition and marketing functions of fashion shopping platform application in order to identify business trends and strategies of fashion shopping platform application, which is a fashion distribution channel. Prior to the study, the study theoretically understood fashion contents and fashion shopping platform applications through previous research data. In addition,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model was examined and the consumer behavior of the present age was understo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ZIGZAG','ABLY' and 'BRANDI' , which have high user number among platforms that provide online shopping mall gathering service in the field of women's clothing, which is the main consumer group of MZ generatio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user ranking. The scope of this study is all the fashion contents in the selected application of 'ZIGZAG', 'ABLY', 'BRANDI.The user, contents and manipulation structure of the selected research subjects were analyzed, and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was graspe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ontents by substituting them into the consumer behavior model, and whether they function as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 behavior model.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business model of fashion shopping platform applications can be found through common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content composition and purpose of each platform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recommended contents using the ease of search and data technology, and it shows common point that i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shopping through delivery service and integrated payment service. Second, all subjects of the study are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through category expansion.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structure showed that al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generally provided with contents of sales promotion type with the purpose of 'RECOMMENDATION' and 'SEARCH', and basic information contents with the purpose of 'STORAGE', 'PURCHASE' and 'INFOMATION’ Fourth, the contents of fashion shopping platform application function based on 'AISCEAS model' which is a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model. In the content of 'RECOMMENDATION', ‘Attention’ and ‘Interest’ stage occur, and in the content of 'SEARCH', ‘Search’ stage occurs. At this time, the platform stimulates ‘Aattention’ and ‘Interest’ stage again and repeats the stage. In addition, through the 'STORAGE’ content, consumers go through the stages of ‘Comparison’ and ‘Examination’ and make purchases(Action). At this time, the platform provides delivery or benefit service to increase the purchase conversion rate, and induces users to ‘Share’ after purchas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business trends of fashion shopping platform application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basic data and business strategies to be referred to by companies that will present new fashion shopping platforms. The essential contents that fashion shopping platform application should have can be classified into 'RECOMMENDATION', 'SEARCH', 'STORAGE', 'PURCHASE' and 'INFOMATION’. The information type can be divided into sales promotion type and basic information type. When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the platform,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model should be consideredand each behavior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it can be repeated continuously. In addition, the current business model is showing a trend that flows in a similar direction, so it is considered that a strategy to differentiate is needed. 기술의 발달로 패션 유통의 흐름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야외활동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언택트(비대면) 기조의 확산은 온라인 쇼핑의 성장을 빠르게 견인하였다. 