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해배(解配) 이후 교유관계에 대한 고찰(1) -前期(1818~1827)에 限하여-

        金奉楠 ( Kim¸ Bong-nam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8

        본고는 다산 정약용(1762~1836)이 해배되어 고향에 돌아온 1818년 9월부터 1827년 12월까지 약 9년 동안의 교유관계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교유시에 나타난 시적 형상화의 주요 표현기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다산의 나이로 보자면 57세에서 66세까지이며 노년기의 전반부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를 통해 다산 노년기의 교유양상에 대해 알게 되었을 뿐 아니라, 다산 노년기의 삶과 사유가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다산이 해배 이후 세상을 떠날 때까지 교유한 인물은 모두 73명인데, 그 중에서 친족을 제외하면 66명이고, 66명 중에서 전반부에 속하는 인물은 39명이다. 본 논문에서는 39명 중에 비중이 높은 19명을 ‘親舊·尊丈·後輩’ 세 그룹으로 나누어서, 시에 나타난 교유양상과 시적 형상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친구 그룹에는 尹永僖·金商雨·尹書有·申綽·李載毅·韓益相·鄭元善·李魯和·李淵心·李舜卿·尹養謙·閔伯善·尹善戒 등 13명이, 존장 그룹에는 申景玄·趙可敎·李楘 등 3명이, 후배 그룹에는 金商儒·尹鍾遠·權永佐 등 3명이 속해 있다. 이 19명의 지인들은 다산이 해배 이후 고향에 돌아와 새로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큰 기쁨과 위로를 안겨 주었다. 다산이 그들과 교유하며 지은 시에는 갖가지 교유양상이 담겨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산 내면의 여러 가지 생각과 고뇌와 정회가 짙게 배여 있었다. 그리하여 지금으로부터 200년 전에 생존했던 다산의 노년기의 진면모를 눈에 보이는 듯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다산은 교유시를 지을 때 用事·點化·直敍의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시를 효과적으로 조직하였고, 그렇게 하여 자신의 心懷와 情感과 苦惱 등을 적절하게 시에 표현하였다. 다산은 用事를 통하여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뜻을 함축적이면서 비유적으로 표출하였고, 點化의 방식을 통하여 시를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原詩의 의미와 자신이 지은 시를 연관 지어 생각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자신의 진솔한 내면을 숨김없이 直敍함으로써 친구에게 자신의 眞正한 마음을 전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ptember 1818 and December 1827, when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returned home from exile. In addition, the main expression techniques of poetic imagery that appeared in poems built during Yak-yong(丁若鏞)'s intercourse were considered. Jeong Yak-yong(丁若鏞)'s age ranges from 57 to 66 years old,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half of his old age. Through this study, I learned not only about Jeong Yak-yong(丁若鏞)'s the aspect of fellowship in his old age, but also about his life and thoughts in his old age. A total of 73 people have met and played since Jeong Yak-yong(丁若鏞) was exiled from exile until his death. Among them, there are 66 people excluding relatives, and 39 of the 66 people belong to the first half. In this paper, 19 of them, who have a high proportio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riends, respected adults, and juniors, and looked at the aspects of the relationship and poetic imagery that appeared in the poem. The group of friends includes Yoon Young-hee(尹永僖), Kim Sang-woo(金商雨), Yoon Seo-yu(尹書有), Sin jak(申綽), Lee Jae-ui(李載毅), Han Ik-sang(韓益相), Jeong Won-seon(鄭元善), Lee No-hwa(李魯和), Lee Yeon-shim(李淵心), Lee Soon-kyung(李舜卿), Yoon Yang-gyeom(尹養謙), Min Baek-seon(閔伯善), Yoon Gye-seon (尹善戒). In the senior group, there are three members Shin Kyung-hyeon (申景玄), Jo Ga-gyo (趙可敎), and Lee Mok (李楘). In the junior group, there are three members: Kim Sang-yu (金商儒), Yoon Jong-won (尹鍾遠), and Kwon Young-jwa (權永佐). The 19 friends brought great joy and comfort to Jeong Yak-yong(丁若鏞) in returning to his hometown and living a new life after he escaped exile. The poem, which Jeong Yak-yong(丁若鏞) wrote while meeting and playing with them, contained various images of fellowship, and the inner reasons and regular meetings of Jeong Yak-yong(丁若鏞) were deeply ingrained. As a result, I could feel the true face of Jeong Yak-yong(丁若鏞)'s old age, which survived 200 years ago. In addition, Jeong Yak-yong effectively organized his poems by using the expressions of yongsa(用事)·jeomhwa(點化)·jigseoui(直敍). And it could be seen that he successfully expressed his feelings and anguish in poetry by using the three expression methods appropriately. Jeong Yak-yong was able to express what he wanted to convey in a figurative and connotative way through the yongsa(用事), And through the jeomhwa(點化), the reader of the poem was encouraged to think in relation to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original poem. And he tried to convey his sincere heart to his friend by describing his true inner self without hiding it.

