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아 조직구 증식 증후군의 임상양상과 치료에 관한 고찰

        노하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조직구 증식 증후군은 골수 유래의 단구-대식 세포계에 속하는 조직구가 체내 여러 부위에서 증식하여 침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불명의 질환군으로 질병의 유형과 징후들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고 치료 방법도 침범된 기관의 범위와 정도에 따라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그 결과 또는 보고자마다 다르다. 이에 저자는 과거 10년간 경험한 조직구 증식 증후군의 증후와 치료결과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조직구 증식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에 참고 자료가 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3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임상적 혹은 조직학적으로 조직구 증식 증후군으로 진단된 44례중 추적가능한 39례를 WHO classification의 최근분류에 따라 Class I, II, III로 분류하여 중요한 임상 소견, 검사 소견, 화학 요법의 치료 성적과 경과에 대하여 임상 병력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39례중 Class I 22례(56%), Class II 15례(38%), Class III 2례(5%)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발생률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2세 미만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Class I에서는 연부조직 종창, 피부 발진이나 결절, 이루가, Class II에서는 간비종대, 발열, 호흡기 증상, 복수가 내원시 흔한 증상이었다. 침범된 기관으로는 Class I에서는 뼈(두개골, 대퇴골, 척추, 기타 하악골, 골발골, 늑골, 상와골, 견갑골순)에 가장 침범이 많았으며, Class II에서는 골수, 간, 비장에 침범이 많았다. 말초 혈액 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23례로 전체의 59%이었으며 특히 Clas II의 경우는 전례에서 말초 혈액의 이상소견을 보였고, Class II의 15례 중 5례에서 원인을 알수 있었는데, CMV 3례, EBV 1례, mycoplasma가 1례있었다. Class I에서는 단순 소파술, 복합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면역요법 등 다양한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4명에서 사망하였으며 전반적인 생존율은 78%이었다. Class II 치료는 광범위 항생제, 면역글로불린,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 화학요법 등을 사용하였으며, 10례는 회복되고 5레는 사망하였으며 전반적인 생존율은 63%이었다. 사망과 관련된 예후 인자를 살표보면 Class I에서는 나이(1세 미만), 침범된 기관수(2기관 이상의 침범), 내원 당시 Hb <10g/dL, bilirubin >1.5mg/dL 가 의미가 있었으며, Class II는 임상 겸사 결과들과 침범되 기관수, 나이에 따라 상망률에 통계학적 의의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소아 조직구 증식증은 입원당시 간비 종대, 발열, 연부 조직 종창, 피부 발진, 호흡기 증상 등이 가장 흔하며 뼈, 골수, 간, 비장, 피부, 폐, 중이, 림프절, 시상 하부 등을 침범하는 질환으로 양성 질환에 속하지만 여러 가지 다양한 치료에도 사망률이 높아 보다 적극적인 치료방법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We analyze a cohort of patients with histiocytosis syndrome to understand the clinical findings, management, and outcome of this disease. Patients and methods: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in thiry nine patients with histiocytosis syndrome from January 1993 to August 2002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irty nine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histiocytosis syndrome were categorized into Class I, Class II and Class III patients by WHO classification. Results:There were twenty two Class I patients, fifteen Class II patients and two Class III patients. Male patients were eighteen and female twenty one. Mean age at diagnosis was 3.2 years. The common chief complaints were fever(41%). soft tissue swelling(28%), otorrhea(l0%) in order. The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sof Class I were soft tissue swelling. skin rash or nodule, otorrhea and that of Class II were hepatosp1enomegaly, fever, respiratory symptom in order. The most common involved organ of Class I was the skeleton and that of Class II was bone marrow. Bone was involved in eighteen cases out of twenty two Class I patients. Abnormal hemato1ogic findings were found in twenty three patients, especially in all Class II patients. Etiology was not clear in majority cases with Class II except for 5 patients with infection(CMV in 3, EBV in 1, mycop1asma in 1). Chemotherapy was undergone for nineteen out of twenty two Class I patients. seven of them showed complete remission. Four died during chemotherapy. Ten patients out of fifteen Class II patients were on complete remission, and five of them died. Two Class III patient died during chemotherapy. The overall Survival of Class I patients was 78% and that of Class II 63%. Poor prognostic factors of Class I were age <1year, over two organ involvement, hemoglobin <l0g/dI, blirubin >1.5mg/dI. Conclusion:The survival rate depends on age, severity, and sites of involved organ. But most patients had nonspecific symptoms such as hepatosplenomegaly, fever, soft tissue swelling, skin rash, respiratory symptom in histiocytosis syndrome. The mortality rate is relatively high. Therefore, early recognition and aggressive medical treatment might improve the survival rate.

