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삼복의 결정법과 역사

        민병희,이기원,최고은,안영숙,Min, Byeong-Hui,Lee, Gi-Won,Choe, Go-Eun,An, Yeong-Suk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삼복(三伏; 초복, 중복, 말복)은 한국의 전통적인 세시풍속이면서 오늘날에도 널리 알려져 있는 잡절 중의 하나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발간하는 역서나 1900년부터 2100년까지의 역일 자료를 계산한 "만세력"에도 삼복 일자를 표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역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삼복 일자의 결정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작력식(作曆式)", "증보작력식(增補作曆式)"에 의하면 초복과 중복은 하지로부터 각각 3번째, 4번째 경일(庚日), 말복은 입추로부터 1번째 경일이며, 만일 하지가 경일인 경우에는 하지일로부터 3번째 경일을 초복으로, 입추가 경일인 경우에는 입추 시각이 오전인 경우 그날을 말복으로 오후인 경우 다음 경일을 말복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먼저 하지나 입추가 경일이 되는 해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하지 시각이 오전인 해의 2년 후에는 시각이 오후인 해가 있었고, 19년 후에 다시 하지 시각이 오전인 해가 돌아옴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종종 2+19년 주기가 아닌 2+17년 주기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삼복 일자와 관련하여서는 적어도 1752년(정조 22) 이후부터는 "증보작력식"의 삼복 결정법이 사용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편찬된 1930년의 역서를 제외하고는 1861년(철종 12) 이후부터는 남병길의 "추보첩례(推步妾例)"에 따라 입추 시각에 무관하게 그날이 경일이면 말복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에는 삼복 결정법에 대한 법적 규정이 없이 "추보첩례(推步妾例)"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 KCI등재

        사육환경과 먹이종류에 따른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유생의 성장과 생존

        민병희,신효진,Min, Byeong-Hee,Shin, Hyo-Jin 한국패류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6 No.4

        Rearing condition and species of microalgae on growth and survival of the sunray surf clam, Mactra chinensis larvae were investigated for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The larvae of M. chinensis on higher temperature showed high growth and low survival and was grown over $230{\mu}m$ in shell length 14 days after hatching, but low growth as $151.1{\mu}m$ at $18^{\circ}C$. The larvae of M. chinensis on salinity showed highest daily growth and survival as $11.3{\mu}m$ and 65.8% at 30 psu, respectively. The optimum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for the larval rearing were $23^{\circ}C$ and 30-35 psu over 25 psu at least. The density of larval rearing was below 10 per 1 ml in rearing seawater for elevating the development rate from D-shaped to settled (metamorphosing) stage. The larvae fed the mixed diet of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Isochrysis sp. (green), Chlorella ellipsoidea showed highest growth and survival. The larvae fed the single diet of I. galbana, Isochrysis sp. (green) showed high growth and survival. But the larvae fed the single diet of P. lutheri and C. ellipsoidea showed low growth and survival. The optimum diet of larvae of M. chinensis was over two species of microalgae included I. galbana, Isochrysis sp. (green) for elevating the high growth and survival.

      • KCI등재

        조선전기 대규표의 구조에 대한 연구

        민병희,이기원,김상혁,안영숙,이용삼,Mihn, Byeong-Hee,Lee, Ki-Won,Kim, Sang-Hyuk,Ahn, Young-Sook,Lee, Yong-Sam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論叢 Vol.27 No.2

        In this paper, we study the structure of the Daegyupyo (大圭表, Large Gnomon)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 Gyupyo (圭表, Gnomon that is Guibiao as pronounced in Chinese) is composed of a Pyo (表, Biao as pronounced in Chinese) making a shadow and a Gyu (圭, Gui as pronounced in Chinese) measuring its length. It is known that the Daegyupyo with the 40-feet height was constructed between the sixteenth to seventeenth year of the King Sejong reign (1444 - 1445) on the basis of the record of Yuanshi (元史,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 By analyzing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Joseonwangjosillok (朝鮮王朝實錄,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Yuanshi, and Jegaryeoksangjip (諸家曆象集, a work written by Sunji Lee), we found a possibility that the Ji (池, a pond) on the Gyu was located in the north side of the Pyo. This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at in previous studies, but is in a good agreement with that of the 40-feet Guibiao remaining in Dengfeng (登封) of China. Regarding to the Hoengyang (橫梁, cross-bar), we suggest that it was set up by double 5-feet supporting arms apart from the north tip of the Pyo in the radial direction. The 3:4:5 ratio in a rectangular triangle was used to place the Heongyang on the top of the Pyo at a distance of 4-feet (3-feet) in the vertical (horizontal) direction. We also discuss the structural problem when the Hoengyang is positioned apart from the top of the Pyo by supporting arms.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is study should be useful in restoring the Daegyupyo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삼복 일자 분석

