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WL 기반의 위치 및 프로세스 인지 서비스를 위한 지식 모델 개발

        박주경(Jukyung Park),김건희(Gunhee Kim),한만철(Manchul Han),박세형(Sehyung Park),김래현(Laehyun Kim),하성도(Sungdo Ha)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병원, 관공서와 같이 규모가 크고 복잡한 공공기관을 방문하는 경우 우리는 종종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혼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황인지 기반의 안내 시스템을 제안하고, 사용자의 상황 인지를 위한 지식 모델을 설계한다. 시스템은 능동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대처해야 하므로, 상황 인지 기반의 안내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의 위치와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인지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상황 변화를 인지하고 대응 할 수 있는 위치와 프로세스가 통합된 지식 모델을 제시한다. When we are visiting unfamiliar huge public places, it is hard to know what, how, and where to go. For solving these problems, we have suggest a user guide system, and a knowledge model which is built to support the system. High intelligence guidance system needs to react the user's context more spontaneously, which could be obtained when a system aware both the location and process coordinately. In this paper, we will show how our knowledge model is designed to enable the system to interpret simultaneously both of them.

      • KCI등재

        국내외 문헌에 나타난 식용꽃 분석

        박주경(Jukyung Park),장유진(Eujean Jang),박천호(Chunho Pak) 인간식물환경학회 2015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8 No.6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types of edible flowers used domestically and overseas and the discovery and utilization methods of edible flowers naturally growing in Korea, analyzed the types of edible flowers that have been reported until present in order to seek a development method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in the edible flower industry. Domestic and overseas records contain records of 406 species in 80 families of edible flowers. There were 38 species in 18 families of edible flowers appearing in at least 50% of the records, and per family, the Asteraceae, and per type, the Viola spp. type appeared most frequently. A total of 127 species in 36 families appeared in overseas records. There were 27 species in 15 families of edible flowers appearing in at least 60% of the records, and per family, the Asteraceae, and per type, Borago officinalis, Dianthus spp., Lavandula spp., Tropaeolum majus sp. and Viola spp. appeared most frequently. A total of 381 species in 78 families appeared in domestic records. There were 62 species in 26 families of edible flowers appearing in at least 60% of the records, and per family, the Asteraceae and Lamiaceae appeared most frequently, while per type, Dendranthema spp., Hemerocallis fulva, Rosa spp.,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and Viola spp. appeared most frequently. Thus, in order for the edible flower industry to achieve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re would be a need to make efforts to expand consumption of edible flowers, such as through discovery of naturally growing flowers, research on production and storage technology, promotional activities and research on its functionality,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cessed goods through mass industrialization.

      • KCI등재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박주경 ( Park Juky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初等 數學敎育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 implication for a direction to improv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by explo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To this end,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organized into one focus group, and group discussion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cases of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that the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is both unnecessary and necessary. The perception of unnecessary was influenced by the easy level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ontent and the ease of teaching. Also, the perception of necessary factors were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mathematics teaching, changing the accumulation of failures in mathematics classes, maintaining authority of students, demand for class improvement due to social change, the impact of school work,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eers in school, and efforts to grow as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 discussed ways to promote teachers’ participation in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by consid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eed of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 교사들이 수학 수업 과정에서 경험하는 긴장에 대한 연구

        박주경(Park Ju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이 의미 있는 실천과 연결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수학 수업 과정에서 초등 교사들이 경험하는 긴장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 교사들이 수학 수업 과정에서 어떠한 긴장을 경험하며 그러한 긴장이 수학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의 교사 전문성 개발에 참여한 경험이 풍부하고 수학 수업 개선에 관심이 많은 경력 있는 초등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초점 그룹 집단 토의를 실시하였다. 수학 수업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을 주제로 한 토의를 통해 집단 토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질적 연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사례에서 범주를 도출하고 지속적 비교 방법을 통해 범주를 수정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들은 수학 수업 과정에서 담당 업무의 수행, 학생들의 생활 관리, 교육 정책의 실행, 여러 교과의 지도에서 비롯한 긴장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긴장은 교사들로 하여금 수학 수업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게 하였고 또한 수학 수업 방법의 왜곡을 일으키고 있었다. 본 연구는 수학 교과의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 초등 교사가 수학 수업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긴장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지원함으로써 수학 교과의 교사 전문성이 실천과 보다 긴밀히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hanging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steadily emphasized, but the link difficulties betwee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meaningful practice still remain. Based on the problem,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ension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To this end, a focus group was organized by the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ried to practice their professionals in mathema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elementary teachers were experiencing tension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ir duties, management of students’ school lif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teaching of various subjects. These tensions interfered with mathematics teaching in terms of time and teaching methods. This study implies that understanding the tensions related to teaching is important to solve the problem and is a key to support them to develop more practical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 교사의 시각에서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의 구성 요소 탐색

