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세종의 경연운영방식을 통해서 본 교육지도성 연구

        박민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조선조 제4대 국왕인 세종이 유교적 이념하에서 국정 전반에 관하여 국왕과 신료의 공개 토론을 통한 국왕의 치도를 바로 이끌고자 시도되었던 경연을 운영하는 방식을 통해 그의 국정 운영 방식과 특히, 신료들의 국정 참여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지도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세종의 교육 지도성의 특징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차 사료로서 세종실록의 관련 기록을 분석하였으며 지도성 유형을 고찰하기 위해 정조실록, 정조의 저서인 홍재전서 등의 일부 사료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세종은 경연이라는 학습장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신료들과 토론을 계속했다. 때로 그는 스승으로서 공부 방법이나 강독교재, 그리고 의제의 우선 순위를 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체로 ‘토론을 즐기면서’ 좋은 의견이 도출될 때까지 기다리곤 했다. 물론 국가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대외정책, 세제 개혁이나 관료제 개혁과 같이 기득권 세력의 반발이 예상되는 사안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회의를 주도해 갔다. 이 경우도 반대하는 신하들을 설득해서 그 사안을 책임지고 이끌어 가도록 하는 지도성을 발휘하기도 했다. 이런 세종의 경연운영방식은 조선후기의 정조의 그것과 비교된다. 두 임금은 모두 군사(君師)로 불렸고, 학문적으로 뛰어났으며, 정독(精讀)과 학문의 유용성을 강조한 점에서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세종이 많은 경우 회의의 발언권을 신하들에게 넘겨주고 처음과 끝부분에만 관여한데 비해, 정조는 시종 회의를 주도해가는 경향을 보였다. 경연의 분위기에 있어서도 세종은 참석자들로 하여금 자연스런 자세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도록 한데 비해, 정조는 엄격한 분위기에서 국왕 중심의 토론을 계속해 나갔다. 이 점에서 세종을 ‘뒤에서 미는 형’의 지도자였다면, 정조는 ‘앞에서 끄는 형’의 지도자였다고 볼 수 있다. 연구 결과 세종의 경연운영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세종의 철저한 자기관리와 통제력이다. 세종은 자신에게 엄격하고 신하들과 백성들에게 너그러웠다. 그는 신하들에 의해 “어찬(魚饌)이 지나치게 박하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음식을 비롯해 호의호식을 꺼렸다. 밤을 세워가며 신료들의 상소문과 건의문을 읽기도 했다. 또한 신하들이 경연장 등에서 엉뚱하거나 부족한 이야기를 해도 이를 꾸짖거나 먼저 나서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지 않았다. 힘과 지식을 가진 자가 먼저 말을 꺼냈을 경우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소극적인 태도를 갖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교학의 목적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다. 세종은 학문 자체를 위한 학문, 시험 자체를 위한 과거시험을 반대했다. 대신 ‘정치에 유익한 책읽기’와 유능한 관리를 뽑는 데 도움이 되는 과거시험제도를 만들기 위해 애썼다. 또한 비록 경연에 참석한 신하들이 특정 지식을 모르더라도 이를 꾸짖기는커녕 “모른다고 솔직히 인정하는 것이 학자”라면서 다독이곤 했다. 무지를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교육은 시작되었으며, 그들과 함께 무지의 공백을 채워가는 데 진정한 토론의 목적을 두고 있었다. 셋째, ‘끄는 형’에 대한 ‘미는 형’의 우수성이다. 조선 후기의 정조는 규장각 신료들에게 과제를 내고 숙제 검사를 하며 손수 시험 감독을 했을 뿐만 아니라, 회의에서 자신이 이끌어가곤 했다. 이에 비해 세종은 의제를 던져놓고 신하들 사이에서 논란이 계속되다가 황희 등이 졸가리를 타면 거기에 힘을 실어주는 방식으로 회의를 진행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개방적으로 토론에 임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국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추세를 조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난관을 타개해 나갈 지혜를 모울 수 있었다. 세종시대의 많은 업적들은 국왕의 치도를 바로 이끌고자 했던 경연 본래의 취지보다 오히려 신료들의 경세적 관점을 분명히 하고 이를 국정 운영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경연을 운영한 열린 교육 문화와 무관하지 않았다.

