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ho is Optimistic about an East Asian Community?: Public Attitudes toward an EAC in South Korea

        손애리 ( Ae Lee Soh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5 東亞 硏究 Vol.34 No.1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들은 규범과 제도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대중여론의 중요성은 간과한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공동체에 대한 한국인들의 전망을 개인적 수준에서 검토한다. 2013년 서베이 자료를 사용하여 경제적 상호의존, 안보 우려, 문화적 친밀성과 관련된 가설을 제시하는데, 이들 가설은 유럽연합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도출되었다. 덧붙여 한국적 특수 맥락을 반영하는 세 개의 가설들 곧 강한 국민 정체성과 세대 차이, 역사인식과 관련한 가설을 함께 제시한다. 통계적 결과는 모든 것이 똑같다면 국민정체성, 인지된 문화유사성, 역사문제 인식이 동아시아 공동체 건설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다른 세대에 비해서 민주화 세대는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해 덜 낙관적이고 20대의 탈정치화된 세대는 더 낙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Much of the research on a potential East Asian Community focuses on possible norms and institutions, downplaying the importance of public opinion. This study focuses specifically on how the Korean public views the prospects for an EAC at an individual level. Using data from a 2013 survey, I investigate three hypotheses related to economic interdependence, security concerns, and cultural similarity taken from previous research in the European Union and apply them to the situation of Korea. Three additional hypotheses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the generational gap and historical issues are also included to reflect the particular context of Korea. Statistical results reveal that, all things being equal, national identity, the perceived cultural similarity between countries and awareness of historical issues have an impact on attitudes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an EAC. It is also found that the democratization generation is less likely to be optimistic about an EAC, while the post-politicization generation, especially those in their twenties, is more likely to be positive about the future prospects of such a community.

      • KCI등재

        조선 현종조 ‘김만균 사건’을 통해 본 ‘국가’에 대한 이해

        손애리(Sohn, Ae Lee)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0 No.1

        본고는 조모에 대한 복수 의리로써 청나라 사신 접대를 피하고자 김만균이 올린 사직 소를 계기로 제기된 송시열과 서필원의 논쟁을 다룬다. 특히 전근대 국가에 내장된 가(家)와 국(國)이라는 항상적 긴장 관계를 염두에 두면서 부모에 대한 복수 의리와 조부모에 대한 복수 의리의 차이, 가 영역의 일과 국 영역의 일의 경합, 인륜의 보편성과 관료 윤리의 특수성이라는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분석적으로 검토했다. 송시열이 이 문제를 인간이 지켜야 하는 인륜 보편의 문제로 보면서 가 영역의 일로 한정하고자 했다면, 서필원은 국 영역의 일을 수행하는 관료의 특수성을 강조했다. 무엇보다도 서필원은 송시열의 가 근본주의적 태도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국 영역은 그 자체로 독자적인 작동 원리가 있고 그것은 가의 작동 원리와 무관하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만약 조선에서 ‘마키아벨리적 계기’가 있다면, 그것은 가 영역과 국 영역의 이질성 및 비연속성을 인정하는 서필원의 시각과 같은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overview the controversy between Seo Pil-won and Song Si-yeol triggered by Kim Man-kyun’s written statement for resignation. I divided this controversy into three layers inclu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delity to one’s parents and the fidelity to one’s grandpar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yalty to the family(家) and the loyalty to the monarch(君),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aspects of human ethics and the exceptionality of bureaucrat ethics. While Song Si-yeol defines this topic to the ethics of family relations, Seo Pil-won focuses on bureaucrat’s carrying out his official duties. Above all, Seo dissented from the Song’s family-centering view, and insisted that the state(國) in itself has a working principle independent from family(家). If there were the Machiavellian Moment in Chosun, I argue, it is resulted from such a perspective of the discontinuity between family(家) and state(國) as Seo’s opinion.

