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都農統合에 관한 實證的 硏究 : 務安君을 中心으로

        노영길 木浦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증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무안군과 목포시의 통합추진 목적에 대해서는 주민의 92.0%가 알고 (아주 잘 + 대강)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무안군과 목포시의 통합추진 목적에 대해서는 「무안군과 목포시 모두의 발전을 위하여」 에 응답한 사람이 63.8%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목포시의 발전을 위하여」 18.5%, 「어느 지역도 발전이 어려우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0.7%, 「무안군 발전을 위하여」 5.0% 순으로 나타났다. ③ 무안군과 목포시의 통합이 이루어 진다면 무안지역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서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에 응답한 사람이 37.0%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약간 도움이 될 것이다」 29.4%, 「약간 손해를 볼 것이다」 14.8%, 「많은 손해를 볼 것이다」 10.5%, 「 변화가 없을 것이다」 8.3% 순으로 나타났다. ④ 무안군과 목포시가 통합된다면 무안지역의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하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도청의 이전」에 응답한 사람이 43.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경비의 절감」 26.6%, 「복지서비스 및 교통서비스의 개선」 14.8%, 「정부의 지원」 13.3% 순으로 나타났다. ⑤ 무안군과 목포시가 통합된다면 무안지역에 가장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지역의 대표성 약화」에 응답한 사람이 41.8%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바람직스럽지 않은 시설의 증가」 26.5%, 「지역경기의 참제」 17.1%, 「관공서 이용의 불현」 13.8% 순으로 나타나, 무안군과 목포시가 통합된다면 무안지역에 가장 불리하게 작용할 점으로 「지역의 대표성 약화」와 「바람직스럽지 않은 시설의 증가」를 비교적 많이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⑥ 무안군과 목포시의 통합논의시 무안군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인지 아니면 그 반대일 것인지를 판단할 때 「정부나 군의 홍보물」을 가장 많이 참고 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⑦ 무안군과 목포시의 통합추진시 무엇이 가장 장애가 되었다고 생각 하는가에 대해서는 「정치 집단의 자기 중심적 사고」에 응답한 사람이 38.4 % 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주민들의 이기적인 생각」 28.3%, 「재산가들의 기득권 유지적 사고」 17.0%, 「정부의 준비부족」 15.2% 순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무안군과 목포시의 통합추진시 「정치집단의 자기 중심적 사고」와 「주민들의 이기적인 생각」이 가장 장애가 되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3분의 2를 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⑧ 무안군과 목포시의 통합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중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지역주민간의 갈등 심화」에 응답한 사람이 42.7%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지역이기주의」 34.0%, 「상호존중 속에서 이루어지는 토론문화의 미성숙」 15.5%, 「지역 언론의 편파적 보도」 6.5%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무안군과 목포시의 통합추진과정에서 「지역주민간의 갈등 심화」와 「지역이기주의」가 가장 심각한 문제로 등장했음을 알 수 있다. ⑨ 무안군과 목포시가 통합될 수밖에 없다면 통합에 앞서 전제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조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지역의 균형발전」에 응답한 사람이 33.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무안군의 발전을 위한 청사진 제시」 27.4%, 「농촌지역 기반시설의 확층」 23.0%, 「정부의 적극적 지원」 15.8% 순으로 나타났다. ⑩ 무안군과 목포시가 통합될 수밖에 없다면 통합의 시기는 언제쯤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충분한 준비기간을 거쳐 주민의 공감대가 형성된 이후에 하는 것이 좋다」에 응답한 사람이 69.2%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지금 당장 하는 것이 좋다」 10.5% 순으로 나타났다. ⑪ 무안군과 목포시가 통합되지 않는다면 무안군의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써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도청 유지」 에 응답한 사람이 43.0%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고소득 작목 개발」 24.0%, 「망운 국제공한 건설」 19.1%, 「공단 유치」 10.2%, 「레포츠 타운 건설」 3.1% 순으로 나타났다 ⑫ 무안군의 발전을 위해서는 많은 재원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는데, 그러한 재원의 조달방법으로는 어떠한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차원의 지원」 에 응답한 사람이 56.2%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민간자본 유치」 23.5%, 「지방세수 확대」 15.3%, 「지방채 발행」 4.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향후 무안군과 목포시의 통합논의 재개시 사전에 준비되어야 할 정책적 대안을 몇 가지 제언을 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안군의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여 무안군과 목포시가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무안지역의 발전을 위하여 도청의 이전, 복지 및 교통 서비스 개선, 농 · 어촌 소득증대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통합추진에 앞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무안군 주민들은 지역의 대표성 약화, 혐오시설의 증가, 관공서 이용의 불편 등을 우려하고 있는 만큼, 목포시축에서는 이에 따른 해소책을 먼저 제시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정치집단의 자기중심적 사고와 지역주민의 이기적인 생각이 통합의 장애요인으로 크게 작용했던 만큼 양지역 정치권의 합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통합의 시기는 충분한 준비기간을 거쳐 주민의 공감대가 형성된 이후에 시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위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대안들을 마련하여 통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후에 통합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의 한계는 연구의 목적이 체계적인 대안 제시 보다는 통합의 관한 주민들의 태도분석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제언들이 다각적이지 못하고 심도가 깊지 못하다는 데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대안 제시를 위해서는 앞으로 학계 또는 전문기관과 상호 연계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전남도청 