      • 외상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건강한 자기애 및 방어적 자기애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민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Korean adult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narcissism (healthy narcissism & defensive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rauma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this study, prin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of Korea and nationwide internet survey was also conducted. The participants included 185 adults over 18 year-old who satisfied the criterion for the trauma experience defined in this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Hayes PROCESS macro(2013) for SPSS (Model 6) to tes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and the relationships which exist among the variables of interest. Regression analysis and tests of indirect effects revealed that healthy narcissis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but perceived social support did not. In additi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were observed b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narcissism (healthy narcissism & defensive narciss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In particular, as the less painful the trauma experience was and the more social support was perceived, the path to the posttraumatic growth was significant when the healthy narcissism increased or the defensive narcissism decreas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equen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social support and healthy narcissism, the direct effect of trauma exper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was not significant, indicating a ful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 variable considered important in posttraumatic growth, was newly investig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lf-other relationship along with narcissism. The results suggest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did not affect the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independently but it could affect the posttraumatic growth b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narcissism (healthy narcissism & defensive narcissism). In addition to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pathological narcissism, this study highlights the utility of healthy narcissism in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the promotion of healthy narcissism or posttraumatic growth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practice. In other words, in counseling scenes, counselors can provide social support to people who suffer from traumatic experience through empathy and mirroring, and help the client find social support of family, friends and others. These kinds of social supports provide a good selfobject experience,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he promotion of client's healthy narcissism, the relaxation of defensive narcissism, and further posttraumatic growth.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 사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지지와 자기애(건강한 자기애, 방어적 자기애)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와 자기애(건강한 자기애, 방어적 자기애)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인쇄된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국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해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외상경험을 충족하는 성인 18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Hayes의 PROCESS macro(2013)를 사용해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는데 회귀분석과 간접효과 검증을 통해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 사이에서 건강한 자기애의 단독 매개효과를 확인했지만 사회적 지지와 방어적 자기애의 단독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 사이를 사회적 지지와 자기애(건강한 자기애, 방어적 자기애)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즉, 외상경험의 고통 정도가 낮고 사회적 지지를 많이 지각할수록, 건강한 자기애 수준은 높아지거나 방어적 자기애 수준은 낮아져 외상 후 성장에 이르렀다. 특히 사회적 지지와 건강한 자기애를 통한 순차적 매개효과의 경우 외상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기존 외상 후 성장 연구에서 중요하게 여겨진 사회적 지지 변인을 자기애와 함께 자기-타자 관계에서 통합적으로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통합적인 검증을 통해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단독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자기애(건강한 자기애, 방어적 자기애)를 통한 순차적 매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병리적인 개념의 자기애가 주로 다루어지던 기존 연구에 더해 건강한 자기애의 영향까지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자기애 증진이나 외상 후 성장과 같은 긍정심리 변인을 상담 실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담 장면에서 외상경험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상담자가 공감과 반영 등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함은 물론 내담자가 가족과 친구 등 주변의 사회적 지지를 찾을 수 있도록 조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 제공을 통해 충분히 좋은 자기대상 경험을 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건강한 자기애 형성과 방어적 자기애 완화, 그리고 더 나아가 외상 후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김/가시파래 분말 첨가 가나슈의 이화학적·관능적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박민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anache added with Porphyra tenera powder(PTP) or Enteromorha Prolifera powder(EPP). The levels of PTP and EPP addition to ganache were 0, 1, 2, 3%.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nache added with PTP are as follows :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as the PTP content increased to 1, 2 and 3 %,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 soluble solid content (°Brix) and reducing sugar content(%) decreas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PTP. The pH decreased as the amount of PTP added increased, whereas the acidity increased as the amount of PTP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phycocyanin and chlorophyll measurement, ganache containing 3% PTP were significantly highest among the groups.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of ganache decreased with amount of PTP in the Hunter color system. However, redness (a) tended to increase. Textural properties by TPA showed that the hardness of ganach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PTP. The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PTP increased significantly. Springi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PTP added.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in ganache increased with amount of PTP.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anache increased with increasing PTP. In sensory evaluation results, the overall acceptability score of ganache chocolate containing 1% PTP showed highest among the groups. The color, aroma, and taste were the highest when the amount of PTP added was 1%. The tex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PTP added. The intention to purchase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of 1% PTP added as wel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ddition of laver to ganache chocolate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high quality chocolate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ies. The following 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nache added with EPP: The moisture content of control was highest and decreased as amount of EPP increased. The soluble solid content (°Brix) and reducing sugar content (%) increas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EPP. Whereas the pH of ganache added with EPP decreased, the acidity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phycocyanin and chlorophyll of ganache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EPP increased.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of ganache decreased with amount of EPP in the Hunter color system. Textural properties by TPA showed that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ganache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EPP increased.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in ganache increased with amount of EPP.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OD-like activities of ganache increased with increasing EPP. In sensory evaluation results, the score of acceptability of 1% added ganache chocolate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The score of purchase intention was the highest in the addition of green laver to chocolate is desirable for the preparation of high quality chocolate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ies.

