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격 양식 및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이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차희,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은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원의 영향을 중재한다고 여겨지는 성격 양식이다. 이 연구에서 이러한 성격 양식이 스트레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더 나아가 우울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성격 양식이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과 상호작용하여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성격 양식 질문지(PSI-Ⅱ), 생활사건 질문지, 대인관계 문제해결 질문지, 우울을 측정하였고 위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은 대인관련 스트레스와 성취관련 스트레스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과 자율지향성의 상호작용은 대인관계, 성취관련 스트레스 모두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지향성과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함의와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 경기도 성과중심 인사관리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현우,오영균,장덕희,전지성,김차희 경기연구원 2009 위탁연구 Vol.2009 No.9

        본 연구는 성과관리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외국의 성과관리 제도를 소개하였으며, 경기도 성과중심 인사관리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타 지방자치단체들의 인사관리제도운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경기도 성과중심 인사관리제도의 장기적 발전방안을 도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성과관리의 대상이 되는 경기도 공무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의 분석결과를 통해 현재 경기도가 실시하고 있는 성과관리 제도 및 운영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을 경험적으로 접근하였으며. 이를 통한 각 진단요소별로 경기도 공무원들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진단하였다. 분석결과 경기도 공무원들이 현재 적용중인 성과관리 제도와 운영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기도에서 수행중인 성과관리제도가 공무원들의 성과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미한 변화를 야기하는 동인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성과관리 제도의 목적은 단지 ‘평가’만을 위한 것 보다는 이로 인한 다양한 환류(Feed Back)를 활성화하고, 보다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조직의 성과를 제고하는 데 있다. 그러나 경기도 공무원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성과관리제도가 시행된 후 자신의 업무 수행 태도에 변화를 초래하였다고 보는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경기도의 성과관리 제도가 기관의 생산성 증대와 연계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기에 향후 성과관리 제도 운영과정에 대한 보다 치밀한 수준에서의 진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성과관리 제도가 적절히 기능하기 위해서는 성과관리와 보상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경기도의 성과관리 시스템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성과관리 결과가 적절한 보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는 최근 경기도가 추진하고 있는 성과평가와 인사관리의 체계적 연계방안의 핵심에 해당하는 것으로, 성과관리 제도가 조기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성과를 내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 이루어진다는 인식이 폭넓게 확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성과관리 시스템인 BSC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성관리시스템의 결과에 대한 낮은 신뢰도 회복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평가주체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외부전문가를 부분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무성과계약제의 내실화를 위해 4급이상 공무원이 시행한 각종 사업상의 주요 추진실적에 관한 데이터를 평가를 위한 실적보고서에 모두 반영하도록 한다. 셋째, 직무성과계약제는 연봉책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비전기획관실에서의 평가결과를 인사관리과에 제출하여 연봉책정으로 최종결과를 일원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인사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넷째, 성과관리 평가결과 우수부서와 관리자가 판단하는 우수부서가 상호 불일치하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평가항목 또는 평가가중치를 조정하는 것보다는 인사권자의 정량적인 평가비중을 상향조정하는 방법이 단순하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 된다. 이 때 평가의 객관성이 흔들릴 수 있는 문제가 다시 발생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평가요소간 칸막이를 설치하고 인사권자가 관여할 수 없는 (또는 필요가 없는) 객관적인 실적치에 관한 평가군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구조화 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도개선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상호 연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개인의 성과가 팀의 성과로 이어지고, 팀의 성과가 조직 전체의 성과로 이어질 때, 성과관리 제도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경기도 공무원들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부정적이며, 향후 경기도가 올바른 성과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팀, 전체 조직의 성과 관리가 상호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Gyeonggi Province which result orient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e did survey research that use structured questionnaire to Gyeonggi Province public official. And we approached result orient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of present Gyeonggi Province through analysis public officials’ awareness empirically and we diagnosed by each element through what perception Gyeonggi Province public officials have. After research we could confirm that negative awareness abou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BSC) and operation have that Gyeonggi Province public officials are applying present. Afte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s enforced in question investigation result about Gyeonggi Province public officials, respondent who see that caused change in own performance achievement behavior examined by fewer thing relatively. This is judged that diagnosis in closer level need about attribute and administration system operation process hereafter as it is meaning that Gyeonggi Province’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re not associating with institution’s productivity enlargement. Gyeonggi Province’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do function properly, compensation must associate with department and government official. Improvement direction for successful operation of BSC that i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at operate in present Gyeonggi Province is as following. First, must secure professionalism and objectivity of evaluation subject preferentially to recover trust. Second, do to reflect all data about performance on a results report for estimation. This system improvement need mutually in various aspect to gain result that link must consist, and when individual’s result is connected by team’s result specially and team’s result is connected by formation whole resul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can do function properly. Gyeonggi Province may have to investigate way that individual and team, whole formation’s department and government official can associate mutually to ready right result administration plan hereafter.