      • KCI등재

        출산을 사회화하기 : 1960-70년대 한국의 가족계획사업

        손애리 ( Ae Lee Soh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3 한국사회 Vol.14 No.1

        본고는 1960-1970년대 한국에서 행해진 가족계획사업을 연구한다. 먼저 여성의 신체를 대상으로 한 인구조절정책이라는 가족계획사업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넘어서 근대적 주체 생산 장치라는 관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인구에 대한 앎의 의지와 관리의 의지, 보호의 의지가 어떻게 한국의 가족계획사업에서도 관철되었는지를 살핀다. 구체적으로는 출산을 담당하는 여성의 신체는 국가행정과 의료장치의 관리 하에 놓이고 감시와 입법의 대상으로 설정되었다는 사실, 개별 인구의 성생활 행태는 과잉출산이라는 비정상을 교정한다는 명목으로 보건요원의 감시망에 포착되고 사회과학자에 의해 통계 데이터로 축적되었다는 사실, 그리고 사업은 경제적 관점에서 출발했지만 여성의 신체적 건강과 사회적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여성주의 담론과 결합하면서 추진 동력을 얻었다는 사실을 검토한다. 이런 작업을 통해 본고는 한국의 가족계획사업은 권위주의적인 군사정부 아래서 근대적인 앎의 의지와 관리의 의지, 보호의 의지가 추동해낸 근대적 계몽프로젝트이며, 이를 통해 새로운 유형의 근대적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이었음을 확인한다. This study examines Korea`s Family Planning Program in the 1960s and 70s. It suggests that the Program was more than a population control policy carried out on women`s bodies; it was a device to form modern subjects. This research reviews how the will to accumulate knowledge and the will to manage, driving forces behind modernity, came through in Korea`s Family Planning Program. By studying documents of the past, this study confirms that women`s bodies, responsible for childbirth, were put under the management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medical devices and to become objects of monitoring and lawmaking. With the goal of correcting the abnormality of excessive fecundity, the sex lives of individuals were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of healthcare agents and accumulated as demographic data by statisticians. Members of families with more than three children acknowledged themselves as abnormal primitives. Based on this, this study shows that Korea`s Family Planning Program was a modern enlightenment campaign driven by the modern ideals of knowledge and management under the authoritarian military regime, leading to a new type of modern subject.

      • KCI등재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손애리(Sohn Ae-le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2 No.-

        본고는 17세기 조선의 대표 논쟁의 하나인 기해예송을 통해 당시 지식관료들의 國과 家 관념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家 원리와 國 원리의 이념형을 제시하고, 논쟁의 주요 당사자인 허목과 송시열, 윤휴의 논의를 교차시켜 비교한다. 허목과 송시열은 복제결정 과정에서 자최삼년복과 기년복으로 대립하였는데 본고는 家 관념과 관련해서 허목이 家 원리의 절대성을, 송시열이 家 원리의 상대성을 주장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허목과 송시열이 예송의 쟁점을 家 원리 내에서 파악했다면 참최삼년복을 주장한 윤휴는 여기에 國 원리를 도입했다. 허목과 송시열간의 기본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王家 계승의 문제를 家 원리의 보편성 위에서 이해한 공통점이 있다. 반면 윤휴는 國의 초월성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이해했다. This essay aims to study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 (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At first The Ideal types of the principle of 'ga' and 'guk' are suggested and then Hur Mok(許穆), Song Si-Yeol(宋時烈) and Yun Hyu (尹?)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the controversy are compared in pairs. Hur insisted that the empress dowager go into mourning with jachoi(齊衰) for 3 years and Song insisted that she do for 1 year. These insistences can be interpreted that Hur contends the principle of 'ga' is relative and Song contends that is unconditional. If Hur and song understanded the 'Yesong' in the boundary of the principle of 'ga', Yun Hyu who insisted wearing chamchoi(斬衰) for 3 years introduced the principle of 'guk' into this controversy. Hur and Song have a common ground compared to Yun who understand this controversy in terms of the transcendence of the principle of 'guk'. Despite Hur and Song's opposition, their opinions about the succession of the royal family are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the principle of 'ga'.

