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고등학생들의 영어학습 동기 변화: 탈동기와 재동기 요인

        박미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atterns of motivational changes during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ages in the process of learning English. A survey and an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eight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City. To examine motivational changes,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ages were scored on a scale of +1 to +5 from a retrospective perspective. The factors of demotivation and remotivation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tudents were asked based on the responses in order to complement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The summarized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motivational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ages showed two instances of demotivation occurring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nd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while one instance of remotivation occurred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Despite the absence of exam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motivation declined due to the increased difficulty of vocabulary and grammar compared to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demotivation was observed due to the difficulty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extensive workload, and challenges in memorizing vocabulary. However,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motivation tended to increase as students experienced a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hile studying with goals or achieving good results in exams. In other words, the exam factor positively influenced remotivation. Significant factors contributing to demotivation wer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lassroom and experiential factors in learning. Among them, difficulties in English learning (vocabulary memorization, study methods for English, and gramma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clining self-confidence in English, leading to demotivation. The highest average scores for remotivation were found in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s in the students' surroundings and experiential factors in learning. Subfactors such as the desire to obtain good grades in exams, the aspiration to excel in English, experiences of improvement in English performance, and the desire for recognition from parents and teachers were identified as remotivational factors for students.

      •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자아존중감 및 자기노출이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미주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지각된 부부갈등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효과와 지각된 부부갈등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노출과 자아존중감이 조절해 주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초등학생 5, 6학년 285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부부갈등은 Grych, Seid 및 Fincham(1992)의 아동이 지각하는 부부갈등 척도(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로, 자기노출은 박선영(1998)의 자기노출척도로, 자아존중감은 황찬구(1989)의 자아존중감 척도로 측정하였다. 친구관계는 관계만족 요인과 비대립관계의 두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부부갈등, 자기노출, 자아존중감이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들 세 변수를 독립변인으로, 친구관계의 두 요인 각각을 종속변인으로 한 2번의 다중회귀분석이 수행되었다. 관계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기노출과 자아존중감이 관계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립관계를 종속변인으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지각된 부부갈등은 부적으로, 자아존중감은 정적으로 비대립관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부부갈등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노출과 자아존중감이 조절해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2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부갈등과 자기노출을 독립변인으로, 관계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한 2원 변량분석 결과,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가설 1을 지지하였다. 자기노출이 낮은 조건에서는 지각된 부부갈등이 낮은 조건이 높은 조건에 비해 관계만족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자기노출이 높은 조건에서는 낮은 조건에 비해 관계만족이 높고 지각된 부부갈등의 높고 낮음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부갈등과 자기노출을 독립변인으로, 비대립관계를 종속변인으로 한 2원 변량분석 결과, 지각된 부부갈등이 낮은 조건이 높은 조건에 비해 비대립관계가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나는 지각된 부부갈등의 주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비대립관계가 종속변인인 경우는 가설 1이 지지되지 않았다. 지각된 부부갈등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부갈등과 자아존중감을 독립변인으로, 관계만족을 종속변인으로 한 2원 변량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조건이 낮은 조건에 비해 관계만족 및 비대립관계가 모두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나는 자아존중감의 주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나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 2는 지지되지 않았다. 추후연구방향과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on friendship and 2) to identify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friendship. Participants were 285 5th and 6th graders.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was measured by Grych, Seid and Fincham(1992)'s scale, and self-disclosure was measured by Park(1998)'s scale. Self-esteem was assessed by Hwang(1989)'s scale. Friendship was divided by two factors(i.e., relation satisfaction and non-conflict). Two separ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elf-disclosure and self-esteem on each factor of friendship.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used relation satisfaction as a criterion revealed that self-disclosure and self-esteem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relation satisfaction factor.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used non-conflict as a criterion revealed that self-esteem had significantly positive and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non-conflict factor.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friendship.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hich used the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self-disclosur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relation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and th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1. That is, in low self-disclosure condition, children who perceived lower interparental conflict showed higher relation satisfaction than those who perceived higher interparental conflict. However, in the high self-disclosure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hich used the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self-disclosur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non-conflict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 of the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non-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at is,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non-conflict, the hypothesis 1 was not supported. In the two separat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hich used the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self-esteem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relation satisfaction and non-conflict as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 of self-esteem and non-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ypothesis 2 was not supporte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난 인지주의적 해석 : 넬슨 굿맨 이론을 중심으로

