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수근관 증후군의 임상양상척도 및 전기 진단과 비교한 초음파의 유용성

        박현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in carpal tunnel syndrome with clinical scale and electrophysiologic data. Methods: Forty three patients (79 hands) with electrophysiologically confirmed carpal tunnel syndrome were evaluated. Clinical symptoms were examined by Historical-Objective (Hi-Ob) scale. Electrophysiologic data and Padua scale were used for severity of electrophysiology. In ultrasonographic study, cross sectional area and flattening ratio of median nerve were measured at distal wrist crease level (DWC), 1cm proximal to distal wrist crease level, and 1cm distal to distal wrist crease level. The correlation between Hi-Ob scale, electrophysiologic data and ultrasonography was measured with Spearman rank test. Results: The mean Hi-Ob scale was 2.4. Mean Padua scale was 4.0. In ultrasnonographic study, cross sectional area and flattening ratio were 0.112cm², 3.0 at 1cm proximal to DWC level, 0.118 cm², 2.9 at DWC level, and 0.107 cm², 3.0 at 1cm distal to DWC level. Hi-Ob scale was not correlated with cross sectional area and flattening ratio of median nerve. Hi-Ob scale was correlated with Padua scale positively (r=0.44) and correlated with amplitudes of CMAP and SNAP, negatively (r=-0.33; r=-0.30). Cross sectional area of median nerv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dua scale, amplitudes and latencies of CMAP and amplitudes of SNAP. Conclusion: Diagnostic value of the clinical scale is limited, however, ultrasonography and electrodiagnosi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nsequently, ultrasonography could be an adjunctive method in 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 F. Chopin의 Scherzo에 관한 연구

        박현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F. Chopin (1810~1849)은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로서 piano의 표현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작품을 남겼다. 그의 독자적인 선율과 독특하고 대담한 화성어법은 이미 인상주의를 예견할 만큼 시대를 앞선 것이었고, 전통적인 양식을 이어가면서도 그 속에서 자유로운 내용과 형식을 창조해냈으며, 몇몇 곡들은 독립적인 하나의 악곡으로 발전시켰다. 그 중에서도 그의 Scherzo는 독립된 악곡으로서의 최고작품으로 손꼽히며 독창성과 기교 면으로 볼 때 그 시대 최고의 악기였던 piano의 화려한 특징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곡들이다. Chopin이전까지의 Scherzo는 Sonata나 Symphony를 구성하는 여러 악장 중의 하나에 불과했으나 Chopin은 전통적인 Scherzo의 내용을 따르지 않고, 작곡가 개인의 감정을 표현해 내면서 이전의 Scherzo보다 훨씬 커진 규모와 자유로운 형식을 가지는 하나의 악곡으로 독립시켰는데, 이는 낭만시대의 형식적, 성격적 발전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Chopin피아노음악의 전반적인 특징을 선율, 화성, 리듬,형식, sostenuto pedal, tempo rubato로 세분하여 알아보았고, 그 특징들이 Scherzo에 반영된 예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Scherzo의 파생부터 다악장곡의 중간악장에 삽입되는 과정을 거쳐 독립된 악곡으로 자리잡는 Scherzo의 변천과정을 Chopin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Scherzo의 일반적인 특징 및 형식을 Minuet과 Sonata의 형식과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Chopin의 네 개의 Scherzo의 특징과 구성을 간략하게 정리하였고, 각 곡마다 대략적인 분석을 함으로써 낭만주의 Scherzo를 대표하는 Chopin Scherzo의 위치와 비중을 재조명하고, Scherzo의 올바른 해석과 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F. Chopin (1810-1849)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romanticism and he composed numerous works that can best express the unique capability of piano. Chopin󰡑s unique melody and his unique and yet bold harmony transcend his time to the extent that it is fair to say that he foresees the impressionism already in his time. He retains traditional format and yet he creates free contents and formats. Furthermore, some of his compositions have been developed as independent compositions. Among there his Scherzo is known as the best composition as an independent piece. Chopin has separated Scherzo from compositional structures of Sonata or Symphony. The evolution of forma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manticism is evident in these pieces in which his individual qualities are expressed in a more liberal format and larger scale than many other pieces of earlier era. This paper, first of all, will research on the origin, transformation, mus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musical formats. It will also sort ou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hopin󰡑s piano music. In addition, it will briefly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Scherzo and proceed to an analytical outline. By doing so,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right interpretation and performance for Scherzo.

