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2언어 학습수준에 따른 독일어 과거분사의 인지 과정 고찰 : 사건전위(ERPs)를 활용한 제2언어 형태
본 논문에서는 신경언어학적 연구방법론인 사건 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s)를 활용하여 습득수준에 따른 독일어 과거분사의 규칙형 및 불규칙형에 대한 처리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일어를 제2언어로 학습한 한국어 모국어 화자를 섭외하여 학습수준에 따라 고급학습자, 중급학습자 그리고 초급학습자로 그룹을 구분하여 뇌파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학습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서술-절차 모델의 관점에 근거하여 제2언어 학습자들의 학습 수준에 따른 형태 처리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실험결과와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모국어 전이 현상이 독일어 제2언어 형태 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학습수준에 따라 형태 처리 과정이 상이하게 수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우선 초급학습자에서는 N400만이 검출되었다. N400은 서술적 인지기제의 활용을 반영하는 사건 전위 요소로서 초급학습자들이 규칙에 근거한 형태 처리를 하지 않음을 반영한다. 이어서, 중급학습자에서는 LAN과 P600이 검출되었다. LAN과 P600은 절차적 인지기제의 활용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사건 전위 요소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중급학습자들이 형태 처리를 함에 있어서 절차적 인지기제만을 활용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초급학습자와 중급학습자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본 연구는 초급에서 중급으로 학습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한국인 독일어 제2언어 학습자들이 점차 절차적 인지기제를 활용하게 되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해석은 서술-절차 모델의 선행연구 결과와 같은 맥락에 놓여있다. 그런데, 중급학습자들도 독일어 모국어 화자들처럼 서술적 인지기제와 절차적 인지기제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지는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중급학습자들이 모국어 화자의 형태 처리 수준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급학습자에서는 N400과 ELAN이 각각 규칙 처리 조건과 불규칙 처리 조건에서 검출 되었다. 비록 모국어 화자와 정반대의 처리 양상을 보였지만,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독일어 제2언어 고급학습자들이 독일어 모국어 화자와 마찬가지로 서술적 인지기제와 절차적 인지기제를 선택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고급학습자들은 모국어 화자의 형태 처리와 유사한 언어 인지 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는 학습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한국인 독일어 제2언어 학습자의 인지기제가 모국어 화자의 인지기제에 점차 접근해가는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국어 화자의 선행연구 결과와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모국어 전이 현상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독일어 제2언어 학습과정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체감 형성의 발달 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발달 과업인 성 역할 정체감 형성이라는 중요한 시기를 맞아 심리적 적응에 유용한 올바른 성 역할 정체감의 개발하기 위한 성 관련 교육에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청소년들의 성 역할 정체감은 연령, 성별로 어떠한지를 조사하고 청소년의 연령, 성별로 성 역할 정체감 유형과 청소년기 대표적 부적응적 정서인 우울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제한 초중고등학교 학생 총 576(초등학생: 179, 중학생: 230, 고등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정진경의 한국 성 역할 검사 목록(KSRI: Korean Sex Role Inventory)과 아동용 우울 검사 목록(CD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을 사용한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남자 청소년의 성 역할 정체감은 양성성 정체감 유형이 가장 많고 미분화 유형, 남성성 유형, 여성성 정체감 유형 순이었고 여자 청소년의 성 역할 정체감 유형은 양성성 정체감 유형과 미분화 유형이 같은 비율로 가장 많고 여성성 유형, 남성성 유형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여학생의 경우, 연령에 따라서 성 역할 정체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초등학생은 미분화 정체감 유형 비율이 높았고 중학생은 미분화와 양성성 정체감 유형이 비슷하게 높았으며 고등학생은 양성성 정체감 유형이 가장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초등학교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갈수록 미분화 유형에서 양성성 정체감 유형의 분포가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그리고 연령과 성별로 성 역할 정체감 유형과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연령과 성 역할 정체감에 따른 우울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초등학생보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우울 수준이 높았고, 양성성 정체감 유형이 미분화 정체감 유형보다 우울 수준이 높았다. 또한 성 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남녀의 우울 수준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여성성 정체감의 남학생과 양성성 정체감의 여학생은 우울에 취약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리문화가 사회시대적 변화에 대한 성 의식 수준은 아직까지는 성숙하지 못하여 우리사회에는 여성형 가치를 가치있게 여기지 않는 성 차별적인 요소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입시전쟁으로 과중된 스트레스를 받는 우리 청소년이 심리적 적응을 위해 남성성 특성과 여성성 특성을 공유하는 양성성 정체감 유형을 안정적으로 확립할 수 있도록 성별과 연령을 고려한 성 관련교육환경을 개선해야 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미정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용인지역에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 음란물 접 촉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따라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기간은 2013년 10월 10일부터 2013년 10월 