      • KCI등재

        중학교 漢詩 교육을 위한 제안 - 2009개정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봉남(Kim, Bong-nam)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2 No.-

        필자가 생각하는 2009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14종의 한문 교과서와 한시영역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한문 교과서에 수록된 한시 작품의 수가 적은 것이고, 두 번째는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대단원과 소단원의 구성에 연관성이 부족한 것이며, 세 번째는 교과서에 수록된 한시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필자가 제안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안은 한문 교과서 대단원을 장르 중심에서 주제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1개의 소단원에 같은 주제를 가진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수록 하는 것이다. 즉 1개의 소단원 안에 주제와 관련된 단어와 성어(또는 속담) 와 경서(또는 격언・제자서), 한시, 산문(또는 소설)을 수록하는 것이다. 소단원의 주제가 무엇이냐에 따라 소단원에 수록하는 장르의 비중을 다소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만약 소단원의 주제가 ‘만남과 이별’이면 한시나 산문의 비중을 다소 높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만남과 이별의 정감은 시문으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소단원의 주제가 ‘자애와 효도’일 경우는 논어 와 같은 경전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겠다. 마지막 으로는 학생들 눈높이에 맞는 한시 작품을 27개의 소단원에 각각 2수씩 제시하여 한문교사들이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구성은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여전히 걸림 돌이 되는 것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이다. 필자가 제시한 방안이 미래에 새로 제작될 한문교과서에 얼마나 적용될지 알 수 없다. 더구나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분량이 줄어들고 있는 지금의 추세와 역행한다는 지적을 받을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중학교 한문교과서는 지금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소견이 다. 한문 수업 시수가 적다고 해서 한문교과서의 내용을 계속 줄여 나간다면 한문교육의 위상도 점차 위축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There are three kinds of Chinese textbooks and the problems of the Chinese poetry area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hinese textbooks and curriculum that I think. The first is that the number of Hanshi works in the textbooks of Chinese textbooks is small, the second is the lack of relevance to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and sub-departmen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and the third is that the textbooks listed in the textbooks do not fit the students eyes. To improve these three problems, I proposed the following alternatives. The first alternative is to organize the Chinese textbooks as main themes. Then, in one subanalysis, the collection of works of various genres with the same theme. In other words, it contains the words related to the subject, the words (or proverbs) and the scriptures (or proverbs / disciples), the poems, and the prose (or novels) in one subsection.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sub-department, the proportion of the genres included in the subdepartment may be somewhat different. If the subject of the sub-committee is ‘meeting and separation’, it would be bette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rose or prose. The feeling of meeting and separation is often expressed in the form of a poem. On the other hand, if the subject of the sub-department is ‘charity and filial piety’,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scriptures such as non-eo(論語) . Finally, two works were presented to each of the 27 sub-departments, so that the teachers could use them in class. As such, the composition of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needs overall change.However, it is still a stumbling block to 900 elementary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 Chinese education. I do not know how much my suggestion will apply to future Chinese textbooks. Moreover, it may be pointed out that it is contrary to the present tendency that the volume of middle school textbooks is decreasing. However, in the long run, it is my opinion that middle school textbooks should be strengthened now. If the number of Chinese class lessons is small and the content of Chinese textbooks is continuously reduced, the status of Chinese textbooks will gradually diminish.