패션 시장 내에서 온라인 소매 산업은 저가 의류 시장의 규모를 확산시키며,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 존재하게 되었다. 온라인 쇼핑 중에서도 소비자들이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콘텐츠의 이용, 검색, 결제할 수 있는 모바일 쇼핑 시장으로의 전환과 성장이 주목된다.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사업자와 대형 온라인 쇼핑 사이트도 기업의 지속적인 노출이 가능한 모바일 쇼핑 시장으로 변화를 꾀하고, 동시에 다양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였다. 신소비 세대인 MZ 세대의 등장과 함께 텍스트보다 이미지와 동영상 콘텐츠를 선호하는 MZ 세대를 자극할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마케팅의 판매촉진으로서 콘텐츠가 다양한 커머스와 부합되고 있다. 특히, 쇼핑몰 모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쇼핑몰을 한데 모아 편리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며 신속성과 편의성을 무기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저가 의류시장의 성장과 함께 MZ 세대를 겨냥하며 급부상하고 있는 쇼핑몰 모음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패션 플랫폼으로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며 판매자의 매출 증대 효과가 뛰어나 기성 패션 사업자들의 새로운 전략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모바일 커머스 환경의 성장은 온라인 쇼핑 시장을 더욱 팽창시키며 소비자가 상품을 접하는 쇼핑환경과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변화를 가져왔다. 소비자 구매행동 모델은 마케팅과 광고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소비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도출한 모델로, 기술의 변화를 반영하며 ‘AIDMA 모델’에서 ‘AISAS 모델’과 ‘AISCEAS 모델’로까지 변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 유통 채널로서 패션 쇼핑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동향 파악 및 전략 수립을 위해 패션 쇼핑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구성과 그에 따른 마케팅 기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앞서, 학위논문, 단행본, 학술논문, 웹사이트 등의 선행연구 자료를 통해 패션 콘텐츠와 패션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소비자 구매행동 모델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며 현시대의 소비자 행동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이론적 고찰과 사용자 순위를 바탕으로 주요 소비자가 MZ 세대이며, 여성의류 분야의 온라인 쇼핑몰 모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중 사용자 수 순위가 높은 ‘지그재그’와 ‘에이블리’, ‘브랜디’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선정된 ‘지그재그’, ’에이블리’, ‘브랜디’의 애플리케이션 내 모든 패션 콘텐츠이다. 선정된 연구 대상의 사용자 및 콘텐츠와 조작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소비자 구매행동 모델에 대입해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콘텐츠의 구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서 기능하고 있는지를 소비자 구매행동 모델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한 각 플랫폼의 콘텐츠 구성과 목적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을 통해 패션 쇼핑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모델의 특징과 동향을 알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색의 용이성 및 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추천 콘텐츠를 제공하고, 배송 서비스와 통합 결제 서비스를 통해 쇼핑의 편의성을 높였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둘째, 연구 대상은 모두 카테고리 확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셋째, 조작구조 분석 결과 연구 대상은 모두 공통적으로 ‘추천’, ‘검색’의 목적을 가진 판매촉진 유형의 콘텐츠와 ‘저장’과 ‘정보 전달’, ‘구매’의 목적을 가진 기본 정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넷째, 패션 쇼핑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는 소비자 구매행동 모델인 ‘AISCEAS 모델’에 기반한 기능을 한다. ‘추천’ 콘텐츠에는 주의(Attention) 와 흥미(Interest) 단계가 일어나고, ‘검색’ 콘텐츠에서는 검색(Search) 단계가 일어나는데, 이때 플랫폼에서는 주의(Attention) 와 흥미(Interest) 단계를 다시 자극하며 단계를 반복하게 한다. 또 ‘저장’ 콘텐츠를 통해 소비자는 비교(Comparison)와 검토(Examination)의 단계를 거치고, 구매(Action) 하게 되는데 이때 플랫폼은 구매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배송이나, 혜택 측면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매 후에는 공유(Share) 하도록 사용자를 유도한다. 이로써 패션 쇼핑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동향을 밝히고 새로운 패션 쇼핑 플랫폼을 제시할 기업이 참고할 기초자료와 비즈니스 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패션 쇼핑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이 갖춰야 할 필수 콘텐츠는 ‘추천’, ‘검색’, ‘저장’, ‘구매’, ‘정보 전달’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정보 유형은 판매촉진 유형과 기본 정보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플랫폼의 콘텐츠를 구성할 때는, 소비자 구매행동 모델을 고려해야 하며, 각 행동이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현재 비즈니스 모델이 비슷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동향을 보이고 있어, 차별화할 전략이 필요한 시점으로 사료된다.

