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수학불안 감소방안 효과 :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 중심으로

        서은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생들이 갖고 있는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보고, 학생들의 수학불안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전문계 고등학생들에게 감소방안으로 기존의 분할노트기법을 재구성한 것을 적용하고 이에 피드백을 주어 수학불안을 감소시키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학습에 자신감을 가지도록 하며, 수학의 필요성과 실용성 등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원주지역의 W공업고등학교 2학년 학생 전자과, 건축·토목과 6개반 181명을 대상으로 수학불안요인 및 불안 정도를 조사하였다. 수학불안이 더 높게 나온 전자과 두 반을 선택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실험반은 매차 시 분할노트기법을 활용한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알맞은 피드백을 적용하였고, 비교반은 일반적인 판서에 의한 수업이 중심이 되고 피드백을 적용하지 않았다. 분할노트의 적용은 동료 교사의 도움을 얻어 8차시의 수업 중 매 차시 마다 끝나기 10분 전에 그 날 배운 내용의 문제를 실험반은 분할노트를 사용하여 풀이하게 하고, 비교반은 일반적인 풀이방법으로 문제를 풀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불안 설문지를 통해 나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수학불안은 보통 정도였으며, 전자과와 건축·토목과의 수학불안 평균 차이는 많이 나지 않았다.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공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상과는 달리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수학불안을 심하게 느끼고 있다고 볼 수 없었으며, 전공별 특성에 따라 수학불안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불안요인을 상위요인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상위요인은 수학성취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학에 대한 태도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은 성적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남성영역으로 지각, 교사 권위, 부모의 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문계 고등학생들은 성적에서 수학불안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이나 이해부분에서도 보통 이상의 불안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요인에 의해 불안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 나타났다. 셋째, 실험반은 실험 전·후 수학불안 평균의 차이가 있었으며, 비교반은 평균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수학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피드백을 활용한 분할노트기법의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 대다수가 분할노트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론을 정리해 보면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불안은 보통 정도로 나타났으며,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었다. 이러한 학생들이 갖고 있는 수학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피드백을 활용한 분할노트기법은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factors about mathematics anxie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uggest an strategy to reduce the anxiety, and validate the strategy. As a strategy on mathematics anxiety, we recompose the sectioning note technique and make a feedback on the technique for the student to reduce his mathematics anxiety, make a positive mind about mathematics, and perceive the necessity and practicability of mathematics. To solve this subjects, we investigate mathematics anxiety factors and the degree of anxiety of 181 students in six classes majoring in electronics,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at W engineering high school. Two classes majoring in electronics who show higher anxiety than other 4 classes, is chosen as a experimental group and given a test using the sectioning note technique with feedback information in every lessons. Usual education with writing on blackboard and without any feedback Is given on the other four classes which is used as a control group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sectioning note technique to solve problems covering the contents of each lesson is given ten minutes before the lesson, whereas the problem is solved by usual method in control group. From the study, we conclude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ed data, overall mathematics anxiety is not so serious a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mathematics anxie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hich is validated by t-test. In otherwords, there is not so much mathematical anxiety i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neither much difference in their majors. Second, we classified mathematical anxiety factor as higher and lower rank factors. Mathematics accomplishment factor is the highest and mathematics attitude factor is the lowest in the higher rank factor. In lower rank factor, mathematics score factor is the highest. Whereas, in men's area, lateness, authority of teacher, attitude of parents is lower than others. Specialized school students feels mathematics anxiety highest in score factor and higher than others in test and understanding factors. Especially, they may feel anxiety in teacher factor. Third,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est in experiment group,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trol group. Therefore, there is some effect of sectioning note technique using feedback information. There was sympathy about the effect of sectioning note technique among the students experiencing the experiment. Summarizing the above three results, mathematics anxiety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was usual and not so high and there was a some enhancement in reducing the mathematics anxiety by using sectioning note technique using feedback.

