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가 북한의 무역에 미친 영향 분석

        방호경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6 동북아경제연구 Vol.28 No.4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UN sanctions on North Korea’s trade. In the meantime, some researchers tr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under limited data.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UN sanctions on North Korea’s trade by decomposing its trade into intensive margin and extensive margin. This means that North Korea is likely to have replaced the reduction of existing import items to other substitutes. The results indicate that UN sanctions on North Korea’s import have a negative impact on its intensive margin, but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xtensive margin. On the other hand, for exports, UN sanction against North Korea have a negative impact on intensive margin, but the effects on extensive margin is insignificant.

      • KCI등재

        광역두만지역(Greater Tumen Region)의 무역원활화를 위한 연구

        방호경,최보영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5 동북아경제연구 Vol.27 No.3

        Because of the lackluster performance of the GTI in the past, member countries have shown little interest in actively participating in GTI. Only recently has more attention been directed towards GTI by member countries, as the growth potential of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Northeast provinces of China were realized by policy maker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region, the inter-regional trade concentration ratio GTI has fallen recently unlike other economic cooperation mechanisms. We find that some GTI member countries have poor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lack appropriate trade facilitation measure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the economic cooperation to facilitate trade in the region. We also find that among hard infrastructure variable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olume of trade while custom efficiency is important among the soft dimension of trade facilitation.

      • KCI등재

        한국의 산업별 실질실효환율 추정과 안정성 검증

        방호경 한국은행 2010 經濟分析 Vol.16 No.4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한국의 산업별 실질실효환율을 시산하기 위해 산업별 수 출단가지수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추정된 산업별 실질실효환율을 패널단위근 검정을 통해 구매력평가설이 성립하는지 분석하고 있다. 한국의 산업별 실질실효환율 추정 결과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전에는 산업에 따라 실질실효환율의 격차가 상대적으로 컸으나 이후에는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 단위근 검정 결과 “단위근을 가지고 있다”는 귀무가설을 5%의 유의수준에서 기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crosssectional dependence를 어느 정도 통제한 상태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한국의 산업별 실질실효환율을 이용하여 반감기를 측정하였는데 계산 결과 1.8년으로 나타나 Rogoff(1996)가 제시한 반감기 범위인 3~5년보다 짧았다. This study uses the export unit value index by industry which estimates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in Korea.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long-run PPP hypothesis with the panel unit-root test. The result from the estimation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shows that pre-East Asian financial crisis era had higher volatility in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than the post-East Asian financial crisis era. In other words, the volatility h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East Asian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from the panel unit root tests could reject the unit root null hypothesis in favor of the alternative hypothesis of level stationary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and the same results are shown in the presence of cross-sectional dependence. The point estimate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half-life of deviations 1.8 years, which is shorter than Rogoff (1996)’s estimates of 3-5 years.

      • KCI등재

        수원국의 ESG 요인이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에 미친 영향

        방호경,김하아람 국제개발협력학회 2024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6 No.1

        연구목적: 국제사회에서 ES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수원국의 ESG 요인이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연구의 중요성: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 행태를 ESG 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UN SDGs 의제 이후 더욱 강조되는 수원국 환경 요소 (지속가능성)에 대해 설명한다. 연구방법론: 수원국의 ESG 요인이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국가별 ESG 표준화 지수를 구축한 후 실증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ODA 재원배분의 경우 직접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변수 이외에도 관찰할 수 없는(변수화 할 수 없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이를 통제하기 위해 시변적인 고정효과와 연도불변적인 고정효과를 모형내에 포함시킨다. 한편 국가별 ESG 지수의 경우 계량적 기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ESG 지표와 SDGs의 지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ESG 요인이 공여국의 ODA 재원 배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5~2013년에는 사회변수, 2014~2020년 중에는 사회변수(S)와 환경변수(E)가 함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반면, 거버넌스 변수(G)는 모든 추정방법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 도출된 ESG 지표와 SDGs의 지표간 상관관계를 구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데 이는 수원국의 SDGs 달성에 ESG 요소가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ODA 재원배분에서 ESG 요인은 2005~2013년의 경우 사회변수, 2014~2020년에는 사회변수와 환경변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는데, 이는 국제개발협력의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결과이다. 거버넌스 변수는 모든 추정방법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사회변수와 환경변수와 달리 ESG 관련 요소 중 거버넌스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미흡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how ESG factors in recipient countries influence the donor’s ODA allocation. Originality: It analyses donors' ODA allocation behavior from an ESG perspective. It also explains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recipient countries, which have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since the UN SDGs agenda. Methodology: To analyze the impact of recipient countries' ESG factors on the donor’s ODA allocation, a standardized ESG index for each country is constructed. There are various unobservable factors which likely to influence the ODA allocation, hence time-varying and time-invariant fixed effects are incorporated. Meanwhile, the country-specific ESG indices are constructed using quantitative techniques. Result: ESG and SDG indicators demonstr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ESG factors on the donor’s ODA allocation reveals that social factors played a significant role during 2005-2013. From 2014 to 2020, both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governance factors did not attain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and Implication: Whe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SG and SDG indicator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s observed. This suggests that ESG factors can act as a building block towards the achievement of SDGs in recipient countries. The ESG factors played varying roles over time. From 2005 to 2013, social factors were significant, while from 2014 to 2020, both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t can be explained by the paradigm shift in development cooperation. However, governance factors did not achie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ny estimation methods, implying that, considerations of governance factors might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 KCI등재