      • 선형공원의 관점에서 본 광주푸른길공원의 이용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박현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공원은, 그 형태와 조성배경이 다양화되어 가는 현대 도시에서 종래의 녹지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활동을 창출하고 경제 활성화를 유발하는 매개공간으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특히 건강한 삶에 대한 추구는 여러 공원 활동 중에서도 걷기와 달리기를 위한 공간 수요를 낳으며, 산책로나 탐방로 등 선형공간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2000년 철도부지가 폐선된 후 공원으로 재생된 광주푸른길공원은 선형공원의 대표적인 예로서 입지 특성상 도로와의 교차가 빈번한 반면 접근루트가 다양하고, 과거 공원밀도가 낮았던 지역의 주민들이 주 이용자가 되고 있어 조성 이후 주변지역의 변화와 일상생활공간에서 공원의 역할에 대한 의식을 파악하는 것은 푸른길공원이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도 중요하지만 다른 지역에서의 폐선 부지 공원화 방향 설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선형의 이용패턴이 두드러지는 도시 선형공원에서 공간적 특성과 이용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형공간 및 주변지역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형 공원의 연구대상지로 선정한 광주 푸른길공원은, 산책로가 주 시설이면서 생활권이 서로 다른 긴 구간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 구간의 길이, 주변여건, 녹지조성 상황 등 공간적 특성과 활동 간에 의미있는 관계를 나타내 줄 것으로 보았다. 또한 철도폐선 부지의 공원화는 녹지의 증가라는 면 뿐 아니라 도시녹지네트워크 형성과 과거 사람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았던 부지에서 공원화를 통해 노후화된 주변지역을 묶는 도시 재생의 실마리로 작용할 잠재력이 있다는 점에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그 가능성은 선형이라는 공간성과 개방적이라는 접근성에 찾을 수 있으며, 그러한 점에서 선형공원에서의 이용자의 산책이나 통행의 패턴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주 푸른길공원을 조성시기와 단절구간을 중심으로 구간을 나눠 구간별 물리적 현황조사와 보행자들을 대상으로 통행량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선형 공간에서의 공간적 특성이나 이용의 특성, 주변지역의 변화 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몇 가지 의미 있는, 특히 선형 공원이라는 점에서 고찰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주요한 연구결과로서는, (1) 푸른길공원이 철도였다는 사실은 대부분 알고 있으나 전체구간을 확실하게 알고 있는 인지도는 매우 낮아 안내시설의 선형적 배분이 필요하였다. (2) 선형공원에서 산책활동 시 인접한 주변도로로부터의 소음과 경관적 단조로움은 선형공원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어 도로로부터의 소음 저하를 위한 보완시설이 필요하였다. (3) 추후 푸른길을 연결하거나 확대하는 녹지 중심적 인식이 나타나고 있어 도시녹지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선형공원의 이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4) 산책활동의 구간결정, 이용구간 길이 등을 고찰할 때 교차로나 단절구간의 연결이 중요한 과제로 판단되었으며, 선형공원을 조성하는데 있어 중요도 평가결과를 볼 때 불가피하게 도로를 건너야 하는 상황에서의 불편함을 볼 수 있어 도로와의 단절구간의 안전 문제가 가장 빨리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 보행자 우선의 교차로 신호, 도로포장 정비 등의 보완이 요구되고 있었다. (5) 또한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보행을 통해서 선형공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휴게시설이나 운동시설 등의 공원시설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인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 푸른길공원의 주변 도시정비예정지역에서의 거주율 저하로 인한 골목길의 통행량 감소가 공원이용자 증가를 통해 보완됨으로써 공원의 등장을 도시 내 선형공원의 사회적 기능으로서 생활권의 안전함 확보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추후 푸른길을 연결하거나 확대하는 녹지 중심적 인식이 나타나고있어 도시녹지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선형공원의 이용을 통해 형성되었다고 볼수 있겠다.