25일까지이고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부하여 297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자료로서 부족한 7부를 제외하고 29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 변수들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음란물 접촉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 음 란물 접촉 유무, 음란물 최초 시청 시기, 음란물 종류, 음란물 시청 횟수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 실태를 살펴보면, 146명(50.3%)이 인터넷 음란물을 접촉하고 있으며, 음란물을 보는 것에 대한 생각은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154명(53.1%)이었고, 음란물을 처음 보게 된 경로는 ‘친구가 보여줘서’라는 응답이 73명(25.2%)으로 가장 많았고, 음란물을 처음 접한 장소는 ‘우리 집’이라는 응답이 81명(27.9%)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음란물을 시청하는 이유는 ‘그냥 호기심으로’라는 응답이 55명(19.0%)으로 가장 많았고 음란물을 함께 보는 사람은 ‘혼자서’가 98명(33.8%)으로 가장 많았으며 음란물을 접하는 매체는 ‘스마트폰’이 80명(27.6%)으로 가장 많았고, 음란물 종류는 ‘음란 동영상’이 88명(30.3%)으로 가장 많았다. 한편 음란물 1회 시청 시간은 ‘30분 이내’가 107명(36.9%)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란물 접촉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음란물 접촉 집단이 접촉하지 않은 집단보다 성지식에는 지식정도가 더 낮게 나타났고, 성태도는 더 허용적이고 성행동은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란물 접촉이 남학생이고, 시기가 빠르고, 스마트폰을 통하고, 횟수가 잦을수록 성태도는 더 허용적이고 성행동은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음란물 접촉이 성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성태도와 성행동의 올바른 가치관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동시에 부모와 교사의 성교육과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음란물에 대한 효과적이고 적절한 규제가 요구되며, 이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음란물 접촉에 대한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cerned middle school students in Yong-In City who came into contact with and used pornography on the internet.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pornography had impact on their sexual beliefs, sexual attitudes, sexual behaviors.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10 through October 25, 2013. A total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was given and a total of 297 copies of their answers was received. Of these, data from 290 of the copies was analyzed, except for the seven copies which were not appropriate as data sample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analysis methodology used were as follows: To verifying the credibility of each variable Cronbach's ⍺ was used. To find out the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jects and their use of pornography,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check the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the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inquire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sexual beliefs, attitudes, and sexual behavior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146 people (50.3%) of teenagers came into contact with pornography through the internet. There were 154 teenagers (53.1%) who thought that watching pornography is not good. 73 teenagers (25.2%) answered that they saw pornography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ir friends. 81 teenagers (27.9%) answered that came into contact with pornography for the first time in their homes. Also, 55 teenagers (19.0%) cited the reason for watching pornography as just curiosity while 98 teens (33.8%) said they watch pornography alone. Among the total, 80 teenagers (27.6%) look at pornography through their smart phones. 88 teens (30.3%) watch pornography videos while 107 (36.9%) have experienced about 30 minutes of viewing time for pornography once. Second,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used pornography and the ones who didn't. The teens who used pornography tended to be more promiscuous and have a more liberal attitude towards sex.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for boys, the more they looked up pornography on their smart phones and the more the frequency of their pornography us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enagers are being affected negatively by contact with pornography. So they need to receive a program of professional sex education in order to have critical thinking and prioritize the values of sexual behavior. Both parents and teachers have to take more interest in sex education. Moreover, they should take part in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hat can create objective and reasonable regulations on the usage of online pornography. In particular, a reasonable and realistic law has to be prepared on the access to pornography through smart phones.