      • 정당한 분노를 위한 철학실천 연구 : 누스바움의 이행분노 개념을 중심으로

        노하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감정으로서의 화와 이성이 결합한 분노에 관한 근본적인 차이점을 제시하며 고대에서부터 시작된 분노에 관한 논의를 현대 사회까지 이끌어와 그 유용성을 강조하고, 철학실천의 활용을 통한 정당한 분노의 가능성 및 실효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적 감정으로서의 화와 공적 감정으로서의 분노는 같은 것으로 인식되지만, 사전적 정의에 의하면 이는 엄연히 차이를 둔 두 감정으로 화와 달리 분노에는 이성적인 개입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격정적이고 파괴적인 감정으로서의 화가 아닌 이성적인 감정으로서의 분노에 주목하여, 어떻게 하면 분노를 유용하게 승화시켜 사회에 이로운 발전을 불러일으킬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자가 중점적으로 다룬 개념은 미국의 정치철학자인 마사 누스바움의 ‘이행-분노(transtition-anger)’이다. 이는 보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감정에 이성의 요소를 접목함으로, 개인의 분노가 다만 개인과 개인의 차원에서의 사적 보복에 그치지 않고 거시적인 관점으로 분석하여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추후 이 문제가 재발하지 않기 위해 어떤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는지를 인식하고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누스바움의 논의는 실천 방향성 제시가 미흡하여, 이행-분노가 과연 어떻게 해야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지의 의견 제시가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대안으로 철학실천의 두 갈래인 철학상담과 철학교육을 중점으로, 누스바움의 이행-분노의 실천적인 측면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의 정당한 분노 표출을 위한 철학교육 방법론을 제시함으로, 사후 대책 마련이 아닌 사전 예방의 차원에서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조절하여 이를 이로운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게끔 돕는 것에 의의를 둔다.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fundamental attributes in the anger combined with upset-ness and reason, in order to develop discussion of anger that has originated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society, emphasize its utility, and to present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reasonable anger through the philosophical practice. In general, upset-ness as a private emotion and anger as a public emotion are recognized as the same; according to the dictionary definition, however, these are two emotions that clearly differ from each other. Unlike the feeling of upset-ness, an anger contains rational intervention. Therefor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how to usefully sublimate anger and build beneficial development out of it on society, paying attention to anger as a rational emotion rather than the feeling of mere fury as a passionate and destructive emotion. To its extent, the study focused on the theme of "transition-anger" of Martha C. Nussbaum, an American political philosopher. This theme focuses on not only about individual anger but also private retali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 macroscopic perspective to recognize and analyze the reason of the problems and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from happening again in the future. However, the discussion of Nussbaum lacks in presenting the practical suggestions and realistic methodology on implementing the Transition-ager concept in actual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will illustrate practical aspects of Nussbaum's Transition-anger, concentrating on two alternatives: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Philosophical education. It is also meaningful to help individuals recognize and control their emotions clearly, so that it can prepare in advance rather than handling with post-counteraction by presenting a methodology for philosophy education for expressing people’s reasonable anger.