        박미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현대 패션사진은 이미지화된 패션을 통해 개인의 사회 정체성과 문화를 반영하고 수용자의 맥락적인 조건화에 의한 텍스트성을 통해 해석의 폭을 확대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넬슨 굿맨의 관점에서 현대 패션사진에 대한 인지적 이해와 의미읽기를 통해 인지주의적 분석과 수용자의 해석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인지적 관계에서 맥락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드러나는 이미지의 텍스트성이 패션사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학문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굿맨의 인지주의는 기호적 이미지의 의미에 대한 인지적 접근으로 작품에 대한 지각적 인식과 감성적 정서를 통해 예술에 대한 인지적 효력을 발휘한다. 또한 굿맨의 인지주의는 예술의 비결정적인 해석의 범위를 확대하고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예술에 대한 굿맨의 인식론적 인지주의는 외연주의 의미론, 외연적 기호체계, 예술기호적 특성의 미적 징후, 그리고 비실재론적 특성의 세계제작 방식으로 구분된다.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난 인지주의 분석은 굿맨의 인지주의 관점에서 패션사진의 텍스트성을 외연적 기호, 미적 징후, 세계제작 방식으로 도출하였다. 외연적 기호는 대상에 대한 설명을 토대로 이미지의 기호적 의미체계를 보다 구체화한다. 패션사진에서는 인물과 의상이 외연적 기호체계와 지칭 관계를 통해 의미를 형성한다. 현대 패션사진의 외연적 기호는 첫째, 대상이 소유하고 지칭하는 특성을 부호와 견본으로 예시하는 ‘소유와 지칭의 합으로서의 예시’, 둘째, 친숙한 대상을 재현하여 해석하고 기호로 작용하는 부호가 대상을 지칭하면서 수용자에게 친밀하게 인지되는 ‘-로 재현하기’, 셋째, 대상 이미지에 대해 기존의 방식이 아니라 기호를 낯설게 배치함으로써 그 이면에 담겨진 의미를 읽어내는 ‘은유적 예시로서의 표현’으로 도출하였다. 미적 징후는 패션사진에 나타난 기호적 상징과 차별화된 기호작용의 특성들이 우리의 지식 세계와 일치할 때 예술로 경험되는 것을 말한다.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나는 미적 징후는 첫째, 단일한 구성요소로 결합된 시각적 이미지에서 서로 다른 미세한 구문론적 차이를 드러내는 ‘구문론적 조밀성’, 둘째, 각각의 주제에 대한 작가의 표현 방식이 이미지에서 서로 다른 해석과 의미를 드러내는 ‘의미론적 조밀성’, 셋째, 대상간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충만한 의미를 갖게 되면서 조밀한 체계 내에서 보다 상세하고 다양한 측면으로 차별화되는 ‘상대적인 구문론적 충만성’, 넷째, 대상의 특징적인 요소를 부각시켜 이미지의 상이한 예시를 통해 해석을 유도하는 ‘예시적 체계’, 다섯째, 이미지의 상이한 지칭 대상과 그 지칭에 대한 수용자의 맥락적 인식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다의적·복합적인 지칭’으로 도출하였다. 세계제작 방식은 상이한 세계-버전에 따라 수용자가 독립적으로 패션사진의 의미를 해석하면서 이루어진다. 즉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패션사진은 세계제작 방식의 상대적이고 다원적인 접근을 통해 해석의 범위가 넓어진다.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나는 세계제작의 방식은 첫째, 텍스트적인 개별 이미지들을 조직하고 분류하여 부분으로 전체를 구성하거나 전체를 부분으로 해체하여 인물의 상태변화 및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구성과 해체’, 둘째, 개별 이미지를 옳음의 범주에 따라 조직하고 분류하여 통일된 주제로 구성하고 그 배열 방식에 따라 상이한 의미를 형성하는 ‘배열’, 셋째, 상이한 인식의 차이를 통해 각 이미지에 대한 해석의 강조 부분을 다르게 하여 특정한 사건의 순간성의 의미를 부각시키는 ‘강조’, 넷째, 수용자의 친숙함과 습관에 따라 자신의 재현체계와 부적합한 요소를 배제하고 적합한 요소를 선택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특정한 의미를 유도하는 ‘삭제와 보충’, 다섯째, 작가가 의도적으로 이미지를 과장하거나 왜곡할 때 수용자는 자신의 이전 경험이나 직관을 통해서 새롭게 나타나는 이미지를 수용함으로써 세계제작이 가능한 ‘변형’으로 도출하였다. 