      • 영어의 장소구 도치 구문 연구

        박민아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xplores Locative Inversion, which is rather peculiar construction in English. The previous studies on Locative Inversion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syntactic approach, semantic approach, and pragmatic approach. In the syntactic approach (Coopmans 1989, Hoekstra & Mulder 1990, Culicover & Levine 2001), where Locative Inversion is considered to be derived by the movement, it is argued that only unaccusative verbs can occur in Locative Inversion constructions. However, this approach cannot account for the appearance of unergative verbs in the construction. In the semantic approach (Bresnan 1994, Penhallurick 1984), scholars tried to analyze Locative Inversion with argument structures and lexical meaning of verbs. This approach yields similar result as the syntactic approach does. That is, this also leads to the wrong claim that only unaccusative verbs make Locative Inversion possible. In the pragmatic approach (Levin & Rappaport 1995, Birner 1995), Informational lightness and Relative Familiarity of information are the major constraints on Locative Inversion, which can explain the construction more straightforwardly than other approaches. However,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al lightness and familiarity is rather equivocal that it is not objective enough to explain the construction. Therefore, I suggest a compositional approach, which is able to show effectively how Locative Inversion is possible. At first, following Generative Lexicon (Pustejovsky 1995), PP, one constituent of Locative Inversion construction, can co-compose with verbs. Second, NP, another constituent of Locative Inversion construction, has the feature of focus, which makes the inversion possible. In addition to this, informational status of NP, such as discourse new or old,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construction. In conclusion, we need to approach Locative Inversion in a compositional way, in consideration of lexicon and pragmatic constraints.

      •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박민아 대구가톨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given to them from significant others, their stress coping,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to dealing with pressing task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1 selected students who attended this university in Kyungsan, including 105 males and 196 females. Tree kind of tests were used in this study; Self-Esteem Inventory (Coopersmith, 1967),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 ISEL( Cohen & Hoberman, 1983), The Way of Stress Coping Checklist( Forkman & Lazarus).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program.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concerning whether gender mad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coping style,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n'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elf- esteem. Second, regarding whether major area mad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coping style,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gap. This indicated that the major area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d nothing to do with their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coping style. Third, those who had better self-esteem took more active action to handle stress, and the others who had less self-esteem coped with it in more passive manner. Fourth, the passive stress-coping scores didn'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group with higher social support and the other with lower social support. However, the group that perceived themselves to be given more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tive coping from the other group that didn't. Finally,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his implied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re are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First, the questionnaire of self-administration type was employed in this study, and there is a need to find more effective method.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onfined to the students in Kyungsan area university, but as social support might be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lass and geographic region, it's advisable for future research efforts to focus on the gap between the classes with different sociocultural background.