      • 생태복원사업지 식생변화와 관리방안 연구/ : 소규모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연환경파괴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고 지구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국제적 협약에 대한 이행의무가 가중됨에 따라 환경부는 생물종다양성을 증진하고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2003년부터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사업 결과의 질적인 발전을 위해 모니터링과 평가, 유지관리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주된 공종이 되고 있는 식생복원공종에서 수종선정과 식재설계, 수목반입 및 이식 공사, 유지관리 등의 과정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생태복원사업에서 식생복원은 화학적방제가 어렵고, 식생군락이 변화하고 천이되는 과정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일반 조경공사 및 유지관리공사와는 확연하게 다르기 때문에 생태복원사업 대상지의 사후 식생변화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현행 설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생태복원사업의 효과를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대상지 중에서 유지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체계적인 모니터링 결과가 습득가능한 곳으로 한정한 결과 5개소가 선정되었다. 연구대상지별로 교·관목의 고사율, 초본의 생육상태 조사를 하였고, 교란종 및 이입종 조사, 귀화율 조사 및 현존식생에 대한 피도 조사를 통해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토대로 적응적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식재 식생 중 평균 고사율이 30% 이상으로 나타난 수목은 왕벚나무, 팥배나무, 소나무, 때죽나무, 굴참나무, 관목은 쥐똥나무, 진달래, 덜꿩나무, 개쉬땅나무였고, 마삭줄과 송악, 물냉이, 제비꽃, 도깨비고비와 돌단풍은 피압되어 생육상태가 불량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부적합 수종의 선정이나 갈수기 시 관수 미시행, 교란종 및 이입종에 의한 피압 등이 부각되었다. 연구대상지에 모두 출현한 교란종 및 이입종은 개망초, 망초, 쑥, 닭의장풀, 환삼덩굴, 강아지풀로 나타났으며, 개망초와 망초는 귀화식물이다. 귀화율이 높은 연구대상지는 습지생태계가 인접한 대상지보다 산림생태계가 인접한 대상지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이 건조하고 척박한 환경에 적응력이 높은 특성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교란종 및 이입종의 유지관리 문제점은 사전적 제초가 되지 않아 이후에 식재 식생과 선별적 제초가 되지 않고 초본 및 관목의 생육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발생시킨 다는 점과 단풍잎돼지풀과 같은 생태계교란종 및 귀화식물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향후 개선방안으로 식재 식생은 유지관리방안으로는 첫째, 생태복원 대상지의 기반환경을 고려한 수종선정, 둘째, 식재 수목의 관수시행, 셋째, 대상지의 기반환경을 고려한 유지관리 계획수립, 넷째, 식재 수목의 고사율을 줄이기 위한 수목보호 공종시행, 다섯째, 식재 식생의 증식계획 수립을 제시하였다. 교란종 및 이입종의 유지관리방안으로 첫째, 이들의 이입을 방지하기 위한 멀칭작업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둘째, 우세한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종에 대한 종별 유지관리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방안에 대하여는 모니터링 내용의 공유 및 순응적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기업의 양성과 이를 뒷받침해줄 생태복원사업지 관리지침의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점진적으로 활성화 되고 있는 생태복원사업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위한 폭 넓고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되길 희망한다.

      • 영산회상의 창작 기법을 활용한 국악 창작 지도방안 연구

