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례의식의 인지도 조사연구

        김종군,정미,장성현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3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3 No.3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ituals and to establish the desirable ritual culture. The recognition of the ritual culture was investigated by the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religion and education background The rituals were generally recognized as positiv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religion, gender and residential area. To succeed the tradition of the preparation and the table-setting of ritual foods and to conduct the rituals by the descendants were recognized relatively high by the Buddhists and males living in Gyeongsangbuk-do.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method of table-setting of ritual foods was higher if one was married and older, with Buddhism and the oldest daughter-in-law in a family. As above, the culture of Korean rituals showed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environment and regions of the individual. The reason why regional differences were shown high was mainly because tradition and conservatism wer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unique regional thought and natural environment rather than impacts of the changes of times. That some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suggested that the traditional ritual culture was gradually changing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modern times. Also, the recognition on the ritual culture were identified through investigations by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religion and education background.

      • KCI등재후보

        <왕이 된 새샙이> 설화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김종군 겨레어문학회 2007 겨레어문학 Vol.38 No.-

        The meaning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fable; <SAESAEBI who became King(왕이 된 새샙이)> <왕이 된 새샙이> 설화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 KCI등재

        북한의 민속전통 계승의 실제와 의미

        김종군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2 No.-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에서 우리의 민속전통을 어떻게 계승하고 있는지 실제 모습을 살피고, 그 의미를 밝히 는 데 있다. 북한은 민속전통을 시대나 정권에 따라 국민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는 그 중요성을 강조하기 도 하였고, 통치 논리에 걸림돌이 된다고 판단될 때는 고루한 것으로 폄하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민속전통 의 가치에 대한 시각이 곧 북한의 정치논리 변화를 읽을 수 있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민속전통에 대한 관심은 남북한이 같은 맥락에서 이어졌다. 그러나 사회주의적 보편성과 민 족의 특수성을 강조하던 북한에서는 민속전통에 대한 관심을 남한보다 우선하였다. 1960년대말까지 전국적인 민속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구전문학에 대한 학문적 체계 수립도 남한에 앞선다. 그러나 1970년 이후 주체사상 이 수립되면서 민속전통은 봉건적 유물정도로 홀대를 받는다.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은 1989년에 들어 김정일 에 의해 변혁을 맞게 되고, 이후 점점 긍정적인 산물로 평가를 받게 된다. 2000년 이후 남한에서는 ‘글로벌화’와 ‘다문화’가 문화정책의 키워드로 부상하면서 민속전통에 대한 관심이 희 석된 데 비하여, 북한의 경우는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표방하면서 조선의 민속전통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민속예술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변화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데, 민속명절, 의복생 활, 식생활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돌아가자는 복고주의적 분위기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의 의미는 북한 주체사상이론의 기반이 ‘조선민족제일주의’로 강화되는 징표이며, 남한의 ‘세계화’ , ‘다문화’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통해 민족의 정통성을 북한에 두고자하는 의도로 파악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n North Korea how to succeeded our folk tradition is to check the appearance of substance, is to reveal its meaning. When North and South Korea depending on the time or regime make use of folk tradition as a means of controlling the people, oft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t. on the contrary, when Judge of folk tradition by becoming an obstacle to the rule logic, often undermined as stick-in-the-mud. Therefore, the vision for the value of folk tradition can be a measure that can be read the change of the logic behind politics. Since 2000, North and South Korea differ on the approach about folk tradition. In the case of South Korea, while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have emerged as a keyword , interest in folk tradition was dilut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North Korea, while advocating ‘the thought that Koreans are the best’, the folk tradition of korean has been highlighted. These trends as well as the area of folk art are requiring strongly a change in everyday life, In folk Festival, clothing lifestyle, dietary life, seems reactive atmosphere that go back to the traditional way. The significance of these changes is a sign that the foundation of theory is based on North Korea's the juche ideology been strengthened as ‘the thought that Koreans are the best’, through strong criticism of South Korea's 'globalization', 'multicultural', is identified as a Intent put the legitimacy of the nation to North.