      •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뮤직 비즈니스 관련 학제 시스템 현황 연구 : 관련 전공 대학·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노하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음악산업이 그 양질의 발전에 비하여 여전히 악순환 되며 해결 되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의 원인을 음악산업을 이끌어 가는 전문 인적 인프라 구축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삼고 뮤직 비즈니스 관련 학제 시스템 개선이라는 대책을 내세우며, 관련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의 시스템 현황을 연구하였다. 본론에서는 국내 뮤직비즈니스 관련 정책, 연구, 산업적 측면의 현황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국외 유사학과의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뮤직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 교육 시스템을 실용음악 과정의 대학, 예술경영 과정의 대학, 연예매니지먼트 산업 과정의 대학, 음악산업 계열의 대학원 과정의 학생 선발과정부터 교수진의 구성, 커리큘럼까지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외 유사학과의 사례를 모델로 국내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의 현실에 맞게 변형하여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결론에서는 위 연구를 통해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뮤직 비즈니스 관련 학제의 현황 분석과 앞으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음악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뮤직 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의 주요 인력을 양성하는 실용음악 과정 외 기획, 마케팅, 경영, 연구, 정책 분야에서의 전문 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문인력은 현재의 뮤직 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의 학제 시스템으로는 무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국내 음악산업의 경우 정부에서도 주목하는 고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 산업의 양질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책, 교육, 산업적인 성장이 고루 갖춰져야지만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욱 그 성장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음악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음악산업과 대중음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세부 분야에서 전문인력이 양성되어야하며, 그러한 전문인력은 대학과 대학원의 시스템으로도 충분히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적 인프라로 구축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 뮤직 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의 학제 시스템은 산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실무적인 소양을 갖추며, 음악산업의 발전이라는 소신을 갖는 인력을 배출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현재와 같은 훌륭한 실연 및 저작 관련 인재와 더불어 음악산업 전문 기획·마케팅 인력, 대중음악 연구 인력, 음악사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및 행정, 법규 인력 등을 양성하여, 음악산업의 대내적 발전을 꾀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thesis attempted to sugges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systems related to music business by understanding the issues that the music industry that has grown as a high-value added industry failed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personnel infrastructure that led music industry, considering the fundamental problems that music industry repeated a vicious circle regardless of the growth of the quality and examined the system situations of the course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n the body, this thesis analyzed the policies, researches, and industrial aspects related to domestic music business, examined actual issues, explored overseas cases of similar studie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system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related to domestic music business from the application process for students at colleges offering applied music course, colleges for art management courses, colleges providing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courses, and graduate schools for music industry studies to the members of professionals and the situations of curriculums, and suggested the issues.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a new model to train professionals for the growth of music industry by modifying the overseas cases of similar studies to fit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courses at domestic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and in conclusion, this thesis described the situ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s related to music business in order to develop the music industry through the research and the plans to train profession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the domestic music industry, professionals for the fields of planning,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and policies are required besides the applied music courses that trained most personnel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related to music busines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related to music business have a limitation to train such professionals. Especially, in the case of domestic music industry, while policy, education, and industry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the quality growth of the industry as a high-value added industry to which a government pay attention,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growth value, solving the actual issues. In order to develop the music industry, the particularity of music industry and popular music should be understood, professionals in detailed fields should be trained based on field experiences, and such professionals are considered to establish the personnel infrastructure required at fields with the system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future educational system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related to domestic music business should understand the particularity of the industry, have fundamental knowledge, train the personnel for planning music industry and marketing, the personnel for studying popular music, the personnel or policy, administrative affairs, and law to develop music business along with personnel related to excellent performance and authorship, and the systems should be helpful to develop the music industry extensively.