성미정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Pusan area middle-school students make a correct use of language in their lives through the rules of phonology and pronunciation. To attain this goal, the present writer researched and analyzed the real pronunciation spoken by Pusan area middle-school students, finding some errors iin pronunciation. Then he devised the effective teaching procedure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degrees and the patterns of the errors. The methods and the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wo chapter, the present writer researched the system of the pronunciation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The grade contents system of seventh curriculum and connection Royal favor problem point of the middle school textbook phonological relation grade unit were many. When it followed in National Academy of the Korean Language investigation result ane the shandard of the Korean Language Kyongsang-Namdo area Korean language teacher was lowest. It examined the standard pronunciation actual condition and the question investigation result for necessity of pronunciation education it seemed as well and it was giving. Second, in the third chapter, the conception and the necessity, which is the major teaching method in the Korean language knowledge domain and the Korean language life, were suggested. And in the sevev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characters of the subject of Korean and standard rules of pronunciation are dealt with in the domain. The effective teaching procedure were devised to motivate the students to apply the phononlogical rules to the phenomena of the Korean language in real life. It made a Korean verse, a song and a proverb with studying material and it examined to draw up the inside the study map with the activity which tries to seek a phonological rule it tried a standard pronunciat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desirable correction of the pronunciation would be impossible onl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for the subjects were accustomed to these errors from their childhood. To achieve the more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several measures were suggested by the present writer, such as the inter-grade connected teaching,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aterial,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and the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현대의상 디자인 연구 : 수(壽)·복(福)문양의 직물 개발을 중심으로
성미정 同德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3 국내석사
전통적인 요소의 현대적 활용 방안에 관한 논의는 이전에도 이루어져 왔지만 1980년대 포스트 모더니즘의 영향을 배경으로 더욱 확대되어 패션을 비롯한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 전통 문화의 활용 방안이 모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지원 부족,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품개발, 우리 것에 대한 자부심 저조 등의 문제점으로 전통요소의 활용도는 그리 높지 않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작은 노력의 일환으로 전통문양의 활용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통요소를 활용한 현대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전통문양 가운데 장수와 다복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문자 문양인 동시에 해학적인 미가 두드러지는 수(壽)복(福) 문양을 중심으로 상징성과 조형성에 근거하여 현대적인 이미지를 강조한 직물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 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각종 단행본과 학위논문, 학술지, 대학 간행물, 패션 전문 잡지, 신문과 인터넷 등의 문헌연구와 박물관, 전시관 등을 통한 실물자료와 현대디자인의 사진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한국 전통 문양의 일반적인 고찰과 수(壽)복(福) 문양의 유래 및 특성, 활용도를 조사하고 전통 문양이 응용된 현대디자인을 고찰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壽)복(福) 문양을 응용하여 Digital Textile Printing, collage. taping의 표현 기법을 통해 직물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통문양은 그 형태별 종류가 각 시대의 사상과 문화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특히 수복문양은 한자 문화권에 속해 있었기에 나타난 문자문양으로 그 상징성 때문에 신분여하를 막론하고 생활 깊숙이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사용되어 졌다. 수복문양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민화에서 보여지는 백수백복도는 우리 선조들만의 소박한 미와 여유를 담은 문양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대 디자인에 접목된 전통 문양은 복식의 각종 아이템과 공예에서 그 활용도를 발견 할 수 있었는데 다양하게 부각되지는 않고 있지만 디자인을 제시하고 상품화 시키는 일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작품제작을 위해 수(壽)복(福) 문양을 수와 복 구성, 수 구성, 복 구성의 세가지로 진행하여 각각의 상징성을 강조하면서 조형성을 표현할 수 있었고 각 모티프를 확대, 축소, 분리, 회전 등의 방법으로 재구성 함으로서 현대적 기호에 부합되는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었다. 