현대 패션사진에 나타난 인지주의의 수용적 해석은 수용자의 관점에서 이미지의 의미를 살펴보는 인식 대상의 투영성, 지각적 맥락성, 구성적 내러티브성으로 도출하였다. 인식 대상의 투영성은 패션사진의 이미지에 디자이너의 의도가 투영된 것으로 이해하고 의미해석을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이미지의 해석에서 인식 대상을 위해 작용하는 인물, 의상의 표현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물의 외관 및 성적 측면이 투영된 이미지를 타자의 시선으로 은밀히 보고자하는 수용자의 시선이 반영된 ‘성적 대상’, 둘째, 이미지에 나타난 인물이 물질적으로 대상화되거나 소비적인 도구로 배치됨으로써 신체가 물신화되어 주체성이 사라진 대상으로 나타나는 ‘물질적 대상’, 셋째, 사회적인 규범이나 정치적인 권력관계가 의상에 투영되어 의상을 착장한 인물에 대해 강제와 규율, 그리고 억압을 요구하는 ‘권력적 대상’으로 나타났다. 지각적 맥락성은 패션사진에서 의상이 특이한 배경구조와 결합되어 맥락적으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수용자는 인지과정에서 그러한 의미와 자신의 이전 경험을 결합하여 의미해석을 시도한다. 대상, 인물, 의상, 그리고 배경이 결합된 패션사진의 인식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각의 차이와 맥락적인 의미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의 공간을 극대화하여 불안정, 혼돈, 그리고 다의적인 공간감을 나타냄으로써 수용자의 맥락적인 조건화에 따라 상이한 의미를 형성하는 ‘공간성’, 둘째, 시각 이미지에서 여러 감각들이 함께 나타나고 이러한 이미지들에 대한 수용자의 정서적 경험을 통해 의미를 형성하는 ‘감각성’, 셋째, 배경에서 여백을 부각시켜 인물을 강조하거나 서로 다른 시각에 의해 인물이 제한된 틀을 탈피하여 기존의 통념을 흔드는 의미를 형성하는 ‘상황성’으로 나타났다. 구성적 내러티브성은 개별적 사진들에서 포토그래퍼의 연출에 의해 인물, 대상 그리고 배경을 표현하는 조형적 요소와 그 원리를 결합하여 하나의 주제를 갖는 것을 말한다. 이미지에 대한 상이한 인식 조건의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내러티브 방식과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적인 사진들을 수용자가 임의적으로 구상하고 조합하여 시퀀스를 만들고 주제와 적합하게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구상성’, 둘째, 사실적인 요소가 허구적인 요소의 배경으로 기능하여 이미지의 비현실성을 극대화하거나 또는 동화의 이미지로 우화성을 나타내 내러티브를 형성하는 ‘허구성’, 셋째, 문명과 원시의 경계를 와해시켜 나타나는 왜곡된 이미지와 인간의 원시성을 결합시켜 내러티브를 형성하는 ‘원시성’으로 나타났다. 인지주의 관점에서 패션사진의 해석은 이미지에 대한 각개인의 다양한 접근과 의미읽기를 위해 이미지에 대해 보다 주의 깊은 주목을 촉구한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접근과 읽기를 통해 미적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던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지적 이해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시각 이미지에 대한 가시적 측면으로의 접근을 넘어서 인지주의를 통해 이면에 내재된 의미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하는 본 연구는 패션사진에 대한 새롭고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사료된다.

