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 지도에 관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간의 긴장관계에 대한 연구

        서다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가 교육청 및 학교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특별보충과정 운영하는 등 학습부진학생을 제로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학습부진학생의 제로화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학습부진학생을 특수학급으로 입급 시키는 폐단이 생기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특수학급 교사에게 학습부진학생 대상 특별보충과정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일반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갈등 사이에 놓이기도 한다. 학습부진학생 지도에 관한 특수학급 교사와 일반학급 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에서 출발하여 긴장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부진학생 인식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의 긴장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학습부진학생을 특수학급 입급 의뢰할 때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의 긴장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지도에 관한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연구 참여자는 충남 소재 농촌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특수학급 교사 4인, 일반학급 교사 2인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후 전사하여 정리한 후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인식으로 일반학급 교사는 ‘구제가 가능한 학습부진학생’은 일반교육 영역, ‘구제가 불가능한 학습부진학생’은 특수교육 영역에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특수학급 교사는 학습부진학생에게 특수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심리적인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는 일반학급 교사의 책임 전가로 인식하고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둘째, 학습부진학생을 특수학급 입급 의뢰할 때 일반학급 교사는 의뢰전 중재, 보호자의 동의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또한 특수학급에 입급되지 않았다 해도 특수학급 교사가 지원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반면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원하는 책임을 가졌으므로 특수학급 입급이 결정되지 않은 시기에 지원을 제공하는 것에는 반대하였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지도에서 특수학급 교사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으로는 저학년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기초, 기본교육의 지원, 학습부진학생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등 자문의 역할로 나타났다. 이처럼 학습부진학생 지도에 관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간의 긴장관계는 올바른 인식의 부재로 인한 것이었다. 기초학력미달 비율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학교 현장에서 특수학급 교사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에 합법적인 절차와 타당한 근거를 통해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특수학급 교사와 일반학급 교사는 서로의 고유의 영역에서 책임 전가가 아닌 협력이 필요하다.

