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하 광덕의 지성성과 실천성

        서재영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2 한국불교사연구 Vol.21 No.-

        금하 광덕(金河光德, 1927~1999)은 격동의 근·현대사를 가로질러 간인물로 현대 한국불교사에서 전법(傳法)의 새로운 모범을 개척한인물로 평가받는다. 일제강점기에 가난한 소농의 아들로 태어난광덕스님은 가족들의 잇따른 죽음과 자신의 병고로 힘든 유년시절을 보냈다. 그러나 20대 초반 아픈 몸을 추스르기 위해 요양 차 범어사로 입산하여 동산스님을 만나면서 삶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된다. 광덕스님의 사상은 개인, 불교, 사회라는 세 가지 층위에서 겪게 되는 역사적 경험을 통해 조형된다. 첫째, 개인적 배경으로 가난, 죽음, 병고에 시달리는 삶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존엄성 회복을 꿈꾸게 된다. 둘째, 불교적 배경으로 불교정화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부처님의 정법(正法)을 오래 머물게 해야 한다는 정법구주(正法久住)의종교적 이상을 갖게 된다. 셋째 사회적으로 식민통치와 전쟁, 이념갈등으로 인한 고통을 겪으면서 세상을 평화롭게 하고, 고통 받는사람들을 구제해야 한다는 사회적 이상을 갖게 되었다. 광덕스님은 『육조단경』의 선사상, 『금강경』의 반야사상, 「보현행원품」의 화엄사상을 통해서 자신이 꿈꾸던 인간완성, 불교발전, 사회완성을 이룰 사상적 내용을 찾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광덕스님은1974년 불교 잡지 『불광』을 창간하고, 송파구에 불광사를 창건함으로써 도시불교, 대중불교를 표방하는 현대불교의 새로운 서막을열었다

      • KCI등재

        청담 순호의 지성성과 실천성* ― 客觀의 認識과 對象의 淨化를 中心으로 ―

        이성운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2 한국불교사연구 Vol.21 No.-

        이 글에서는 청담 순호(1902~1971)의 불명과 법호의 보편적 의미를도구로 삼고 그의 생애와 사상에서 그의 지성성과 실천성을 살펴보았다. 순호의 지성성은 ‘시대와 상황의 인식’이라는 부제로 해명하였다. 순호의 지성성은 열린 사고로 세계의 주체는 ‘마음’이라고 인식하는과정, 개운사강원에서 사교와 대교를 보는 교학의 섭렵으로 인식을확장하는 과정, 교학 위에 참선 수행으로 불교의 진수를 닦는 과정, 호국불교의 전개와 종단의 탈퇴라는 강수에서 그의 지성성이 확인되는데, 청담 순호의 지성은 본질의 지성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청담의 실천성은 ‘승가와 신도의 정화’라는 부제로 해명하였다. 어린 나이에 서당에서의 바르지 못한 행위를 하는 벗을 응징하거나독립 만세의 선봉에 서거나 좋지 않은 벗들을 바르게 교정하는 데서 주체의 회복을 실천하는 모습, 청담 실천의 핵심인 정화(淨化)는나와 남, 나와 승가, 교단, 사회 등에 고루 적용하여 실천하는 모습, 또 국가 사회의 정화를 위해 교단 밖의 타종교나 국사 사회의 정화를 위한 그의 실천은 평생을 일관하는 모습과 교단 조직의 시안인영산도를 창안하는 모습이나 세계불교지도자대회에 참여하는 모습등에서 그의 지행합일적인 실천성이 확인된다