이전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노영길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남도청이전 정책은 정책행위자 즉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회, 광주광역시 의회, 시·군 자치단체, 전남발전연구원, 언론, 정치권, 중앙정부 등 정책행위자의 네트워크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정책이 결정되나 정책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도청 이전정책 시동기부터 재추진기까지의 결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을 통해 광역자치단체의 정책결정에서 나타났던 문제점 제기와 정책제언을 행하고 바람직한 정책네트워크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연구방법을 논의하고, 제2장에서는 정책네트워크 이론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전남도청 이전정책 추진과정을 검토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전남도청 이전정책 네트워크 분석을 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연구내용 전체를 요약하고 연구를 통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제언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정책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많은 논란을 일으켰던 전남도청 이전정책 결정과정이며, 이를 정책네트워크이론으로 설명해 보는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정책행위자의 네트워크 분석을 위하여 분석요소를 정책환경, 정책행위자,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 정책행위자의 연계구조를 선정하였다. 첫째, 정책환경의 대상은 정치체제의 변동, 정권교체 등의 정치체제의 변화, 시민사회와 정책관련집단의 성격과 활동정도 등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이다. 둘째, 정책행위자의 대상은 공식적 정책행위자와 비공식정책행위자로 나누어, 정책행위자들의 수, 역할과 기능, 그리고 행위자들의 목표와 이해관계이다. 셋째,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의 내용은 상호작용의 빈도, 상호작용의 성격, 영향력의 관계, 갈등조정기제를 논의하고 있다. 넷째, 정책행위자의 연계성은 구조는 개방성, 연계성, 지속성을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 선정하여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광주광역시가 전라남도로부터 분리된 후 도청 이전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여러 집단들의 상호작용과 참여를 통해 전남도청 이전후보지가 결정되기까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문헌자료를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즉 전남 도청에서 발간한 백서 및 보고서, 기존의 연구논문과 국내외 서적, 정부와 관련 집단들의 각종 자료, 공문서, 회의자료, 신문이나 인터넷, 잡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도청 이전정책이 결정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요소는 정책환경, 정책행위자, 정책행위자간의 상호작용, 정책행위자의 연계구조를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연구분석요소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환경에 대하여 도청이전 시동기, 중단기, 재추진기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청이전 시동기의 정책환경은 광주시의 직할시 승격으로 전남도청이전문제가 지역민의 여론으로 대두되었다는 점, 정부차원의 행정구역개편 추진으로 지역민의 혼란을 야기시켰다는 점, 전라남도의 도청이전 불가방침과는 다르게 전남도의회는 도청이전을 지속적으로 거론했다는 점,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의 이슈로 부각이 되었다는 점을 이 시기의 정책환경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청이전중단기의 정책환경은 전라남도의 도청이전을 중단하고 광주전남통합을 주장하였다는 점, 김영삼 대통령의 전남도청이전 계획의 특별담화가 있었다는 점, 정부의 시도통합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 대구경북의 통합논의가 진행되었다는 점이 중단기의 정책환경으로 볼 수 있다. 끝으로 도청이전 재추진기의 정책환경은 전남서부권의 광주·전남통합론의 부당성의 지속적인 제기, 전라남도 후보의 시도통합에서 도청이전으로 전환하게 된 점, 도의회에서 도청이전사업을 본격추진하기로 행정자치위원회에 공식적으로 보고한 점이 재추진기의 정책환경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정책행위자에 대하여 도청이전 시동기, 중단기, 재추진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청이전 시동기의 정책행위자는 대통령, 국회, 전라남도, 도의회, 광주시, 시·군 자치단체, 행정자치부(내무부), 전남발전연구원, 언론, 시민단체(사회단체), 지역전문가 등이다. 이 중 대통령, 국회, 전라남도, 도의회, 광주시, 시·군 자치단체, 행정자치부(내무부)는 공식적 참여자라 할 수 있고 전남발전연구원, 언론, 시민단체, 지역전문가는 비공식참여자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청이전 중단기의 정책행위자는 전라남도(도지사), 대통령, 도의회, 경상북도의회, 대구시의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의회, 행정자치부(내무부), 언론, 시·군 자치단체 등이다. 이중 전라남도, 도의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회, 행정자치부, 시·군 자치단체는 공식행위자이며, 경상북도의회, 대구시의회, 언론은 비공식참여자라 할 수 있다. 끝으로 도청이전 재추진기의 정책행위자는 전라남도, 전라남도의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회, 중앙정부, 언론, 시·군 자치단체(목포시, 목포시의회 등), 각종연구소(목포대학교, 초당대학교, 목포포럼, 목포대연안환경연구소, 목포백년회, 광주전남국토도시계획학회)를 들 수 있다. 도청이전 재추진기의 정책행위자 중 전라남도, 전라남도의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회, 중앙정부, 시·군 자치단체는 공식행위자이며, 각종연구소와 언론은 비공식행위자이다. 셋째,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도청이전 시동기, 중단기, 재추진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청이전 시동기의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은 전라남도와 높은 상호작용빈도를 나타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전라남도의회와 전남발전연구원이며, 전라남도와 중간정도의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시·군 자치단체와 내무부이며, 전라남도와 낮은 상호작용을 나타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기타 행위자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전라남도와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도의회와 전남발전연구원이며, 전라남도와 소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시·군 자치단체와 내무부이고, 전라남도와 갈등 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동부지역자치단체, 국회, 내무부이다. 시동기의 정책행위자 중 영향력이 가장 강한 주체는 대통령이다. 그리고 국회와 내무부가 영향력이 강한 편이고 전라남도와 도의회의 영향력은 내무부보다는 못하지만 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 다른 주체들은 영향력이 약한 편이다. 결장치는 없었다. 