      • KCI등재

        문화접촉에 따른 한,일 역사인식의 전환가능성

        손애리 ( Ae Lee Soh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2

        본고는 실제 한·일 양국 시민들의 문화접촉 및 교류의 증대가 한·일관계와 역사인식 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2013년도 서베이 자료를 통해 개인수준에서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상대국에 대한 인상이나 상대국민에 대한 신뢰, 한·일관계의 중요성 인식 등에서 방문경험이 없는 사람과 유의미한 차이를보였다. 그러나 역사인식에 문제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대다수의방문이 단기간의 여행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인이나 친구의 유무및 친밀감의 정도는 상대국에 대한 태도 및 역사인식과 매우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과 일본 모두 상대국에 대한 인상과 상대국민에 대한신뢰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일본군위안부 문제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를 만들어냈다. 셋째, 정보 취득의 정도에 따라 상대국에 대한 인상이나 한·일관계 전망,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태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 of the growing cultural contact to the historical awareness in the individual level of Korean people and Japanese people, respectively. Recent controversies between Korea and Japan have aggravated the bilateral relation, which does not look like getting better for a while. This article suggests an increase in cultural contact and exchange as an alternative to improving relation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respondents who have ever visited the other country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in mutual impression, mutual trus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bilateral relation than those who have never visited. Second, the respondents who have foreign friends and acquaintances were more friendly in the attitudes toward the other country and in historical awareness than those who do not have. Third, the mutual impression and the prospect of bilateral rel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formation-acquisition of the other country. These results tell the 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such as visiting, acquaintances and the degree of information-acquisition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mutual attitudes and history awareness betwee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Therefore para-public programs such as a students exchange and a city partnership need to be increased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 KCI등재

        조선시대 왕의 이중적 재현

        손애리(Sohn, Ae-le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0 No.-

        본고는 전근대시기 비인격적 국가는 인격적 왕에 의해 가시적 형상을 얻는다는 가설 하에 전근대 국가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왕이 재현되는 방식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조선의 17세기 전반기인 인조대로 한정하였고 인조실록 을 주 자료로 삼았다. 유가적 전통에서 왕은 이중적으로 재현되어 유일무이하고, 편재하며 무사공평한 聖王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과 동시에 끊임없이 학습하고 연마해야 하는 미완성의 존재로 그려졌다. 정치공동체의 이상이 투영되어 재현된 이념형적인 <왕>은 현실의 왕을 재단하고 조정하는 장치로 활용되었으며, <왕>의 이름으로 왕을 처단한 반정의 과정에서 이런 이중적인 왕의 재현방식은 더 명확히 확인되었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國是로 표명되는 公論 혹은 公의 문제에서 왕이 어떤 위치를 점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공론의 정의, 공론의 발화주체, 공론의 담지자로 분류하여 公 담론을 검토하였으나, 이 시기 公담론에서 왕의 자리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현실의 왕이 이념형적인 <왕>과 포개지면서 公을 체현한 존재로 재현되는 순간이 절대주의 왕권이 도래하는 때라고 말할 수 있다면, 적어도 인조대는 이것과는 대척점에 있던 시기라고 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d how the king was represented on the hypotheses that an impersonal state was able to be represented by a personal king. The research limits its scope to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who was the 16th king of the Chosun Dynasty and is approached by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confucian traditions, a king had been represented as a being of the Oneness, Omnipresence, and Impartiality, and at the same time as a incomplete being who had to continuously be trained the mind and the body. The ideal-typed King on which the ideals of the political community is projected and represented was used as a means judging and controling a actual king. This double representation of a king was shown more clearly in the process of the Restoration(反正) which punished a king under the name of the King. In the latter part of the article, I examined the positioning of the king in connection with the public(公) or public opinion(公論). I arranged the discourse of public opinion into its definition, its narrator, and its agent, but in those discourses I couldn"t find the king"s position. It is said that the absolute power arrives when a actual king is overlapped with an ideal-typed King and represented as embodying the public. If it is true, the reign of King Injo can be said to be at antipode with the absolute power.