      • 야니스 쿠넬리스(Jannis Kounellis)의 작품세계를 재해석한 패션디자인 연구

        엄우진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Fashion and art, which share a history as long as mankind has been on the earth and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s, have been the most instinctive medium for humans to reveal their desire for expression and aesthetic nature. Therefore, it is natural and desirable to combine fashion and art based on these biological similarities, and the numerous encounters of fashion and art over a long period of time proves this.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encounter between fashion and art by creating fashion design works that reinterpret the world of Jannis Kounellis. The order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t first examines Arte Povera's historical background,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influence, and then analyses the art world of Kounellis, a key figure in this art trend. Afterwards, the characteristics of Kounellis' works are identified through this process, and the motifs thus obtained are reinterpreted and implemented through the fashion design work called "Baraka“. To take a closer look at it, the Arte Povera movement began in the late 1960s in a grim and chaotic Italian social milieu following the defeat of World War II, to protest against the social system of the time and the overly commercialised art world and restore lost humanity through art. Arte Povera has developed into a conceptual art in an avant-garde fashion by picking up discarded or worthless materials and using them as materials for art work, and its influence continues to this day and is foun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odern art. Jannis Kounellis, the artist who represents Arte Povera, shows his reflection on human’s life in a dialectical way through artwork with his own philosophy of bringing life to art. Kounellis believed that daily objects stay with humans for a long time and thus embody the history, memories, and reminiscence of life. Each object has a symbolic meaning and is used as a material to express life,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life and art. Various features can be found in Kounellis' artworks, which were mainly shown in three-dimensional works such as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They were divided into features of content and features of form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features of the content are the meaning and conceptual parts that Kounellis wants to reveal through his work, and is usually revealed through the contrasting composition of the oppressed and the oppressor in his artworks. These oppressors refer to industry, production, social system, materialism, and the like and are symbolized mainly by industrial structures made of iron. In addition, the oppressed refers to humans and life, and everything that holds human memories such as grains, burlap sacks, and coats is used as symbols. As symbols that indicate life, all things that have or had vitality are used, and some examples are slaughtered meat, horses, birds, and roses. Death and pain are embodied as objects that are wrinkled, worn, and peeled. Those that can be used to tie such as threads or strings are used to symbolise the relationship that connects humans. On the other hand, the formal features in Jannis Kounellis’ artworks are classified into six different types: "parallelism" in which materials are placed side by side with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his artwork; "contrast" in which materials with opposing properties are compared; "overlapping" where works are folded and crossed; “use of yellow colour” to give a visual effect by using a strong yellow colour along with the key material which is achromatic; the “use of fabric wrinkles and strings”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soft wrinkles; and“spatiality”that draws space into the area of artwork. Finally, based on the inspiration from the content and formal features of his artwork analysed through the fashion design work "Baraka," a total of eight clothing items are produced, which is the end product of this research. Currently, studies focusing narrowly on Jannis Kounellis' works exist, but the research that analyses his art world in depth and reinterpret it through fashion design is scanty.