      • 화쟁사상을 둘러싼 쟁점 검토

        박태원 ( Tae Won Park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2 No.-

        기존의 화쟁사상 연구들은 크게 두 가지 상이한 태도 위에 진행되고 있다. 화쟁사상과 원효의 일심 및 전체사상을 무차별하게 결합시켜 다루는 경우가 하나이고, 양자를 구별하여 취급하는 경우가 다른 하나이다. 그리고 화쟁사상의 범주와 대상을 제한시켜 탐구하는 연구들은 다시 그 범주와 대상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대해 입장이 갈라진다. 원효 사상 전체를 화쟁의 논리에 의거하여 독해하려는 방식에서는 화쟁사상과 원효사상은 구별할 필요가 없이 완전히 하나로 결합되어 버린다. 이러한 독해는 ‘화쟁’이라는 말의 의미와 범주를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확대시키고 있고, 그에 따라 화쟁 특유의 문제의식과 실제 범주로부터 일탈하고 있다. 확인 가능한 자료에 의거하는 한, 화쟁사상의 범주는 원효사상의 전체 체계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화쟁’은 구체적 쟁론들을 염두에 둔 문제 해결의 태도를 담고 있는 언어이며, 원효 자신도 그러한 의미로서 사용했다고 보아야 한다. 화쟁사상의 범주는 ‘불교 이론에 관한 상이한 견해들’로, 화쟁의 대상은 ‘불교 이론에 관한 상이한 견해들로 인해 생겨난 배타적 대립과 불화 및 상호불통 상황’이라 보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신, 구유식의 갈등이나 중관과 유식의 공·유 대립은 원효가 전개한 화쟁 논법의 대상으로 보기 어렵다. 아울러 화쟁이론의 성격은 ‘화해이론으로서의 종합주의’라기 보다는, ‘통섭(通攝)이론으로서의 화회(和會)주의’라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원효가 구사하고 있는 화쟁의 논리 형식을 확인하는 작업은 화쟁 원리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모든 쟁론 상황에 적용하기만 하면 화쟁이 되는, 그러한 논리 형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원효의 화쟁 논리에 대한 관심이 그러한 기대를 담고 있는 것이라면, 그 탐구 결과는 공허할 수밖에 없다. 화쟁 논법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긴요한 것은, 화쟁의 논리 형식을 펼쳐내는 ‘원천’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세밀한 포착이다. ‘긍정·부정의 자유자재’ ‘극단적 견해를 버림’ 등의 논리형식은 그럴듯해 보일지 몰라도, 실제 쟁론에 적용하기에는 모호하거나 막연하여 문제 해결에 무력하다. 쟁론의 문제 해결을 위해 실제로 요구되는 것은, ‘긍정과 부정 및 극단적 견해의 내용 여하를 변별하는 경계선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능력’이다. 긍정과 부정의 적절한 경계선을 포착하는 능력이 수반되지 않는 ‘긍정·부정의 자재’는 공허할 뿐 아니라 위험하기조차 하다. 화쟁의 논리형식이 솟구치는 ‘원천’은, 이 ‘긍정·부정의 적절한 변별과 판단을 위한 경계선 포착력’을 근원적 수준에서 계발시키고 발전시켜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원효의 화쟁 논법이 그러한 원천에 기반하는 것이라면, 화쟁 논법은 불교적 쟁론뿐 아니라 세간의 쟁론 일반의 치유에도 유효할 수 있는 보편적 화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 만약 화쟁 논법의 원천에서 그러한 내용과 의미를 포착할 수 없다면, 화쟁사상의 한계는 명백하다. 향후의 화쟁사상 탐구는 이 점에 주력해야 한다. There has been two different types of study on the Won-hyo`s philosophy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One type is to connect the thought of dispute-reconciliation with the whole system of Won-hyo`s philosophy indiscriminately, another type is to treat them discriminately. The type of connecting the philosophy of dispute-reconciliation with the whole system of Won-hyo`s philosophy indiscriminately expands the category and meaning of the word dispute-reconciliation(和諍)` too much, thus deviates from the actual category and problem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s the word that has the desire to solve the concrete disputes, and Won-hyo must have to use the word with this meaning. The category of the philosophy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s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n the Buddhist theories, and the object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s the situation of exclusive confrontation and conflict and non-communication caused by it. The disagreement between ex-school of Yogacara(舊唯識) and neo-school of Yogacara(新唯識), and the confrontation of emptiness(空)·existence(有) of Madhyamaka(中觀)·Yogacara(唯識) cannot be regarded as the object o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principle o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source of dispute-reconciliation`s logic must be elucidated in detail. The source of dispute-reconciliation`s logic is to develop the capability to grasp the boundary line for the appropriate discrimination and decision of affirmation or negation. I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is to be founded on that source, hi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could not only have the healing capability on the Buddhist disputes but have the universal capability of healing on mundane disputes. The research on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hereafter needs to concentrate on this subject. Subject : Buddhist Philosophy, Philosophy o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 KCI등재