      • KCI등재

        "동아"를 호출하는 세 가지 경로 -중,일전쟁기 쇼와연구회의 "동아협동체"론을 중심으로-

        손애리 ( Ae Lee Soh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2 No.-

        본고는 중일전쟁기 제기된 ``동아신질서``론의 한 갈래인 쇼와연구회의 ``동아협동체``론을 검토한다. 동아협동체론이 전쟁의 교착상태를 타개하고 중국 민족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회유책``이었다는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면서도, 동아협동체론이 상정한 ``동아``라는 지역적 개념에 주목하여 동아협동체론을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 재발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동아협동체를 정당화하고 실현하기 위해 당시 논자들이 전제로 삼은 ``동아``에 대한 관념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설명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목표이다. 이를 위해 당시 동아협동체론의 대표적 논객이자 학자였던 미키 키요시와 로야마 마사미치, 카다 테츠지를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 논의에서 ``동아협동체``는 도달해야 할 목표로 나타나기도 했고 현실의 필연적 추세로 제시되기도 했는데, 이 과정에서 ``동아``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경쟁적으로 제시되고 창안되었다. 동양의 전통문화, 지역적 운명공동체 의식, 경제적 협동 등이 그 사례이다. 이들 요소는 일반적으로 공유되었지만 논자에 따라서 특정요소가 더 강조되거나 간과되면서 동아협동체론의 차이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는 동아협동체론에 대한 시론적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동아시아공동체를 둘러싼 다양한 층위의 담론들 곧 동아시아의 문화적 정체성, (경제)협력의 범위와 수준, 공동체의 성원과 비성원의 경계 등과 관련해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of the ``East Asian Cooperative Community`` proposed by the Showa Research Association during the Sino-Japanese War(1937~1941). I shall first consider the EACC as a transnational movement of regionalism transcending individual nations and countries, and then analyse its conception 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pheres. Although the EACC was formed in order to co-opt chinese nationalists, it is worth considering that it was drawn up on the broad foundation of the pan-Asianism of the 1920~1930s. Concretely focusing on Miki Kiyoshi(三木淸, 1897~1945), Royama Masamichi(蠟山政道, 1895~1980)(蠟山政道, 1895~1980), Kada Tetsuji(加田哲二, 1895~1964), I reread the works of these scholars and compare one with another. In their arguments they each presented the EACC as a goal to attain or as an inevitable tendency of the times. I take note of the fact that the identity of East Asia(東亞)-such as Asian traditional cultures, regional community of destiny and economic cooperation-was invented and composed in this process. These elements were shared by all of them, but their theories differed depending on which element they gave the most weight. This work will help us understand how social scientists of those days identified East Asia or the Orient.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urrent discussions of East Asian Community, including issues of East Asian cultural identity, the scope and level of economic cooperation, and the boundary of community membership.

      • KCI등재

        일반논문 : 근대 일본 식민정책학의 전개와 귀결;1942년 대일본척식학대회를 중심으로

        손애리 ( Ae Lee Sohn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3 翰林日本學 Vol.0 No.22

