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골이가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를 예측할 수 있을까?

        김시은,박봉수,박시형,신경진,하삼열,박진세,박강민,Kim, Si Eun,Park, Bong Soo,Park, Si Hyung,Shin, Kyong Jin,Ha, Sam Yeol,Park, Jin Se,Park, Kang Min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Neurophysiology 2015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17 No.2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value of snoring frequency in the diagnosis and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polysomnography with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1) sleepiness, non-restorative sleep, fatigue, or insomnia symptoms; 2) arousal due to cessation of breathing or the occurrence of gasping or choking when waking up; and 3) habitual snoring, breathing interruptions, or both, noted by a bed partner or other observer.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variable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obstructive sleep apnea and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those variable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Results: One hundred ninety-three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145 of the 193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arge neck circumference (p = 0.0054) and high snoring index (p = 0.0119) were independent predictors for obstructive sleep apnea. Moreover, between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groups, there was a strong tendency of difference in body mass index (p = 0.0441) and neck circumference (p = 0.0846).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noring frequency according to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p = 0.4914). Conclusions: We confirmed that snoring frequency is a predictor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dition, we showed for the first time that snoring frequency is not associated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thus it is not a valuable marker for predicting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 KCI등재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인식도 및 취업선호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및 필요성 연구 :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시은,장철 대한통합의학회 2023 대한통합의학회지 Vol.11 No.1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perception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these perceptions and future preferenc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200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 primary survey was first conducted to shed light on students’ perception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ollowed by an education program on sensory integration provided through an online video. After this training 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 additional survey assessed the students’ preferred employment routes and intention to take educational courses on clinical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n the future. A secondary survey was then conducted, using the same form as the primary survey, to identify changes in the students’ perceptions of and preferences for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 frequency analysi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employment-related preferences, and intention to take courses on sensory integration, and a paired samples t-test was used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Results : In term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the variables of efficiency, facilitation, and experti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resulted in a positive change in their overall perceptions of the therapy after the program. In relation to their preferred employment routes after the program, 100 students (50 %) answered the “field of adults,” and 100 (50 %) of students answered the “field of children.”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nsory integration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s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preferences for and perception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dditional research is recommended to organize a more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nd investigate employees in organizations relat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우수등재

        생체신호 기반 사용자의 긍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문헌고찰

        김시은,하미경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5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known to impact human health and behavior, emotions such as pleasure, anxiety, and depression, and reducestress. Interior design that elevates emotional comfort and satisfaction can help improv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This study is asystematic review that analyzed previous empirical studies that explored the effect of interior design elements on the user’s emotionalresponse which is quantitatively evaluated by bio-signal and qualitatively evalua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s. This paperaims to derive the attributes of interior design and biometric indicators that affect the user’s positive emotion through the synthesis ofprevious studies and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measuring bio-signals as an objective evaluation tool for architectural design and as a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biometric data from EEG, fMRI, ECG, EMG, GSR, and eye-tracking were usedto measure the participants’ emotional responses, which were manifested as positive or negative depending on certain attributes of interiordesign such as the form, color, lighting, material and furniture. The attributes of interior design related to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were the curved shape, high ceiling, openness of space, and subdued tone colors. Standard lighting conditions and wooden spaces wererelated to stress reduction in terms of comfort and relaxation. The free arrangement of furniture was related to the user’s posi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consistent experimental protocols could not be found, and although the sample sizes of the studies were small, the studieshav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the emotional response measurement by using the biometric data.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a usefulobjective tool in the measurement of human-centric data in architectural design, and to develop the evidence-based design to induce positiveemotions and minimize stress. 사회적으로 웰빙과 건강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면서 사람들이 일상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는 실내공간환경을 탐구하는 일은 중요해졌다. 이에 공간의 효율성과 기능성을 넘어 ‘인간 중심 디자인’ 관점에서 사용자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자에게 정서적 편안함과 만족감을 주는 실내디자인은 웰빙과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로서, 실내공간에서 사용자의 감정반응을 생체신호를 통한 정량적 방법과, 자기보고식 감정평가 설문조사를 통한 정성적 방법으로 측정한 실험연구를 대상으로, 실내디자인 요소가 생체신호 측정에 의한 사용자의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의 긍정적인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디자인 요소와 생체데이터 지표를 도출하고, 건축디자인에 대한 객관적 평가도구이자 정량적 연구방법으로서 생체신호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사용자의 감정반응 측정에는 EEG, fMRI, ECG, EMG, GSR, eye-tracking의 생체데이터가 사용되며, 형태, 색상, 조명, 마감재, 가구의 실내디자인 요소의 특성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반응이 나타났다. 긍정적인 감정반응과 관련된 실내디자인 특성은 공간형태는 곡선형, 높은 천장, 개방형 공간이며, 색상은 소프트톤 공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 조명환경과 나무로 마감된 공간에서 사용자들은 편안함을 느끼고, 스트레스 감소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는 자유로운 가구배치가 긍정적인 감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대상 연구들에서 일관된 실험 프로토콜을 발견할 수 없었고, 실험표본의 크기가 작아 연구결과의 정확성을 확신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다. 그러나 건축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평가 방법으로 생체신호의 사용 가능성은 충분히 입증하고 있었다. 생체신호 측정을 통한 사용자 감정평가 방법은 건축설계에서 사용자 중심의 정보 획득에 유용한 객관적인 평가도구가 될 수 있으며, 건축디자인 시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한 설계가 가능하게 하여 근거기반 디자인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긍정적인 감정반응을 고려한 실내디자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서적으로 편안한 공간을 제공하고, 스트레스 감소 등 정신건강 증진과 웰빙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외 유사 제도 비교분석을 통한 설계안전성검토 개선 방안