        『삼국유사』의 신앙과 수행

        배금란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3 한국불교사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삼국유사 의 불교 신앙 기사들을 전수조사의 형식으로검토하여, 확인되는 불교 신앙 및 신행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불교신앙의 양상을 미륵신앙, 미타신앙, 관음신앙, 사리 및경전신앙, 신중신앙으로 구분하여 각 신앙의 내용과 특징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성도, 왕생, 소원성취, 재난극복 등 다양한 원력을 바탕으로 불보살의 가피를 입기 위해 실천되었던 신행 및 수행의 내용과 행법을 크게 재계와 참법, 은둔 두타행, 결사 수행, 밀교 신행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고찰했다. 삼국유사 는 삼국사기 나 해동고승전 등에서 다루지 않거나일실(逸失)된 고대의 불교 유산(遺産)과 유사(遺事)의 기록이다. 일연의 시대까지 전승되었던 고기, 승전, 사적 등을 토대로 사탑이나 성지에 얽힌 또는 특정 인물들과 관련된 설화 전승의 찬집이라는 점에서 한국불교의 신앙과 수행의 구체적 양상을 체계적으로 확인하 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민중에 의해 실질적으로 실천되었던 신앙과 행법의 다양한 사례들을 담고 있어 현행한국불교 신행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전거라고 하겠다.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실천성과 지성성 ― 『불교대전(佛敎大典)』을 중심으로 ―

        강은애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2 한국불교사연구 Vol.21 No.-

        His unique Buddhist practice and intellect are reflected behind Manhae Han Yong-un's a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national and social issues and to lea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historical field of the time. The Great Texts of Buddhis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mbryonic product of modern Buddhism, is a text that can simultaneously examine Manhae's existential practicality and epistemic intelligence as a kind of doctrinal classification theory. You can see how they tried to interpret and reorganize Buddhism in the new era of ‘modern’. The third Buddha's work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odhisattva by placing the original source, wisdom, and mercy of Bodhisattva in the field of the Buddha's original source, wisdom, and mercy, respective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dea of Bodhisattva is deeply embedded in the root of Manhae's practicality, and the process of planning and editing The Great Texts of Buddhism itself is a religious practice of patience and shows the practical intelligence of Manhae by performing Bodhisattva. Manhae sublimated the spiritual spirit of the righteous and virtuous, which he had deep in his heart as a child, into the power of the Mahayana Bodhisattva, and the Buddha-nature theory of the Buddha-nature of all living beings is freedom and equality. By securing a place in the modern ideological system of Manhae, he built a world of practical intelligence. Compilation of The Great Texts of Buddhism is an example of trying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time in both tradition and modernity. Manhae's intellect can be evaluated as being wen-gu-zhi-xin(溫故知新). By learning the merits of Confucianism, which is the old one, creatively inheriting the new modernity by putting it off, he tried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times through Buddhist re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e Great Texts of Buddhism, which reflects the practicality of bodhisattvas and the intellect of wen-gu-zhi-xin(溫故知新), can be said to be a joint product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Manhae tried to reinterpret his religious belief, Buddhism's ideal, in a turbulent era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 to find a concrete solution to the problem at hand and to realize it in the field of history through practical actions. This practical intelligence of Manhae can be said to be a valuable legacy that is more desperately requested in this era when life and knowledge are divided and fragmented. The biggest reason Manhae is still being talked about today is probably because of his courageous practical ability and consistent attitude to life in harmony with her own intellectual abilities to make history on this earth without isolating her intellectual knowledge in the metaphysical and ranscendental world. He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figure in the modern Korean intellectual world, who personally practiced equality and a savior-like life through an Unconstrained Conduct based on universal intellect, going beyond religion and ethnicity.