다음으로, 도청이전 중단기의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라남도와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도의회이며, 전라남도와 소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대구·경북권, 광주권, 순천권 자치단체이고, 전라남도와 강한 갈등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광주광역시와 목포권 자치단체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도청이전 재추진기의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전라남도와 적극적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도의회, 목포권 연구소, 시민단체이며, 전라남도와 소극적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언론이고, 전라남도와 강한 갈등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일부도의원, 목포시, 일부 시·군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정책행위자의 연계구조를 살펴보면, 정책네트워크의 개방성은 빈번한 상호작용이 부족하여 정책행위자들은 개방적이지 않으며, 연계성은 대통령과 전라남도, 내무부와 전라남도, 전라남도와 각 시·군 자치단체 집행부는 수직적 연계를 나타내고 전라남도와 도의회, 전라남도와 전남발전연구원은 수평적 연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몇몇 정책행위자들간의 네트워크가 간혹 형성되기도 한다. 즉 광주시의원, 전라남도의원, 대학교수, 10여 개 사회단체 대표 등이 모임을 갖고 ‘광주·전남범시민통합운동추진본부’ 결성을 위한 실무준비위원회 구성에 합의하고 본부 결성작업을 진행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는 도청이전정책에서 보여준 정책행위자들의 정책네트워크를 통하여 정책결정과정의 문제점과 정책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발전을 위한 거시적 발전계획의 수립이 절실해 요청된다. 광주·전남을 아우를 수 있는 광주전남의 거시적 발전계획이 수립되어 추후에 도청이전과 같은 정책의 발생으로 장기간에 걸친 사회적, 재정적, 정치적 소모적인 없도록 막아야 할 것이다. 둘째, 정치체계의 광역행정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정치체계의 광역행정체계 구축을 위한 (가칭)광역정치행정협의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광역정치행정협의회는 최고정책결정자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 협의회의 구속력을 갖기 위하여 조례로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민선자치단체장의 견제장치의 구축이 절실히 요청된다. 효과적인 견제장치로 주민소환제도를 조속한 시일에 마련할 수 있도록 국회에서 주민소환법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언론은 단체장의 견제를 위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인 보도를 지속적으로 행해져야하며, 시민단체는 그 역량을 강화하여 단체장을 견제할 수 있는 이슈화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지방자치시대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가 자치구역 개편을 위한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노력을 전개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강한 간섭은 배제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는 신뢰회복이 이루어져야 하며, 서로간의 다양한 의사소통의 통로가 마련되고, 정직한 정보교환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지방자치의 성숙은 어려울 것이다. 이를 위한 지방정부, 지역기업, 시민사회, 시민 모두가 지금의 지방자치의 사고를 한층 성숙시킬 수 있도록 협력거버넌스 구축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Network' in order to describe the whole decision-making process, starting from the inception of the Jeollanamdo(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policy all the way through to the period of recommencement. This study also attempts through the analysis to propound sever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policy-decision by the provincial self-government, to propose an opinion on the policy and to explore ways towards a desirable policy network.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Ⅰ comprises the purpose, scope, and means of the research. ChapterⅡ involves the contents of the policy network theory. Chapter Ⅲ reviews the recommencement stage of the 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policy. Chapter Ⅳ analyzes the moving policy network for Jeonnam Provincial Hall. Chapter Ⅴ concludes, recapitulates and proposes an opinion on the polic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decision-making process on the moving policy for Jeonnam Provincial Hall.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policy environment, policy agent, interaction among the policy agents and their connecting structure. The time period specified by this study is from the point where the matter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was forwarded, following City of Gwangju having been separated from Jeonnam Province, until the time the successful candidate city was designated for the hall to be relocated to. Fundamental data relating to this study mainly are collected from the literature on the subject. The contents are summed up as follows, centering on research analysis determinants: Firstly, policy environment around the inception phase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was that local consensus being directed to the issue of the 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the realign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pushed for by the central government generated confusion on the part of local community, and that the issue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kept being raised by the provincial council, as opposed to the policy of 'sacrosanctity' in moving Jeonnam Provincial Hall, which candidates for the position of the head of local autonomy pushed efforts to address. Policy environment during the Provincial Hall Moving cessation