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new research direction. The attempt to connect fashion with art by examining Kounellis’art world, which revealed the depth of human life, made a theoretical analysis and created a fashion design based on it. It can be a meaningful study which will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future research. 인류가 지나온 시간만큼 오랜 역사를 함께하며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패션과 예술은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와 심미성을 본성으로 가지는 인간이 이를 가장 본능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매개체였다. 따라서 이러한 생물학적 공통점을 가진 패션과 예술을 결합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바람직한 일이며 오랜 시간동안 이루어진 수많은 패션과 예술의 만남이 이를 증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야니스 쿠넬리스(Jannis Kounellis)의 작품세계를 통해 분석한 특징을 재해석하여 패션디자인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패션과 예술의 만남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 순서는 먼저 아르테 포베라(Arte Povera)의 시대적 배경, 이론적 고찰, 영향력 등 아르테 포베라를 전반적으로 살펴본 다음 이 예술사조의 핵심적인 인물 야니스 쿠넬리스의 작품세계를 분석한다. 이후 이를 통해 야니스 쿠넬리스 작품의 특징을 파악하고 여기서 얻은 모티프를 재해석하여 패션디자인 작품 ‘BARAKA’를 통해 구현하는 과정을 거친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아르테 포베라는 1960년대 후반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웠던 이탈리아의 사회분위기 속에서 당대 사회 시스템과 지나치게 상업화된 예술계에 반발하고 상실된 인간성을 회복하여 삶의 본질이라고 하는 가치를 예술을 통해 찾고자 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아르테 포베라는 버려지거나 쓸모 없는 일상의 재료들을 가져다 작품의 재료로 활용하며 전위적인 방식의 개념미술로 전개되었고 그 영향력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현대미술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발견된다. 이런 아르테 포베라를 대표하는 작가 야니스 쿠넬리스는 삶을 예술로 끌어들이고자 했던 자신만의 예술 철학을 가지고 인간 삶에 대한 고찰을 변증법적 방식으로 작품을 통해 보여준다. 야니스 쿠넬리스는 일상의 물건은 인간과 오랜 시간 함께 하며 삶의 역사, 기억, 추억이 깃들어 있다고 여겼으며 각각의 물건에 상징성을 담아 삶을 표현하는 재료로 활용하며 삶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작업을 하였다. 주로 설치나 퍼포먼스 같이 입체적인 작업을 통해 자신의 철학을 드러냈던 야니스 쿠넬리스의 작품에서는 다양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내용적 특징과 형식적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내용적 특징은 야니스 쿠넬리스가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의미와 개념적인 부분으로 대개 작품 속에서 억압하는 존재와 억압당하는 존재의 대비되는 구도를 통해 드러난다. 이런 억압하는 존재는 산업, 생산, 사회 시스템, 물질주의 등을 가리키며 주로 철제로 이루어진 산업 생산물들로 상징된다. 또한 억압당하는 존재는 인간, 삶을 가리키며 곡물, 포대, 코트 등 인간의 기억을 품고 있는 모든 것들이 상징물로 활용된다. 이 밖에도 생명(력)을 의미하는 상징물로는 생명력을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었던 모든 것들을 활용하며, 도축된 고기, 말, 새, 장미 등이 있다. 죽음, 고통은 주름지거나 닳아버리고 벗겨진 형태를 보이는 사물들로 형상화하고 실이나 끈과 같이 묶거나 연결할 수 있는 것은 인간을 이어주는 인연을 상징하는 상징물로 활용된다. 한 편, 형식적인 특징은 야니스 쿠넬리스의 작품에서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특징들로 재료를 나란히 배치하는 ‘병렬성’, 성질이 상반되는 재료를 대비시키는 ‘대비성’, 작품의 요소가 서로 포개어지고 가로지르는 ‘중첩성’, 명시성이 강한 노랑색을 무채색의 주재료와 함께 사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주는 ‘노랑색의 활용’, 원단이 부드럽게 주름지는 특성을 활용하는 ‘원단 주름과 끈의 활용’, 그리고 공간을 작 품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공간성’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끝으로 패션디자인 작품 ‘BARAKA’를 통해 이렇게 분석한 야니스 쿠넬리스 작품의 내용적, 형식적 특징에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총 8착장의 옷을 제작하며 연구에 방점을 찍는다. 본 연구는 야니스 쿠넬리스의 작품에 대한 단독연구만 존재할 뿐 그의 작품세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를 패션디자인을 통하여 재해석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에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인간의 삶을 드러내던 야니스 쿠넬리스의 작품세계를 고찰하여 이론적 분석을 하고 이를 토대로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패션과 예술을 연계시키려는 시도는 후속연구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되리라 본다.

      • 아르데코 양식의 입체적 표현기법을 활용한 트렌치코트 디자인 조형성 연구

        조은경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 문 초 록 한 시대의 예술양식은 그 시대의 미적가치와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 상황을 복합적으로 반영한다. 패션 또한 이러한 예술양식을 기반으로 형성되므로, 창의적인 디자인 감각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시대가 요구하는 예술과 패션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꾸준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연구자는 아르데코 시기의 건축, 회화, 공예, 패션을 고찰한 결과 아르데코 양식은 대상을 단순화시켜 기하학형으로 표현되는 도형이라는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하학적 조형들은 다시 새로운 디자인 요소로 활용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전통적인 실루엣을 가졌지만 다른 패션 아이템에 비해 많은 디테일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코트에 이를 적용시켜, 보다 새롭고 독창적인 트렌치코트를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르데코 양식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은 크게 ‘직선적 형태’, ‘곡선적 형태’, ‘자연적 모티프를 활용한 형태’, ‘직선과 곡선의 혼합 형태’로 분류될 수 있었다. 