      • 酸加水分解 돼지胎盤의 添加給與가 離乳仔豚의 成長에 미치는 影響

        노하영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산가수분해된 돼지태반을 단백질대체제로 제조하여 이유자돈 사료의 단백질원 대체제로서의 가능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3원교잡종[(Landrace X Yorkshire) X Duroc] 이유자돈 252두를 공시하여 대조구(control), 처리구 T1(돼지태반 1% 첨가급여구) 및 처리구 T2(돼지태반 2% 첨가급여구)로 3개 처리를 하였다. 일당증체량은 실험 2∼4주 구간이 대조구가 435g이었고, 처리구 T1은 412g, 처리구 T2는 468g으로 증체되어 돼지태반 2% 첨가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오히려 더 높았다. 사료 요구량은 대조구가 1.64kg, T1이 1.603kg, T2가 1.459kg으로 이유자돈 체중 1kg을 늘리는데 T2의 사료 요구율이 가장 낮았다. 사료효율은 0∼2주간을 조사하였을 때 대조구가 1.16이었고 처리구 T1이 0.75, 처리구 T2가 0.93이었다. 2∼4주간 사료효율은 각각 0.445, 0.57 및 0.595이었고, 총 구간의 사료효율은 각각 0.609, 0.623, 및 0.68로 T2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산가수분해 돼지태반의 첨가급여가 식물성 단백질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들간의 차이점이 없었다. 자돈의 혈액성분을 분석한 결과 Total protein과 albumin이 돼지태반으로 단백질을 대체한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분변내의 휘발성 지방산 성분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보다 T1과 T2 처리구가 보다 감소하였다. 분변내의 β-glucuronid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서 24.5 Unit이었고 T1에서는 22.1 Unit이었으며, T2에서는 18.4 Unit로 낮았다. 분변의 샘플로부터 LB와 MRS배지에서의 총세균수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처리군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대장균인 E. coli의 수는 4주차에서는 처리군에서 현격한 감소를 나타났으나, 이것이 산가수분해 돼지태반 첨가효과인지는 앞으로 보다 상세한 실험이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산가수분해된 돼지태반을 이유자돈 사료의 단백질원으로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In this study, dietary 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were prepared and tested for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feed protein sources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weaning piglets. Two hundred fifty-two crossbred[(Landrace X Yorkshire) X Duroc] weaning piglets were used for the Control, T1[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1%(w/w)], and T2[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2%(w/w)] groups. Average daily weight gains were Control: 435g, T1: 412g, and T2: 468g during 2∼4 weeks, indicating that T2[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2%(w/w)]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Feed conversion ratio was Control: 1.64, T1: 1.603, and T2: 1.459 during the experiment, showing that T2 group was most low. Feed efficiency was Control: 1.16, T1: 0.75, and T2: 0.93 during 0∼2 weeks and 0.445, 0.57, and 0.595 during 2∼4 weeks, respectively. Feed efficiency for 4 weeks was 0.609, 0.623, and 0.68,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dietary 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will be used as alternative plant protein sourc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virus infection among three groups. From the analysis of serum ingredients, total protein and albumin of T1 and T2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fatty acids in feces of T1 and T2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β-glucuronidase activities in the feces were Control: 24.5, T1: 22.1, and T2: 18.4 units. Bacterial counting was measured from the piglet feces. CFU in T1 and T2 groups were slightly higher than Control on LB and MRS media. CFU for E. coli was surprisingly decreased in T2 compared to Control at the fourth week. It should be further characterized that 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the will decrease a pathogenic bacteria.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cid hydrolyzed pig placenta additives can be used as a protein sources for the piglets feed.

