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시프트

        박상익(Park, Sang Eeg) 북한학회 2011 북한학보 Vol.36 No.1

        한반도를 둘러싼 대내외 통일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먼저 국제정치 환경적으로 유럽은 독일통일과 유럽통합으로 전례없는 안정과 번영을 구가하고 있으나, 동아시아는 미중간의 갈등이 노정되고 있고, 남북관계도 경색된 긴장국면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반도는 분단체제관리에서 분단체제해체로 전개되어야 하는 상황임에도 오히려 냉전의 잔설이 여전히 남아있어 분단체제의 고착화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해 8ㆍ15경축사에서 통일비용ㆍ통일편익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고 있으나 통일지향적으로 이어지기까지 현상황에서는 장애요소가 너무 많아 보인다. 그러나 계획경제의 붕괴와 주민의식의 이완 등 북한의 변화와 국제질서의 변화 그리고 전후 신세대의 가치관 변화는 대학의 통일교육에 대한 패러다임 시프트(Paradigm Shift)를 요구하고 있다. 통일교육의 진척을 위해서는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다른 체제와 인식을 하고 살고 있는 북한의 다른 생활 세계에 대해 잘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남한에 살고 있는 보수나 중도 그리고 진보에 대해 서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통일을 위하여 남북관계의 특수성과 국제사회의 보편성을 균형있게 결합하고, 국민적 합의기반을 강화하면서 남북관계와 국제협력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통일에 따른 비용과 편익의 총체적 이해와 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도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통일비용에 대한 오해는 통일로 오는 통일편익과 분단비용의 해소를 간과하거나 과소평가하는 데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므로, 통일비용 자체에 대한 이해만이 아니라 통일에 따른 비용과 편익의 총체적 이해와 인식이 중요하다. Lee Myung-bak administration suggested a new paradigm which is called “Changeover from managing division of territory to preparation of reunification”. Obviously, there is so many obstacles that the discourse, which was posed in the congratulatory message of last year’s National Liberation Day Celebrations, can hardly reach the range of reunification-oriented one. However not only the change of North Korea such as collapse of planned economy and disintegration of citizenship, but also switch of postwar generation’s values and global circumstances require us to make a Paradigm Shift in college education over reunification. For the progress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we who are the members of society, should apprehend the North Korea’s system and ideology that are quite different from ours. In addition, we have to manipulate the uniqueness of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universality of the global circumstances in unbiased point of view. As be told, we should keep our balance between South-North relation and global cooperation. we, meanwhile fortify national consensus over the reunification. At last, it is needed to have overall awareness and comprehension over the cost-benefits of reunification not just the cost because conventional wisdom mostly comes from biased analysis underestimating benefit or ignoring counterbalance between them. Therefore, education for cost-benefits comprehension must be reinforced as well as mutual understanding among Conservative, Progressive and Moderate in South Korea.

      • 박근혜 정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쟁점

        박상익 ( Sang Eeg Park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서석사회과학논총 Vol.6 No.1