        본고는 식민정책학을 제국주의국가의 지배도구로서만 이해하는 방식 대신에 그것이 갖는 근대 사회과학으로서의 속성에 주목함으로써 식민지주의와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가능하게 한 더 큰 무의식적 지반을 탐색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1942년 4월 결성된 대일본척식학회의 창립대회와 그 결과물인 『연보』(1943)를 분석했다. 근대의 분과학문으로서의 위상, ``동아``라는 지역적 단위의 중시, 식민문제와 사회문제가 교차되는 지점을 강조함으로써 기존의 식민지 지배정책 연구의 시각과 차별성을 갖고자 했다. 본론에서는 우선 일본의 식민정책학의 발달사를 1880년대 초창기부터 1930년대까지 간략히 살피면서 일본 식민정책학의 발달경로를 살폈다. 그리고 척식학회에 대한 사회사적 검토를 한 후, 『연보』에 실린 논문을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분석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일본의 식민정책학이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의 체계를 갖추면서 발달했지만 동시에 현실 추수적인 경향을 노정했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1942년 창립대회는 식민적 성격과 트랜스내셔널한 사회문제의 성격이 혼재된 동아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이론을 구상하는데 있어서, 이전의 ``동아협동체론``에 비해 이론적 완성도를 결여하고 비판성을 상실한 논의의 장이었음을 확인했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modern social scientific aspects of the studies for colonial policy which enabled the colonialism and the plan for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Concretely, it analyzes an inaugural conference of Japanese Colonial Society held on April 1942 and its annual report published in 1943. By highlighting the subjects such as the status as an academic discipline, the regional unit of east asia and the intersecting point of colonial problems and social problems that the studies for colonial policy involve, this research present a great contrast to the existing nationalist researches for colonial domination. At first, this paper traces the developmental paths of the studies for colonial policy in Japan from 1880s to 1930s and then conducts a social historical review on Japanese Colonial Society. Lastly it analyzes the articles in annual report through three topic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ough the studies for colonial policy in Japan developed in the system of academic discipline, they ware greatly influenced by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Second, the Japanese Colonial Society tried to construct the theoretical frames to solve colonial problems and transnational social problems in the colonial and occupied areas of East Asia at the same time, but its outcomes were theoretically poor and lost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 파주시민의 식습관, 운동, 비만도 및 체중관리의 실태 및 상관성 분석

        손애리 ( Ae Ree Sohn ),천성수 ( Sung Soo Chun ),박지은 ( Ji Eun Park ),양미영 ( Mi Young Yang ),이상숙 ( Sang Sook Lee ) 한국스포츠리서치 2007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ating habits, exercise,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among Pajoo citizens in Korea.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covering questions regarding health, eating habits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such as exercise, obesity, management, perceived obesity, weight management, etc. Test of significance fo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performed with χ2 -test and Spearman correlation. There were some relations with eating habits, exercise,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among Pajoo citizens in Korea. This study highlights eating habits in Pajoo citizens involved in obesity. The directions of obesity prevention program is for community efforts to offer comprehensive health education to change healthy eating habit and exercise. etc.

      • KCI등재

        중(한)의사, 중(한)의의료기관 및 중(한)의학 관련 인식.태도 및 의료행태에 관한 연구 - 중국의 한족, 조선족과 한국인을 중심으로 -

        이선동,손애리,유형식,장경호,Lee Sun-Dong,Sohn Ae-Ree,Yoo Hyeong-Sik,Chang Kyung-Ho 대한예방한의학회 2002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6 No.2

        Over thousands of years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has developed a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to treat and prevent diseases and to promote people's health in China and Korea. In China,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to the national healthcare system began in the late 1950s. This was in response to national planning needs to provide comprehensive healthcare services. On contrary to China, South Korea established the parallel operation of two independent medical systems in 1952. Hence there has been a political conflict between oriental and modern medicine over issues of fee, the ability to sell and prescribe herbal medicines, and the licensing of practitioners in traditional medicines. Give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compare peoples' attitudes and opinions for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by ethnicity (Chinese, Korean-Chinese and Korean). Chinese and Korean-Chinese were more used and satisfied with traditional medicine treatment and traditional practitioners compared with Koreans. The proportion of Koreans who reported the cost of traditional treatments was expensive was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and Korean Chinese. Most of Chinese, Korean-Chinese, and Koreans reported that they would use traditional medicine: 1) when they would have some disease to be treated best through traditional medicine; and 2) when traditional practitioner had a reputation and lots of experiences for those diseases. Most Korean people reported that oriental and western practitioners should cooperate each oth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Therefore, policy framework including integration of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regulation, etc. is needed. In addition,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ich diseases is treated best through traditional medic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