      • KCI등재
      • KCI등재

        병무청 2차 인지선별검사를 위한 단축형 지능검사(K-WAIS-IV)의 타당화

        여환홍(Hwan Hong Yeo),정재홍(Jae Hong Jung),김차희(Cha Hee Kim),서민정(Min Jung Seo),조영일(Young Il Cho),장은진(Eun Jin Cha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0 발달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기존 K-WAIS-IV 단축형(최아영 등, 2014)을 병무청 2차 인지선별검사에서 사용할 경우 지능이 과대추정 되는 문제를 보완하고, 병역판정검사 환경에 적합한 소검사를 구성하고자 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병역판정검사 대상자 474명의 K-WAIS-IV 자료를 확인적 요인분석 하였고, 이론적 참조와 실제적 유용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단축형 A, B, C라고 명명한 3가지 단축형을 구성하였다. 단축형 A는 어휘, 산수, 행렬추리, 기호쓰기 소검사를 포함하고, 단축형 B는 어휘, 산수 소검사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동적 추론(Gf)의 측정을 강화하기 위해 산수, 행렬추리 소검사를 포함하는 ‘단축형 C’를 제시하였다. 이 3가지 단축형들은 진단 분류 일치율을 제외한 타당도 기준들을 만족시켰다. 이들 단축형이 선별검사로서 유용한지 살펴보기 위해 추가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단축형 A는 매우 높은 선별력을 보였고, 단축형 B, C 역시 선별력이 양호하였다. 또한 흥미롭게도 2개 소검사 중 단축형 C가 단축형 B에 비해 정밀검사 대상자를 더 민감하게 선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단축형 A, B, C는 병역판정검사에 적합한 대안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의, 한계, 추후연구방향에 대해서 상세히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xisting short-form (SF) of the K-WAIS-IV to be used in the Korean military draft examination. The existing SF of the K-WAIS-IV (Choi et al, 2014), when used to the subnormal group, overestimated the IQ of the subnormal group because of regression toward mean. Also, the existing SF’s subscales were not enough to measure fluid reasoning (Gf) component.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ree new SFs: SF A, SF B, and SF C. SF A (including VC, AR, MR, and CD) and SF B (VC, AR)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CFA) result of draft examination sample (n=474). SF C (AR, MR),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asoning that evaluation of Gf would be useful in draft examination, includes arithmetic reasoning (AR) and matrix reasoning (MR).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a regression formula equation to estimate IQ. All three SFs met all validity criteria (Resnick & entin, 1971) with the exception of concordance rate. In an additional study conducted to examine utility of the new SFs as a screening test, SF A showed a very high screening ability. SF B and SF C also showed a decent screening ability. Interestingly, SF C was shown to be better than SF B in selecting out those who need an additional in-depth examination. The ROC results indicated that SF A, SF B, and SF C are all secondary screening tes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