        박근혜정부는 급격한 대외환경은 물론 그동안 남북관계가 장기간 정체되어 남북 간 상호 불신 심화, 대립적 상황 지속 및 최근 북핵 상황의 악화와 개성공단 가동 중단 등으로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국면에서 출범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반도 평화정착과 동북아 평화체제가 마련되기 위해서는 남북 간의 갈등해소와 관계정상화가 무엇보다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되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남북관계 진전을 위해 확고한 대북억지를 바탕으로 남북대화와 교류협력을 병행하고 신뢰와 균형을 중심으로 추진한다는 것이다.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결국 한국의 대북 지원의 확대와 북한의 점진적 변화를 통한 신뢰의 구축, 그리고 이를 통한 화해 협력 시대의 구축을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경제협력 문제와 안보협력 문제를 연계시키는 방안도 포함되어져 있다. 그러나 현재의 남북한 관계의 악화 상황 속에서 남북한 간 신뢰구축이 가능한 것인가에 관한 근본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개성공단마저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남북한 간 경제협력의 기초를 다시 다지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또한 원칙과 신뢰를 강조하는 박근혜 대통령의 스타일을 볼 때, 실용을 강조하다 유연한 대처를 못했다는 비판을 받은 MB 정부의 전철을 밟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미국정부의 전폭적 지지와 주도권 확보, 중국정부의 대북정책 변화가능성 그리고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통한 다자간 복합협력 체계의 구축 등이 긍정적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박근혜정부가 대북교류 협력의 족쇄가 되고 있는 5;24조치를 선제적으로 해제함으로서 주도권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북한의 김정은 정권도 더 이상 박근혜정부의 의지를 시험하지 말고 ``한반도 신뢰프로 세스``가 이행되도록 환경과 여건을 만들어주기 위하여, 개성공단 가동 재개 조처로 출구전략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Not to mention the Rapidly changing overseas circumstances,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ook its first step in an unprecedentedly difficult situation with such hardships as deepened mutual distrust and continued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aused by the long term standstill of inter-Korean relations along with the current aggravation of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suspension of Gaesung industrial complex`s operation. In this condition, it became the matter of utmost urgency to shatter the clouds of conflict and normalize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not merely to settle peace on Korean Peninsula but to establish peace regime in Northeast Asia. ``Korean Peninsula trust-building process`` is to keep and promote South-North talk, cooperation and exchanges simultaneously focusing on trust and balance on the ground of unfaltering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 to move inter-Korean relations forward. Consequently, the trust building process of Park Geun-hye administration concentrates on expanding the support to North Korea, building trust through North Korea`s moderate but gradual change, and opening an era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rough those efforts. Cooperation in the field of economy and security is also included in the process. However, a fundamental question is still left to be addressed on whether it could be possible to build inter-Korean trust in this worsened situ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Few can tell some groundwork fo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an be made again in spite of Gaesung industrial complex closed currently. Besides, in the respect of President Park Geun-hye``s tendency to put emphasis on keeping principle and trust, There can be some possibility that the mistakes of MB administration will be repeated which is condemned not to remain flexible while emphasizing practicality. Nevertheless, we can see some positive signals such as South Korea taking the initiative with the U.S. government`s wholehearted support to ``Korean peninsula trust-building process`` which is shown through the recent Korea-U.S. summit, the possibility of Chinese Government`s policy change toward North Korea, and multilateral system of complex cooperation based on the idea of peacefu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Therefor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should precedently lift the 5.24 action which has been in the way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o get the lead. In the meantime, North Korea regime of Kim jeong-eun should no more test the will of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d must find an exit strategy of letting the Gaesung industrial complex operate again in order to create a desirable condi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trust-building process`` to be put into practice.

      • KCI등재후보

        선군시대의 관료문화

        박상익 ( Sang Eeg Park ) 북한연구학회 2009 北韓硏究學會報 Vol.13 No.1

        북한의 관료문화는 전통문화 및 사회주의 정치문화, 당-국가관료제 그리고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주체사상의 구조적 동인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주체 관료문화` 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를 기능적으로 구분하면 첫째, 주체기능적 관료문화로 집단주의의 관료문화와 군중노선·동원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둘째, 주체역기능적 관료문화로 종파·지방·가족·연고주의 등의 관료문화와 권위주의 등 제(諸)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끝으로 주체모순적 관료문화로 수령절대주의의 관료문화와 이기·기관본위주의의 관료문화, 기술신비주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선군시대의 북한 관료문화는 계획실패와 위기·부족의 심화로 관료적 분배와 정치적 보상체계의 변화를 가져오며, 공적 시스템의 약화로 공식과 비공식이 서로 다른 행태, 즉 이중적인 성격의 여러 다양한 모습이 나타났다. 특히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생존을 위한 관료일탈로 연줄과 뇌물의 메커니즘 속에서 관료부패가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계획경제 자체에서 기인한 부족경제와 계획경제를 수행하는 위계적인 관료제 자체의 문제로 발생하는 `계획의 무정부성`은 북한이 지속적으로 비판해 온 지방주의·기관 본위주의 등 부정적 관료문화와 생존을 위한 경제적 성격으로 변질되어 사회주의적 가치의식의 변화, 즉 집단주의와 가족주의의 약화, 개인이기주의 등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현재 경제난의 지속과 7·1조치로 대표되는 기관 및 개인 차원의 경쟁을 유발하는 `실리 사회주의`의 도입으로 인해 부정부패현상의 출현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사회 전반은 혁명전통과 주체사상, 선군사상 등 사상에 의한 체제 정당성 제고 노력을 지속하고 있지만, `실리 사회주의`의 등장으로 혁명 이념성의 퇴조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선군시대의 북한 관료문화 흐름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전망할 수 있다. 첫째, 정치문화적으로 전통적 집단주의 관료문화는 실리주의의 행위양식 즉, 개인주의로 변화되며, 둘째, 관료제는 선군정치하의 당-국가 관료제 속에서 반사회주의적 관료문화는 지속되며, 셋째, 주체사상을 구현한 선군사상이 위기관리 방식의 작동 원리로 기능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reaucratic characters in North Korea.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was greatly influenced by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ist political culture, Party-State Bureaucracy and Ju-Che culture (a ruling system in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ections in this paper, and the first one is Ju-Che functional bureaucracy culture, the second one is Ju-Che reverse functional bureaucracy culture, and the last one is Ju-Che contradictory bureaucracy culture. After the 1990s, the bureaucratic culture of `Son-gun era` in North Korea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bureaucratic distribution and political-reward-system due to the plan`s failure and crisis and severeness of shortage, and it shows a variety of different, namely ambivalent, feature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because of weakened public system. Especially, because of the bureaucrats` deviation for survival during `Arduous March,` in the mechanism of connections and bribery, the bureaucratic corruption started to become common. These shortage economy caused by planned economy and `anarchistic plans` caused by hierarchical bureaucracy, which performs the planned economy, have brought about such changes in socialistic value-consciousness as weakened collectivism and familism and selfish individualism because it is changed into economic desire for survival and such negative bureaucratic culture as regionalism, bureau-centralism, etc, which North Korea continued to criticize. Because of continuing economic hardship in the present and adoption of `utilitarian socialism`-such as `7·1 improvement of economic management` in 2002-which encourages competition among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the phenomena of corruption appears inevitable. Though, for this reason, the whole North Korea society keeps trying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North Korea regime through the tradition of revolution, Juche-ideology, Sun-gun ideology, etc, it seems that the advent of `utilitarian socialism` makes people experience the decline of revolutionary ideology. In conclusion, the changes of bureaucratic culture in North Korea can be predicted as following. First, in terms of political-culture, the traditionally collective bureaucratic culture has changed into the individualism as a way of utilitarian behavior. Second, in the party-state-bureaucracy under Military-first Politics, anti-socialistic bureaucratic culture has been sustained. Third, the Son-gun ideology that actualizes Juche-ideology has functioned as a method for managing the crises. The main causes of the changed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are the failure in the national economy and its consequential laxity in political and social order. In this situation, the features of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common people and the bureaucrats are homogeneous though each of them is situated in different circumstances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ocial position of bureaucrats, who have to serve the country and the regime and the way of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livelihood, has brought about direct conversions in the consciousness and livelihood. The decline in authority of bureaucrats, which has been resulted from laxity in social and political order, prevalence of deviant bureaucratic-culture through the position, and limit in ruling ideology show the changed and changing various features in bureaucratic culture of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김정은 체제 출범이후의 과제와 전망