      • Julie Wylie의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박민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뉴질랜드 Canterbury University에 재직 중인 음악교육가 Julie Wylie의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인 Musical Parenting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여 한국에 이 프로그램을 소개한 것이다. 2006년 6월30일~2006년 7월1일 양일동안 Julie Wylie가 내한하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유아들과 부모들, 유아음악 교육가들을 대상으로 다섯 차례의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나 이에 대한 연구와 보고가 없다. Musical Parenting 프로그램은 Julie Wylie가 1992년에 설립한 Musical Parenting Association에서 만들어진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 여러 차례의 회의를 거쳐 수정, 보완된 Julie Wylie의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 유아의 음악적 능력의 발달, 음악의 생활화, 부모와의 상호관계증진, 음악을 통한 다른 영역의 발달을 도모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ulie Wylie의 논문과 여러 관계문헌을 통하여 조사하는 문헌 연구 방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유아음악교육의 의의 및 중요성과 유아기의 음악 발달 특성을 고찰한다. 둘째, Julie Wylie의 음악교육철학을 고찰하고, Musical Parenting 프로그램의 교수 원리와 이론에 대하여 연구한다. 셋째, Musical Parenting 프로그램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내용을 연구한 결과, Julie Wylie는 다음과 같은 음악교육철학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음악은 조기에 교육되어야 한다. 둘째, 음악은 놀이를 통해 습득되어져야 한다. 셋째, 가정에서의 음악활동을 장려하여 부모와 유아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야 한다. 넷째, 유아들이 다양한 문화의 음악을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음악과 교사는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도와야 한다. 여섯째, 음악은 생활화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Musical Parenting 프로그램은 반복을 통한 놀이중심의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 신체표현을 통한 음악을 통해 유아의 음악성을 계발시킬 뿐 아니라 창의성, 사회성, 자기 정체성 및 인지, 신체, 언어 발달을 도모한다. 또한 음악을 통해 유아가 부모 또는 교사와 특별한 상호 관계를 맺고 보다 나은 유대감을 유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놀이를 통해 모든 유아들이 자신의 소리, 감각 작용, 시각, 후각, 촉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과 학습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도록 돕고, 유아들 스스로 음악적 아이디어를 향상시켜 음악을 일상생활과 다른 영역의 학습을 돕는 데에 이용하는 것을 배우도록 돕는다. Musical Parenting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노래 부르기, 듣기, 동작 활동, 창작 활동, 행동, 악기연주, 악기 만들기, 그룹 활동, 극적인 활동, 노래 만들기의 10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각 교육 활동의 실제를 목표, 준비물, 활동내용, 유의점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노래 부르기에서는 ‘Hello Song’과 ‘Twinkle twinkle little star’와 ‘Stone Symphony’를 듣기에서는 ‘Special sounds day’과 ‘Water music’, 동작 활동에서는 ‘One elephant’와 ‘Up and down’을 창작활동에서는 ‘Old mcdonald’와 ‘Butterfly’를, 행동에서는 ‘Massage Song’과 ‘Walk and Stop’을, 악기연주에서는 ‘We are making music together’와 ‘Echo song’를, 악기 만들기에서는 ‘Shake-a-shaker’와 ‘Down at the beach’를, 그룹 활동에서는 ‘Parachute’와 ‘The wheels on the bus’를, 극적인 놀이에서는 ‘Foot play’와 ‘The cat and the pussycat’을, 노래 만들기에서는 ‘Change the rhymes’와 ‘Question and answer’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가치와 의의를 스스로 평가하자면 Julie Wylie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인 Musical Parenting을 한국에 소개함으로써, 앞으로 Musical Parenting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실험을 통해 한국음악교육 현장에 본 프로그램이 적용되게 하는데 그 기초를 마련한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about the theory and the application of Julie Wylie’s child music education program:Musical Parenting in Canterbury University in New Zealand. Julie Wylie enforced five workshop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o the children, parents and educators on June, 30 and July,1 2006, but there is no study on Musical Parenting program in Korea. Musical Parenting program was created in the Musical Parenting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by Julie Wylie on 1992. The program was revised several times. Julie Wyllie’s child music program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musical ability, the adaptation of music in real life, the improvement of mutual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e development of other fields through the music. This study examined as following through her thesis and various literatures about her study, First, the child music education’s meaning and importance was examined. Also, the characteristic of musical development for the children was analyzed. Second, Julie Wylie’s philosophy about music education, teaching principle and theory of Musical Parenting program was studied. Third, the actual case of Musical Parenting program was introduced in the concrete. It was found that Julie Wylie had philosophy about music education as same as following according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music education should be enforced early. Second, the music education should be enforced through playing.