      • KCI등재

        茶山과 天主敎 관련 人物들과의 관계 고찰

        Kim Bong nam(金奉楠)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본고는 정약용과 천주교 관련 인물들과의 관계를 고찰한 논문이다. 2장에 등장하는 이벽ㆍ이승훈ㆍ권일신ㆍ정약종은 조선에 천주교를 창설하고 이끌었던 인물이다. 정약용은 이벽ㆍ이승훈을 존모하였고 각별하였으나, 권일신과는 친밀하지 않았던 것 같고, 정약종과는 뜻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형제간의 의리를 지켰고 서로 존중하였다. 3장에서 살펴본 이가환ㆍ이기양ㆍ권철신ㆍ오석충ㆍ정약전은 처음에 천주교에 가담하였다가 이내 끊었거나 아예 무관하였지만, 반대파의 모함과 조작에 의해 천주교에 연루되어 화를 당한 인물이다. 정약용은 이들을 음해한 공서파의 악행을 낱낱이 기술하여, 그들의 억울한 죽음을 위로하였다. 4장의 목만중ㆍ이기경ㆍ홍인호ㆍ홍의호는 이른 바 남인 공서파에 속한 인물이다. 본래 정약용과 가까운 사이였던 이들은 채제공이 재야로 물러났을 때 蔡黨과 결별하거나, 다산과 오해가 있었거나, 천주교 처단을 빌미로 서로 뜻을 모아 집권세력에 붙어 권세를 누리며 다산 일파를 공격하였다. 5장에서는 다산과 천주교와의 관계를 조명하기 위해 '텍스트에 관한 문제', '천진암ㆍ주어사강학회의 성격과 다산의 참석 여부', '다산의 사상과 천 주교와의 관계'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한때 천주교 서적을 열독하고 신자가 되었지만, 진산사건 이후 천주교를 끊었다고 한 정약용의 고백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外背內信한 천주교 신자가 아님을 밝혔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Jeong Yak-yong and Catholic Church-related figures. Lee Byeok, Lee Seung-hun, Gwon Il-shin, and Jeong Yak-jong in Chapter 2 built and led Catholic Church in Joseon. Jeong Yak-yong respected, missed, and had particular affection toward Lee Byeok and Lee Seung-hun but had no close relationships with Gwon Il-shin. He cherished brotherly loyalty and respect even though he had different intentions from Jeong Yak-jong. In Chapter 3, Lee Ga-hwan, Lee Gi-yang, Gwon Cheol-shin, Oh Seok-chung, and Jeong Yak-jeon quit Catholicism early or had nothing to do with it, but they got involved in Catholicism by the slander and manipulation of the opposition and suffered damage. Jeong Yak-yong recorded the evil deeds of those who maligned them in details and consoled their wrongful death. In Chapter 4, Mok Man-jung, Lee Gi-gyeong, Hong In-ho, and Hong Ui-ho belonged to the so-called Gongseopa of Namin. Originally having close relationships with Jeong Yak-yong, they parted with Chaedang when Chaejegong was out of power, had misunderstandings with Dasan, or attacked the Dasan party, gathering together under the pretext of persecuting Catholicism and enjoying power on the side of the ruling power. Chapter 5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asan and Catholicism by discussing "the issues with the texts," "the nature of Cheonjinam and Jueosaganghakhoi and Dasan's participation in them," and "Dasan's ideology and Catholicism."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is no doubting his confession that he passionately read Catholic books and became a Catholic at one time but quit the religion after the Jinsan Event, indicating that he was no Catholic.