        박상익(Sang-Eeg Park) 북한학회 2012 북한학보 Vol.37 No.1

        북한은 2012년 4월 11일 제4차 당대표자회, 4월 13일 최고인민회의 제12기 5차 회의를 연이어 개최하고, 김정은을 당 제1비서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추대함으로서 공식승계 절차를 마무리했다. 김정일을 영원한 총비서,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같은 권한을 갖는 당 제1비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란 새로운 직책을 신설하여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북한은 김정은의 새로운 지위에 맞게 당규와 헌법을 개정하고 파워엘리트를 재편했다. 외형적으로 볼 때, 김정은 체제는 불과 4개월여 만에 제도적으로 김정은 유일영도체제의 구축, 내용적으로 김정은-장성택 협력체제의 강화, 신속한 군부 영향력의 재편 그리고 김일성과 김정일의 ‘수령제’ 통치시스템 계승 등을 통해 정권의 안정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김정은 체제의 권력구조는 김경희-장성택의 섭정에 의한 김정은-장성택의 협력 체제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정치체제 속성상 김정은의 권력승계에 대한 직접적 저항, 야심가의 쿠데타 등이 출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나, 장기적으로 핵보유, 경제발전을 둘러싼 노선갈등 등이 노정될 경우 핵심엘리트층에서 권력투쟁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북한이 김정은 3대 세습체제 확립을 위해서는 경제문제 해결이 선결과제인데, 현재의 북한 경제사정상 쉽지 않을 전망이다. 화폐개혁 이후 국가 공급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경제난 가중, 주민들의 불만 고조 등 사회 경제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정은 지도체제의 순항은 개혁ㆍ개방과 비핵화에 크게 좌우될것이다. 즉 경제문제 해결과 적대적 대외환경 변화가 관건이 될 것이며, 여기에는 북핵과 북미 적대관계 해소와 남북관계 개선이라는 과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결국 김정은 체제는 장기 침체한 경제난이 해결되어야 내부 권력 갈등을 해소할 수 있으며, 경제문제를 풀기위해서는 비핵화를 통한 북미관계와 남북관계의 개선이 필연적이다. The North Korea finally finished the succession, inducting Kim Jung Eun, as a top secretary and a chairman of the defence committee in last April. Put that in perspective, Kim’s regime completed Sole leader system and reinforced Kim Jung Eun-Jang Sung Taek assistance structure, seeking regime’s stability through swift shift of army’s power and inheritance ruling system ‘Suryung’. However financial difficulty and hostil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become crucial matters to establish Kim’s 3generation regime which are intertwined nuclear problem, relationship with the U.S and South Korea. After all, Kim’s regime must solve economic difficulty to handle the inner strife therefo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with the U.S and South Korea is inevitable.