      • 익모초 물 추출물의 선천면역 활성과 항암 효과

        노하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nti-cancer effects and immunostimulatory of Leonurus Sibiricus Water Extracts (LSE) by activating innate immune system and inhibiting inflammation. Methods: First, Cell cytotoxicity was examined with RAW 264.7 cell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LSE. To investigate activating innate immune system of LSE on macrophage, we tested tumor necrosis factor (TNF)- α, interleukin (IL)-12, IL-6, IL10 and nitric oxide (NO). TNF-a, IL-12, IL-6, IL-10, and NO was measured with LSE itself and incubated with LSE and LPS, tumor cell, F/T lysates. Results: In cytotoxicity analysis, LSE has no toxicity in every concentr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NF-a and IL-6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IL-10 was no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NF-a, IL-23, IL-10 and NO induced by LPS after treating L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ecretion of TNF-a, IL-6 incubated with tumor cell after treating L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IL-10 and N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pecific concentration. The expression of TNF-a, IL-6, NO induced by F/T lysates after treating L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IL-10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we observed LSE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levels of p-p65 in western blotting by treating LSE on RAW 264.7 cell. Conclusion: Leonurus Sibiricus Water Extracts seem to have considerable activity on the anti-cancer effect by activating innate immune system and inflammation control. Keywords: Leonurus Sibiricus, anti-cancer, innate immunity, cancer, immunemodulatory, TAM

      • 근로시간의 개념과 적용에 관한 연구

        노하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시간 근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근로시간 단축에 관한 법안을 개정하여 2018년 7월 1일부터 공공부문과 대기업을 시작으로 단계별로 이른바 ‘근로시간 단축법’이 현재 시행되고 있다. 이는 1주당 최대 52시간 상한이 적용되어 장시간 근로를 개선하고자 함을 드러낸다. 근로시간의 단축에 대하여는 앞서 많은 논의가 진행되어 왔고, 장시간 근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이는 근로자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부분임을 부정할 수 없다. 다만 문제가 되는 점은 근로시간 단축의 논의를 진행하기에 앞서 ‘근로시간’이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명확하게 내리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근로시간에 대한 적극적인 정의규정이 없어 구체적인 사안에서 근로시간을 볼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시 될 때 그 해석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근로시간과 관련하여 현행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이 무엇인지 적극적으로 정의한 규정은 없다. 근로기준법 제50조에는 ‘근로시간’에 대해 1주와 1일 단위의 상한만을 규정하며, 대기시간이 요건에 따라 근로시간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 무엇이 근로시간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이 얼마만큼 근로를 제공하는 것이 합당한지 근로시간의 장단에 대해서만 집중하는 점은 근로시간에 대하여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기 힘들다고 본다. 장시간 근로의 문제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그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는 ‘현행법상 근로시간이 무엇이며,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명확한 답을 내리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일단 근로시간 개념이 정립되어야 이에 근접한 시간이나 유사한 시간을 구별할 가능성이 열리기 때문에 개념의 정립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근로시간은 사용자가 그의 근로자를 사용하여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으로 지휘⋅감독하는 상태에 두고 있는 시간을 ‘근로시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근로자가 사용자의 그런 목적 하에 지휘⋅감독하고 있는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의 경우에는 휴게시간으로 분류되고 있다. 현실에서 예를 들어 식사를 하는 휴게시간에 매점에서 대기하며 고객을 맞이할 준비상태에 있는 근로자의 경우 대기시간과 휴게시간이 모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해당시간은 근로시간으로 보아 별도로 휴게시간을 부여하는 방안을 구상해야 할 것이고, 근로자가 근로시간이 아닌 휴게시간에 개인의 시간활용에 구애받음이 없어야 할 것이다. 대기시간의 법리는 2012년 신설하여 현재 법률에서 규율하고 있지만, 법률에서 규정하기 전에 근로시간으로 보기도, 때로는 휴게시간으로 판단하기도 하였다. 근로시간과 휴게시간의 중간영역에 속하여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지만, 독일에서처럼 대기를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아 일정한 구분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대기시간은 호출대기, 콜대기, 당장의 작업할 업무(예를 들면, 상점의 경우 손님이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가 없어서 대기하고 있는 형태의 대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장소에서 대기하는 경우, 지정된 장소가 아닌 자유롭게 업무의 복귀를 대기하는 경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독일이나 프랑스의 경우처럼 우리도 면밀한 구분을 통해 대기시간을 구분지어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사용자는 근로시간을 통해 근로자에게 근로의 제공을 받아야 하고, 관련 규정에 따라 위반 시 형사적 제재까지 받을 수 있어 명확성을 확립하는 작업은 중요하다고 본다. 또한 근로자로 하여금 근로의욕을 고취시키면서 나아가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어 보다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으며 양질의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근로시간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 法製硫黃 添加 給與가 돼지의 生産性과 肉質에 미치는 影響