      • KCI등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시(詩)에 나타난 두보(杜甫) 시(詩) 수용양상(2)-의운시(依韻詩)와 모의시(模擬詩)에 나타난 작시방법(作詩方法)과 수용양상을 중심으로-

        金奉楠 ( Kim Bong-nam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80

        다산 정약용의 시는 두보의 시를 통해 높은 성취를 이루었다. 본 논문은 정약용이 두보의 시를 依韻하거나 模擬하여 지은 시에 나타난 수용양상을 作詩 方法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론은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번째 방법은 原詩의 末句를 제목으로 삼아 原詩의 내용을 심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作詩法을 통해 정약용은 原詩의 주제와 내용을 더욱 자세하게 묘사하고 다채롭게 표현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독자적인 詩想 전개를 위해 의도적으로 詩題를 변경하는 것이다. 정약용은 자신이 구상한 내용을 시에 담기 위해 의도적으로 原詩의 제목을 일부 변경하여 시제로 삼았다. 그는 단지 ‘현실에 대한 고뇌’라는 題材만 수용하고 시의 내용은 原詩와 전혀 다르게 구성하였다. 세 번째 방법은 한두 개의 동일한 素材를 취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정약용은 두보의 시에서 단지 ‘강물’과 ‘갈매기’라는 두 개의 소재를 취하였는데, 두 소재가 함축하는 의미를 두보와 전혀 다르게 구성 하였다. 네 번째 방법은 原詩를 模擬하여 유사한 情操로 다른 내용을 담는 것이다. 정약용은 두보의 ‘三別詩’를 본떠서 ‘三別詩’를 지었으나, 두보 시와 다른 독창적인 내용을 담았다. 다만 두 시인의 동일한 정서가 시에 녹아 있어, 정약용과 두보의 시는 시공을 초월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정약용은 두보 시의 일부 구절을 點化하되 새로운 뜻을 창안하기도 하였다. 정약용의 시는 두보의 시를 수용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았다. 그는 두보의 시를 수용하여 자신만의 새롭고 독창적인 시로 변모시켰다. The poem by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was highly accomplished through Du Fu(杜甫)'s poem. This paper is based on the method by which Jeong Yak-yong examines the acceptance patterns of Du Bo's poems by rhyming them or simulating them. The main idea consisted of four parts. The first method is to deepen the original poem's contents using the last phrase of the original poem as its title. Through these writing techniques, Jeong Yak-yong described the original theme and contents of the poem in more detail and presented them in a variety of ways. The second method is to deliberately change the title of a poem to introduce an independent award. Jeong Yak-yong deliberately changed the title of the original poem to include his ideas in the poem. He accepted only the sanctions of ‘painting the reality’ and the contents of the poem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oem. The third method is to take one or two identical materials and give them new meaning. Jeong Yak-yong took only two materials, ‘The River Water’ and ‘The Seagull,’ from the poems of Du Fu. However, the implications of the two materials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Du Fu. The fourth method is to copy the original poem and put other contents in similar sentiments. Jeong Yak-yong wrote ‘a poem about the three farewells(三別詩)’, which were modeled after Du Fu's poem that recited three separate stories. But he made it into an original work that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Du Fu's poems. However, as the same sentiments of the two poets are melting into the poem, Jeong Yak-yong and Du Fu felt that the poems were connected across time and space. Jeong Yak-yong parodied some of the verses of Du Fu's poems, but he also invented a new meaning. Jeong Yak-yong's poetry was not just about accepting Du Fu's poetry. He embraced Du Fu's poetry and transformed it into his new and original one.