현대적 감각에 맞는 전통 문양의 개발과 활용은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직설적인 수복 문양을 해학적이고 재치있게 형상화 시킨 다양한 표현은 무한한 디자인의 활용과 가능성을 엿 볼 수 있게 하였다. Modern ap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elements had been much discussed, but they began to be discussed more extensively since 1980‘s due to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and thus, designers have attempted to apply th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to a variety of designs including fashion. However, our traditional elements do not seem to be applied much because of poor government subsidies, less competitive commodities and poor pride in our tradition. Assuming that the traditional patterns should be applied to development of the modern designs, this study was aimed at addressing the problems involving ap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thereby, developing the designs of woven fabrics suggesting some modern images focused on 'longevity' and 'fortune' patterns which express the wishes for long and happy life, respectively, not only directly but humorously and symbolically. To this end, various books, dissertations, academic journals, college journals, fashion magazines, newspapers and Internet data were extensively reviewed, while those exhibits displayed at museums and exhibitions as well as real items and photos thereof were assessed, in an effort to examine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s in general and their origin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to modern designs in particular. Based on such reviews and analysis, longevity and fortune patterns were applied to develop some patterns of woven fabrics by using digital textile printing, collage and taping techniq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patterns had evolved in various ways, being affected by the thoughts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time, and particularly, the patterns of longevity and fortune had been widely used in diverse forms and applications for people's life regardless of users' social classes, because they were originated from Chinese culture. Although these patterns were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the longevity and fortune patterns shown in our folklore paintings hint our ancestors' pursuit of a simple aesthetics and leisurely life. Second, the traditional patterns have been applied to a variety of items, handicraft works and paintings. Although they are not highlighted in diverse ways, they seem to be applied for merchandizement continuously.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atterns of longevity and fortune by divid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of longevity and fortune combined, longevity, and fortune, it was confirmed that each category had its own symbolicity and form.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develop some designs conforming to modern symbols by expanding, contracting, separating or revolving each motif. Lastly, it is hoped that the traditional patterns will be more developed and applied to have a modern sense. Particularly,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patterns of longevity and fortune could be expressed humorously and wittingly to develop infinite designs.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합창곡에 대한 효과적인 연주방법 연구
Händel(Georg Friedrich Handel, 1685-1759) wa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baroque music. His most remarkable work as leading music of Baroque period, Oratorio <The Messiah>, well expressed sincereness to God with religious music based on his inner piety. Thanks to this work, Händel established his position as an oratorio composer. Most of all, he placed a priority on chorus and the main melody of chorus. Through Händel’s oratorio <The Messiah>, we are capable of knowing music backgrounds of Baroque period, compositional techniques and development of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as well as finding that performer started to improvise freely. Händel’s <The Messiah> is widely known and loved, composed of 3 parts. Part 1 expresses the rhythm of a piece of dance music and the termination of slow tempo in the last chorus part besides polyphony used freely in chorus as a subject based on prophecy and birth. Part 2 expresses fugue form as a subject concerning suffering and atonement, representing feature that responds to varieties of structural form such as monophony, polyphony, homophony. Part3 expresses resurrection and eternal life, showing the magnificence of the chorus as to fugue form. the lyrics were based on the Bible, particularly, part 3 was based on the New Testament, and the content of the whole lyrics is the search for the origin of God. Today, this song is performed as a chorus as a process to go through chorus conduction, which is a necessary factor for research.