        무역비용이 한중일 3국의 부가가치 수출에 미친 효과

        방호경,나승권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7 韓中關係硏究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총액무역액 기준 중력모형 외에 부가가치무역액을 기준으로 한・중・일 3국의 무역비용이 부가가치 무역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 석결과에 따르면, 한중일 3국의 부가가치 수출과 무역비용 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역비용을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으로 분해한 후 분석한 결과 비관세 장벽이 부가가치 무역에 미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무역비용을 통한 부가가치 수출에의 파급효과의 많은 부분이 한중일 3국간에 존재하는 비관세 장벽에 기인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후 한중일 FTA가 추구하는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상호 호혜적인 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서는 역내 공급사슬을 증진시키는 데 저해요인이 되는 각종 장벽, 특히 비관세장벽의 제고 혹은 완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trade cost for China, Japan, and Korea on value added trade based on gravity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added trade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trade cost. It is analyzed that non—tariff barriers have a larger effect on value added trade than tariff. In order to conclude a comprehensive and mutually reciprocal agreement pursued by the Korea-China-Japan FTA,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liminate or mitigate various barriers, especially non-tariff barriers.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의 아세안 빈곤에 대한 잠재적 영향 추정 및 시사점

        방호경,양은정 한국은행 2021 經濟分析 Vol.27 No.1

        This paper examines the potential impacts of COVID-19 on poverty in ASEAN countries. The first estimate, adopted from Summer et al. (2020) and Nonvide (2020), configures three scenarios of contractions in per capita household income or consumption; the impact of each scenario on poverty is calculated using poverty lines at different thresholds. In the second estimate, poverty impacts in 2020 and 2021 were projected using regression models controlling for unobserved country effects, unbalanced data, and endogeneity. COVID-19 has been shown to have negative impacts on poverty reduction in the ASEAN Member States. To reduce poverty, concerted efforts are needed to implement policies for reducing income inequality and promoting economic growth. Such efforts will not only speed up the countries’ return to pre-pandemic poverty levels but also contribute to further accelerating poverty reduction. 본 논문은 COVID-19가 아세안 빈곤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추정한다. 빈곤감소는 국제개발협력의 가장 보편적인 목적이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서도 2030년까지 빈곤종식을 목표로 전 세계적 노력을 촉구한 바 있으나 COVID-19는 이러한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빈곤에 대한 COVID-19의 영향을 추정하는 것은 개발협력정책의 방향성 수립 및 효과성 제고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논문은 다양한 추정방법을 통해 COVID-19의 빈곤에 대한 잠재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추정한다. 첫 번째는 Summer et al. (2020), Nonvide (2020)가 제안한 가계소득 감소 시나리오를 구성한 후 국제빈곤선 조정을 통한 빈곤추정이다. 두 번째는 회귀분석을 통한 추정으로 국가 간 이질성, 불균형데이터, 내생성을 통제한 상관임의효과 모형을 통해 추정한다. 분석결과 COVID-19는 아세안 각국의 빈곤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빈곤감소를 위해서는 아세안 각국이 경제성장과 더불어 소득불평등도를 감소시키는 정책적 노력을 함께 추진해야 하며, 이는 COVID-19 이전의 빈곤수준으로 빠르게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더 빠른 빈곤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중미공동시장(CACM)의 무역창출 및 무역전환효과 분석

        방호경 산업연구원 2023 산업연구(JIET) Vol.7 No.2

        This paper analyses the trade effects of the CACM, which celebrated its 60th anniversary, through trade creation and trade diversion effects, and in particular estimates the dynamic effect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the CACM contributes to an increase in trade among members, while trade with non-members is estimated to have negative effects. In particular, the trade expansion effects of the CACM are significant in the periods 1961-1965 and 1966-1970 due to the trade diversion effect. The trade diversion effect of RTAs is likely to reduce a country's national welfare by reducing its tariff revenues. The main reason why Honduras withdrew from the CACM in 1970 is the reduction in government revenues. In the 1970s and 1980s, the trade expansion effects of the CACM diminish significantly, mainly due to the slowdown of the trade diversion effect. In the 1990s, however, the trade effects of the CACM improve again, driven by the trade creation effect.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is period, the members of the region actively implemented various measures to deepen economic integration during this period, including the elimination of trade and non-tariff barriers, joint export promotion policies, and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m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me institutional measures to facilitate intra-regional trade are important to sustain the economic effects of the CAC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