period experienced a dispute over metropolitan-province unification coupled with the suspension of the moving policy, with passive participation in the metropolitan-province unification initi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 special statement by president Kim, Young-Sam on the issue of 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policy, and the argument over the issue of Daegu-Gyeongbook unification. Policy environment at the recommencement stage of 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was that the impropriety kept being forwarded of Gwangju-Jeonnam integration theory, the public opinion was diverted towards the issue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from that of metropolitan-province unification, and that the provincial council officially reported to the administrative autonomy committee its decision that the moving policy will be carried out in earnest. Secondly, the policy agents at the inception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are the President, National Assembly, Jeollanamdo, provincial council, city of Gwangju, local governments(city·county),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Gwangju-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the press, civil groups, local specialists and the like. The policy agents during the cessation are Jeollanamdo, the President, provincial council, Gyeonsangbookdo council, Daegu council, Gwangju metropolitan city, Gwangju metropolitan council,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Gwangju-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the press, local governments(city·county) and others. The policy agents of the recommencement period are Jeollanamdo, Jeollanamdo provincial council, Gwangju metropolitan city, Gwangju metropolitan council, the central government, the press, and a variety of institutes. Thirdly, in terms of interaction among the policy agents at the time of inception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Policy, Jeollanamdo showed high interaction frequency with Jeollanamdo provincial council and researchers from 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Jeollanamdo turned out to have less frequent interaction with local government(city·county) and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Low interaction with other agents was documented. Exemplary agents exhibiting aggressive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Jeollanamdo are provincial council and researchers from 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with those presenting passive cooperation being local government(city·county) and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The interaction among policy agents during the provincial hall moving cessation proves as follows: Jeollanamdo has a strong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ovincial council, passive relationships with Daegu·Gyeongbook, Gwangju, Sooncheon local governments, and obviously conflicting relationships with Gwanju metropolitan city and Mokpo city. In consideration with interaction of policy agents around the recommencement period, policy agents noted for their active cooperation in relationship with Jeollanamdo are provincial council, institutes and civic groups for Mokpo, while the policy agent in passive cooperation with Jeollanamdo is the press and agents in conflicting relationship are some provincial councilors, city of Mokpo, and some regions. Fourthly, concer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among policy agents, in terms of openness, due to the lack of frequent interaction, policy agents are rarely willing to be cooperative. Surveying the connection, policy agents vertically connected are the President and Jeollanamdo,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Jeollanamdo, and Jeollanamdo and each local government. whereas horizontally connected are Jeollnamdo and provincial council, and Jeollanamdo and researches from the 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Perceptible openness among policy agents occasionally occurs.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n opinion on the policy as follows: First, urgently needed is the establishment of all-inclu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sake of local development. Second, the foundation of the metropolitan political-administrative system must be established. Third, checks mechanism against the head of the popularly elected autonomy must be established. Fourth and finally, strong state government interference must be eliminated in local government developing its autonomous and self-initiated efforts on re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area at times of local autonomy.