신경화용론 방법론을 활용한 발화 의도 처리의 인지 기제 규명 : 요구화행과 반어를 중심으로
Das Ziel dieser Studie ist es den kognitiven Mechanismus bei der Verarbeitung der Sprechintention in einer Muttersprache (Koreanisch) und in einer Zweitsprache (Deutsch) durch eine neuropragmatische Forschung zu identifizieren. Zu diesem Zweck werden EEG-Experimente mit besonderem Fokus auf indirekten Aufforderungen und Ironie in der Muttersprache und der Zweitsprache durchgeführt. Diese Studie wählt indirekte Aufforderungen sowie Ironie als Forschungsgegenstände, weil die beiden Sprechtypen den indirekten Sprechakten aus Sicht von Searle(1969) und partikularen Konversationsimplikaturen aus der Sicht von Grice(1989) entsprechen, aber unterschiedliche Sprechabsichten haben. Eine indirekte Aufforderung hat die Absicht, den Wunsch des Sprechers, dass der Zuhörer eine bestimmte Handlung X in der Zukunft auszuführt, zu vermitteln. Im Gegensatz dazu hat die Ironie hat die Absicht, die genau entgegengesetzte Bedeutung der wörtlichen Bedeutung des geäußerten Satzes zu vermitteln, anstatt um die Ausführung einer Handlung zu bitten. Mit Hilfe dieser beiden Sprechtypen werden zwei Teilziele in dieser Studie verfolgt, um den kognitiven Mechanismus bei der Verarbeitung der Sprechabsichten aufzudecken. Das erste Teilziel dieser Studie ist es, den kognitiven Mechanismus der Erarbeitung der Sprechabsicht durch neurolinguistische Methoden zu identifizieren. Insbesondere will die Studie einen empirischen Grund dafür angeben, dass die Diskussion, ob der kognitive Mechanismus bei der Verarbeitung der Sprechabsicht dem „seriellen modularen Modell“ oder „parallelen interaktiven Modell“ folgt, noch nicht abgeschlossen ist. Daher werden Event-related potential (ERP) und Time-frequency analysis (TFA) Forschungen mit Verwendung von Elektroenzephalografie (EEG) durchgeführt, um den kognitiven Mechanismus bei der Verarbeitung der Sprechabsicht in Echtzeit zu messen und zu analysieren. Das zweite Teilziel dieser Studie ist es, den kognitiven Mechanismus der pragmatischen Sprachphänomene von Fremdsprachenlernern zu identifizieren. Die meisten Sprachstudien zu Fremdsprachenlerner konzentrierten sich bisher auf die phonetische-, phonologische-, semantische- und morpho-syntaktische Verarbeitung. Nur sehr wenige Forschungen wurden zu dem kognitiven Mechanismus bei der pragmatischen Verarbeitung von Fremdsprachenlernern durchgeführt. Aus diesem Grund untersucht das zweite Teilziel dieser Studie den kognitiven Mechanismus bei der Verarbeitung der Sprechabsicht für indirekte Aufforderungen und Ironie von den koreanischen Muttersprachlern, die Deutsch auf dem Niveau B2+ sprechen. Dabei wird erwartet, dass ein breiteres und tieferes Verständnis des kognitiven Mechanismus bei der Verarbeitung der Sprechabsicht gewonnen werden kann. Die Ergebnisse dieser Studie bestätigen drei folgende Punkte. Erstens entspricht der kognitive Mechanismus bei der Verarbeitung der Sprechabsicht dem seriellen modularen Modell. Entdeckte ERP- und TFA-Elemente sind je nach Sprachtypen und die Sprachen unterschiedlich, aber diese Studie bestätigt, dass sowohl die Muttersprachen- als auch die Fremdsprachenverarbeitung einen sequenziellen Prozess durchlaufen, der zuerst die sprachlichen Informationen strukturell verarbeitet. Erst dann identifiziert der Hörer die tatsächliche Sprechabsicht des