        박현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표현 욕구에서 비롯된 음악 창작은 그 활동을 통해 개인의 창의성을 표출할 뿐 아니라 그 나라의 음악 문화적 특수성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학생들의 국악창작활동은 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을 표현한다는 것 이외에도 우리 고유의 음악적 어법으로 문화적 특수성을 표현하고 이를 계승시켜 나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창작활동은 대부분 주어진 가사나 리듬으로 가락 짓기, 주어진 3~4개의 음으로 가락 짓기 등으로 음악 만들기 활동에 있어 이러한 조건이 주어진다고 하여도 학생들은 국악창작활동이 낯설 뿐 아니라 국악적 요소에 대한 어떤 안내도 없이 음악 만들기를 하여야 하므로 매우 막막하게 느낀다. 때문에 주어진 원곡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변형시켜 새로운 음악을 만드는 국악에서의 창작기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국악 창작에 대해 느끼는 막연함과 부담감을 덜 수 있을 뿐 아니라 붙임새, 장단, 한배 등 국악적 요소를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시켜 창작활동을 하므로 이를 통해 국악의 요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반영한 음악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악곡 중 상영산을 시작으로 다양한 창작기법을 통해 여러 파생곡을 형성한 후 몇 개의 곡을 덧붙여 연주함으로써 오늘날의 상영산, 중영산, 세영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이렇게 9곡의 모음곡 형식으로 이루어지게 된 영산회상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영산회상은 현악 영산회상과 평조회상, 삼현 영산회상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현악 영산회상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뒤에 나오는 선율의 이조에 있어서는 평조회상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영산회상에서는 총 네 가지의 창작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한배가 짧아짐에 따른 붙임새의 변화, 장단의 축소에 따른 붙임새의 변화, 선율의 반복, 선율의 이조이다. 먼저 한배가 짧아짐에 따른 붙임새의 변화는 영산회상의 중영산, 세영산, 가락덜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창작기법으로 중영산에서 세영산, 세영산에서 가락덜이를 거치며 한배가 짧아짐에 따라 반복되는 2개의 동음을 합쳐 1박의 한 음으로 만들고, 2박 길이의 음은 짧게 1박으로 줄이며, 장식음을 생략할 뿐 아니라 2개의 음 중에서 앞이나 뒤의 음을 덜어냄으로써 붙임새를 단순하게 변화시켰다. 다음으로 장단의 축소에 따른 붙임새의 변화는 삼현도드리 초장 첫 3장단(국립국악원보 삼현도드리 돌장 및 초장 2장단)과 가락덜이 초장 첫 3장단(국립국악원보 세영산 4장)의 관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창작기법으로 가락덜이는 삼현도드리 3․2․2․3의 10박을 2․1․1․2의 6박으로 축소하면서 6박 6음의 붙임새를 갖게 되었다. 이때 삼현도드리에서 10박에 7개의 음이 붙는 경우에는 장단이 축소되면서 1박에 2개의 음을 붙임으로써 가락덜이 장단에 따른 6박 7음의 붙임새를 형성하기도 한다. 세 번째, 선율의 반복은 타령 해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법으로 거문고 곡에서 나타나는 변주곡 형태인 해탄은 타령 이외에도 하현도드리, 군악, 계면가락도드리가 있다. 해탄은 원곡의 일부가락을 독립적인 별도의 가락으로 바꾸어 연주하는 방법으로 타령 해탄에서 독립적인 가락의 변주가 이루어진 부분의 특징을 살펴보면 앞 반 장단을 반복하고 뒷 반 장단은 다르게 함으로써 비슷한 가락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뛰어가기 가락과 차례가기나 머무는 가락이 골고루 섞여 있으며 대부분의 앞 반 장단은 상행하고, 뒷 반 장단은 하행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상하행의 자연스러운 선율 흐름이 나타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율의 이조는 장단의 변화없이 이조를 통하여 곡을 만드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악 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조회상은 현악 영산회상의 선율을 6율(4도) 아래로 이조하여 만들어진 곡이다. 