      • 도시마케팅전략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 서울시 외국인 방문객을 중심으로

        서은영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경제의 글로벌화라는 새로운 환경변화를 맞아 도시가 국가 경제를 주도하는 시대로 접어들면서 각 도시들은 도시마케팅 요소를 발굴하여 도시를 세계 시장에 마케팅하게 되었다. 이런 배경하에 본 연구는 도시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활용되는 도시마케팅 요소를 제시하고, 도시마케팅 전략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도시마케팅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마케팅 요소를 선정하고 FGI 및 적합성 검증(t-test)을 거쳐 최종 12개(도시이미지, 역사․문화유산, 건축물, 인프라, 공공시설, 축제․이벤트, 도시공간․거리, 쇼핑․위락, 커뮤니케이션, 특산물, 인적자원, 산업)의 도시마케팅 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시마케팅 전략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마케팅 관련 산업을 외국인 소비항목을 토대로 도출한 결과 총 7개 산업(도소매업, 숙박업, 음식점업, 철도운송과 도로운송, 오락서비스, 문화서비스)으로 분류하였다. 2009년 서울시를 방문한 외국인에 따른 산업별 총지출액을 투입요소로 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업연관분석에 따른 2009년 총 생산파급효과는 투입액 5조 8천억 대비 10조원, 부가가치 파급효과는 약 8,400억원, 고용파급효과는 약 7만 2천명인 것으로 분석되어 외국인 방문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마케팅 관련 산업에서는 생산파급효과는 약 6조 4,400억원, 부가가치 파급효과는 약 7,400억원, 고용파급효과는 약 5,0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도시마케팅의 정책과 전략이 도시정책의 중요한 핵심과제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도시마케팅이라는 패러다임이 외국인 방문객 유치 및 도시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시마케팅 전략의 실행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함에 따라 우리의 도시들도 도시마케팅 요소를 발굴하고 종합적인 도시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서용석 해금산조의 선율구성에 관한 연구 : 서용석 대금·아쟁·피리산조와의 진양조 선율 비교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lody Construction of So Yong-sok Haegum Sanjo : Melodies Comparison between ‘So Yong-sok Taegum, Ajang, and P'iriSanjo and Chinyangjo

        서은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서용석이 구성한 대금·아쟁·해금산조의 선율구성을 비교·분석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그 중에서도 중모리와 중중모리를 중심으로 그 음악적 구조와 선율을 분석하여 각산조의 음악적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먼저 중모리를 살펴보면, 대금산조는 B^(b)본청우조로 시작하여 C본청계면조 E^(b) 변청계면조의 조구성이며, 아쟁산조는 E^(b)본청우조, C본청계면조 B^(b) 본청우조의 조구성이고, 해금산조는 A본청우조, A본청계면조, A본청계면조의 조구성으로 세 산조가 모두 본청우조로 시작하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선율구성에 있어서, 해금과 대금산조 중모리의 선율을 비교해본 결과 대금산조 총 91장단, 해금산조 총 32장단 중 4장단이 일치하는 선율임을 알 수 있었다. 해금산조 총 32장단과 아쟁산조 총 40장단의 선율 비교 결과 12장단이 서로 일치하거나 유사선율임을 밝힐 수 있었다. 특히 해금산조 1, 10, 29, 30장단은 대금산조와 아쟁산조 모두에서 일치하는 선율임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대금산조와 해금산조의 유사, 일치하는 선율이 11장단으로 21장단이 유사, 일치하는 선율을 보인 아쟁산조보다 해금산조에 끼친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금, 아쟁산조의 선율과 일치하거나 유사하지 않은 선율은 해금만의 독창적인 선율로 분류하여 구분하였는데 해금산조 중모리 총 32장단 중 11개의 장단이 어느 악기의 산조에도 영향 받지 않은 해금만의 독창적인 선율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중중모리를 살펴 본 결과 먼저, 해금산조와 대금산조 중중모리의 선율은 대금산조 총 144장단, 해금산조 총 72장단 중 10장단이 일치하거나 유사한 선율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금산조 총 72장단과 아쟁산조 총 58장단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 13장단이 서로 일치하거나 유사한 선율임을 밝힐 수 있었다. 서용석류 해금산조는 대금산조와 10장단이 유사, 또는 일치하는 선율인데, 이는 해금산조와 아쟁산조가 13장단에 거쳐 유사, 일치하는 선율형태를 보이는 것에 비해 그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관악기인 대금보다 찰현악기인 아쟁이 역시 찰현악기인 해금에 끼친 영향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서용석 명인의 다양한 학습활동과 음악적 경험은 여러 악기들의 산조를 창작하여 만들고 유파를 형성하는데 있어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각기 다른 음악 어법과 구조를 갖는 각 악기의 산조 선율을 비교·검토한 결과, 각 악기에 맞는 음악적 표현과 특징을 서로 모방하거나 변형하는 방법, 또는 그 악기만의 독창적인 음악어법이나 선율들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산조를 구성하고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lody structure of Daegum, Ajeng and Haegum Sanjo composed by Yong-suk