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musical practice at home. Fourth, the children should be offered and experience various types of music. Fifth, the music and educator should help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Sixth, the music should be accepted in the life environment extensively. It was examined that the Musical Parenting program with these educational philosophies was playing-oriented through the repetition. The music parenting program developed the children’s musical ability as well as creativity, sociality, identity, recognition, body and language. Playing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ties between the children and parents or teachers through the music. It was examined that all children could understand their own voice, senses of sight, smell and touch easily, could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oneself and learning and could learn more easily about other fields by improving musical ideas through playing. It was found that 10 items such as singing, listening, movement, creating, behavior, playing instruments, making instruments, group activity, dramatic play and making a song were represented in the contents of Musical Parenting program. The goal, preparatory method and caution for each item were examined as following. ‘Hello Song’, ‘Twinkle twinkle little star’ and ‘Stone Symphony’ were used for the category of singing, ‘Special sounds day’ and ‘Water music by listening, ‘One elephant’ and ‘Up and down’ by movement, ‘Old mcdonald’ and ‘Butterfly’ by creating, ‘Massage Song’ and ‘Walk and Stop’ by the behavior, ‘We are making music together’ and ‘Echo song’ by playing instruments, ‘Shake-a-shaker’ and ‘Down at the beach’ by making instruments, ‘Parachute’ and ‘The wheels on the bus’ by group activity, ‘Foot play’ and ‘The cat and the pussycat’ by dramatic play and finally ‘Change the rhymes’ and ‘Question and answer’ by making a song. If the value and meaning of this study is stated, it provided the basis for the further studies through a lot of studies and examinations to utilize Musical Parenting program in Korean music education field.

      • 중학교 정규수업 영어다독지도가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민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 읽기는 학습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언어적 입력(input)으로 작용하면서, 영어읽기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꾸준히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읽기 교육을 들여다보면, 문법 번역식, 그리고 정독 위주의 읽기 교육이 지배적이며 학생들의 다양한 흥미와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지나치게 제한적인 읽기자료들은 학생들의 읽기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리고 있다. 또한 언어의 개별적인 요소만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학생들이 빠르고 전략적으로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며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독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어 왔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적용되어 읽기능력 및 정의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아침자습시간이나 동아리활동, 방과 후 수업 등의 제한적인 상황에서 다독이 실행되었기 때문에, 그 효과를 일반화시키기가 힘들었으며, 일부 정규과정 속에 실시된 다독 수업 또한 단순한 읽기 활동에만 그치고 있어 보다 더 체계적으로 교육과정 속에서 다독을 적용하기 위한 다독수업지도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규수업시간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다독수업모형을 기반으로 한 다독지도가 학생들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발단, 전개, 적용, 강화의 4단계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다독지도를 하고 다독수업모형을 적용 후, 평가에까지 반영하면서 일관성 있는 다독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으며, 동아리 활동 형태의 자발적인 다독이 이루어진 반과 비교하여 이러한 중학교 정규수업 영어다독지도의 효과성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구미시 J중학교 3학년 55명의 학생들이며, 실험집단은 정규수업 시간의 주 1시간을 활용하여 3학년 A반 1개반(34명)에 다독수업모형을 활용하여 전략지도 및 읽기 후 활동 등으로 목표에서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다독수업 지도를 받았다. 비교집단은 계발활동 다독반(21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책을 읽을 수 있는 기회를 꾸준히 제공해 주되, 전략지도나 독서 후 활동은 하지 않았고 체계적인 수업모형이 적용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은 다양한 책 읽기로서의 자발적인 다독만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2012년 3월부터 7월까지 총 16차시의 다독수업을 운영하였고, 사전 ․ 사후 읽기능력 검사지와 사후 학생 반응지를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읽기능력의 차이 및 다독에 관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반응을 분석 해 보았다. 이와 같은 다독지도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다독수업모형을 활용한 정규수업시간의 체계적인 다독지도는 수업모형 없이 학생들의 자발적 다독활동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읽기 속도와 이해도를 요소로 하는 학생들의 읽기능력에 보다 더 큰 향상을 가져왔다. 둘째, 다독수업모형에 따른 정규수업시간의 체계적인 다독지도는 학생들의 읽기에 대한 흥미 및 자신감을 향상시켰고, 이것은 향후 지속적이면서도 자발적으로 영어읽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를 가지게 한다. 셋째, 다독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교사가 체계적인 수업모형을 통해 책 선정 방법에서부터, 읽기 전략 소개 및 안내, 이해도 확인을 위한 독서 후 강화활동 등의 다양하고 일관성 있는 지도를 한다면, 학생들의 영어다독활동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읽기능력향상 및 정의적 태도의 향상에 보다 더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다독수업모형을 활용한 다독지도가 중학교 정규교육과정 안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평가나 교사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다독만이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는 학생들을 올바르게 이끌어주고, 안내해 주는 교사의 지도와 역할이 중요하며 학생들도 또한 정규수업 시간을 활용한 교사의 체계적인 다독프로그램과 지도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그러므로 영어다독지도를 통해 학생들에게 흥미 있고 이해 가능한 읽기자료에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한다면 학생들은 영어읽기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흥미를 가질 수 있으며 전략학습을 통해 빠르고 유창하게 글을 읽으며 읽기능력에서의 긍정적인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하지만 효과적인 다독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목표 설정 및 계획에서부터, 다독 후 활동,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사의 철저한 준비와 사전 계획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영어다독지도는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 읽기 능력 뿐 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박민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gap between nurs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compared to the clinical field has been reported, despite effort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and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It is thus necessary to discuss improvement of nursing education curriculums.