직선적 형태의 조형적 특징은 지그재그형, 부채형, 번개형, 지규렛트형이 있으며, 직선을 사용하여 모티프를 단순화하고 일정한 질서와 규칙에 의해 기하학적인 패턴으로 재구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단순성, 반복성, 대칭성이라는 조형성이 나타났다. 곡선적 형태의 조형요소에는 방사형, 유선형, 갈고리형이 있으며, 곡선을 활용하여 동일한 간격을 주면서 배열해 통일성이 있는 모티프로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는 단순성, 반복성, 리듬성, 중첩성이 나타났다. 자연물을 모티프로 활용한 형태에는 선버스트형, 동물, 꽃, 식물과 같은 조형요소가 있으며, 이는 이국적인 동물과 꽃, 잎사귀, 정글 속 풍경 등 자연적인 모티프들을 기하학적인 선과 면들로 단순화 및 양식화하여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이 형태의 조형성으로는 단순성, 이국성, 장식성, 절충성 등이 나타났다. 직선과 곡선의 혼합 형태에서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번개형, 방사형, 지규렛트형 등 여러 가지 기하학적 조형요소들이 혼합되어 구성되었으며, 여기서는 단순성과 비대칭성의 혼합, 직선과 곡선 조합이 이루는 절충성, 단순성, 장식성, 반복성, 리듬성 등이 조형성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아르데코 양식의 형태적 특징과 조형성 분석을 기초로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을 위한 방법론을 참고하기 위해 현패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아르데코 양식의 표현기법을 정리하였다. 기존의 아르데코 패션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문양, 도안, 장식 등을 활용한 평면적 표현에 관한 연구에 그쳤다면, 본 연구에서는 아르데코 양식이 입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들을 ‘평면적 표현사례’와 ‘입체적 표현사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평면적 표현사례에서는 아르데코의 기하학적 도형을 도안으로 활용하여 원단에 프린팅한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때 아르데코의 기하학 조형요소들은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요소들이 평면적으로 표현되었다. 입체적 표현사례에서는 이와 달리 한 가지의 단일 조형요소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복합 조형요소가 실루엣이나 디테일에 입체적으로 활용되어 나타났다. 최근 패션 트렌드는 해체주의적인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으며, 트렌치코트 또한 전통형에서 탈피하여 해체주의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디자인 시도를 하고 있는 경향의 브랜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트렌치코트 제작에 앞서 전통적인 트렌치코트 디자인의 대표적인 버버리(Burberry)와 해체주의적 관점에서 변형된 트렌치코트 디자인을 시도한 준야 와타나베(Junya Watanbe), 사카이(Sacai)와 같은 트렌치코트를 활용한 현대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획일화된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트렌치코트의 디자인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연구의 디자인 영감으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작품 제작에 입체적인 기법으로 활용된 대표적인 아르데코 양식의 기하학적 형태 요소들은 지그재그, 지규렛트, 번개형, 방사형, 부채형, 유선형, 갈고리형의 7가지였으며, 여기에는 단순성, 대칭성, 비대칭성, 반복성, 중첩성, 절충성, 장식성, 리듬성 등의 조형성이 각 작품마다 혼합되어 나타났다. 제작된 아이템은 트렌치코트 8개 작품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아르데코 양식의 미적 조형성을 고찰하고 트렌치코트 아이템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과거의 예술양식이 현대의 새로운 디자인 원천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나아가 연구자의 작품이 잠재되어 있는 패션디자인의 표현영역을 확장시키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오브제 미술의 ‘발견된 사물’로서 의복 패턴 형태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천진해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modern fashion, the shape of a garment is considered a design element of its own, independent of its functional or practical purposes. However, more interestingly, the shapes of garment patterns used as a guide in needlework have also been increasingly used as a visual design element. This study examines the phenomenon of the visual incorporation of garment patterns in fash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art. In this study, patterns drafted on paper are construed as objets, and a parallel is drawn with objet trouvés (found objects), considering that they are dissociated from their primary context of use. Modern fashion and modern art intersect in several ways, of which the most significant is that they both have taken up the common challenge of the “avant-garde moving beyond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al value has long been paramount to art and fashion. However,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heralded profound changes in thought and sensibility, attempts were made in both art and fashion to break away from representational value. As part of this shift, objets were first introduced in art, becoming a vital element of the avant-garde’s anti-aesthetic movement, and in fashion, this period witnessed the emergence of avant-garde styles which no longer represented or were dictated by the shape of the human body. This study aims to perceive the visual use of garment patterns in modern fashion in the context of the avant-garde’s attempt to transcend representation and analyze it with objet art’s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to articulate a new fashion design methodology, which makes use of garment patterns. To this en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garment patterns and objet art, focusing on avant-garde approaches.