Seo in a comparative analysis. Especially, mainly with the study on Joongmori and Joongjoongmori, the musical structure and melody were analyzed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anjo. As for Joongmori, beginning with B^(b) Bonchung-woojo, Daum Sanjo was established in the composition of C Bonchung-gymyunjo and E^(b) Byunchung-gyemyunjo, and Ajeng Sanjo was established in the composition of E^(b) Bonchung-woojo, C Byunchung-gyemyunjo and B^(b) Bonchung-woojo while Haegum Sanjo in the composition of A Bonchung-woojo, A Bonchun-gyemyunjo and A Boncbung-gyemyunjo, which showed that the three different Sanjos have a common point that all start with Banchung-woojo. In addition, as for their structure of melody, with the result from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elodies of Haegum and Daegum Sanjo Joongmori, it was found out that 4 ones out of the 91 rhythms in total of Daegum Sanjo have melodies correspondent to those out of the 32 rhythms in total of Haegum Sanjo. With the result from the comparative study one 32 rhythms in total of Haegum Sanjo and the 40 rhythms in total of Ajeng Sanjo, it was found that their 12 rhythms have melodies correspondent or similar to each other. Especially, the 1st, 10th, 29th and 30th rhythms of Haegum Sanjo were found out as melodies correspondent to both Deagum Sanjo and Ajeng Sanjo, and 11 rhythms of Daegum Sanjo have melodies similar or correspondent those of Haegum Sanjo while 21 rhythms of Ajeng Sanjo have melodies similar or correspondent to those Daejum Sano, which may lead to the conclusion thar Daegen Sanjo had less influence on Haegum Sanjo than AJeng Sanjo. Besides, the melodies that were not similar or correspondent to those of Daegum Sanjo or Ajeng Sanjo were classified and divided into the unique melodies of Haegum alone, based on which it was found that 11 ones of the 32 rhythms in total of Haegum Sanjo Joongmori have the unique melodies of Hagum alone, uninfluenced by Sanjo of any other musical instrument. Then, Joongjoonmori was investigated for the study, and it was found that 10 ones of the 144 rhythms in total of Dagum Sanjo have Joongjoongmori melodies correspondent or similar to those of the 72 rhythms of Haegum Sanjo. In addition, with the result from the comparative study one melodies of the 72 rhythms in total of Haegum Sanjo and the 58 rhythms in total of Ajeng Sanjo, it was found that there are 13 rhythms having melodies correspondent or similar to each other. 10 rhythms of Yong-suk Seo-styled Haegumt Sanjo had melodies similar or correspondent to those of Dagum Sanjo, which shows at its effect was rather low compared to Haegum Sanjo and Ajeng Sanjo showing a melody pattern similar or correspondent over 15 rhythms, and proves that Haegum, a kind of rubbed string instrument, was more influenced by Ajeng, another kind of rubbed string instrument than Daegum, a kind of wind instrument. Master Yong-suk Seo's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nd musical experiences had a lot of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Sanjo for several different musical instruments and the formation of schools. When it comes to his way of composing and creating a new Sanjo, it was found that through the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Sanjo melody of each musical instrument with a different musical usage and structure, he composed and created a new Sanjo by mutually imitating or modifying different musical expressions and traits associated with each musical instrument, or recomposing its own unique musical usage or melodies.