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good instruction by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clinical fields, so that nursing students’ opinions and clinical field demands can be reviewe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nursing education can be sough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niors in nursing schools and nurse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ho had graduated from nursing schools within the previous five years. The study design was an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presented by Cresswell (2014),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qualitative data through interviews and then collecting and analyzing quantitative data.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1 to October 9, 2017 with the participation of 10 nurses and 9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Elo and Kyngäs’s (2008) content analysis method. The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qualitative results from November 9 to November 29, 2017.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5 nurses from one general hospital and two upper-class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another was conducted with 70 senior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Quantitative research: Recognition of good instruction was divided into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s, teaching evaluation and teaching environment. 1) For teaching contents, seven key concepts defined good instruction: “experience or practical examples,” “integrative thinking,” “appropriate for learner’s level,” “nursing fads and trends,” “theoretical insights,” “self-recovery conducive,” and “inter-occupation cooperation.” 2) For teaching methods, five key concepts defined good instruction: “comprehension,” “motivational or Q & A scenario,” “interaction,” “media variety,” and “teachers’ consideration and passion.” 3) For evaluation, three key concepts defined good instruction: “fairness and equity,”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and “multiple evaluation methods.” 4) For environment, two key concepts defined good instruction: “proper class size” and “imitative clinical settings.” 2. Qualitative research. Perceptions on good i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good instruction were divided into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s, teaching environment and teaching evaluation.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as applied. 1) Both nursing students and nurses considered that accurate delivery of teaching content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Students showed that they considered knowledge reconstruction as the second important factor. Nurses lined up the factors as delivery-construction-conclusion-relation while students did it as delivery-construction- relation-conclusion. 2) The top thre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contents of good instruction according to students were “appropriate for learner’s level,” “practical field-example-based theory and practice integration,” and “reasonable context and detail.” For practicing nurses, these were “directly related to critical judgment and job performance,” “nursing fads and trends,” and “practical field-example-based theory and practice integration.” 3) In order of importance from high to low, students considered the following concepts regarding teaching methods as the most important: “specific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core contents simplified, important contents emphasized,” and “teacher-learner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Practicing nurses chose “materials used in clinical settings such as monitoring results and test results.” “core contents simplified, important contents emphasized,” and “simulation-based critical judgment.” 4) Considering evaluation, students preferred “instruction with equity in evaluation for every single individual” followed by “instruction with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while nurses indicated “teaching-contents oriented” and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as their preferred evaluation methods. 5) With regard to environment, students preferred “proper class size” and “imitated clinical setting,” while practicing nurses also preferred these, but in the reverse order. 6)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PA) drew six items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satisfaction: Among these items, it was necessary to focus on six of them: teaching contents - “instruction with nursing fads and trends”; teaching methods - “teacher-learner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special presentation given by experienced practitioner,” and “instruction assures learners’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 “accurate and specified evaluation standards” and “feedback on homework and exam.” This research combined deductive and inductive methods to acquire an integrative review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n good instruction. The factors of good instruction were verified, and the necessity for additional efforts related to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factors was noted.