        민병희,이기원,안영숙,안상현,이용삼,Mihn, Byeong-Hee,Lee, Ki-Won,Ahn, Young Sook,Ahn, Sang-Hyeon,Lee, Yong Sam 한국천문학회 2014 天文學論叢 Vol.29 No.1

        Sambok (三伏, Three Hottest Days) is the common designation of Chobok (初伏, Early Hot Day), Jungbok (中伏, Middle Hot Day), and Malbok (末伏, Late Hot Day), and widely known to be one of the Korean folk customs. Hence, Sambok is notated in Manseryeok (Ten Thousand-Year Almanac) and in the annual astronomical almanac published b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hanges of Sambok in Korea based on various documents such as Joseonwangjosilok (朝鮮王朝實錄,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eungbo-Jakryeoksik (增補作曆式, The Supplement of Manual for Calendar Making), astronomical almanacs, and so forth. According to Jeungbo-Jakryeoksik preserv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Chobok and Jungbok are defined as the third and fourth Gyeongil (庚日, The Day Starting with the Seventh Heavenly Stems in Sexagenary Cycles Assigned to Each Day) after the summer solstice, respectively, and Malbok is the first Gyeongil after Ipchu (Enthronement of Autumn). However, if the summer solstice is Gyeongil, then the third Gyeongil counting from the solstice becomes Chobok. Malbok depends on the time of Ipchu. Ipchu itself becomes Malbok if the time of Ipchu is in the morning, or next Gyeongil becomes Malbok if it is the afternoon. On the other hand, Malbok is defined as Ipchu itself regardless of its time according to Chiljeongbobeob (七政步法, Calculating Method for Sun, Moon, and Five Planets), Chubocheobryeo (推步捷例, Quick Examples for Calendrical Calculations), and so on. To verify the methods used to determine Sambok, we examined the record in the extant almanacs during the period of 1392 to 2100 for which the summer solstice or Ipchu is Gyeongil. As a result, we found a periodicity that if the time of Ipchu is in the morning, in general, the time is in the afternoon after two years and then is back into in the morning after nineteen years, i.e., the 2 + 19 years periodicity. However, we found the 2 + 17 years periodicity in some years. We also found that the Chobok method of Jeungbo-Jakryeoksik has been used since 1712, the thirty-eighth reign of King Sukjong (肅宗). In addition, we supposed that Malbok had been determined by the method like Chubocheobryeo since either 1846, the twelfth reign of King Heonjong (憲宗), or 1867, the fourth reign of King Gojong (高宗). At present, these methods of Sambok are customarily used without any legal basis. We, therefore, think that this study will help conventionalize the method defining Sambok in the future.

      • KCI등재

        미세조류 3종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생식소 발달과 성숙

        민병희,김병학,김성연,신윤경,허성범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7 No.2

        Even though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is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its artificial seed production is not yet fully develop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ree microalgal species on gonadal development and sex maturation of S. broughtonii in terms of broodstock management and food organism. Isochrysis galbana, Phaeodactylum tricornutum and Tetraselmis tetrathele were supplied to S. broughtonii broodstock in single or mixed. And condition index, gonadal development, sexual maturation and survival of the broodstock were analysed. After 45 rearing days, frequency of ripe stage of gonadal phases, rate of induced sexual maturation and survival of S. broughtonii broodstock fed mixed diet with 3 microalgal species or single diet of T. tetrathele were the highest. 본 연구는 양질의 피조개 수정란 확보와 안정적 종묘생산을위하여 피조개 모패의 먹이생물로 미세조류 3종 (Isochrysis galbana, Tetraselmis tetrathele, Phaeodactylum tricornutum) 을 단독 또는 혼합 공급하여 먹이생물에 따른피조개 모패의 비만도, 생식소발달, 성숙유도율 및 생존율을조사하였다. 사육 45일 경과 후 피조개 모패의 완숙기 출현율,성숙유도율 및 생존율은 3종의 미세조류를 혼합 공급하거나T. tetrathele를 단독공급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다. 미세조류 3종에 따른 피조개의 생식소 발달과 성숙