      • 이소향의 가야금병창에 대한 고찰 : 몽중가와 중타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e So-hyang's gayageum-byeongchang

        서은영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regular rite Ch'unaengj□n "春鶯?" consists of a single dance on the mat with the title of 'An oriole chirps in the spring' which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Sunjo 28 years (1828) - the latter period of the Dynasty of the chos□n Kings that is palmy days of an offertory. In comparison with other offertory, Ch'unaengj□n has various modification words of dancing movement and became generally known as an excellent offertory. This Ch'unaengj□n had been transmitted till now, but I started this study with a curiosity to find out exact tradition from Sunjo 28 years (1828) up to now. In order to inquire of transition of Ch'unaengj□n, I examined each Holgi笏記 and □igwe儀軌 (except the present performance) from Sunjo 28 years (1828) to Iwangchikaakbusigi (1931), besides this I also referred to Chinese documentary records and an interview with Professor Lee Hong-Ku..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 Firstly, historical re-examination is mainly concerned and secondly, a performance aspect of Ch'unaengj□n is contemplated. Lastly, I inquired into a transitional aspect by each period. In consequence, Ch'unaengj□n accepted the historical facts of Chinese Y□nkayuham『淵鑑類函』 and is crea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1828. For all that, it showed us the possibility that Ch'unaengj□n is probably a well-known musical piece, judging from poetic phrase about Ch'unaengj□n found from the part of Ch'oibwamu in the Muchachinchak□igwe『戊子進爵儀軌』. As we see from the Gyesinjabji『癸辛雜識』 and Chungkukmudosa『中國舞蹈史』, Ch'unaengj□n quoted from only the name of the T□ksukungmubo in the the Dynasty of the Song Kings, but the content was a little different. Dancing movement of Ch'unaengj□n was more diverse than that of Kochongjo and as a result it was presumed that the necessary time would be lengthened, But we can not figure out a different music was played every performance or Yuch'osinchikok柳初新之曲 was played with other title from Sunjo 28 years (1828) to Kwangmu 6 years (1902) .Also, Yuch'osinchikok can be called as Hyangdangkyoju'鄕唐交奏‘ , and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it had been probably palyed since 1893. The dress and its ornament are 'Hongch'osang' as an upper garment, but it looks like they changed into 'Hwangch'osang' to give them the meaning as an oriole from Sunjo 29 years (1829).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dress and its ornament of Iwangchikaakbusigi are 'Chokturi', 'Ch'orokhapi' instead of 'Hwakwan', 'Hongtang□m' in palce of 'Cho'rokhapi' and 'Hongtang□mrusudae', 'B□s□n' instead of 'Ch'orokhye' they became more simple than Holgi. I verified that this Ch'unaengj□n was created again and are transmitted up to now with most similar in features to Ch'unaengj□n in the age of Iwangchikaakbusigi.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about a transition of Ch'unaengj□n, I want to help younger scholars to analyze the exact dancing movement create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Dynasty of the chos□n Kings and broaden the width of transmission to understand about Ch'unaengj□n and to establish the developmental theory system . Also, a new reappearance of Ch'unaengj□n on the basis of this study is expected.

      • 영어게임의 활용실태 및 ESA 수업절차에 따른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서은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영어 수업에서 행해지는 영어게임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와 게임의 활용 가능성, 교사가 실제 수업에서 영어게임을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활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게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이면서 동시에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 학습을 위해서는 수업절차에 따라 학습자와 교사, 학습자들 간의 상호 작용이 최대한 일어날 수 있는 영어게임을 선별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절차와 관련하여 게임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게임의 활용실태조사를 바탕으로 Harmer(2007)의 ESA 모형(참여(Engage), 학습(Study), 활성화(Activate))을 적용한 수업절차에 따른 영어게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이를 적용한 효율적인 수업 활용방안과 게임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 및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영어게임의 활용실태와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40명의 교사와 2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행하였고, 그 결과 전체 200명의 학생에서 영어 교과를 매우 좋아한다고 응답한 학생들 29명 중의 58.6%가 게임을 매우 좋아한다고 답하였고, 영어 교과를 좋아하는 편이라고 응답한 학생들 108명 중의 80.6%가 게임을 좋아하는 편이라고 답하였다. 영어 교과를 싫어하는 편이라고 응답한 학생들 45명조차 그들 중의 53.3%가 게임을 좋아하는 편이라고 답하였다. 영어 교과를 좋아하든 싫어하든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80.5%의 학습자들이 게임을 좋아한다고 답하였다. 아울러, 영어게임이 영어 실력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18%의 학습자가 매우 도움이 된다고 답하였고, 57.5%의 학습자들은 도움이 되는 편이라고 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영어 수업을 위해 교사는 수업절차에 따라 효과적인 게임을 선택하여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냈다. 