      • KCI등재
      • KCI등재

        한자교육(漢字敎育),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김봉남 ( Bong Nam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5 No.-

        한자 교육을 잘 하려면 무엇보다 가르치는 내용이 좋아야 하고 가르치는 방법이 효과적이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한자의 기원이 담긴 甲骨文과 金文에 나타난 한자의 字源을 바탕으로 삼아 한자를 가르쳐야 함을 논의하였다. 본론에서는 갑골문 해석에 있어서의 異見을 검토해야 하는 것, 形聲字에 대한 인식을 전환해야 하는 문제, 會意字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관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교육 방법에 있어서는 동일 계통의 部首를 연계하여 설명하는 방식과, ‘觸類旁通’식 한자교육 방식과, 유사 한자를 상호 비교하여 설명하는 방식과, 한자의 의미 변화와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방식과, 本字와 後起字를 연관해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축적된 한자에 대한 문자학의 연구 성과를 한자교육에 적극 활용하되,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세분화된 교수방법을 통하여 한자를 가르쳐야 학생들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고, 아울러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Good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requires good teaching content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most of all. This study discussed a need to grow out of the old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which used to depend on Seolmunhaeja for the content purposes, and teach the origins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The study developed its discussion regarding a need to review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an issue of converting the perceptions of Hyeongseongja, and the right understanding of Hoiuija. Educational methods were divided into the way of connecting to the radicals of the same lines for explanation, the "Chokryubangtong"-styl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at of comparing similar Chinese characters for explanation, that of explaining the meaning changes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reasons, and that of explaining by connecting Bonja with Hugija. If the research findings of Chinese characters accumulated in the field of graphonomy are actively used i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t will generate great results.

      • 죽란시사(竹欄詩社)의 재조명(再照明)

        김봉남 ( Bong Nam Kim ) 우리한문학회 2012 漢文學報 Vol.26 No.-

        본 논문은 죽란시사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재검토하여 기존 연구에서 미처 말하지 못한 점을 부연하고 기존 연구와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는 점을 제시하여 죽란시사의 면모를 재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2장에서는 죽란의 의미와 죽란 설치의 이유와 설치시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고, 3장에서는 죽란시사의 결성시점과 결성 배경, 죽란시사의 성격과 의미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4장에서는 죽란시사의 시와 흥취에 대해 논의하였다. 죽란의 의미에 있어서 기존의 ‘대 난간’으로 번역하는 것 대신 ‘대 울타리’로 풀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죽란은 다산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다. 죽란 설치 시점은 다산의 나이 33살인 1794년 7월8일이거나 그 이전으로 추정되며, 죽란을 설치한 이유는 퇴청한 뒤 휴식을 취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즉 宦路에서 느낀 고단하고 우울한 심신을 위로하고 정화하기 위해서였다. 죽란시사의 결성시점은 1796년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 사이로 볼 수 있으며, 죽란시사 결성 배경과 이유는 당시 다산이 무직 상태에 있으면서 進退를 고뇌하던 차에 도리어 와해된 남인 인사들을 규합하여 친목와 결속을 도모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었다. 다산과 채홍원이 주동이 되고 총 15명의 남인의 인사가 참여한 죽란시사는, 단순한 친목도모를 넘어서 남인 蔡黨의 인사들을 규합하고 결속하는 정치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고, 동시에 가슴에 맺힌 울결과 분노를 표출하고 위로하며 동지애를 쌓아갔던 모임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old discussions about Jukranshisa again, add the points not address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present new point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from the previous studies, thus re-illuminating the aspects of Jukranshisa. Chapter 2 discussed the meanings of Jukran and the reasons and timing of its establishment. Chapter 3 covered the formation time and background of Jukranshisa in addition to its nature and significance. Chapter 4 addressed the poetry and taste of Jukranshisa. It will be more appropriate to translate Jukran into “a grand fence” instead of the old “grand railing.” The term Jukran was used to refer to "Dasan`s Myeongryebang house with Jukran" and further Dasan himself. It is estimated that Jukran was put up on July 8, 1794 when he was 33 years old or before that. Dasan installed Jukran to comfort his tired and depressed body and mind during the course of his service in the government and promote their purification. Jukranshisa was formed between middle May and middle June of 1796 as Dasan felt a need to muster Namin figures that were scattered around and facilitate friendship and unity among them. Led by Dasan and Chae Hong-won and comprised of total 15 Namin figures, Jukranshisa had political significance to gather together and unify Namin figures beyond the simple function to promote friendship among them and served such purposes as expressing their pent-up pressure and anger in the chest, comforting each other, and cultivating camaraderie.