그 중에서도 평조회상의 상영산은 현악 영산회상 상영산의 모든 음을 일방적으로 6율(4도) 아래로 이조하는 것이 아니라 악기의 음역과 선율의 흐름을 고려하여 이조한 음을 다시 한 옥타브 올리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위의 네 가지 창작기법을 활용한 지도방안을 구안하기에 앞서 지도단계를 비교감상하기를 통한 창작의 기법 찾기, 음악 만들기, 연주하기, 활용하기의 4단계로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창작기법별로 이 4단계의 지도단계를 거치도록 지도 방안을 구성하였다. 먼저 비교감상하기를 통한 창작의 기법 찾기 단계에서는 원곡과 파생곡의 비교감상을 통해 창작기법을 확인하며 두 번째 단계인 음악 만들기에서는 앞서 단계에서의 활동을 통해 찾은 창작기법을 활용하여 직접 음악 만들기를 하고 기보한다. 연주하기 단계에서는 완성된 음악을 개별 또는 모둠별로 다양한 방법으로 발표해 봄으로써 음악 만들기 활동에 대한 의욕을 강화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창작활동에 대한 반성을 할 뿐 아니라 창작의 기법을 정리해 보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활용하기는 앞서 익힌 창작의 기법을 정악이 아닌 민속악, 기악이 아닌 가창으로 영역을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써 국악 창작 기법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에 익숙해지는 단계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국악곡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관심을 갖고 더 나아가 그와 같은 방법으로 음악을 만들어 보고자 하는 의욕을 가지게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전통적 창작기법의 체험을 통해 만들어진 학생들의 작품 속에서 국악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화장후 유골 (遺骨) 처리에 관한 연구 : 근 ․ 현대를 중심으로

        박현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역동적인 역사 속에서 ‘장례문화’ 또한 많은 변화를 겪어왔고 이제는 고유의 전통과 새로운 장례문화를 접목, 발전 시켜가야 할 때다. 모든 문화의 방향성이 그러하듯 과거의 바탕 속에 현재의 올바른 선택이 행해지고, 보다나은 미래가 있음이다. 우리의 ‘장례문화’는 현재 과도기에 놓여있다. 산업화사회가 되면서부터 고유의 전통적 장례문화는 그 자취를 감추게 되었고, 국토개발과 공공복리라는 부분으로 ‘장법’만이 대두되어 극히 양분법적인 ‘매장과 화장의 찬반론’이 시작된 것이 1990년 말이라 하겠다. 집중호우로 인해 서울 및 수도권의 묘지가 대량으로 유실되고, 사회지도층의 화장유언과 더불어 시민단체의 화장서명운동이 확산되어 사회적 오랜 관습으로 내려오던 매장방법은 마치 반도덕적 행위로 인식을 받게까지 되었고, 점차로 화장률은 높아지기 시작하여 2006년에는 56.5% 로 매장을 앞질렀으며, 2020에는 화장률이 80%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장법의 이중 잣대로 화장을 장려하기만한 결과 다분히 ‘이중장’ 적인 화장법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화장을 하기위한 기반시설인 ‘화장장’과 화장후의 적절한 ‘장법 방안’은 마련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우리나라 장법의 배경과, 그중 화장의 역사를 되짚어 보며, 현재 행하고 있는 ‘화장법’이 진정한 스스로의 선택적 방법이었는가를 생각해 본다. 둘째, 급속히 변화된 장법은 화장의 기반시설인 ‘화장장’과 이차적인 장법을 마련하지 못하였기에, 기존의 ‘화장장 실태 조사’를 통해 개선점과 기존의 봉안방법의 문제를 제시했다. 셋째, 새로운 장법인 ‘자연장’ 을 외국의 사례와 국내의 시범사업 현황을 살펴보며, 우리에게 적절한 장법의 방향을 찾아보았다. ‘삶’의 일부분인 ‘죽음’을 누구나 피해 갈 수 없듯, 이제 우리사회도 죽음을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역사의 굴곡 속에 등한시되고, 외면할 수밖에 없었던 죽음 처리에 관한문제를 이제는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 하여, 우리의 삶의 일부분으로 받아드리는 자세를 갖추어야 할 때이며, 장사에 관한 법률적 부분도 이제는 과거의 답습을 버리고 과감히 새로운 방향으로 한걸음 나아가지 않는다면 ‘지역이기주의’나 ‘님비현상’은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온 국민 모두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당면한 문제인 ‘죽음’ 에 관한 문제를 직시 할 때 우리만의 ‘고유한 장례문화’가 정착 발전될 것이다.