      • 자유학년제 도입에 따른 영양교육의 방향성 탐색

        박미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유학기제 영양교육 현황 및 자유학기제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활성화 방안을 조사하고, 자유학기제 4가지 활동모형별 주제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자유학년제를 활용한 영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조사는 2019년 7월 22일부터 8월 12일까지 22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광주·전남지역 영양교사 총 161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유학기제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해본 경험이 있는 영양교사는 전체 영양교사의 8.1%인 13명이었다. 자유학기제를 운영했던 교사들이 선택했던 영양교육 수업 운영 모형은 주제선택 활동 모형이 가장 많았고 동아리 활동 모형, 진로탐색 활동 모형 순으로 많았다. 반면 예술·체육 활동 모형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자유학기제 영양교육에 대한 영양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자유학기제에 대한 비교적 높은 이해와 긍정적 태도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긍정적인 응답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부정적인 응답이 있었는데 자유학기제에 대한 이해 정도가 높은 교사보다 그렇지 않은 교사에서 부정적 응답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자유학기제를 통한 영양교육 수업이 어려운 이유로는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수업준비 시간의 부족과 표준화된 영양교육 프로그램 기초자료 부족으로 인한 부담을 자유학기제 운영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방법으로는 활동 중심 수업을 가장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유학기제 모형별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자유학기제 영양교육 수업에 가장 적합할 것 같은 모형으로 실제 수업을 한 경험이 있는 영양교사들은 주제선택 활동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하였고, 미실시 영양교사들은 진로탐색 활동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적합할 것 같은 교육내용으로 진로탐색 활동 모형에서는 ‘영양 관련 진로교육‘이 평균 4.32로 가장 높았고, 주제선택 활동 모형에서는 ‘건강한 식생활‘ 관련 교육이 평균 4.16으로 가장 높았다. 동아리 활동 모형에서는 ’식생활교육 캠페인 활동’이 평균 4.00으로 가장 높았고, ‘식문화 이해 및 요리활동’이 두 번째로 높았다. 예술·체육 활동 모형에서는 ‘운동과 함께하는 비만예방 영양교육’이 평균 4.18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유학기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높으나 중학교 현장에서의 자유학기제 영양교육은 저조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유학기제의 중요성은 알고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이를 활용한 영양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앞으로 영양교사들의 자유학기(년)제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향후 영양교사의 적극적인 자유학년제 운영을 위해서는 자유학년제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해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연수나 홍보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자유학기제 시행에서 교사가 가장 많은 어려움으로 느끼는 것이 업무 부담 가중으로 나타났고, 업무 경감과 함께 기초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로 인한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식 운영관리 업무를 경감하여 자유학년제 영양교육을 활성화함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영양교사 과업량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수행과 함께 업무 부담의 과중함을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in free school system and the perceptions, difficulties, and revitalization methods of nutri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for nutrition teachers, and explores the free learning year by exploring the themes of the four free learning semester activity models.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over 22 days from July 22 to August 12, 2019, and a total of 161 nutrition teachers response from Gwangju and Jeonna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13 nutritionists, or 8.1% of all nutrition teachers, have operated a free learning semester. The nutrition education class operation model chosen by the teachers who ran the free learning semester was the most subject selection model, followed by the club activity model and the subject selection model.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model of art and physical activity is relatively low.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tri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nutrition education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it was confirmed that a relatively high understanding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as formed.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high positive responses, there were some negative responses, but the ratio of negative respon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eachers who low understand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an those who had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teaching nutrition education through the free learning semester was that the lack of class preparation time due to heavy workload and the lack of basic data on standardiz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was recognized as the biggest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s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nutrition education classes through the free learning semester, activity-centered classes were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methods. As a result of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each free learning semester model, nutri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operating a free learning semester with the model that seems to be most suitable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nutrition education class answered that the Selected themes model is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 teachers who have no experience in operating a free learning semester recognized that the career searching model was the most appropriate. As for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the career searching model that 'nutrition-related career education' was the most suitable with an average of 4.32, and in the Selected themes model, the education related to 'healthy eating' was the highest with an average of 4.16. In the club activities model, ‘Food Education Campaign Activity’ averaged the highest at 4.00, and ‘Food Culture Understanding and Cooking Activity’ was the second highest. I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model, 'obesity prevention nutrition education with exercise' was the highest with an average of 4.18.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was high, nutrition education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was poorly conducted in the middle school field. This knows the importance of the liberal free learning semester, but it suggests that nutrition education utilizing this is not practically carried out at school sites, and in the future, nutrition teachers will improvement of awareness is necessary above all. and training and public relations programs development and diffusion enable active participation of nutrition teachers in the future by pro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awareness and need of free learning year and enhancing their abilities. an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e teachers feel is work burden the most difficulty. so, it was shown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chool lunch operation management work and activate free learning year nutrition education, and to carry out additional research on nutrition teacher task volume in the future and solve the burden of work.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be made.