이에 반하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분석 결과에서 전체 40명 중의 60%의 교사들이 한 차시 수업 중에 1회 게임을 활용하고 있고, 수업 중에 게임을 전혀 활용하지 않는 교사들(7.5%)조차 학생들이 수업에 게임을 활용하기를 원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나 교사들 모두 영어 수업에 게임을 활용해야 한다는 인식에는 의견을 같이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어 수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수업의 형태를 묻는 문항에 대해 80%의 교사가 소집단 활동이나 짝 활동을 좋아한다고 답하였으며, 이는 교사들이 학습자 중심의 협동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업절차에서 게임 활용 단계를 묻는 설문에 대해, 42.5%의 교사들이 정리 단계에서 게임을 사용한다고 답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언어 생산 과정(Production)에서 게임을 1회 사용하거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와 학생,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은 낮은 것으로 추론된다. 개방형 설문 문항, 인터뷰 및 수업 관찰 결과를 Nvivo10으로 분석하여 드러난 바의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게임은 단어 찾기나 끝말잇기 등의 단어 게임이었고, 이어서 행맨, 빙고, 스피드 게임 순이었다.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영어게임의 수업 구성에 따른 적용 가능성 및 Harmer(2007)의 ESA 수업절차에 따른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ESA 수업절차에 따른 영어게임의 효과적인 활용은 듣기, 말하기, 읽기 및 쓰기에서 게임과 같은 경쟁이나 협동의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내적인 동기를 유발하고 수동적인 분위기의 교실 수업을 생생하고 활발하고 진정성 있는 의사소통적 맥락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핵심적인 매개체로써 작용할 수 있다.

      • 과장(誇張)된 양감(量感)의 인체표현 연구

        서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자연과 공존하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인간의 삶을 대변하고 있는 인체는 끊임없이 움직이며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나타나는 인체의 생명력과 운동감들은 예술가들에게 예술소재로서 많은 영감과 미적 표현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 연구자에게도 인체는 항상 호기심과 관심의 대상이자 창작의 의지를 갖게 해준 매개체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인체를 주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인간의 팔과 다리 등의 신체 일부분들을 의도적으로 부풀려 과장되게 표현하였으며, 과장된 양감을 통해 부풀려진 팔과 다리로 재미와 유머, 생명력과 운동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볼륨과 유머러스한 형태로 차별화된 작품들을 통해 관객들에게 큰 웃음을 줄 수 있는 창의적 작품세계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체를 이해하기 위해 인체표현에 대한 시대별 해석과 인체의 구조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둘째, 정확한 인체표현을 돕기 위한 비례, 균형, 조화 등의 조형적 요소와 인체를 대상으로 과장, 분해, 왜곡, 단순화하여 변형되어진 형태들을 연구하였다. 셋째, 인체를 작품의 소재로 반영한 작가들의 개성 있는 작품세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위에서 연구한 배경들을 바탕으로 인체를 주관적인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과장된 형태의 이야기가 있는 오브제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바탕으로 ‘부푼 인생’이라는 주제로 2009년 5월6일부터 5월12일까지 인사동 인사아트센타에서 총 45점의 작품으로 석사 학위 청구전을 가졌다. 그중 16점의 작품을 연구의 결과물로 본 논문에 수록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인체를 재해석한 형태에 유머와 풍자적의미를 부여하는 조형작업 표현에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Humans live in harmony with nature. The human body representing human life continuously moves and changes. The vitality and activity of human body in these movements have become artistic motives to many artists for their inspiration and the subject of aesthetic expression. Human body became a medium or a subject to the researcher of this thesis as well to create works of art with curiosity and interest. This thesis starts with reinterpreting human body in subjective opinions and expressing them. Some parts of human body such as arms and legs have been expressed exaggeratingly on purpose, and the ballooned arms and legs have been expressed in the exaggerated massiveness in order to make spectator feel fun, humor, vitality, and activity through the works of art. The research of this thesis attempted to show a creative world of art to spectators and make them have a big laugh when they appreciate the differentiated works of art in the form of volume and humorous features. This thesis proceeds in details as follows. First, the periodic interpretations on the expression of human body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uman body have been researched in order to understand human body. Second, the features transformed with formative factors such as proportion, balance, and harmony, and the human bodies in hyperbole, disassembly, distortion, and simplification have been researched in order to express human body precisely. Third, the world of arts of distinct artists who reflect human body as a subject of works of their art have been analyzed. Fourth, the works of art with the exaggerated stories have been created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through reinterpreting human body in a subjective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these researches, ‘Ballooned Life' exhibition has been held along with total 45 works of art as master degree submission and exhibition at the Insa Art Center located in Insa-dong from May 6, 2009 to May 12, 2009, and this thesis includes 16 works of art among all the works shown in the exhibition, and is to show the formative expressions providing humorous meanings through the forms of human body created in the researcher’s own reinterpretation.

