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정태 한국방언학회 2010 방언학 Vol.0 No.11
One of features of dialect forms of the Chungnam area is to realize an auxiliary particle of a speech level, ‘-요/-yo/’ into ‘-유[-yu]. ‘-yo→[-yu]’ that is a dialect form of ‘X]vst+euyo’ embraces several issues of phonemes and prosodeme. Those issues are variations of phonemes of ‘-yo→[-yu] related to vowel rising of ‘-오/-o/→-우[-u],’ the realization form of ‘X]vst+euyo depending on the preceding phonemes of ‘/-yo/’ and ‘/-Əyo/’ accents depending on sound fields and forms accompanied with ‘-yo→[-yu],’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realization form of ‘-yo→[-yu].’The premise of this research is that realization forms of ‘-yo→ [-yu] shown in structures of ‘X]vst+Əyo,’ a Chungnam dialect form are one of the features of Chungnam dialects.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what meanings regional distribution of realization forms of ‘-yo→ [-yu]’ have. Mostly, ‘-yo→[-yu]’ has been considered as a feature and a typical form of Chungnam dialects.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confirmation on regional limitation, which is the edge, the boundary of this dialect.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confirm a unique characteristic of Chungnam dialects by examining the edge of realization forms of ‘-yo→[-yu].’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realization forms of ‘-yo→[-yu]’ is limited to Chungcheongnamdo in terms of an administrative division. In the Southern parts of Gyeonggi and the Eastern parts of Chungbuk which are located in the boundary of Chungcheongnamdo, this form is partially found. The mixture of ‘[-yo]’ and ‘[-yu]’ implies that this form is discharged from the Chungnam area. Meanwhile, in Jeongbuk which making a boundary with the Southern part of Chungnam, this form is not found. In the certain areas of Chungnam like Geomsan, Nonsan, and Buyeo which makes a boundary with Jeongbuk, ‘[-yo]’ is realized, not ‘[-yu].’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yo→[-yu]’ was realized in inland dialects of Chungnam as the core area, and spread its edge out to the Southern parts of Gyeonggi and the Eastern part of Chungbuk and the Westsouthern parts of Gangwon. Meanwhile, dialects of Jeonbuk where realization of ‘[-yo]’ is dominating have an influence on Southern parts of Chungnam and therefore,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Chungnam and Joenbuk, linguistic forms of Jeollado are clearly dominating. 충남방언형 중 하나의 특징은 상대 존대의 보조사 ‘-요’의 ‘[-유]’로의 실현이다. 이 ‘X]vst+어요’의 구조에서 ‘-요→[-유]’ 실현에는 여러 문제들이 내재되어 있다. 이를테면, ‘오→우’ 모음상승과 관련된 ‘-요→[-유]’의 음소 변이 문제, ‘-어요’의 ‘-어’의 변이 문제, ‘-요→[-유]’에 수반되는 음장 문제와 문형에 따른 억양 문제, ‘-요→[-유]’ 실현형의 지리적 분포 문제 등이다. 본고는 충남방언의 ‘X]vst+어요’의 구조에서 나타나는 ‘-요→[-유]’ 실현형이 충남방언의 특징이라고 전제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일련의 문제 중에서 ‘-요→[-유]’ 실현형의 외연과 지리적 분포가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규명코자 하였다. ‘-요→[-유]’의 실현형에 대한 지리적 분포는 행정구역 상 충청남도에서 적극적이다. 경계를 이루고 있는 경기도 남부와 충북 서부 지역에서도 발견되는데, 이 지역에서 ‘[-요]’, ‘[-유]’의 혼재로 보아 충남방언에서 방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유]’는 강원 서남 지역에까지 이르고 있다. 반면 전북과 경계를 이루는 충남의 남부, 즉 금산, 논산, 부여, 서천 등에서는 ‘[-유]’가 아닌 ‘[-요]’ 실현을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요→[-유]’ 실현형의 외연과 지리적 분포에 대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요→[-유]’의 적극적인 분포는 대방언권으로서의 중부방언에 대한 하위 방언으로 ‘충남방언’의 설정 개연성을 갖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유]’의 분포가 충북의 서부에서도 확인되며, 소극적이나마 경기 남부와 강원의 서남부에까지 이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하나의 방언권으로 묶을 수 있고 아울러 핵방언으로서의 충남방언에서 동북쪽으로의 전파 가능성을 예측해볼 수 있다. 그리고 행정구역상 충남의 남부, 즉 전북과 접촉해 있는 금산, 논산, 부여, 서천 등과 충북의 남부, 즉 옥천, 영동 등은 전라방언권이다. ‘X]vst+어요’의 실현형에서 ‘-요→[-유]’가 아닌 ‘[-요]’로의 실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지역은 음운, 문법, 어휘 등 전라도의 언어 요소를 짙게 간직하고 있다.(도수희 1977, 김정태 2010)