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 participated, making this research a meaningful report of nurse practitioners’ educational needs. Thus, this study can serve as a guide for nursing education facilities and educators in the development of a thorough education system with excellent instruction designed to achieve an ideal nursing education. 간호교육의 경쟁력을 높이고, 교육의 질적 수월성 향상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의 교육과 임상현장 실제 간의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는 간호학 수업의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교육의 직접적인 수혜자인 간호대학생과 임상현장에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학습자의 의견과 임상현장의 요구를 간호학 수업에 반영하고 이를 토대로 간호교육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4학년인 간호대학생과 졸업한지 5년 이내인 임상경력 3년 이하의 간호사로, 연구방법은 면담을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 수집과 분석 단계가 먼저 이루어지고 이어서 양적 자료 수집과 분석 단계를 수행하는 Cresswell (2014)의 탐색적 순차 설계(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방법을 사용하였다. 질적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7년 9월 11일 부터 10월 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간호사 10명, 간호대학생 9명이 참여하였다.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Elo와 Kyngäs(2008)가 제시한 내용분석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양적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7년 11월 9일 부터 11월 2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서울 지역 1개의 종합병원, 2개의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75명과 서울지역 2개의 대학에서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적연구결과,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환경으로 분류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1) 교육내용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7개의 주제로 ‘경험이나 사례를 제시하는 수업’,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수업’,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수업’, ‘최신의 경향이 반영된 수업’, ‘이론에 대해 심도 있게 설명해주는 수업’, ‘자기 자신을 스스로 치유하는데 도움이 되는 수업’, ‘보건의료인력 간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돕는 수업’이 도출되었다. 2) 교육방법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5개의 주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수업’, ‘동기부여나 질문을 활용하여 학습 호응도를 높이는 수업’,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 ‘다양한 수업매체가 활용되는 수업’, ‘교수자의 배려와 열정이 느껴지는 수업’이 도출되었다. 3) 교육평가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3개의 주제 ‘공정성, 형평성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수업’, ‘과제와 시험에 대해 피드백이 있는 수업’, ‘다양한 평가방법을 시행하는 수업’으로 도출되었다. 4) 교육환경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2개의 주제 ‘수업에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 ‘임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으로 도출되었다. 2. 양적연구결과, 좋은 수업에 대한 교육관점과 좋은 수업에 대한 요건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육평가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시행하였다. 1) 간호대학생과 간호사는 수업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생들이 기존의 지식을 재구성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관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전달-구성-결과-관계의 순서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간호대학생은 전달-구성-관계-결과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2) 교육내용에서 간호대학생은‘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이해하기 쉬운 내용이 담긴 수업’, ‘실제적인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이론과 임상을 연결하는 수업’, ‘전체적인 맥락 속에 세부내용을 이해 할 수 있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는 ‘임상판단과 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수업’, ‘최신의 간호경향이 반영된 수업’, ‘실제적인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이론과 임상을 연결하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육방법에서 간호대학생은‘수업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수업’, ‘핵심내용을 요약하여 중요한 부분에 대해 강조하여 설명해 주는 수업’, ‘학생들과 소통하며 의견을 반영하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경우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제적인 자료(모니터 결과, 검사결과 등)가 활용되는 수업’, ‘핵심내용을 요약하여 중요한 부분에 대해 강조하여 설명해 주는 수업’,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기회가 주어지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육평가에서 간호대학생은‘평가자 마다 형평성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수업’, ‘과제와 시험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경우 ‘배운 수업내용을 반영하여 평가에 활용하는 수업’, ‘과제와 시험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은‘수업에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 ‘임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경우 ‘임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수업에 적합한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통해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집중적으로 개선 노력이 필요한 항목으로 6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수업내용에서는 ‘최신의 간호경향이 반영된 수업’, 수업방법에서는 ‘학생들과 소통하며 의견을 반영한 수업’, ‘현장경험이 풍부한 임상 실무자 특강을 활용한 수업’,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이해하였는지 확인하는 수업’, 평가방법에서는 ‘평가기준과 항목이 수업목표에 맞게 제시된 수업’, ‘과제와 시험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좋은 수업의 인식을 확인하고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는 낮은 항목에 대해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 뿐만 아니라 임상현장에 있는 간호사를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간호교육에 대한 임상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하여 수업을 제공하는 교육기관과 교수자에게 간호교육 수월성 향상을 위한 수업 설계 및 제도를 마련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