        노하영 건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cessed sulfur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weaning and finishing pig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 supplemented with processed sulfur at 0.1%(T1 group) and 0.3%(T2 group) levels. In the experiment I,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efficiency, blood parameters, blood fatty acids composition and fecal microorganisms were measured in weaning pigs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processed sulfur. During the first week, body weight gain of T1 group tended to be increased but not in T2 group when compared to control pigs. However, feed intake tended to be increased in T1 pigs. In body weight ga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In second week,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in T1 group pig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nd T2 group pigs. In 4th week, however, body weight gain were similar in all group pigs but feed intake was lower in T1 pigs compared to both control and T2 groups. As a results, feed efficiency was the best in T1 group pigs. When compared through total periods of experiment, body weight gain of all group pigs were similar but feed intake of T2 group pigs was higher than control and T1 pig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ocessed sulfur supplementation at 0.1% would be optimal level during the weaned period. During the fattening period, body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similar in all groups through total periods of experiment. Blood parameters such as albumin, alkaline phosphatase, GOT, GPT, GGT, total bilirubin,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BUN were not changed by the supplementation of processed sulfur but both total protein and globulin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1 group pig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nd T2 group pigs(p<0.05). However, blood creatinine, uric ac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were lower in T1 pigs than those of control and T2 group pigs. Total cholesterol content tended to be increased in pigs fed the processed sulfur supplemented diet but HDL-Cholesterol(36.20 mg/㎗)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groups. Bloo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not drastically changed by the supplementation of processed sulfur. Total SFAs tended to be high in control group and the contents, MUFAs, omega-6 and omega-3 of T2 were higher than T1 and control groups. In 4th week, fecal microorganisms in CHROMagar ECC medium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concentration of processed sulfur. In case of CHROMagar Orientation media, CFU(Colony forming unit) of T1 or T2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In MacConkey media for growing E. coli, T1 showed lower CFU than other groups. In MRS media for growing Lactic acid bacteria, both T1 and T2 group pigs showed similar or slightly decreased CFU compared to control pigs. The results of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showed slightly increasing tendency in backfat thickness of the pigs fed 0.1 % processed sulfur supplemented diet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carcass grade, the control group showed 0% of "1+A" grade whereas T1 and T2 groups showed 9.8% and 4.5%, respectively. Based on this results, 0.1% processed sulfur supplementation may be recommended as a proper level in finishing pigs for the improvement of carcass grade. In the experiment II,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processed sulfu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shown i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of loin. However, crude fat content was low in both T1 and T2 group pigs compared to control pigs. Cooking loss and expressible drip were also low in pigs fed the processed sulfur supplemented diet. Shear force was not changed by the supplementation of processed sulfur. There were no changes in brightness and yellowness index among all groups. However, redness index was significantly high in pigs fed the processed sulfur supplemented diet(p<0.05). In lipid oxidation, dietary supplementation of processed sulfur showed lower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fter 5 and 7 days storage. The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of loin such as lysine, leusine, isoleusine, threonmine, phenylalanine, arginine, valine, histidine were higher in pigs fed the processed sulfur supplemented diet than the control pigs. However, the contents of methionine and cystein,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were lower in pigs fed the processed sulfur supplemented diet than control pigs. Fatty acids composition was analyzed in loi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among all groups. However, oleic acid content tended to be decreased in pigs fed the processed sulfur supplemented diet compared to those of pigs fed control diet. The