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in objet art that emerged across the various stages of the avant-garde movement from 1910 to 1990 (historical avant-garde → neo–avant-garde → postmodernism) were classified, analyzed, and defined. Using the expressive styles discerned, collections displayed during the world’s four major fashion weeks (“Big Four”) between 1997 and 2023 were analyzed to highlight the transition in design from the use of clothes to the use of garment patterns, and a design methodology was formul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llage,” “ready-made,” and “idea” were the thre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of objetart in the avant-garde tradition. Most works in this category, which often took the form of combinations and variations of these three elements,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objets were initially introduced in art through “collage.” Collage was a technique used in Cubism, a movement that ushered in 20th-century modern art, as a new way of rendering visual realities, defined by the rearrangement of two- and three-dimensional visual structures. Second, “ready-made,” a term coined by Marcel Duchamp, refers to ordinary mass-produced objects selected by an artist and presented as art. As commonplace things dissociated from their original utilitarian purposes, ready-mades trigger a perceptual shift in the viewer. Lastly, “ideas,” which extend objets beyond the material realm, were widely used in the modern conceptual art of the late 20th century. Idea-based objet works were highly abstract as they questioned the fundamental nature of art and incorporated abstract ideas and notions in other domains in a largely conceptual manner. The expressive styles and methods of objet art, namely, the visual composition of collage, perceptual shifts with ready-mades, and the conceptual dimension of ideas, inspired novel design directions for modern fashion, suggesting ways of using garment patterns as a design element. The details of the influence of objet art on modern fashion,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of concrete examples, are as follows: First, the visual rearrangement of two- and three-dimensional shapes in collages manifested in modern fashion through deconstructing, dispersing, and recombining clothing items. In using garment patterns, certain groups of patterns were taken apart and regrouped in a new manner to create structural silhouettes. Second, the perceptual shift caused by ready-mades as objects being removed from their primary context of use has subverted the meaning of clothes in modern fashion by transforming them into decorative elements deprived of utilitarian purposes. With regard to garment patterns, this effect manifests itself in their usage as textile patterns and surface designs. Third and last, the influence of conceptual and ideational elements in objet art is felt in the introduction of temporality in modern fashion in which the creation and evolution of clothing are incorporated as its integral elements. In garment patterns, this is observed in the stages of the clothes-making process, such as sketching and drafting, visible inthe garment itself through various visual clues. In conclusion, the three main ways of using garment patterns through an objet trouvé(found object) have been identified, including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patterns,” “creating fabric patterns out of sewing patterns,” and “making the pattern-drafting process evident in the garment.” From the methodology consisting of these three elements, three design themes have been presented, namely, “Reforming,” “Reframing,” and “Replaying.” These themes were expressed through the 'object project' under the concept of 'Escape the illusion,' representing a collection of 8 styles of artwork.