      • 이야기 과제에 나타난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구어 및 문어 산출 특성

        서다희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다시 쓰기에 나타난 구어 및 문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사가 없는 단편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학생과 비교 연구하였다. 이야기 문법, 이야기 문법 총점, 구문 특성으로 C-unit 당 평균 낱말 수(MLCw), 구문 오류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도지적장애 성인 중 다른 중복장애가 없으며 말하기와 쓰기에 문제가 없으며 언어연령이 9-11세인 학생으로 하였다. 연구자와 대상자는 일대일 상황에서 대상자의 선택에 따라 애니메이션의 내용을 구어 또는 문어로 산출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개월 후 같은 방법으로 교차하여 구어 또는 문어를 수집하였다.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학생 집단 간 이야기 문법과 구문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도지적장애성인은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학생에 비해 이야기 전체 문법 능력을 나타내는 이야기 문법 총점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평균을 보였다. 이야기 문법 하위분류에서 또한 전반적으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학생의 평균이 높았으나 문어상황에서 계기사건이은 경도지적장애 성인이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학생에 비해 다소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두 집단은 공통적으로 구어 및 문어에서 내적반응이 낮은 산출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이야기 문법 하위분류의 산출 빈도와 순서는 기존의 연구와 상이한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도구로 사용된 애니메이션이 배경보다는 계기사건과 결과가 더욱 부각되는 점이 차이를 가져오는 결과를 낳게 되어 연구 도구와 그에 따른 내용의 차이로 해석 하였다. 구문 특성에서는 구어 및 문어에서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은 이야기 산출 시 평균적으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보다 낮은 단어 산출 능력을 보였다. 그러나 C-unit당 평균 낱말 길이(MLCw)는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집단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문 오류 유형에서는 경도지적 장애 성인은 조사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오류가 나타났으며 접속과 기타 오류는 문법 사용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모두 구어 상황에서의 이야기 산출보다 문어 상황의 이야기 산출이 취약하였으며, 이는 쓰기 처리과정이 말하기 처리과정보다 어려운 과제로 여겨지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구문 및 문어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두 양식 비교의 필요성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에 시사점을 갖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in the story rewriting and rewriting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 analyzed th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C-unit (MLCw) and syntax errors in story grammar, story grammar total score,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no other overlapping disabilities, had no problems with speaking and writing, and had a language age of 9-11. The researchers and the subjects were able to compose the contents of the animation in spoken or written words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subjects in a one - to - one situation. After 3 months, they collected the spoken or octopuses in the same way. The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mmat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normal group of students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As a result,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lower overall average scores in the story grammar score, which indicates the total grammar ability of the story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In the story grammar sub - category, the average of the general students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students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And the two groups showed a low internal response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in common. The frequency and sequence of story grammar sub -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differ from those of previous studies. This result is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tool and its contents because the animation used as the tool of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background phenomenon and the result is more remarkable than the background. In terms of syntactic characteristics,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showed lower word - processing ability than general students who agreed on language age on storytelling. However, the mean word length per C-unit (MLCw) was similar to the group with language age matched. In the case of the syntax error type, the adult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the most noticeable error in the survey, and the connection and other errors were analyzed to have low grammar usage. Finally, in both groups, the story output of the octopus situation was weaker than the story output in the spoken situation. This suggests that the writing process is considered to be a more difficult task than the speaking proces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ble to grasp the syntac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nfirmed the necessity of comparing the two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muni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서다희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T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반 유아 17명(실험집단), 인근에 위치한 G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반 유아 14명 (비교집단), 총 31명이다. 본 연구는 2023년 5월 15일부터 7월 1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에는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따른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사전에 진행된 산책 시 발견한 쓰레기에 관심을 가지고 이와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활동들을 나열한 뒤 투표를 통해 3가지 활동을 정하였다. 3가지 활동은 ‘쓰담 달리기’, ‘종이 아껴쓰기’, ‘아나바다’이며 이 활동들은 총 30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특히 실험집단은 3가지 환경교육 활동 중 한 가지 활동을 일주일 실시하고 그 다음주에 해당 활동 시 찍었던 사진 및 동영상을 태블릿PC를 통해 동영상으로 제작한 뒤 이를 친구유치원의 또래 유아들에게 공유하였으며 친구유치원의 또래 유아들이 이 동영상을 보고 난 후 피드백을 실험집단에게 주었다. 이러한 과정을 ‘쓰담 달리기’, ‘종이 아껴쓰기’, ‘아나바다’로 총 3번 반복하였으며, 이후 친구유치원의 또래 유아들과 비대면 온라인(Zoom)을 통해 최종 평가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동영상 제작 활동을 통한 환경교육 활동으로 인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실험집단의 담임교사)와 비교집단의 담임교사 총 2명이 함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은주(2006)가 개발하고 채경희(2015)가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한 ‘환경친화적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해 한정선·오정숙·임현정·전주성(2006)가 개발한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도구’의 분류를 기초로 김해림(2007), 홍혜경·정용은(2005)이 제작한 도구의 내용을 참고로 하여 정봄마지(2013)가 유아에게 적합한 수준으로 개발한 내용을 본 연구자가 본 연구에서 사용될 매체에 맞춰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29.0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집단 간 동질 집단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전검사 에서 독립표본 t검정을 하여 집단의 동질성을 분석하였고, 집단 간 검사점수에 대한 통계적 차이를 분석하고자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하여 사전효과를 통제한 후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수준이 비교집단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수준보다 높아졌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를 향상시킨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실시 한 실험집단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비교집단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보다 높아졌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킨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환경교육을 위한 동영상 제작 활동에 참여한 유아가 자신들의 동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또래 유아들에게 공유하면서 받은 긍정적인 피드백이 유아가 자신의 활동에 자신감을 얻어 다음 환경교육 활동에 더욱 몰입하게 하는 선순환을 이끌며 공유를 통한 소통의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 그 타당성 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디지털 리터러시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본 활동을 적용해 보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