      • KCI등재

        『삼국유사』의 「탑상」에서 불상의 신성성 획득구조에 대한 고찰

        서정원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3 한국불교사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삼국유사 「탑상」에 나타난 불상들이 어떻게 신앙의 대상으로 역할을 할 수 있었는지를, 불상의 신성성 획득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불상이 신성성를 획득해온 과정이란 앞에말한 신앙 대상으로서 역할을 부여받기까지 겪은 여러 곡절 그 자체를 말한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먼저 기원 전후 불상이 탄생하여삼국시대에 전래될 때까지 겪어온 종교적 의미의 변천을 간략하게다룰 것이다. 그리고서는 삼국유사 의 내용 중, 불교미술편이라할 수 있는 「탑상」에서 실제로 불상의 신성성이 어떻게 다루어지고있는지 살펴보아 불상을 둘러싼 불교사상적, 미학적 발전이 어떻게아시아를 가로질러 한반도에 정착되었는지 확인했다. 본래 불상은 신앙대상으로서 불교사에서 늦게 등장하였으며, 등장이후에도 본래의 신앙대상이던 사리를 완전히 대체하지 못했고, 오히려 사리에 의해서 신성성을 획득하는 부차적 대상이었다. 이는인도와 중국에서 일관되게 관찰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탑상」에나타난 불상들은 신성성을 획득하는 데에 사리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고, 다양한 신이담을 통해 신성성을 획득하였다. 또 특기할 사항으로서 조성에 막대한 경제적 희사가 이루어진 불상을 다른 신이담없이 기록하고 있는 조목들이 있다. 일연이 다른 여러 불상을 제치고 특출난 불상으로 선정했다는 점에서 적어도 이 불상들이 가진영향력은 큰 것이었으리라 추측된다. 하지만 이 조목만을 보았을때, 이 불상들이 신성한 영향력을 가질 만한 것은 그저 경제적 규모에 의한 것 이상으로 확인되는 바가 없는데, 이런 경제적 가치와신성성의 비례에 대해서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으로 이해해 보았다.

      • KCI등재

        『삼국유사』 「흥법」편의 내용과 특징*

        이성운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3 한국불교사연구 Vol.23 No.-

        불교문화 관련 이야기가 많이 담겼다고 해서 ‘불교문화사류’로 보는것은 삼국유사 의 본질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삼국유사 는 문자 그대로 유사(遺事)이고 별이(別異)한 것을 교정한, 기전체를 바탕으로 한 기사본말체에 가까운 준 역사서라고 하겠다. 삼국유사 흥법 편의 여섯 조목은 불교의 수용과 국운의 융성에관련된 내용으로 불법의 흥성이 세간의 흥성으로 이어진다는 인식으로 짜였다. 불교가 전래 되고 수용된 것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정치적인 목적에 의해서였다고 일연은 분명하게 그 구조와 인식에서 밝히고 있다. 고구려의 불교공인도 그렇고, 백제 또한 불교의 수용이상당히 수월하게 이뤄졌다. 하지만 신라의 경우 법흥왕의 사신(捨身)으로 흥법하고 박염촉의 멸신(滅身)이라는 희생에 의지하여 비로소신라에 불교가 널리 펴질 수 있었다. 이때부터 신라에는 어떤 집이나 예불을 드리면 반드시 대대로 영화를 얻게 되고 누구나 불도를행하면 반드시 불법을 깨쳐 깨닫게 되는 이익을 얻었다. 불교의 흥법은 백성이 이롭지만 그렇지 못하면 나라가 망하고, 또지나친 불교의 흥법이나 신봉은 오히려 나라가 망할 수 있다는 것을 편제의 구조와 인식의 설명으로 분명하게 드러내 보여주고 있는것이 삼국유사 흥법 편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 만해 한용운의 일본 체류 체험과 근대 유럽 인식의 지형 ― ‘자유사상’의 확립과 ‘평화사상’의 확보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2 문학/사학/철학 Vol.72 No.-