      • KCI등재

        『四書章句集注』와 사대부 사회의 변화

        민병희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3 No.-

        The shift from the Five Classics to the Four Books in the classical authority reflects dramatic changes in Chinese history. This paper examines how Zhu Xi created the new set of textual tradition and how this new Classic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the literati society. It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 Dao learning on the textual genres and practices and briefly explains the textual history of the Four Books. Zhu Xi chose interlinear commentary format as the method of exegesis. With serious reflections on the given tradition, Zhu Xi made conscious choices to create a new textual tradition in the crucial turning point of Chinese history. The literati who accepted and participated in building up this new tradition also made choices. The Four Books and the interlinear commentary format reflect the shift in the locus and nature of the authority in the new textual tradition. The nature of the new cultural tradition, the Four Books, i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The authority of the texts is, in theory, grounded in the universality of human mind and in the real world it is grounded in the literati community that shares the texts as the common ground for their peer dynamics. The example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Zhu Xi and Zhang Shi and the process of Wu Shidao's conversion to the Dao learning show the way of how this new textual authority constructed the literati identity and networks through this new textual authority and diverse related textual practices in the Dao learning. 유가의 전통적 경전적 권위였던 五經 체제에서 四書 체제로의 전환은 매우 극적인 전환이다. 송대 주희에 의해 새롭게 정립된 사서의 경전적 권위는 유가의 텍스트 전통과 교육뿐 아니라, 유가의 성격 자체를 변화시킨 일대 사건이었다. 이 논문은 사서의 출현을 문헌학적이나 경전의 철학적 의미의 구명보다는 사대부 사회의 변화라는 당시의 사회적 변화와 연결시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주희가 『사서장구집주』가 널리 전파되어 그렇듯 강력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었던 것은 이 새로운 경전적 권위가 당시 이를 수용하였던 계층의 필요와 욕구에 상당한 호소력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서의 어떠한 면이 이들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었는가? 사서의 수용과 인기는 이들의 필요와 욕구가 어떠한 것이었음을 말해주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은 『사서장구집주』가 탄생하게 된 도학의 출현에 따른 텍스트의 다양한 변화 중에서 사서라는 새로운 경전적 권위가 필요하게 된 배경과 사서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주희가 취한 주석 형식에 주목하여 이러한 새로운 경전적 권위를 요구했던 사회적 변화를 설명한다. 그리고I이러한 경전의 성격의 변화가 도학이 가져온 여러 학습 관행 등의 변화와 더불어 어떻게 사대부 사회를 변화시켰는지를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사대부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정치적 어젠더의 구현을 위해 도학은 학의 과정에서 사대부 네트워크를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사회정치적 영역의 일들을 처리하였으며, 이때 텍스트를 통한 네트워크의 형성과 그 성격의 규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사서라는 기존의 경전적 권위를 대체한 새로운 경전 텍스트는 새로운 사대부 네트워크의 성격을 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사서와 행간 주석은 이러한 사대부 동료 간의 상호작용과 교류에서 가장 근원적인 공통의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사서의 권위는 사서가 사대부들이 가장 기초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텍스트라는 사실에서 오며, 사서가 창출해낸 논의의 형태와 기록은 또한 이 새로운 텍스트가 사대부들간의 상호작용과 교류를 촉진하도록 만들어졌다. 또한 공통적 텍스트에 기반을 둔 강학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사문제나 사회, 정치적인 문제도 토의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에 대한 논의는 철학적, 학술적, 문헌적인 논의와 분리되지 않았다. 주자학의 학습 프로그램은 사회적, 정치적인 주제와 시사를 토론하기 위한 중요한 틀을 제공하였다. 주희와 장식의 서간의 예는 어떻게 사대부들의 일상적인 학습 네트워크가 동일한 과정에서 사회정치적 영역의 문제를 다루면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가를 보여준다. 오사도의 예는 공통된 사서라는 텍스트를 바탕으로 한 주자학의 학습 커리큘럼과 방식이, 개인과 조직 간의 상호작용과 교환 등에 안정적이고 반복해서 나타나는 패턴으로서의 사대부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전파되며 유지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듯 사서는 변화한 사대부 엘리트의 위상과 역할, 이들이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과 영향력의 성격의 변화를 반영한 산물이자,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가는 주요한 기제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의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 염분 및 수용밀도의 영향

        민병희,김태진,Min, Byeong-Hee,Kim, Tae-Jin 한국패류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6 No.4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ensity on egg development of the sunray surf clam, Mactra chinensis were investigated for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The required time from fertilization to D-shaped larvae were 33.8 hours in $18^{\circ}C$, 20.6 hours in $23^{\circ}C$, 18.2 hours in $28^{\circ}C$ and 15.0 hours in $33^{\circ}C$. The development duration was reduc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ture and the required time from egg to each developmental stage were described as follows: 2-cell, 1/h = 0.1051WT - 1.4782; 8-cell, 1/h = 0.037WT - 0.3686; gastrula, 1/h = 0.008WT - 0.0521; trochophore, 1/h = 0.0041WT - 0.0235; D-shaped larva, 1/h = 0.0024WT - 0.0102. Biological minimum temperature for the egg development was estimated to be $8.0^{\circ}C$ in average. The possible range of temperature for the development of D-shaped larvae was $18-28^{\circ}C$ and optimum of water temperature for the development of egg was $23^{\circ}C$. The possible range of salinity for the development of D-shaped larvae was 20-35 psu and optimum of salinity for the development of egg was 30-35 psu over 25 psu at least. The density of fertilized egg was below 40 per 1 ml in rearing seawater for elevating the development rate from fertilized egg to D-shaped larv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