      •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의 최적설계연구

        노영길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출시된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소들이 설계주요사항이 될것인지 파악해보고 설계 제한요소를 가질것인지를 분석하여 설치및 경제성여부를 최종판단할수 있도록 하기위한 기준을 지시하였고 분석정리하여 이에 대한 해결방안및 대책들을 제시함으로서 문제점 최소화,설계 및 생산효율을 높일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결론을 도출하였음. This paper has been produced to summarize the current state of ballast water treatment regulations and available technologies in order to provide useful guidance to shipowners, operators, and builders in their decisions about suitable treatment options. 1. The ballast water and sediments carried by ships have been identified as a major pathway for the transport of harmful invasive aquatic organisms and pathogens. Ships often take on ballast water in one port and carry such ballast to other ports where it is discharged. The ballast water and sediments contain living organisms which, despite the harsh conditions in the ballast tanks and piping systems, survive to compete with native species in the port of discharge. If the non-native organisms have few natural predators or other natural controls they may become invasive and change the local ecosystems, sometimes dramatically. 2. The direct economic impact of aquatic invasive species, as well as the potential long term damage to the health of the local marine environment and the people who depend on that environment, is substantial and has been well documented. International, national and regional regulations have been implemented to control the transport of the aquatic organisms. The current efforts rely on ballast water management (BWM) practices, including ballast exchange, and other measures aimed at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uptake and discharge of contaminated water or sediment when ballasting or deballasting. These methods may not be completely effective in preventing invasive species and furthermore are not required if the safety of the vessel would be at risk during the exchange. Systems that treat ballast water to remove or kill organisms are not only potentially more reliable but are designed and installed to achieve measurable efficacy levels while not impacting vessel safety. 3. Th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technologies currently available or being developed can generally be grouped under three broad categories based on their primary mechanism for rendering the organism inactive: mechanical, physical and chemical. 4. Matching the treatment technology to the ship type, or more accurately the ballast system type, and vessel service is the key to designing a successful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particular technology many proposed treatment systems are based o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echnologies. Although there are approved chemical disinfection only treatments, these are also combined with some form of pre-treatment to make them more effective for certain vessel or ballast conditions. 5. For most existing vessels, detailed as-built drawings of the ship’s ballast piping system and engine room arrangement may not be readily available. Nevertheless, This paper was simulated with detailed dimensional information for all vessel systems and outfits that may be impacted by the new equipment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locations for equipment installation and piping runs and avoid interferences. 6. Many of the challenges related to engineering the actual installation of a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are addressed in the paper describing the treatment technology factors. These challenges can be especially acute when installing a system on an existing vessel. Finding solutions to treatment system back pressure and potential flow rate reductions, power consumption demands, control system integration and space requirements, as a well as access for installation, should be considered. 7. Through the review of this paper the designer can have guidance what should be considered at project planning stage for th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 기업자원봉사활동의 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영길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Corporate volunteerism, as a wa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plays a role as a bridge between companies and customers in local communities, and it is on the rise as a significant element in corporate management because of its role to increase the loyalty of employees and customers through corporate activities in which participants in corporate volunteerism can develop their abilities and skills, and companies can win fame. Therefore, corporate volunteerism should be more activated, and we should look into what ha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effective accomplishment of it. Hence, this study is to aim at the examination of the motivation for employee participation in corporate volunteerism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3 of employees of 13 companies, who carried out the voluntary activities, in Ulsan,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through systematic questionnaires. A task of the study was to prove whether or not there are differences in voluntary activities between an actual status of the participation, inspiration of participation, and the