      • 고속철도 개통전후의 역세권 주변 토지용도별 지가 변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서은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속철도 개통으로 지방 도시의 일상생활이 철도역의 공간적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국토의 공간 이용도 변화되면서 철도역 주변의 토지 이용도 변모하고 있다. 또한 도시철도역은 철도역 주변에 새로운 변화의 흐름을 주도하여 토지 이용 체계에 파급효과를 낳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기존 철도역 주변의 지가 변화에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이 도시철도역 주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고속철도역 개통 전 후의 시계열별 역세권 주변에 나타나고 있는 지가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이러한 시계열별 지가 변화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면적으로 고찰한다. 셋째, 연구대상지는 KTX 창원역, KTX 마산역, KTX 김천(구미)역의 3개의 역으로 하고, 각 KTX역세권의 토지이용을 상업지역, 주거지역으로 구분하여 지가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넷째, 분석 방법은 회귀분석을 통해 종속변수인 고속철도역 역세권 주변 지가에 미치는 독립변수 즉, 영향 요인을 규명한다. 다섯째, 고속철도 개통 전 후 시기별(사업단계별) 지가 변화를 고속철도역의 정책 발표 및 계획 단계, 공사 단계, 개통 후 단계별로 나누어 지가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KTX 창원역 신설 후 인접버스노선 수가 1% 증가함에 따라 지가가 0.440%만큼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즉, 철도역까지의 직선거리가 1% 짧을수록 지가는 0.598%로 상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설치되지 않았던 KTX역이 신설됨으로 인한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마산 KTX역 신설 후 버스정류장의 거리가(-0.242)로써 주변지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가 1% 짧아짐으로써 지가가 0.242만큼 상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TOD, 즉 대중교통중심개발 측면에서, 역세권에 버스노선과 정류장을 가급적 많이 설치하여 버스이용자(주민, 방문객 등)의 대중교통접근성을 높여줌에 따라 역세권이 활동거점으로서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 KTX 김천(구미)역 주변 지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필지로 부터 도로까지의 거리(-0.371)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필지로 부터 도로까지의 거리가 1% 짧아짐으로써 지가가 0.371%만큼 상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교통시설까지의 접근정도가 지가에 커다란 상승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KTX 김천(구미)역세권 지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용적률(0.391)로 나타났다. 즉 용적률이 1% 증가함이 따라 지가가 0.391% 상승한다고 볼 수 있다. 개통 후에는 KTX 창원역 주변 지가에 철도역까지 직선거리가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설치되지 않았던 KTX역이 신설됨으로 인한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개통 후 두 번째 큰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건폐율로서 KTX 창원역 개통 후 건폐율이 비교적 높은 업무⋅상업건축물 등이 입지함에 따라 KTX역 주변지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개통 후 세 번째 영향요인은 용적률로써 KTX 창원역이 신설됨에 따라 용적률이 높은 상점⋅업무시설이 입지함으로써 KTX역 주변지가에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건폐율과 용적률과 같은 개발밀도가 주변지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KTX 창원역의 지가 변동률이 전국평균 지가변동률보다 높기 때문에 중단기적으로는 가급적 용적률, 건폐율 등 개발밀도를 억제하는 대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마산 KTX역 신설 후 버스정류장의 거리가 주변지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아 TOD, 즉 대중교통중심개발 측면에서, 역세권에 버스노선과 정류장을 가급적 많이 설치하여 버스이용자(주민, 방문객 등)의 대중교통접근성을 높여줌에 따라 역세권이 활동거점으로서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 철도역까지의 직선거리와 필지로 부터 도로까지의 거리가 역세권 지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아 교통시설(철도역, 도로)로의 접근성을 강화시키게 되면 지가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 여기서 지가 상승률은 그 상승폭을 전국 평균지가변동률 수준까지로 제한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KTX 김천(구미)역 주변 지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필지부터 도로까지 거리로서 교통시설까지의 접근정도가 지가에 커다란 상승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KTX 김천(구미)역세권 지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용적률로 나타났다. KTX 김천(구미)역은 KTX 개통 전후에 전국 평균지가변동률보다 4~5%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는 역세권이므로 장기적으로는 용적률 등 개발밀도를 가급적 규제하는 정책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철도역까지 차로거리 또한 KTX 김천(구미)역 지가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나 KTX 김천(구미)역 김천시의 주요활동 거점으로써 지속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역으로 도착하는 자동차, 자전거 등의 교통수단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KTX 김천(구미)역은 다른 KTX역에 비해 KTX 개통 전 후 가장 지가가 많이 상승한 역으로서 앞으로도 KTX 김천(구미)역세권의 지가는 지속적으로 오를 수 있는 잠재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이에 따라 KTX 김천(구미)역세권의 지가가 전국 평균지가변동률보다 지나치게 상승하여 투기과열 현상이 일어난다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투기억제라는 정책적 수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 van Hiele 이론에 근거한 기하적 사고 수준 분석과 도형지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서은영 진주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수학에서 기하의 기초개념을 다루는 도형영역은 수학 교과내용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사고 수준을 넘어서는 지도로 인하여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역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각형과 도형 만들기’ 단원이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도형영역의 주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는 점과 학생들이 도형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은 서로 다른 사고 수준의 차이에 주목한 van Hiele 이론으로 설명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단원에 대해 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을 고려하여 van Hiele 이론에 근거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함으로써 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한 도형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을 알아본다. 