        박주경(Park Ju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은 교사의 의미 있는 전문성 개발에 기인하며, 이는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양적 확대 그 이상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수학 수업의 질적인 변화를 위한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의 구성 요소가 어떠해야 하는 지에 대하여 초등 교사의 시각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학 교수 경험과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경험이 풍부한 초등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대화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을 구성하는 요소로 수학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수학 교과 평가에 대한 지식, 학생에 대한 지식, 수학 교과 교수법에 대한 지식, 수학 교수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교사 정체성, 수학 교수에서 교사의 성향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을 현장에서 수학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의 시각에 기반 하여 구성함으로써 교사 전문성 개발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인 수학 수업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mathematics instruction is due to the meaningful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which requires more than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mathematics specialty development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for qualitative chan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elementary teachers with rich experience in teaching mathematic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convers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7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professional include knowledge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of mathematics evaluation, knowledge of students, knowledge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belief in mathematics teaching, teacher identity in mathematics, and teacher disposition were revealed in mathematics teaching.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tinuit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can be secured as well as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by constructing mathematics specialty developmen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eachers practicing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ield.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초등학교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의 문제와 방향

        박주경 ( Park Juky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초등학교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되어 온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은 과거의 프레임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는 초등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는 교사의 맞춤형 전문성 개발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의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 하여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에 맞는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을 실천하기 위하여, 오늘날 초등학교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의 문제와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들 중, 교직 경력과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 경험이 풍부한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 자료는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주제를 바탕으로 실시된 교사 대화를 중심으로 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나누기, 재배열하기, 해석하기, 결론 내리기로 제시되는 질적 분석의 5단계 순환과정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의 문제는 의무감을 부여하고, 비협력적인 방법을 사용하며, 일방적으로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표준화된 형태의 교사 전문성 개발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은 자율성을 추구하였으며, 협력에 기반 한 상호작용과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 선택의 기회를 확대하고 다양성을 확보하는 방향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의 초등학교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하여 교사가 자율적으로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전문성 개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고, 서로 협력할 수 있는 기회와 장을 제공하여야 하며, 수학 수업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개방적 문화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The forthcoming of the age of AI predicts that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can realize customized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problems and direction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teachers’ talks by experience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were collected as data, and the 5-step cycle of qualitative analysis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were indicated by the assignment of obligation, the use of non-cooperative methods, the unilateral provision of the profession, and the application of standardiz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it was shown that the pursuit of autonomy, interaction based on cooperation, expansion of options, and securing diversity should be shifted to the direc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 장애인 및 고령자의 정보 안내 시스템을 위한 문제상황 정의 및 대응 방안 설계

        신승재(Seungjae Shin),박주경(Jukyung Park),한만철(Manchul Han),김건희(Gunhee Kim),박세형(Sehyu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1

        고령자 및 장애인들은 병원, 관공서 등과 같이 복잡한 곳에서 보호자의 도움 없이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공공기관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많은 정보안내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사용자 요구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아 그 유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와 장애인이 공공기관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 안내 시스템이 갖추어야 하는 요구 사항들을 제시한다. 효율적인 정보 안내 시스템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고령자 및 장애인의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기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정보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인지하여 어떠한 안내를 해주어야 할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유형에 맞게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령자 및 장애인이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그 대응 방안을 제시하며, 정보 안내 시스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KCI등재

        측정 오차를 활용한 삼각형의 내각의 합 지도 방안 사례 연구

        오영열 ( Oh Youngyoul ),박주경 ( Park Juky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4

        본 연구는 수학적 과정을 고려한 측정 활동의 구성을 통해 측정 영역에서 추구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초등학교 4학년 학급에 측정 오차를 활용한 삼각형의 내각의 합 지도 방안을 적용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은 측정 오차를 활용하여 삼각형의 내각의 합을 학습함으로써 측정 오차의 발생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둘째, 측정 오차에 기반한 토론 과정은 학생들이 수학적 정당화를 시도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셋째, 반원을 활용한 조작 활동은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수학적 정당화의 방법으로 인식되었고 일반화를 이끌었다. 넷째, 측정 오차를 활용한 삼각형의 내각의 합 지도 방안은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함양에 기여하였다. In this stud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goal pursued in measurement area can be reach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measurement activity considering the mathematical process, the method of summing the interior angles of a triangle using the measurement error was applied to the 4th grade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Results of the study, first,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measurement error by learning the sum of the interior angles of a triangle using the measurement error. Second, the discussion process based on the measurement error became the basis for students to attempt mathematical justification. Third, the manipulation activity using the semicircle was recognized as a natural and intuitive way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by the students and led to generalization. Fourth, the method of guiding the sum of the interior angles of a triangle using the measurement error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skills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