      • 교수체제 모형(ADDIE)을 적용한 통합건강증진사업 직무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박미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통합건강증진사업 전문교육 프로그램에 교수체제 모형(ADDIE)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교육 종료 후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학계 전문가와 교육 참여자의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 운영방향을 참여자 주도방식으로 전환과 프로그램의 운영은 소그룹 토의, 문제해결방법 토론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PBL 방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생애과정별 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세부내용, 학습목표, 교육방법, 매체를 개발 및 선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생애과정별 시나리오와 실습적용 토론노트, 촉진자 역할을 개발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평가단계에서는 학업성취도 평가와 현업적용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프로그램 종료 직후 학업성취도는 성별, 연령, 교용형태, 담당업무,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p〉0.05).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학업성취도는 연령, 담당업무,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p=.006), 고용형태(p=.048)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프로그램 종료 직후에는 PBL 만족도(B=0.337, p〈.012)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에는 PBL 만족도(B=3.449, p=.001), 건강행태 관리(B=-1.384, p=.011) 업무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업적용도 평가 결과 학습자의 특성 요인은 계약직(p=.017), 경력은 5년 이상(p=.00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습 동기 요인은 무기계약직(p=.04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작업환경 요인은 성별, 연령, 고용형태, 담당업무, 근속연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능력 요인은 무기계약직(p=.043)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하부요인별 현업적용도 합계는 참여자의 성별, 연령, 교용형태, 담당업무,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p〉0.05). 현업적용도의 하위요인 별로 학습자의 특성에는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의 학업성취도(p〈.001)가, 학습동기 에는 프로그램 종료 직후의 학업성취도(p=.050),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의 학업성취도(p=.007), 30세 이상 ~ 39세 이하의 연령이( p=.023)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환경에는 프로그램 종료 직후의 학업성취도(p=.012), 3개월 후의 학업성취도(p=.007)가, 능력에는 프로그램 종료 직후의 학업성취도(p=.002),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의 학업성취도(p<.001)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체제모형을 적용한 직무 전문 교육프로그램은 교육 참여 후 업무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일반적 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이 프로그램의 학업성취도만 영향을 주고 있어 목적에 맞게 잘 개발되었다 할 수 있다. 향후 통합건강증진사업 직무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성조숙증아동 어머니의 죄책감, 걱정과 불안