둘째, van Hiele 이론에 근거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 및 적용하여 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의 변화를 알아본다.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하적 사고 수준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을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제 0수준과 제 1수준에 머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사실은 제 0수준의 학생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며, 따라서 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한 교수학적 처방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생의 기하적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한 여러 활동들을 적용하여 van Hiele 이론의 학습 단계에 맞게 4-나 단계 5단원 사각형과 도형 만들기의 6차시 내용에 대한 교수-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사전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선정된 10명의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하였고 수업 적용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사고 수준 변화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실제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그들의 사고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 및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하적 사고 수준 검사 결과 제 1차에서는 제 0수준이, 그리고 제 2차에서는 제 0수준 및 제 1수준이 50%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사후 검사 결과, 본 연구자가 개발한 van Hiele 이론에 근거한 교수-학습 지도안은 특히 낮은 수준에 있는 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제 0수준의 학생 대부분은 도형에 대한 제한적인 개념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문제해결에 실패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사고 수준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다양한 기하적 활동에 흥미와 관심을 보이고 학습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의 향상을 돕기 위해 선분, 변, 변의 길이, 각, 각의 크기, 수직, 수선, 평행 등 도형의 기초적인 개념 및 용어에 대한 이해와 자, 각도기, 모눈종이 사용법에 대한 지도가 우선 되어야 한다. 여섯째, 사고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자신의 수준보다 높은 수준의 문제 해결에 있어 교사의 자세한 설명과 시범, 그리고 구체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다. 일곱째, 서로 다른 수준으로 구성된 모둠학습은 모둠원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낮은 수준의 학생의 기하적 사고 수준 향상을 용이하게 하고 협동심을 길러 주었다. 여덟째, 교사의 학생 활동에 대한 칭찬과 격려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교과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여 학생의 기하적 사고 수준 향상을 도왔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van Hiele 이론에 근거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한 수업은 다양한 기하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구체적 활동과 모둠원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함으로써 언어 중심, 교사 중심, 연역적 체계에 바탕을 둔 수업이 아니라 활동 중심, 학생 중심, 탐구과정 중심, 귀납적 방식의 수업으로 학생들의 사고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고 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은 학생과 오히려 사고 수준의 하락을 보인 학생도 있었다. 전자의 경우는 비록 수준상승은 없었으나 부분적인 개선을 보였으며 후자의 경우는 정의적 측면에서의 지도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요컨대, 본 연구를 통해 우선 학생이 지닌 사고 수준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사고 수준이 낮은 학생에게는 보다 쉬운 과제를 적절하게 부여하고 중위의 사고 수준의 학생에게는 보다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하여 문제해결에 대한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수학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함으로써 사고 수준의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field of figures that deals with the basic concept of geometry is one of major ones of elementary mathematics, but that is difficult for students as it is taught without considering their thinking levels. The unit 'making quadrangles and figures' is the pivot of the figure category of elementary mathematics, and van Hiele argued that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learning figures due to gaps in thinking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develop a teaching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students to make a contribution to teaching figures effectivel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in the study: 1. Check the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fourth-graders. 2. Develop a teaching program based on van Hiele's theory and investigate its effect on the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students. A geometrical thinking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the 256 fourth graders, and most of them were at level 0 or 1. One noteworthy finding was that more than half were at level 0, which indicated the desperate necessity of pedagogical intervention geared toward boosting geometrical thinking. A teaching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various kinds of activities about the six lessons of the unit 'making quadrangles and figures' in the 4-Na stage in accordance with van Hiele's learning stages. After a pretest was implemented, 10 fourth graders were selected,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n