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의도적 분할발행의 규제―미국의 Integration Doctrine과 자본시장법의 비교―

        김연미 한국증권법학회 2020 증권법연구 Vol.21 No.2

        In 2017, a securities firm issued asset-backed securities without filing registration by establishing 15 SPCs for one single asset, each of which issued securities in amount exempted from registration. After that scandalous attempt to circumvent the registration requirement, the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stitutions Act of Korea was amended to allow integration of separate offerings to enforce registration requirement. The standards to be used for integration are molded after the five-factor test as developed in the SEC’s integration doctrine. The five-factor test, however,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ambiguous and causing uncertainty. In January 2020, SEC proposed to abandon the five-factor test and introduce a new integration framework. According to the new integration framework, offers and sales will not be integrated if, based on the particular facts and circumstances, the issuer can establish that each offering either complies with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of the Securities Act, or that an exemption from registration is available for the particular offering. It also provides for simplified safe harbor rules. Comparing to SEC’s proposal, Korea’s integration doctrine adopts ambiguous standards without providing safe harbor provisions, thus increases uncertainty and legal risk to the market players. 증권신고서 제출의무를 회피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거래를 인위적으로 다수의 발행인 및 다수의 발행으로 분할하여 발행하는 잠탈행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2018년 자본시장법을 개정하여 거래통합기준을 마련하였다. 시행령에서는 구체적으로 (1) 증권의 발행 또는 매도가 동일한 자금조달 계획에 따른 것인지 여부, (2) 증권의 발행 또는 매도의 시기가 6개월 이내로 서로 근접한지 여부, (3) 발행 또는 매도하는 증권이 같은 종류인지 여부, (4) 증권의 발행 또는 매도로 인하여 발행인 또는 매도인이 수취하는 대가가 같은 종류인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준은 증권을 실질적으로 모집 또는 매출하는 자를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조문을 추가하기 위한 시행령 개정안이 제출되었다. 이러한 기준은 미국 SEC의 거래통합기준(integration doctrine)의 five-factor test를 참고하여 마련되었다. 그러나 미국 SEC는 2020년 1월 five-factor test를 폐기하고 거래통합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safe harbor 조항을 정비하는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자본시장법에 따른 기준은 문구가 지나치게 추상적이어서 자의적인 판단의 위험이 있고, safe harbor 조항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시장 참여자들에게 지나치게 불확실성을 가중하고 있다.

      • 뇌척수액내 종양세포의 원발부위 분석 및 세포학적 특징 - 총 1,438예 분석 -

        김연미,전미영,지제근,Kim, Yeon-Mee,Jeon, Mi-Yeong,Chi, Je-Geun 대한세포병리학회 2000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1 No.2

        Cytologlc evaluation of cerebrospinal fluid(CSF) is an effective mean for diagnosing many disorders involv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s(CN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cytologic examination of CSF is to detect metastatic or primary neoplasms of the CNS. We did a retrospective study of 1,438 CSF specimens obtained between 1992 and 1996. A total of 1,205 adult and 233 pediatric CSF specimens from 947 patients were accessed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Children's Hospital, respectively. Among 1,438 CSF cytology specimens, 169 cases(11.8%, 77 patients) including 135 adult cases(59 patients) and 34 pediatric cases(18 patients) were positive for malignant cells. Diagnoses included 50 metastatic carcinomas(adult, 60; pediatric, 0); 46 malignant lymphomas(adult, 44; pediatric, 2); 21 leukemias(adult, 20; pediatric, 1); 4 retinoblastomas(adult, 0; pediatric 4); 2 rhabdomyosarcomas(adult, 0; pediatric, 2); 1 multiple myeloma(adult, 1; pediatric, 0), and 35 primary CNS neoplasms(adult, 10; pediatric, 25).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metastatic carcinomas in adults were adenocarcinoma. Their primary sites were the lung, gastrointestinal tract, and breast in order of frequency. The most common primary CNS neoplasm in children was medulloblastoma.

      • KCI등재
      • KCI등재

        유동화회사의 인식의 귀속문제 –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다47791판결 -

        김연미 한국상사법학회 2014 商事法硏究 Vol.32 No.4

        When an SPC’s knowledge or constructive knowledge is at issue, it isnot clear whose knowledge should be attributed to the SPC. In an asset-backed securitization transaction, a Special Purpose Vehicle,whether in the form of a company (Special Purpose Company: SPC) or atrust or other entity, is used in order to partition the specific assets andliabilities from the originator. An SPC is set up as a paper companywho lacks its own management personnel, with limited purpose ofholding and servicing the assets and the debts. As such, an SPC’sdirector does not perform any positive activities; all of the SPC’sfunctions are delegated to servicer or administrator. Consequently, whenthe servicer, the administrator, the originator or the ABS investor hasknowledge of certain fact, it may be reasonable to treat the SPC ashaving known that fact regardless of the SPC’s director’s ignorance. In April 28, 2011,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ndered a decisionconcerning the SPC’s knowledge (Case no. 2009Da47791). In this case,the seller’s sale of the assets to the SPC was not duly authorized by theseller’s board. A creditor of the seller (the “Sponsor”), who was to getpayment of her debt from the proceeds of the securitization, played aleading role in structuring the securitization scheme, providing certaincredit-enhancing commitment.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that thepurchaser of the assets – the SPC for securitization – had knowledge ofthe seller’s lack of authoriza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Sponsor hadknown the lack of such authorization at the time of the signing andclosing of the securitization transaction.