      • KCI등재

        茶山 詩文에 나타난 불교에 대한 인식 고찰

        김봉남(Kim Bong nam)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1 No.-

        다산 정약용과 불교는 어떤 관계인가? 이것은 다산의 삶을 온전히 이해하고자 한다면 밀도 있게 살펴보지 않을 수 없는 문제이다. 왜냐하면 다산의 족적이 일생동안 전국의 여러 사찰들에 이르렀고, 여러 스님들과 교유를 맺었기 때문이다. 다산은 14세에 수종사를 유람한 것을 시작으로 전국의 여러 이름난 사찰을 방문하였다. 동림사・봉은사・천정암・천진암 등에서 다산은 청정한 삶을 견지하였고, 세속의 명리와 부귀공명을 멀리하였으며, 고단한 심신을 위로 받았다. 그리고 퇴락해가는 사찰의 운명을 안타까워 한 시를 통해 다산이 사찰의 존재를 소중하게 여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우리나라 전역에는 퇴락한 사찰이 많았는데, 이에 대해 다산은 관리들의 끝없는 탐욕이 사찰에까지 미쳐 털끝 하나의 이익도 놓치지 않으려고 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는 조선후기에 많은 사찰이 황폐해진 이유가 탐관오리의 탐욕으로 인한 가혹한 세금 징수 때문이었음을 나타내는 대목이다. 다산은 청파 혜원・연담 유일・설파 상언・해일・연파 혜장・수룡 색성・기어자홍・망해 하일・석봉 현・초의 의순・수운 스님 등 여러 스님들과 교유하면서 주고받은 것이 많았다. 그 중에 다산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사람은 연담 유일과 연파 혜장이었다. 다산은 젊은 시절에 유일 스님으로부터 자신과 다른 것을 배척하지 않아야 淸淨함을 얻을 수 있고 청정해야 天眞을 얻을 수 있다는 가르침을 받았고, 유배지에서는 혜장 스님으로부터 존경과 사랑을 받으며 힘든 시간을 이겨냈다. 이처럼 다산이 연담 유일을 비롯한 여러 스님들과 사상적으로 통했던 것은 다산의 학문적 스펙트럼이 넓었던 이유도 있었지만, 조선후기의 불교가 유교사회에서 존립하기 위해 충효와 같은 윤리와 성리학적 명분을 적극 수용하고 성리학적 가치에 입각한 사상과 이념을 받아들였기 때문이었다.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asan Jeong Yak-yong and Buddhism? This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overlooked if you want to fully understand the life of fertility. Because the footprints of Dasan have reached the various temples throughout the country for a lifetime, and they have formed communities with various monks. Dasan visited several famous temples throughout the country, starting with the tour of a ship at the age of 14. In donglimsa・bong-eunsa・cheonjeong-am・cheonjin-am, Dasan sustained a clean life, kept away from the spirit of secularism and riches, and comforted his tired mind and body. And I was able to find out that Dasan treasured the existence of the temple through the poetry of the fate of the deserted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many deserted Buddhist temples all over the country, and Dasan said that the endless greed of the officials had gone to the temples and tried not to miss the profit of the bristles. This indicates that the reason for the ruin of many temples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due to the harsh taxes levied by corrupt greed. Dasan has many things that we exchanged with other monks such as Cheongpa Hyewon, Chongam Unique, Sulpa Sangnong, Haeil, Seo Haejang, Sui Ryongchung, Gear Maghong, Manghae Haile, Seokbong Hyun. Among them, the monks who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Dasan were Yuil and Hyejang. Dasan was taught that when he was a young man, he must get rid of his own and other things from the monk Yuil to be cleansed and to be cleansed to obtain heavenly truth. And in the exile, I received the admirable love from the monk Hyejang. The reason why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ccepted the moral and ethical justification as loyalty to exist in the Confucian society was that Dasan communicated ideologically with the monk Yuil, It was because he accepted ideas and ideas based on the values of the neo-Confucian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