extent of satisfaction, which ar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also examines the related traits betwee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that influenc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e tried to prove whether or not there are any differences, through the conduct of multiple-regression analysis in which we classifie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The first is that participants’ inspiration of participation in corporate volunteerism was as low as 2.7735, and materialistic rewards for ideological or altruistic motivation, were relatively low. The second is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orporate volunteerism was as high as 3.4842, whereas a few items such as respect from others, the appropriate utilization of talents and skills, and opportunities for new experiences or acquisition of skills showed the low degree of satisfaction. This indicates that most activities of corporate volunteerism are limited to simple voluntary activities, and high-skilled employees with diverse professionalism are not utilized in effective ways. The third is that the degree of executives’ awareness about the activities of corporate volunteerism, as the factor of success, was as high as 3.7833, whereas rewards and the acknowledgement of participants’efforts were 2.8405 on the low average. This suggests that the acknowledgement and rewards for the activities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ccess of voluntary activities. The fourth i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satisfaction with corporate volunteerism an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s remarkably positive in the factors of ideological motivation, social relationship motivation, and motivation for the utilization of leisure hours, but it has a lower level of the relationship with of materialistic reward motivation or no connection with altruistic motivation. The fifth is that in the research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hich influenc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orporate volunteerism, motivation for the utilization of leisure hours, ideological motivation, and social relationship motivation show a high level of influence, indicating 41.5% of the power to explicate the extent of satisfaction and no influence of materialistic reward or altruistic motivation.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lans on the activation of corporate volunteerism are as followings. The first is, to set the atmosphere of encouragement for the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through promotion channels in a company, to compose small groups for corporate volunteerism, and to support and foster the small groups. The second is to establish a squad of taking full charge of voluntary activities under the control of a professional supervisor so that the squad can play various roles of providing train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on voluntary activities. The squad also should take roles to develop and conduct reviews of its administrative methods of voluntary activities that can foster participants’ feelings of self-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good results of their activities. The third is that a company should induce the continuance of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through the process of showing company’s acknowledgement and support for the activities, setting the atmosphere for executives’ reconsideration and support of charitable activities. The fourth is that the preparations of diverse plans for volunteers such as company’s rewards and funding for charitable activities, incentives, and mileage benefits are required.

      • Photodegradation of polycarbonate and aromatic diisocyanate based polyurethane elastomers

        노영길 Univ. of Southern Mississippi 1988 해외박사

        RANK : 247615

        본 논문에서는 Polycarbonate 및 Polyurethane elastomer들이 빛에 의해서 변색되는 mechanism 증명 및 고분자의 morphology나 구성 요소가 변색 정도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MDI (methylene 4,4'-diphenyldiisocyanate)와 polyol의 구성 비율을 변화하면서 여러 polyurethane들을 합성하였다. 또한, mechanism을 규명하기 위해서 여러 urethane model compound을 합성하였다. 이러한 고분자와 model compound들에 인공적인 빛을 가해서 고분자의 변화 정도를 gel이 형성되는 정도, Fluorescence spectra, Fluorescence lifetime, Ultraviolet absorption, IR, GC, NMR 등을 이용해서 고찰했다. 이러한 연구에 의해서 얻어진 연구 결론들은 다음과 같다. 1. Polyurethane의 변색 정도는 polymer의 morphology에 크게 의존한다. 또한, 퇴색 정도는 Polyurethane내에 있는 urethane group의 수소 결합 정도에 매우 의존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다시 말해서, 수소결합에 의한 분자들의 움직일 수 있는 정도가 polyurethane elastomer의 빛에 의한 변색을 조절하는 아주 중요한 한 요소이다. 2. 현재 알려진 mechanism 의 하나는 Photo-Fries rearrangement인데 이 mechanism을 증명하기 위해서 laser flash photolysis를 이용하였다. 이 기기를 이용해서 Photo-Fries의 중간 물질인 anilinyl radical 을 탐지하였다. 또한 anilinyl radical은 산소에 의해 존재하는 시간이 단축되는데 비해 diphenyl methyl radical은 산소와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다른 물질로 변화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다른 분야는 t-butoxy radical의 hydrogen abstraction반응에 의해 생성된 N-propyl carbonyl 이 붙은 anilinyl과 diphenyl methyl radical들이 탐지되었다. 3. Polycarbonate의 빛에의한 변색 과정을 model compound의 Fluorescence분석을 바탕으로해서 ortho photo-Fries rearrangement 를 형성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두번째 ortho Photo-Fries rearrangement 생성물인 2,2'-dihydroxy benzophnon을 증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