conten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ic acid(C18:2), eicosadienoic acid(C20:2) and arachidonic acid(C20:4) tended to be increased in pigs fed the processed sulfur supplemented diet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pigs. The group pigs fed processed sulfur supplemented diet resulted in lower omega-6/omega-3 ratio and higher ratio of PUFA/SFA than control pigs. Sensory evaluation showed higher marbling score including juiciness and aroma values in pigs fed the processed sulfur diet. As a results, dietary supplementation of the processed sulfur had no effects on body weight gain but increased carcass yield, showing positive results on meat quality and grade. In addition, "1" and "1+" carcass grades tended to be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pigs. In conclus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0.1% supplementation of processed sulfur will be proper level in pig production for the growth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meat quality. 연구 1에서는 법제유황의 급여에 의한 이유자돈과 비육돈의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사료효율, 혈액성상, 혈액 지방산 및 분변 미생물을 조사하였다. 1주차에 이유자돈에게 0.1% 법제유황을 급여한 T1은 일당증체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T2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일당증체량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T1은 사료효율의 평균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 처리구간에서 체중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2주차에서 대조구와 T2와 비교해서 T1의 일당증체량은 감소되었고, 사료효율 또한 낮았다. 하지만 4주차에서는 일당증체량이 전 구간에서 비슷하게 나타났고,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T2보다 T1에서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T1에서 사료효율이 가장 좋게 나왔다. 실험의 전체 기간을 비교하였을 때, 전 구간의 일당증체량은 비슷하였으나 T2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T1보다 높게 나왔다. 이유자돈 시기에는 법제유황의 0.1% 첨가 급여가 적정 수준으로 사료되었다. 비육돈에서는 전 기간의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법제유황의 급여에 의한 비육돈의 혈액성상에 있어서 알부민,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GOT, GPT, GGT, 총 빌리루빈, 글루코스, 총 콜레스테롤과 BUN 등 조사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총 단백질(Total protein)과 globulin 수준이 대조구와 T2에 비하여 T1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반면에 혈중 creatinine, 요산(Uric acid) 그리고 중성지방(Triglyceride) 농도는 대조구와 T2보다 T1에서 낮게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 수치(Total cholesterol)는 법제유황 급여 돼지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HDL-Cholesterol은 T1(36.20 mg/㎗)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법제유황의 급여에 의한 비육돈의 혈액 지방산 분석은 유의차가 없었다. 총 SFA는 대조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MUFA, 총 w6와 w3함량은 T2가 가장 높았다. 분변 미생물의 경우 CHROMagar ECC 배지에서는 4주차에서는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CHROMagar Orientation 배지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전 기간에서 첨가구에서 미생물수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E. coli 배지인 MacConkey배지에서는 T1이 다른 처리구와 비교해서 미생물수가 낮은 결과를 보였다. 유산균 배지인 MRS에서는 대조구와 비슷하거나 조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법제유황 0.1% 급여에 의한 비육돈의 등지방 두께는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체 등급은 대조구에서는 1+A 등급이 전혀 나오지 않았으나 T1, T2에서는 각각 9.8%, 4.5%가 출현하였다. 이 결과로 도체 등급 증진을 위한 법제유황의 적정 수준은 0.1% 첨가 급여가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연구 2에서는 법제유황 급여가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이화학적 성분 분석에서 수분과 조단백질에서는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지방 함량이 T1과 T2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가열감량도 T2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압착 드립 또한 법제유황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전단력에서는 대조구와 법제유황 처리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돈육의 명도와 황색도에서는 대조구와 법제유황 처리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적색도는 법제유황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지방산패도는 저장 5일, 7일 경과 후, 대조구에 비해서 유황처리구가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었다(p<0.05). 라이신,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알지닌, 발린, 히스티딘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의 돈육 내 함량은 법제 유황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황함유 필수 아미노산인 메티오닌과 비필수 아미노산 시스테인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실험 전 구간 동안의 전체 포화지방산들은 유의차가 없지만, 올레산은 대조구와 비교해서 법제유황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불포화지방산 중 리놀레산(C18:2), 이코사디엔산(C20:2)과 아라키돈산(C20:4)은 대조구와 비교해서 법제유황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구보다 법제유황 처리구가 w6/w3 비율은 낮게 나타났고, PUFA/SFA의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법제유황 처리구에서 육즙과 향을 포함하여 높은 마블링 점수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법제유황의 첨가 급여가 체중, 일당증체량 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비급여 처리구보다 생체중 및 지육량이 증가하였으며, 돈육의 육질 및 등급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 도체 등급은 대조구보다 1등급과 1+등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법제유황의 첨가 급여는 돈육의 품질 및 등급에 긍정적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적정 첨가 수준은 0.1%가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