        이 논문은 만해 한용운(萬海奉琓, 韓龍雲, 1879~1944)의 자유사상의 확립과 평화사상의 확보 과정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그는 분황 원효(芬皇元曉, 薛思, 617~686)와 함께 한국인으로서 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만해는 한국의 조선 말엽에 태어나 전통 한학을 익힌 한국인이면서 대한시대(1897~남북통일)에 청나라와 일본을 거쳐 근대 유럽의 철학 사상을 인식했던 세계인이었다. 원효의 진면목이 ‘붓다’와 ‘보살’과 ‘논사’의 일체화라면, 만해의 진면목은 ‘혁명가’와 ‘선승’과 ‘시인’의 일체화(一體化)이다. 이들에게 이 세 가지 성격은 마치 정삼각형과 같아서 어느 것이나 다 다른 양자(兩者)를 저변(底邊)으로 한 정점(頂點)을 이루었다. 만해는 전통 한학과 근대 서양철학을 수학하고 이것을 유심(惟心)과 유신(維新)의 필터로 걸러내어 자유와 평화의 기호로 펼쳐내었다. 이 때문에 그의 자유와 평화 사상은 한국을 넘어 세계에서 새로운 평가를 받고 있다. 만해 종교적 삶은 역사와 접목되어 생명력을 얻어 왔고, 그의 철학적 앎은 사상과 접속되어 오늘날에도 여전히 폭발력을 지녀오고 있다. 자기를 타자화 해 본다는 것은 자기를 ‘해 저문 벌판에 던져보는 것’이다. 자기를 객관화 해 본다는 것은 ‘주체를 바꾸어보는 것’이다. 청나라와 대한, 대한과 일본, 일본과 유럽의 관계 속에 자신을 놓아보는 것이다. 그는 오랜 자내적 인식에서 벗어나 비로소 대타적 인식을 가져볼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만해는 만해사상의 서론인 『조선불교유신론』을 집필하였고 만해철학의 결론인 『불교대전』을 편찬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만해사상’ 즉 ‘독립사상’을 수립하였다. 그것은 곧 ‘자유사상’이자 ‘평화사상’이었다.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과 『불교대전』 및 『조선독립의 서』와 『님의 침묵』 그리고 『유마힐소설경강의』 등이 그의 일본 체류 체험과 근대 유럽 인식의 지형 속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그의 동경과 교토 등의 체류 체험과 근대 유럽 인식이 그의 자유 이해와 평화 인식에 큰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었다. 만해는 『조선불교유신론』-「조선독립의 서」로 이어지는 ‘유신’과 ‘독립’의 기호를 통해 자유의 언어를 발견하였고, 『님의 침묵』-『유마힐소설경강의』로 이어지는 ‘님’과 ‘침묵’의 기호를 통해 평화의 언어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만해는 국내외의 사상적 연쇄를 통해 근대적 자각을 이뤄낼 수 있었고 그의 성취는 대한의 독립에 커다란 자양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자양분은 바로 한민족이 갈망해온 자유의 언어와 평화의 언어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free thought and securing peace ideology by Manhae Yong-woon Han (萬海奉琓, 韓龍雲, 1879-1944, hereafter, Manhae). Along with Bunhwang Wonhyo (芬皇元曉, 薛思, 617-686), he is the most widely known Korean person in the world. Manhae was born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in Korea; he was a Korean who learned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and a global citizen who understood modern European philosophical thought through Ching and Japan in the age of Great Korea (1897-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f Wonhyo’s true worth is the integration (一體化) of “Buddha,” “Bodhisattvas,” and “treatise masters,” Manhae’s true worth is the integration (一體化) of “revolutionists,” “Zen masters” and “poets.” These three characters are similar to the vertices of an equilateral triangle because one vertex must be based on the other two. Manhae studied traditional Chinese classics and modern Western philosophy, clarified it through the filters of “mind-only” (惟心) and “revitalization” (維新), and unfolded it as a symbol of freedom and peace. For this reason, his ideas of freedom and peace are receiving new appreciation not only in Korea but also globally. Manhae’s religious life has gained vitality by being grafted onto history, and his philosophical knowledge is connected with ideology and continues to have explosive power today. Trying to “otherize” yourself involves throwing yourself into a dark field after the sun goes down. To otherize oneself is “to change one’s self-identity.” In the case of Manhae, this meant putting himself into a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Korea, Korea and Japan, and Japan and Europe. As a result of his devotion, he was able to have an objectified view only after leaving the old introspective view behind. In this process, Manhae wrote Chosun's Buddhist Reformation, an introduction to Manhae’s thoughts, and compiled The Great Book of Buddhism, the conclusion of Manhae's philosophy. Thus, he established the “Manhae thought,” that is, the idea of independence idea, and it included free thought and pacifism. Manhae’s Buddhist Reformation, The Great Book of Buddhism, The Book of Korean Independence, The Lover's Silence, and Lecture on Vimalakīrti-nirdeśa-sūtra were found to have been created in the context of his experience of sojourn in Japan and his understanding of modern Europe.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his experience of staying in Tokyo and Kyoto and his understanding of modern Europe had a great influence on his awakening with regard to freedom and peace. Manhae discovered the language of freedom through the symbols of “reformation” and “independence” leading to Chosun’s Buddhist Reformation and The Book of Korean Independence ; he discovered the language of peace through the signs of “lover” and “silence,” leading to The Lover’s Silence and Lecture on Vimalakīrti-nirdeśa-sūtra. That was how Manhae was able to achieve modern awakening through ideological chains at home and abroad, and his achievement can be said to be a great nourishment for Korea’s independence. That nourishment was the language of the freedom and peace that Koreans longed f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