      • KCI등재후보

        동북아 정세 변화와 이주민 정책

        박상익 ( Sang Eeg Park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1 동북아연구 Vol.26 No.2

        탈냉전 이후 국제정세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미·중간의 갈등이다. 이러한 미·중간의 갈등은 동북아 지역의 이주민 정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동북아의 정세변화는 북한이탈주민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고, 저출산·고령화의 심화에 따른 지속적인 해외 이주민의 유입으로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이행되면서 다문화 가정의 사회적응과 사회 통합이 중요한 정책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다문화사회의 다양성과 차이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사회적 양극화나 차별과 같은 부정적 사회 현상들에 대한 정책의 마련은 중요한 사회적 과제이다. 따라서 편견과 차별 극복을 위한 이주민정책의 정확한 상황인식과 ‘배제’가 아닌 ‘통합’을 위한 올바른 이주민정책 방향은 매우 중요하다. 아울러 북한이주민정책과의 조화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주민정착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서비스의 개선 그리고 차별과 배제의 금지와 다문화교육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After the post-cold war,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in the international affair is fric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Emerging China. So this conflicts between two countries affect immigration policy in the pertinent region. Like this, the change of the situation makes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record high. Meanwhile South Korea is becoming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of the inflow of immigrants. So the policy which can manage the situation of disparity and discrimination is required. This can be socially challenging task but must be manipulated. Therefore to overcome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precise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and the appropriate direction which must be ``Combination-oriented`` not ``Exclusive`` are crucial. In addition, we should make the policy in harmony with Immigration policy for North Korean defector. For this purpose, there are necessities of institutionalization in many field, such as various supports, improvement of servic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nti-discrimination policy.

      • 동북아 정세 변화와 이주민 정책

        박상익 ( Sang Eeg Park ) 朝鮮大學校 統一問題硏究所 2011 統一 問題 硏究 Vol.26 No.2

        탈냉전 이후 국제정세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미·중간의 갈등이다. 이러한 미·중간의 갈등은 동북아 지역의 이주민 정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동북아의 정세변화는 북한이탈주민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고, 저출산·고령화의 심화에 따른 지속적인 해외 이주민의 유입으로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이행되면서 다문화 가정의 사회적응과 사회 통합이 중요한 정책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다문화사회의 다양성과 차이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사회적 양극화나 차별과 같은 부정적 사회 현상들에 대한 정책의 마련은 중요한 사회적 과제이다. 따라서 편견과 차별 극복을 위한 이주민정책의 정확한 상황인식과 ‘배제’가 아닌 ‘통합’을 위한 올바른 이주민정책 방향은 매우 중요하다. 아울러 북한이주민정책과의 조화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주민정착을 위한 다양한 지원과 서비스의 개선 그리고 차별과 배제의 금지와 다문화교육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After the post-cold war,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in the international affair is fric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Emerging China. So this conflicts between two countries affect immigration policy in the pertinent region. Like this, the change of the situation makes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record high. Meanwhile South Korea is becoming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of the inflow of immigrants. So the policy which can manage the situation of disparity and discrimination is required. This can be socially challenging task but must be manipulated. Therefore to overcome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precise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and the appropriate direction which must be ``Combination-oriented`` not ``Exclusive`` are crucial. In addition, we should make the policy in harmony with Immigration policy for North Korean defector. For this purpose, there are necessities of institutionalization in many field, such as various supports, improvement of servic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nti-discrimination policy.

      • KCI등재

        북한 관료문화의 특성 '주체 관료문화'