        박미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성조숙증아동 어머니의 죄책감, 걱정 및 불안 정도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P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통해 진료중인 성조숙증아동 어머니 108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8월 1일에서 8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조숙증아동 어머니의 죄책감 정도는 20점 만점에 10.48(±3.95)점, 걱정 정도는 44점 만점에 18.94(±6.51)점, 불안 정도는 63점 만점에 7.15(±5.41)점으로 나타났다. 2. 죄책감점수는 성조숙증아동의 연령이‘8세미만’인 경우(t=2.63, p=.010), 아동이 비만인 경우(t=-2.48 p=.015)와 지지자가 없는 경우(t=3.61, p<.001)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걱정점수는 종교가 없는 경우(t=-2.12, p=0.037), 지지자가 없는 경우(t=3.90, p<.001)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불안점수는 어머니가 비만인 경우(t=-2.63, p=.010)와 지지자가 없는 경우(t=3.85, p<.001))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3. 성조숙증아동 어머니의 죄책감과 걱정(r=.60 p<.001), 죄책감과 불안(r=.27, p=.004), 걱정과 불안(r=.32, p=001)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성조숙증아동 어머니의 죄책감과 걱정은 중간정도이며 불안상태는 정상범위였고, 이들 세 가지 부정적 정서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죄책감과 걱정의 구체적 원인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통해 이들의 부정적 정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전략의 개발이 요구되며, 아동의 치료에 어머니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가족 구성원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We evaluated the levels of guilty, worry, and anxiety,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m in mother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This issue has recently increased in prevalence. Participants included 108 mother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All children had been treated via the pediatric outpatient clinic of P-university hospital in B-city. Data were collected in August 2015 and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1.0.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mother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guilt level scores were 10.48 (SD = 3.95) out of 20, worry level scores were 18.94 (SD = 6.51) out of 44, and anxiety level scores were 7.15 (SD = 5.41) out of 63. 2. Guil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when the children were less than 8-years-old (t = 2.63, p = .010), were obese (t = 2.48 p = .015), and when the mothers lacked supporters (t = 3.61, p < .001). Worry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that were not religious (t = 2.12, p = .037) and when mothers lacked supporters (t = 3.90, p < .001). Anxiety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when the children were obese (t = 2.63, p = .010) and when mothers lacked supporters (t = 3.85, p < .001). 3. In mothers of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guilty and worry (r = .60 p < .001), guilty and anxiety (r = .27, p = .004), and worry and anxiety (r = .32, p = .001). From these results, we reported that guilt and worry levels were medium, anxiety levels were normal, and these three negative emotions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conclusion, educational strategies must be develop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se negative emotions. Additionally, support from other family members can assist mothers that have children with precocious puberty.

      •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재해석 무용 안무 연구

        박미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시대적 변화와 함께 현재 우리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연예술은 각 분야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다양한 장르들의 혼합과 결합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총체 예술 장르로서 대중들의 기호에 따라 그 가치와 방식이 발전되고 있는 뮤지컬은 무용, 연기, 노래 그리고 무대 메커니즘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 내는 종합공연예술이다. 다른 예술 장르들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는 뮤지컬은 각 장르들의 표현적 특성을 융합하여 독창성을 인정받고 균형 있게 구성된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관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예술 장르로 자리하고 있다. 뮤지컬 안에서 무용 안무는 극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더욱 긴밀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며, 장면과 장면 사이의 흐름을 변화시키고 등장인물의 감정묘사와 상황을 더욱 극대화해 이미지를 구체화하는 연출적 효과를 발현한다.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작품에 안에서 안무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 고전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통해 사회적 배경과 상황,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된 재해석 안무에 대해 연구하였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에 나타난 무용의 형태와 역할, 재해석 안무에 대해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장면별 나타나는 다양한 장르의 무용을 고유한 특색을 살려 그 비중과 난이도에 차이를 두어 다른 장르들을 조화롭게 혼합하여 화려한 군무와 테크닉을 부각시킨 다채로운 장면들을 창안했다. 둘째, 특정 안무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각 집단의 정체성을 확실히 심어주고, 복잡한 주제를 안무를 통해 통일성을 충족시켜 극 주제를 구체화 시키고 표현적 기능의 가치를 증가시켰다. 셋째, 현재 사회적 배경과 상황에 알맞은 무용 안무의 재해석으로 성차별에 대한 인식과 지향해야 할 올바른 방향, 여성의 지위 상승과 사회적 진출에 대해 관객들에게 충분한 이해와 공감대 형성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에서 나타난 재해석 무용 안무를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공연되어지는 뮤지컬 작품이 시대적 경향을 읽고,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여 더욱 확장된 예술작품이 다각도로 창출되기를 희망한다.