a posttest was carried out to look for any possible changes in their thinking levels. Besides, they were observed in class to find out how they responded to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ir geometrical thinking, half the participants were at level zero in the test I, and half the participants were at level 0 or 1 in the test II. Second, according to the posttest result, the teaching program based on van Hiele's theory had an especially positive impact on changing the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the students who were at a lower level. Third, most of the students who were at level 0 had a tendency to be unsuccessful in problem solving since they had just a limited conceptual image of figures. Fourth,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showed interest in geometrical activities irrespective of their thinking levels, and they were actively involved in class. Fifth,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 of learning figures, students should first learn about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terms of figures such as segment, side, side length, angle, angle size, verticality, perpendicular and parallel, and they should learn how to use ruler, protractor, and plotting paper as well. Sixth, the students who were at a lower thinking level needed a full explanation, demonstration and feedback from their teacher when they solved problems that required a higher thinking level than theirs. Seventh, group learning served to encourage interactions among the group members who were at different levels, and made it easier for students who were on a lower level to improve their geometrical thinking and cooperative spirits. Eighth, praise and encouragement by the teacher allowed the students to have confidence about mathematics and facilitated their geometrical thinking improvement. In conclusion, the teaching program based on van Hiele's theory put emphasis on group member interaction and specific activities that offered various geometrical experiences. It contributed to actualizing activity-centered, student-oriented, inquiry-oriented and inductive instruction instead of sticking to expository, teacher-led and deductive instruction. And it consequently served to improving their geometrical thinking levels, even though some students didn't show any improvement and one student was rather degraded in that regard - but in the former case they made partial progress though there was little marked improvement, and in the latter case she needs to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her affective aspects above all.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variances in thinking level should be recognized. Students who are at a lower level should be given easier tasks, and more challenging tasks should be assigned to those who are at an intermediate level in order for them to feel a sense of achievement, to have a positive self-concept about mathematics learning and ultimately to foster their thinking levels.

      •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등위접속사 사용

        서은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cies and errors of English coordinating conjunctions observed in Korean EFL Learners’ academic essays.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N=120) participated in two writing tasks; a travel essay and an observation essay. For this study, all the coordinating conjunctions in clause/sentence levels were collected from writing samples from the two writing tasks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usages and pattern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coordinators and their following incorrect uses were employed. This study surveyed 30 secondary teachers on their opinions of identifying errors in the given sentences, which features of grammar have to be clarified and reasons for thinking so. Findings from the analyses showed that among the seven coordinators, the participants used and, but and so most frequently in both genres of essays. The two major types of errors were repeatedly found in terms of their position and placement. In spite of its apparent ungrammaticality, coordinators at a beginning of a sentence and improper uses of comma were predominant, and they were ignored by their teachers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their own lack of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are not fully aware of the correct usages of coordinating conjunctions in that the most common but evitable mistakes remain in written outcomes of Korean EFL leaners because of the absence of proper feedback. These findings have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coordinating conjunctions explicitly in relation to their usages and error patterns along with teachers’ appropriate choice of 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