Sprechers. Hauptsächlich wird es dadurch bestätigt, dass die Indizes für die pragmatische integrierte Verarbeitung - das ERP-Element P600 und TFA-Index Gamma-Synchronisierung – am Ende des Satzes erhöht sind. Dieses Ergebnis zeigt, dass die Verarbeitung der Sprechabsicht dem seriellen modularen Modell entspricht. Zweitens gibt es besondere Merkmale der pragmatischen Verarbeitung je nach Sprachtypen. Bei der indirekten Aufforderung vermittelt die Äußerung des Sprechers eine von der wörtlichen Bedeutung des Satzes abweichende Sprechabsicht, aber die wörtliche Bedeutung des Satzes wird nicht wie bei der Ironie verletzt. Tatsächlich werden in dieser Studie bei den Muttersprachlern nur für die Ironie die ERP- und TFA-Indizes für die semantische Verletzung – N400 und Gamma-Desynchronisierung – entdeckt. Im Gegenteil dazu wird P600 bei der Aufforderung am Beginn des Satzes gefunden. Das zeigt, dass es bei der indirekten Aufforderung, bei der Zuhörer die von dem Sprecher gewünschte Handlung anerkennen muss, die Identifizierung der Absicht im Vordergrund steht. Drittens unterscheidet sich die Modalität bei der Verarbeitung der Sprechabsicht zwischen Muttersprache und Fremdsprache. Die Ergebnisse dieser Studie zeigen, dass die fremdsprachliche Verarbeitung, im Gegensatz zur muttersprachlichen Verarbeitung, keine Indizes für die pragmatische integrierte Verarbeitung wie P600 oder Gamma-Synchronisierung zeigen. Vielmehr hängt die Verarbeitungsmodalität der Fremdsprache stark vom semantischen Verarbeitungsprozess ab. Während zum Beispiel die muttersprachliche Verarbeitung der Aufforderung nur P600 zeigt, wird nur N400 schon zu Beginn der fremdsprachlichen Verarbeitung der Aufforderung entdeckt. Zusätzlich wird das ERP-Element P200, dass das anfängliche semantische Analyseverfahren repräsentiert, ohne P600 bei der fremdsprachlichen Verarbeitung der Ironie gefunden. Dies kann verschiedene Ursachen haben, wurde aber das Ergebnis wird in dieser Studie so interpretiert, dass es die Konsequenz der unvollständigen morphosyntaktischen Kenntnisse der Zielsprache gemäß der ‚Shallow Structure Hypothesis‘ ist. 본 연구는 신경화용론적 연구를 통해 모국어와 제2언어에 대한 발화 의도 처리의 인지 기제를 규명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하여 간접 요구화행과 반어를 중심으로 모국어인 한국어와 제2언어인 독일어에 대한 뇌파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요구화행과 반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두 발화 유형이 모두 Searle(1969)의 관점에서는 간접화행(indirect speech acts)에 해당하고, Grice(1989)의 특정대화함축(particular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에 해당하지만 서로 다른 발화 의도를 갖는다는데 있다. 요구화행은 청자가 특정 행위 X를 하길 바라는 소망을 전달하는 발화 의도가 있으며, 반어는 발화에 행위성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발화된 문장의 축어적 의미의 정반대의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발화 의도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서로 다른 발화 의도를 지닌 두 가지 발화 유형인 요구화행과 반어를 대상으로 다음 두 가지 세부 목표를 설정하여 인간의 발화 의도 처리와 관련된 인지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세부 목표는 신경언어학 방법론을 통해 발화 의도 파악의 인지 기제를 규명하는데 있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발화 의도 처리의 인지 기제가 “순차적 처리 모델(serial modular model)”과 “병렬적 통합 처리 모델(parallel interactive model)” 중 어떤 것을 따르는지에 대한 논의가 종결되지 않았다는 데서 두 가지 관점 중 어떤 것이 더 타당한지에 대한 실험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뇌파측정법을 활용한 사건관련전위(ERP) 및 시간-주파수 분석법(TFA) 연구를 진행하여 발화 의도 처리에 대한 인지기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의 두 번째 세부 목표는 제2언어 학습자들의 화용적 언어 현상에 대한 인지 기제를 밝히는 것이었다. 