        김시은,정재민,정재욱 한국안전학회 2019 한국안전학회지 Vol.34 No.6

        While the overall industrial accident rate has been decreased, but thos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not been. For safety management during the planning/design phase, which accounts for 45% of the cause of accident at the construction site, Design For Safety (DFS) was established to minimize a hazard and risk in 2016. Currently, DFS system has difficulty settling down in Korea due to the several reasons. So, this paper aims to propose to the Key Success Factor (KSF) and related action plan to improve DFS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by following 2 steps: i) identification of problems on current DFS, and ii) proposal of KSF and following action plan for DFS. The DFS in Korea was compared with UK, Singapore, Australia, and US on 7 criteria (application target, execution period, change of design, collaboration among participants, expert participants, alternative review and decision support system). DFS wa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s system based on the identical criteria and the correspond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also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improve DFS system in various aspects.

      • KCI등재

        일본어 상급 학습자의 조건표현 운용 실태 연구-모어화자와의 작문 비교를 통하여-

        김시은 한국일어교육학회 202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al expressions of Korean learners of the Japanese language at advanced level and to study the direction of conditional expression learning in the advanced stages. This is because conditional expression is an expression frequently used in various communication scenes or items that learners have difficulty learning. This study extracts all the conditional statements used in the opinion essay database written by the learners and the native speakers on the same topic. And the general trend of using each conditional expression was identified, compared, analyzed, and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view, the native speakers overwhelmingly used ‘ば’, followed by と''. The difference was obvious. The conditional sentence of the inevitably and constantly relational relationship tends to use ‘と’, and in case of subjective opinions in the back, ‘ば’ tends to be used. On the other hand, the learn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age of と と, ば, and た ら, not only in number but also in content because the usage of ‘ば’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native speakers, and the usage of ‘た ら’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dition, unlike native speakers, it was difficult to find a prominent criterion that distinguishes each conditional expression by using ‘と’ when a subjective opinion comes after it. Each conditional expression could be seen to be distinguished by senses rather than knowledg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what the advanced learners need most is learning about the meaning of ‘と’.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learn through various examples. Unlike native speakers, learners can avoid using ‘ば’ and use ‘と’ instead because they still lack understanding of the usage of ‘と’. And for more accurat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writings as well as opinions. 본고는 한국인 일본어 상급 학습자의 조건표현의 사용 실태를 밝히고 상급 단계에서의 조건표현 학습의 방향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조건표현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장면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표현이나 학습자들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항목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와 모어화자가 같은 주제로 작성한 의견문 데이터베이스에서 ‘と’, ‘ば’, ‘たら’, ‘なら’가 포함된 조건문을 모두 추출한 후 각 조건표현 사용의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여 비교・분석하여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고찰의 결과 모어화자는 ‘ば’의 사용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다음으로 ‘と’의 사용률이 높았는데 주로 필연적이고 항상적인 관계의 조건문에서는 ‘と’를 사용하고 후건에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오는 경우는 ‘ば’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습자는 ‘と’, ‘ば’, ‘たら’의 사용량에 비교적 큰 차이가 없었는데 ‘ば’의 사용량은 모어화자보다 현저히 적었으며 모어화자는 거의 사용하지 않은 ‘たら’의 사용량은 월등히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모어화자와 달리 후건에 주관적 의견이 오는 경우에 ‘と’를 많이 사용하는 등 각 조건표현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눈에 띄는 기준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상급 학습자에게는 ‘と’의 의미 용법에 관한 학습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습자가 모어화자와 달리 ‘ば’의 사용을 피하고 대신 ‘と’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이 ‘と’의 용법에 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한 것에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일본어 상급 학습자의 연어 운용 실태 연구

        김시은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2 日本語敎育 Vol.- No.99

        본고의 목적은 한국인 일본어 상급 학습자들의 연어 운용 실태를 파악하고 상급 학습자들을 위한 연어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같은 주제로 모어화자와 상급 학습자가 작성한 작문을 수록한 코퍼스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작문 안에서 사용한 연어를 추출하고 이를 모어화자와 비교하는 것으로 상급 학습자의 연어 운용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급 학습자 연어 운용의 다음과 같은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 수 있었다. 첫째, 학습자들은 초기에 습득한 연어는 모어화자보다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단어의 조합뿐 아니라 연어 자체의 용법에 있어서도 모국어의 영향이 강했다. 셋째, 같은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하는 연어 및 단어가 모어화자의 그것과 다른 경우가 많았다. 넷째, 단어를 사용하는 의미 영역이 대단히 한정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상급 학습자의 연어 학습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시해 본다. 먼저 상급 학습자용 연어 리스트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이미 습득한 연어에 대해서도 그 용법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단어의 의미영역에 관한 심화 학습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