      • KCI등재

        사업구조조정과 주식매수선택권

        김연미 민사판례연구회 2015 民事判例硏究 Vol.- No.37

        Movement of officers and employees usually happen in the context of merger, spin-off and other form of corporate restructuring. When such officers or employees have been granted with employee stock option, the merger agreement, spin-off plan or relevant restructuring plan should consider how to handle such stock options. Korean Commercial Code has two set of rules regarding employee stock options: (i) article 542-3 for stock options granted by listed companies, and (ii) articles 340-2 through 340-5 for stock options granted by non-listed companies. Korean Commercial Code requires two years incumbency. ESO granted by listed companies are exercisable upon the holder’s death or involuntary retirement within two years from the grant of ESO, as expressly permitted by article 542-3. It is not clear, however, whether ESO granted by non-listed companies would be exercisable upon death or involuntary retirement as well. Recently, Korean Supreme Court found that Article 340-4 regarding two-year incumbency requirement for ESO by non-listed companies is a mandatory provision.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decisoin, even if the ESO agreement allowed exercise of ESO upon death or involuntary retirement within two years from the grant of ESO, even if the provision was approved by shareholder’s meeting, such provision is invalid. According to this decision, assumption or assignment of ESO upon corporate restructuring would be invalid; new ESO should be granted resetting two-year incumbency requirement. 기업들은 사업구조조정을 위하여 자회사 설립 및 처분, 영업양수도, 인적 분할/물적 분할, 합병, 분할합병, 지주회사로의 전환, 분사 및 아웃소싱 등 다양한 형태를 이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임직원의 이동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진다. 그런데 구조조정 과정에서 기존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임직원의 소속 법인이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주식매수선택권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가 실무적으로 문제된다. 주식매수선택권에는 ‘잠재적 주식’으로서의 자본거래적 측면과, 임직원의 근로의 대가라는 급여지급적 거래의 측면이 모두 존재하며,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의 재산적 권리로써 보장받을 필요가 있다. 상법에서는 주식매수선택권에 대하여 (i) 상장회사의 경우 제542조의3에서, (ii) 비상장회사의 경우 제340조의4에서 각각 규율하고 있는데, 두 경우 모두 주식매수선택권의 요건으로 2년 이상 재임・재직을 요구하고 있으나, (i) 상장회사의 경우에는 2년 재임・재직 요건의 예외사유로 사망 기타 비자발적 퇴직을 인정하고 있는데 반하여, (ii) 비상장회사의 경우에는 그러한 예외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비상장회사가 자체적으로 주주총회를 통하여 상장회사에 준하여 예외사유를 인정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문제가 있다. 대상 판결은 비상장회사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면서 “비자발적 퇴직의 경우 2년 재임・재직 요건의 예외사유로 인정한다”고 명시하였는데, 그와 같이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원고가 구조조정으로 다른 회사에 이직한 이후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하겠다고 청구한 사안에서, 비상장회사의 주식매수선택권에 2년 재임・재직 요건을 규정한 상법 제340조의4는 강행규정이라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인정하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구조조정 과정에서 당사자의 합의로 주식매수선택권도 승계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고 그 경우 2년 재임・재직 요건을 새로 기산하는 것은 당사자의 권리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유아의 ‘공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만 5, 6세 유아 중심으로

        김연미,임승렬,전방실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5- and 6-year-old children recognize fair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3 children in 2 kindergartens in Seoul. We asked them open-ended questions and hypothetical episodes to reflect how children recognize fair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recognize fairness as good and unfairness, as bad. Second, there are four fairness standards for children to judge fairness; benefits to them, teacher and mother’s power, good acts, and following rules. According to these fairness standards, fairness appears for them as three types: impartial, equal, and balance. In conclusion, in order to form a concept of fairness for children in their life,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support impartial teaching and discipline method. Also, parents at home need to give their children an opportunity to have various viewpoints about situations and events around them. 본 연구는 만 5, 6세 유아의 공정성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 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2곳에 재원중인 유아 73명을 대상으로 공정성에 대한 개방적 질문과 가상적 에피소드를 통해 유아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아들은 공정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유아들은 공정성에 대해 공평한 것은 좋은 것, 불공평한 것은 나쁜 것이라는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들은 공정성을 ‘나에게 유리한 것’, ‘선생님ㆍ엄마 말씀’, ‘착한 행동’, ‘규칙 지키기’와 같은 판단 기준에 따라 공평, 평등, 형평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들이 생활 속에서 공정성에 대한 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치원에서 교사는 공정한 교수방법으로 교육해야 할 것이며, 가정에서 부모는 유아가 다양한 관점으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