      • 직업발레무용수의 판타지 경험

        박현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rinsic concept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antasy experience of professional ballet dancers, and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fantasy experiences in ballet performances and in the life of professional ballet dancer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six professional ballet dancers from their 20s and 30s who had over 15 years of experience at the S-City, K-Ballet company. The research period was conducted three group interviews, one individual interview, or about an hour of SNS interview between March and August 2017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research lo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n essential concept of the fantasy experience of a professional ballet dancer, the participants said that they felt a special emotion that was not exactly expressed as they were absorbed in the drama during the performance. It is said to have a mysterious and amazing experience. She has more than just performed ballet in reality and described herself as another me, not myself or the persona of a character. Second, a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fantasy experiences of professional ballet dancers. First, I recalled my own sense image through immersion into character, recognised my work by concept, and focused on my mind on my work. Secondly, we dance in the same space and had experiences to understand each other's feelings, maximize empathy and cross each other's fantasies. Third, study participants said that they do not experience fantasy every moment, but they are immersed in and experience fantasy depending on their personalities or current situation. Finally, the most basic condition of fantasy experience is the setting of space and place, time, and the tool of music, and clothes and make-up to reach the real existence. Third, through fantasy experience, the drama of a professional ballet dancer is maximized and externally shared not only with the audience the quality of a pre-classified ballet performance, but also with the quality of a ballet performance, sharing the emotion. It provides positive assessment externally, while a professional ballet dancer provides a satisfactory life with self-satisfaction, positive effectiveness, and happiness. Identifying the essential concepts of fantasy experiences of professional ballet dancers explored in this study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nature of the ballet, not just the basic meaning and nature of the ballet, but also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ballet.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ssential concept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antasy experiences in professional ballet dancers, and the implications and values of life, only to specifically relate fantasy experiences to motion immersion or physical mo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발레무용수의 판타지 경험에 대한 본질적 개념 및 구조적 특성, 판타지 경험이 발레 공연과 직업발레무용수의 삶에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미치는지 심층적으로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S시 K발레단에 재직 중이며 15년 이상의 발레경력을 가진 20, 30대 직업발레무용수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8월까지 약 6개월에 걸쳐 집단면담 3회, 개인면담 1회, 1시간가량의 SNS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 연구일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문서화 및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발레무용수의 판타지 경험에 대한 본질적 개념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공연 중 드라마에 몰입하면서 정확히 무엇이라 표현할 수 없는 특별한 감정을 느낀다고 하였다. 그것은 신비롭고 놀라운 경험이며, 현실 속에서 발레 작품을 연기한 것 그 이상으로 특별한 세계를 경험하면서 자신도 그리고 배역의 모습도 아닌 ‘또 다른 나’라고 묘사하였다. 둘째, 직업발레무용수의 판타지 경험에 대한 구조적 특징으로는 첫째, 캐릭터에 대한 몰입을 통하여 스스로의 감각적인 이미지를 상기하며 작품을 개념화 하고, 동작 학습 및 작품몰입에 전념하면서 의식적이던 의식적이지 않던 자연스럽게 반복된 나만의 이미지 트레이닝을 통해 판타지 경험을 풍부하게 하였다. 둘째, 같은 공간에서 춤을 추며 서로의 감정에 공감하며 감정이입을 극대화 시키고 서로의 판타지를 넘나드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매 순간 판타지 경험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성격 혹은 현재 상황에 따라 작품 속 캐릭터에 몰입하고 판타지를 경험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판타지 경험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바로 무대라는 세팅된 공간과 장소, 시간 그리고 음악이라는 도구와 실존하는 존재로 다가가기 위한 의상과 분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판타지 경험을 통하여 직업발레무용수의 드라마적인 요소가 극대화되며 외적으로는 발레공연의 질을 높여줄 뿐 만 아니라, 관객과 함께 발레 작품을 통하여 감정을 공유하고 공감하며, 그들에게 최고의 공연을 선사할 수가 있다. 또한, 이는 외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직업발레무용수에게는 자기 만족감, 긍정적 효과성, 행복감 등 만족스럽고 윤택한 삶을 선사한다. 본 연구에서 탐색된 직업발레무용수의 판타지 경험을 통한 본질적 개념을 규명하고 그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발레의 본질적 의미와 특성을 더 깊이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 뿐 만 아니라, 발레라는 예술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하나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발레무용수의 판타지 경험의 본질적 개념 및 구조적 특성, 삶의 의미와 가치만 연구하였을 뿐 실제적으로 판타지 경험이 동작 몰입 혹은 신체적 움직임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페트라르카의 소네트에 바탕을 둔 리스트의 가곡과 피아노곡의 비교