      • KCI등재

        <열녀춘향수절가>의 구연적 과장 표현 양상과 그 의미

        김종군 판소리학회 2005 판소리연구 Vol.19 No.-

        <열녀춘향수절가>를 포함한 몇몇 판소리계 소설은 여타 문장체 소설에 비해 서사 전개가 산만하고 유기적이지 못하다. 서사 전개 과정에 과장된 표현과 인물이 설정되기도 하고 시공간이나 서사 상황 설정이 착오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은 판소리계 소설이 구연 예술인 판소리 사설을 그대로 방각화한 결과이다. 판소리 사설은 청중을 앞에 두고 창자가 구연하는 공연 예술의 측면이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청중의 기대치에 부응해야 한다. 그러므로 창자는 유기적인 서사 진행과 아울러 구연 현장에서의 청중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해야 한다. 그 방편으로써 사설과 서사 전개에 의도적인 과장을 도입하는 것이다. 곧, 판소리계 소설의 서사 전개 허술함은 창자나 사설의 내용의 미숙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구연적 공연 방식에서 계산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청중의 웃음을 유발하려고, 풍자의 상황에 실없는 허풍쟁이가 되어 과장되게 서사에 개입하기도 하며, 양반 청중을 고려하여 어설픈 반풍수가 되어 한시구나 전고를 지나치게 오용하기도 하고, 극 진행을 위해 상황 설정에 무리를 두기도 한다. 그리고 극적 긴장감 이완을 위한 방편으로 과장되게 회화된 인물을 구연 상황에 개재시키기도 한다. 또 정보 나열식 과장 표현을 통해 청중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지식을 함양토록 하는데, 역사지리적 요소, 격식과 치레 요소, 의례와 절차 요소를 지나치게 과장하고 있다. 이러한 구연적 과장 표현은 창자가 일부러 실수를 연발하여 청중으로 하여금 폭소를 자아내게 하고, 더 나아가 표면적인 혼란스러움과 과잉 정보로써 청중을 자신의 소리판으로 몰입시키는 의도적 장치로 활용한다. 이를 통해 청중은 흥미뿐 아니라 다양한 교양 체험을 하게 되어 자기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Pansori type novels including <The Faithfulness story of Virtuous woman, ChunHyang> are unsystematical and non-organized compared to other types of novel. In the process of story, overwhelmed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are set-up and time & space and even story situation establishment happen in wrong ways. The reason why this defects happened is to describe the original traditional verbal song as just way it is. Pansori song story is a kind of concert to appeal to audiences' expectations. Therefore singer systematically manage the story and must endlessly generate the exciting from audiences in the concert scene. As a method, intentional exaggeration can be taken in the process of story. So unpreparedness of this kind novel is not originated by immaturity but by estimated equipment from verbal concert system. For fun and satire, various methods are utilized for example, exaggeration, slapstick comedy, overwhelmed situation. Also making a travesty of some situation to relax the dramatic stress. And in order to present the information to audiences they are using some factors exaggerated as historical & geographical factor, manners & embellishment factors, and courtesy & procedure etc. This verbally exaggerated expression is utilized as intentional equipment in order to make audiences laugh loudly and conquer the audiences in their own concert. By this equipment, audiences could experience not only the excitement but various education and after all audiences can prepare their own growth.

      • KCI등재

        『수이전』지은이에 대한 남북의 관점과 제3의 시각

        김종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1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author of Suijeon, which occupies the forefront of the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in Korea. To this end, I would like to compare and review the author's debates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inter-Korean academia, and approach the reality of Kim Cheok-myung from a third perspective on the author. Regarding the author of Suijeon, South Korean academics recognize that the author of Shilla Suijeon is Choi Chi-won, while Suijeon in Goryeo was edited by Park In-ryang, and it is posited that Kim Cheok-myung reworked some works. In contrast, North Korean academia recognizes Choi Chi-won as only the author of “The Tomb of Two Women” among Shilla Suijeon, and holds that many works were newly created and compiled while Park In-ryang reworked and supplemented Shilla Suijeon. In the North Korean academic circle, Kim Cheok-myung was mentioned only in one kind of literary history, In later descriptions, many writers participated in the rewriting of Suijeon, and Kim Cheok-myung was excluded from the description. The discussion on the author of Suijeon in the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a is the result of strictly observing the literature records. Nevertheless, the reason that North Korean academics exclude Kim Cheok-myung, who is mentioned in the Samguk Yusa as a prospective author and categorize it as having been written by “many writers” seems to be that no evidence of Kim Cheok-myung’s authorship can be found even while comparing historical documents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find a new answer to these doubts, among the articles of Lu In-ryang included in the Cheongpa Jabji of Juwhi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I tried to suggest a third perspective that he could be Park In-ryang = Kim Cheok-myung, focusing on the fact that his courtesy name was Cheok-myung. In order for this reasoning to gain strength, the fact that Cheongpa Jabji was introduced to Goryeo before the compilation of Samguk Yusa and the circumstance in which Ilyeon encountered it must be studied.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우리 서사문학사 벽두를 차지하는 수이전 의 지은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남북 학계에서 논의된 지은이 논쟁을 비교 검토하고, 지은이에 대한 제3의 시각으로 김척명의 실체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다. 수이전 지은이에 대해 남한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 의 지은이는 최치원으로 인정하고, 고려의 수이전 은 박인량이 편찬하였는데, 김척명이 일부 작품을 개작하였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에 비해 북한의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 가운데 <쌍녀분(두 녀자의 무덤)>에 대해서만 지은이를 최치원으로 규정하고, 박인량이 신라수이전 을 개작 증보하면서 많은 작품들은 새롭게 창작해 편찬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북한 학계에서는 김척명에 대해서는 문학사 한 편에서만 언급하였고, 이후의 서술에서는 다수의 작가들이 수이전 개작에 참여하였다 하면서 김척명을 서술에서 배제하는 입장이다. 남북 학계의 수이전 지은이에 대한 논의는 문헌 기록을 철저히 준수하면서 도출한 결과들이다. 그럼에도 북한 학계에서는 삼국유사 에 언급된 김척명을 지은이에서 배제하고 ‘다수의 작가’로 범주화하는 이유는 기록 문헌을 서로 비교하는 가운데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의구심을 새롭게 구명하고자 중국 송대 주휘의 청파잡지 에 수록된 루인량의 기사 가운데, 그의 자가 척명이라는 데 착안하여 박인량=김척명일 수 있다는 제3의 시각을 제시해 보았다. 이 추론이 힘을 얻기 위해서는 청파잡지 가 삼국유사 편찬 전에 고려에 유입된 사실과 일연이 이를 접했다는 정황이 포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