기존에 진행된 대부분의 제2언어 학습자에 대한 언어 연구는 음성·음운, 어휘, 형태·통사적인 처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화용적 언어 현상에 대한 제2언어 학습자의 인지 기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국어 독일어 제2언어 고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화행과 반어에 대한 발화 의도 처리의 인지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제2언어 처리와 모국어 처리의 인지 기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발화 의도 처리의 인지 기제에 대한 더 넓고 깊은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뇌파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는 크게 다음 세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발화 의도 처리 인지 기제는 순차적 처리 모델을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발화 유형에 따라 검출된 ERP 및 TFA 요소는 상이하였지만 모국어와 제2언어 처리 모두 언어적 정보를 먼저 구조적으로 처리한 뒤에 화자의 실제 발화 의도를 파악하는 순차적 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모국어 처리에 있어서 화용적 통합처리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ERP 지표인 P600과 TFA 지표인 감마파의 증가가 발화의 종료점에서 검출됨으로써 발화 유형과 상관없이 모두 발화 의도 처리가 발화 처리의 마지막 시점에 이뤄지는 것을 통해 순차적 처리 모델을 따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발화 유형에 따는 화용 처리상의 특징이 존재한다. 간접 요구화행은 화자의 발화가 제시된 문장의 축어적 의미와 다른 발화 의도를 전달하지만, 반어에서처럼 문장의 축어적 의미가 위반되지는 않는다. 실제 본 연구의 반어에 대한 ERP 결과는 발화 시작점에서 의미 위반에 대한 인지처리를 반영하는 N400이 검출되었고 TFA에서는 감마파의 감소가 확인된 반면, 요구화행에서는 의미적 부적합성에 대한 ERP 및 TFA 요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오히려 청자가 자신의 행위성을 인지해야하는 요구화행에서는 발화 시작점에서부터 P600이 검출됨으로써 의도파악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모국어와 제2언어의 발화 의도 처리 양상이 다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2언어 처리에서는 모국어 처리와 달리 화용적 통합처리를 반영하는 ERP 요소인 P600이나 TFA 요소인 감마파 증가가 확인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오히려 모국어 처리에서 의미 위반이 검출되지 않은 요구화행에서 N400이 검출되거나, 반어 처리에서 초기 의미적 분석 절차를 반영하는 P200 등이 검출되는 것과 같이 발화 의도 처리에 있어서 의미적인 처리 과정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피상적 구조 가설에 따라 목표 언어에 대한 완전하지 못한 형태·통사적 지식에 대한 결과라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각 발화 유형에 대한 개별적인 ERP 및 TFA 결과는 다르지만, 인간의 발화 의도 처리에 대한 인지기제가 전체적으로 순차적 처리 모델을 따르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모국어 처리와 제2언어의 처리가 서로 다른 처리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장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대장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하고, 대장암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병원에서 대장암으로 수술을 받은 지 1개월 이후의 만 20세 이상의 성인 136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7월 3일부터 2017년 8월 28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사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장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는 152점 만점에 평균 103.83±15.25점, 디스트레스는 10점 만점에 평균 4.14±1.95점, 회복탄력성은 100점 만점에 평균 69.71±8.39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디스트레스(r=-.41,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회복탄력성(r=.58,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장암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β=.51, p<.001), 디스트레스(β=-.30,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1.6%였고, 회귀모형은 타당하였다(F=49.17,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장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대장암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개발 시 디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