김정태,김호정,조윤성,최수한,Kim, Jeong-Tae,Kim, Ho-Jeong,Jo, Yun-Seong,Choe, Su-Han 한국재료학회 1993 한국재료학회지 Vol.3 No.2
A procedure for preparing cross-sectional specimens fo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by focused ion beam(FIB)milling of specific regions of semiconductor devices is outlined. This technique enables TEM specimens to be pripared at precisely preselected area. In-situ #W thin film deposition on the top surface of desired site is complementally used to secure the TEM specimens to be less wedge shaped, which is main shortcoming of previous FIB-assisted TEM sample preparation technique. This technique is quite useful for the TEM sample priparation for fault finding and the characterization of fabrication process associated with submicron contact technologies.
RFID 시스템에서의 태그 보안을 위한 경량화 프로토콜의 분석
김정태,Kim, Jung-T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1
RFID 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필수불가결한 기술이 되도 있다. 그러나 RFID 의 본질적인 단점으로 인하여 프라이버시와 같은 보안적인 취약점을 기자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의 관점하에서 태그에서의 보안적인 취약점 및 이럴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프로토콜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최근에는 반도체 공정 기술의 발전과 경량화프로토콜의 발전으로 인하여 태그에서의 보안성이 향상되고 있는 중이다.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has been considered as an key infrastructure for the ubiquitous society. However, due to the inherent drawbacks, RFID causes var- ious security threats like privacy problems, tag cloning, etc. This paper analyses the security risk analysis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FID tag life cycle, identify the tag usage process, identify the associated vulnerability and threat to the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vailability of the information assets and its implications for privacy, and the mitigate the risks.
가속도 및 임피던스 신호의 특징분류를 통한 교량 연결부의 하이브리드 손상 모니터링 기법
김정태,나원배,홍동수,이병준 한국지진공학회 2006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0 No.6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전역적인 손상도 평가와 국부 구조 연결부의 손상 검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구조 손상 모니터링 체계가 제시되었다. 하이브리드 손상 모니터링 체계는 진동기반 기법과 전기/역학적 임피던스 기법으로 구성되었다. 진동기반 기법은 구조물의 모드특징의 변화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전역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고, 전기/역학적 임피던스 기법은 PZT 센서의 저항 변화를 사용하여 국부 구조 연결부의 손상 여부를 검출한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모니터링 체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 연결부의 볼트 풀림 상황을 손상 시나리오로 선택하였으며, 가속도 응답과 임피던스 응답 신호가 계측되었다. 실험 결과, 제안된 하이브리드 모니터링 체계를 통해 구조물의 전역적 손상 상태와 국부 구조 연결부의 손상을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hybrid structural damage monitoring system which performs both global damage assessment of structure and damage detection of local structural joints. Hybrid damage monitoring system is composed of vibration-based technique and electro/mechanic impedance technique. Vibration-based technique detects global characteristic change ot structure using modal characteristic change of structure, and electro/mechanical impedance technique detects damage existence of local structural joints using impedance change of PZT sensor.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hybrid monitoring system, a series of damage scenarios are designed to loosened bolts situations of the structural joints, and acceleration response and impedance response signatures are measured. The proposed hybrid monitoring system is implemented to monitor global damage-state and local damages in structural j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