        박현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페트라르카의 소네트에 바탕을 둔 리스트의 가곡과 피아노곡의 비교 연구를 통해 피아노곡「순례 연보」 제2권 “이탈리아” 중 “세 개의 소네트"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먼저 페트라르카의 소네트에 담겨진 감정의 본질이 가곡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뒤이어 가곡에 표현된 감정적 내용이 편곡된 피아노곡에서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함으로써 리스트의 편곡방식과 의도를 밝혀보았다. 특히 리스트의 경우 화려한 테크닉에 가려 간과되기 쉬운 감정 표현에 근거한 음악적 기법을 악곡의 생성원리와 배경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탐구하여, 그의 작품들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이해를 도모하였다. 가곡의 분석을 통하여 선율과 화성의 진행, 리듬 형태 등의 음악적 요소들이 소네트에 담겨진 감정 내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 ․ 단조의 교체와 악상기호는 시의 내용이 바뀌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구체적인 가사 내용을 그려내기 위해 음화법(word painting) 또한 사용되었다. 소네트에 담겨진 사랑의 행복감, 고조되는 마음, 격정적인 심리상태 등 각각의 감정 내용은 적절한 음악적 수단들을 통해 표현되고 있었다. 한 마디로 리스트의 가곡은 소네트에 담겨있는 감정 내용을 더욱 명확하고 깊이 있게 드러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가곡과 피아노곡을 비교한 결과 피아노곡의 조바꿈과 세부적인 화음 진행 및 선율 진행, 리듬 형태, 화성 사용 등의 음악적 요소들이 큰 변화 없이 피아노곡에서도 거듭 사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편곡된 피아노곡에서는 이러한 공통적 음악요소에 더하여 리스트의 특징인 화려한 카덴차적인 부분이 삽입되어 있었는데, 이처럼 화려한 기법들도 결코 내용이 없는 피상적인 테크닉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모두 인간의 심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곡들을 연주할 때 기교적 화려함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담겨진 감정의 내용을 파악하여 연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또한 피아노곡에는 가곡보다 넓은 음역이 사용되고, 선율선의 옥타브형 또는 원래보다 음역을 옥타브 높인 진행이 빈번히 나타나는데, 이는 피아노의 특징을 잘 살리려는 의도로 이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비교 연구를 통해 「순례 연보」 제2권 “이탈리아” 중 “세 개의 소네트”의 피아노곡에는 가사 없이도 원시의 감정 내용이 잘 담겨져 있음을 가곡과의 비교 ․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의 본질을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 있었고, 이를 위해 사용된 음악적 기법의 의도와 의미를 뚜렷하고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 가곡을 피아노곡으로 편곡한 리스트의 다른 여러 작품들과 연계하여 고찰해 볼 때, 그는 피아노곡 자체만으로도 시에 담겨진 사랑의 감정이 표현되고 전달될 수 있다는 확신, 즉 가사 없이 음악만으로도 시의 내용이 표현될 수 있다는 오랜 경험에 바탕을 둔 확신을 가지고 이 곡들을 썼음을 재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Tre Sonetti di Petrarca" from the Annees de Pelerinage deeper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Liszt songs and piano works based on the same Petrarchan sonnets. At first, the emotional essence of Petrarca's sonnets expressed in the songs has been examined. Next, such emotional contents and the one expressed in the piano works are compared in order to figure out Liszt's arrangement techniques and their intention. Since technical virtuosity in Liszt's works tends to overshadow its emotional contents, special attention has been payed to the works's inception and background to promote more balanced understanding of his works. Through analysis, it became clear that the musical elements suich as the progression of melody, harmony, and rhythmic pattern are closely related to the emotional contents of the sonnets. The change between the major and minor as well as the expressive marks are utilized to reveal the emotional changes in the sonnets, and word-painting is used for concrete representation of the textual contents. Each emotional contents such as the happiness of love, uplifted mind, and passionate psychological states is repressed though appropriate musical means. In a word, Liszt's songs contribute greatly to clarify and deepen the emotional contents contained in the sonnets. As a result of subsequent comparison of the two versions, it is clear that the modulation and detailed harmonic progression as well as other musical elements such as the melodic progression, rhythmic patterns, and harmonic usage are utilized intact in the piano works without any major changes. In the piano versions, however, the characteristic brilliant cadenza-like passages are interpolated in addition to such common features. These passages are not for empty display of superficial virtuosity but for effective expression of human cordiality.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grasp the hidden emotional contents than just concentrated on its technical brilliancy. Furthermore, the piano versions utilize wider tonal range as a result of frequent appearance of octave doubling or transposition of the melodies in the vocal versions. Such adjustments are necessary for maximizing piano's potential.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it became clear that the piano versions of the three sonnets manage to express the emotional contents of the original sonnets without the help of the actual text. As a result, the intended emotional essence can be recognized more clearly, and the meaning and intention of the musical technique can be appreciated deeply and distinctly. Considering in terms of Liszt's similar arrangements of other songs, it is clear that he should have an experience-based conviction on the power of purely instrumental music which conveys the emotional contents without any help from the actual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