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sheds light on the intersection of avant-garde art and avant-garde fashion. Moreover,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fashion design development based on rediscovering garment patterns as an objet. At the same time, a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vergence of modern art and modern fashion in terms of the broad similarities in their avant-garde tendencies, its discussion of specific trends and how they are exhibited in fashion remains superficial. It is hoped that this study’s findings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오늘날 현대패션에서는 의복의 형태가 착용의 실용성과는 무관하게 그 형상만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의복 구성이라는 도구적 목적성으로 형성되는 패턴의 형태마저도 시각적 디자인 요소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본 연구에서 착안한 점은 현대미술의 시각에서 ‘종이’라는 재료 위에 구현된 패턴의 형상을 하나의 오브제로 파악하며 목적성이 배제된 패턴의 존재를 오브제 미술의 ‘발견된 사물(objet trouvé)’로 인지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은 현대패션의 현상을 현대미술을 통해 사유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여기서 현대미술과 현대패션의 유기적 연결점으로 ‘재현을 탈피하는 아방가르드’라는 공통의 문제를 포착할 수 있다. 오랫동안 재현의 가치에 목적을 두고 발전해온 미술과 패션은 20세기 이후 모든 사고의 기준이 변화하는 시점에서 재현의 가치에서 탈피하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결과적으로 20세기 이후 미술은 오브제를 미술로 도입하는 아방가르드의 반(反)미학을, 패션은 인체를 재현하는 패턴에서 벗어나 아방가르드 스타일을 출현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과 패션의 두 카테고리가 재현으로부터 탈피하는 아방가르드의 시각에 근거하여 현대패션에서 패턴의 형태가 시각적으로 활용되는 현상을 이해하고,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에 입각한 분석을 통해 의복 패턴 형태를 활용하는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따른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를 통해 본 연구의 제재가 되는 의복 패턴과 디자인 방법이 되는 오브제 미술을 아방가르드 시각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연구 기반을 수립하고, 1910년부터 1990년까지 이어지는 아방가르드의 흐름(역사적 아방가르드→네오 아방가르드→포스트모더니즘) 속에서 나타난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을 분류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정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1997년부터 2023년까지 세계 주요 4대 컬렉션에서 나타난 현대패션의 디자인 사례를 의복의 활용에서 의복 패턴의 활용으로 나아가는 진행으로 분석하여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였다. 현대미술의 아방가르드 맥락 속에 자리한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은 콜라주(collage), 레디메이드(ready-made), 그리고 아이디어(idea)의 3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한 조합과 변형이었으며 분석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브제를 미술로 가장 먼저 도입한 콜라주는 20세기 현대미술의 출발점이었던 입체주의에서 대상의 시각적 실체를 추구하기 위해 시도된 조형 방식으로 평면과 입체의 시각적 조형 구조를 형성하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뒤샹의 발상으로 오브제를 예술로 정착시킨 레디메이드는 목적성에 의거해 산업 생산된 기성품을 예술품으로 선택하면서 기존의 실용성을 없애는 사고적 전환을 특성으로 하였다. 셋째, 오브제를 비물질적 영역까지 확산시킨 아이디어는 20세기 후반 개념화된 현대미술의 전면에 등장하여 예술의 본질에 대한 물음과 함께 물질적 형태로 국한되지 않은 추상적인 생각과 인식마저 포용하며 관념적 사고를 반영하는 특성을 가진다. 요컨대 콜라주의 조형적 구성, 레디메이드의 사고적 전환, 아이디어의 관념성 도입으로 도출된 오브제 미술의 표현유형별 특성은 현대패션에서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발상법을 제공하며 의복 패턴의 형태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현대패션에서 나타난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유형의 평면과 입체를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특성은 현대패션에서 의복 아이템 구조를 분해하고 구조를 분산시키며 결합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턴 형태의 활용에서 조합된 일군의 패턴 형태를 해체하고 재조합하여 구조적 실루엣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디메이드 유형의 실용성을 소멸시키는 사고적 전환은 현대패션에서 의복의 형태를 실용성 없이 장식 요소로 활용되는 의미상의 전복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턴 형태의 활용에서 의복 제작을 위해 고안된 패턴의 형태를 무늬로 활용하면서 패턴을 패턴화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디어 유형의 비물질화된 관념성을 도입하는 특성은 현대패션에서 시간성을 개시하여 형성되고 변화되는 의복의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패턴 형태의 활용에서 의복 제작의 설계과정인 제도 과정을 표상하며 의복의 제작과정을 노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현대패션에서 오브제 미술의 ‘발견된 사물(objet trouvé)’ 관점으로 의복 패턴의 형태를 활용하는 방법은 ‘패턴의 해체와 재구성’, ‘제도 패턴의 패턴화’, ‘패턴의 제작 과정표상’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론은 본 연구의 디자인 전개 속에서 Reforming, Reframing, Replaying의 3가지 테마를 제시하며, ‘Escape the illusion’의 컨셉 아래 이루어진 ‘object project’를 통해 컬렉션의 8 스타일의 작품으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는 아방가르드 미술과 아방가르드 패션을 연결 선상에서 이해하고 의복 구조 속에서 의복 패턴의 형태를 오브제로 발견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디자인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아방가르드의 시각에서 현대미술과 현대패션의 다소 넓은 범주를 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기에 개별 사조들과 연계되는 특성과 활용이 표면적인 결과로 도출되며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는 못했다. 본 연구가 후속 연구의 방향성 마련에 기여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