        박상익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8 북한학연구 Vol.4 No.1

        The paper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 of North Korean bureaucracy.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was greatly influenced by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ist political culture, Party-State Bureaucracy and Ju-Che culture (a ruling system in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Bureaucracy culture in North Korea is to be classify into three sections in this paper, and first one is Ju-Che functional bureaucracy culture, second one is Ju-Che reverse functional bureaucracy culture and finally, Ju-Che contradictory bureaucracy culture. To begin with, the first trait of Juche-functional bureaucratic culture is the bureaucratic culture based on collectivism. Though the value of collectivism is very common in socialistic system, it is more powerful in North Korea by connecting it to traditional spirit of collectivism in the East. Especially, in the core of North Korea's collectively-bureaucratic-culture, the existence of Su-Ryung forms the special feature of North Korea's regime. Second, there is the bureaucratic culture of mass-line/mobilization: in North Korea, mass-line has been adopted as a way to overcome bureaucratic culture's such problems as communalism, regionalism, familism, nepotism and used for the mobilization of people. Next, as Juche-reverse bureaucratic culture, there is bureaucratic cultures such as communalism, regionalism, familism, nepotism, etc. Especially, the bureaucratic culture such as communalism has been formed through postwar North Korea's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dynamic situations. In the processes of postwar reconstruction, socialist revolution, establishment of socialism, solidification of Jaju-line (self-reliance line), and the elimination of communalism provided a just cause for the establishment of Kim, Il-Sung's absolute dictatorship. Second, there are bureaucratic cultures such as authoritarianism.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party's rule, the authoritarianism became typical feature. Lastly, the first of several features of Juche-contradictional-bureaucratic-culture is the bureaucratic culture of Su-Ryung-absolutism. The bureaucratic culture in Su-Ryung-absolutism precipitated the seclusion, and the principle of perfect performance of Kim, Il-Sung and Kim Jung-Il's instructions as well as unconditional performance and absolutism created bureaucratic human being, which leaded to limit and restrict the creativity and reformation. Second, there is bureaucratic culture of selfishness and bureau-centralism. The socialistic economic system in North Korea could not overcome the problems of bureaucratic dictatorship in reality because it maintains centralized-planned- economy which is based on the social possession of productive means. Third, the bureaucratic culture of technology-mysticism, which means the idoliza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or material-technological condition,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s passivism and conservatism mystify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king them regarded as things for scientists or engineers. Accordingly, though this technology-mysticism was criticized alongside of passivism, conservatism, flunkyism, empiricism, etc., maintaining Juche-ideology and planned economic system, which totally eliminates creativity, cannot help making the bureaucratic culture of technology-mysticism and contradictional-Juche-culture coexist. 북한의 관료문화는 전통문화 및 사회주의 정치문화, 당-국가관료제(Party-State Bureaucracy) 그리고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주체사상의 구조적 동인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주체 관료문화’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를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체기능적 관료문화로 첫째, 집단주의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수령중심의 유일지배체제가 강력한 사회통합을 지향하고, 남북한이 대치하고 있는 일상적 위기상황으로 집단주의적 경향성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북한의 집단주의 관료문화의 핵심에는 수령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북한 체제의 특수성을 구성한다. 둘째, 군중노선․동원의 관료문화로 북한에서는 종파․지방․가족․연고주의 등 관료문화의 병리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군중노선을 채택하여 대중동원에 활용해 왔다. 다음으로 주체역기능적 관료문화로 첫째, 종파․지방․가족․연고주의 등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특히, 종파주의 등 관료문화는 전후 북한의 정치경제적으로 역동적인 상황 속에서 형성되었다. 전후복구와 경제건설의 기초를 구축하기 위한 노선과 관련하여 이견이 당내 헤게모니의 틀 안에서 갈등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전후 복구 및 사회주의혁명, 사회주의건설과 자주노선의 확립과정에서 종파주의 등의 척결은 김일성 유일지배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하였다. 둘째, 권위주의 등 제(諸)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당적지배가 관철되는 과정에서 권위주의가 일반적인 성향이 되었다. 끝으로 주체모순적 관료문화로 첫째, 수령절대주의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수령절대주의에서의 관료문화는 폐쇄화를 더욱 촉진시키고 있으며, 김일성․김정일 교시의 관철이나 무조건성․절대성은 관료주의적 인간을 만들고 창의력과 혁신성을 제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둘째, 이기․기관본위주의의 관료문화를 들 수 있다. 북한 사회주의 경제체제는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에 기초한 중앙집권적 명령계획경제를 유지함으로써 현실적으로는 관료적 독재의 폐해로부터 벗어나지 못하였다. 셋째, 기술신비주의 관료문화는 과학 기술과 물질 기술적 조건을 우상화하는 것으로, 소극성과 보수주의는 과학과 기술을 신비화하고 과학과 기술을 과학자와 기술자들이나 하는 것으로 여겨 생각하게 만듦으로써 비판되었다. 이와 같이 기술신비주의는 소극성, 보수주의, 사대주의, 경험주의 등과 함께 비판되었으나 창의성을 근본적으로 말살하는 주체사상과 계획경제 시스템의 유지는 기술신비주의 관료문화가 모순의 주체문화와 양립하여 지속될 수밖에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