      • 마이크로어레이 자료를 이용한 유전자 선택 및 분류 방법 비교

        박미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마이크로어레이 자료(Microarray Data)의 분류 분석(Classification Analysis)의 목적은 중요한 소수의 유전자를 선별하여 새로운 표본의 선별된 유전자 정보로부터 반응범주를 정확하게 분류하고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알려진 마이크로어레이 자료를 이용하여 분류 분석의 방법들의 특징을 이해하고 비교하여 각 자료의 성질에 따라 좋은 성능을 내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두 그룹(binary-class)으로 분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나아가 셋 이상의 그룹(multi-class)으로 분류하는 경우까지 확장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비교하는 유전자 선택 및 분류 분석 방법들은 "Nearest shrunken centroids(PAM)“, "random forest", "BMA(Bayesian model averaging)"이며, 마이크로어레이 자료는 Leukemia(2-Class), Lymphoma(3-Class), SRBCT(4-Class)를 사용한다.

      • 梵鐘에 나타난 飛天像의 도상

        박미주 동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My research on a flying fairy was a time journey seeking beauty. A flying fairy is likened to a heavenly man’s beautiful dancing motions admiring infinite freedom, the beauty of Perfect Blissand further infinite truth of the Buddha. This research is aimed at expressing the beauty of the image of a flying fairy for the embodiment of an independent heavenly maid other than just a flying wizard in a temple bell using modernized creative techniques, such as "application of gold power to bronze, implantation of chestnut color into bronze and implantation of antique into bronze" to re-compose an image of a flying fairy appearing in a temple bell. In addition, this research intended to give emphasis to the beauty of a flying fairy together with a sense of unity using a variety of techniques in the embodiment of the background and incidental background for a flying fairy readerwith all hearts and souls. In addition, the research tried to make it possible to properly appreciate a work’s meaning together with theoretical explanations on a flying fairy. Also, this researcher, in all process including a delicate earth job, bronze casting, coloration, and finish job of coloration until the completion of each work, did the best to make a frame for new creation in the midst of the application of a substantial effect through all-time inspection and supervision of materials and working tools; in addition, this research carried out its task faithfully considering the final creative formative matter and focusing on prototype substance. This research visualized the image of a flying fairy while attempting color-borne beauty reversing space to the concept of colored space using harmonious placement in all spaces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image. As a result of such diverse attempts on work, each work was sublimated into an individual work itself and this individual work came to have physical & chromatic beauty of a flying fairy, reaching the level of a work pattern enough to express the Buddhist ideal a flying fairy pursues, especially in its figure and color. However, "Creation of a flying fairy" through artificial changes might be not the ones which an image of a flying fairy earnestly demands. This researcher came to get a moment to humbly awaken himself about the substance of a flying fairy one more time by doing this work, and this research earnestly expects that the new pattern of an independent flying fairy image, on a flying fairy’s own will, would be reborn as light and salt for modern society and men by deviating from a temple bell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