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특성과 섭식, 수면의 상관관계

        김미수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와 일반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수면 차이를 비교하고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수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107명으로 조산아 51명, 일반아동 56명이었다.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Infant/Toddler Sensory Profile(ITSP)2를 사용하였고 섭식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Behavioral Pediatrics Feeding Assessment(BPFAS)를 사용하였다. 수면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Brief Infant Sleep Questionnaire(BIS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성 검증을 위해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조산아와 일반아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수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산아와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한 결과 감각특성 중 감각예민(p=.019), 하위영역 중 구강감각처리능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산아와 일반아동의 섭식행동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 조산아의 감각처리특성 중 감각회피(r=.443), 감각예민(r=.374)은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각처리 하위영역 중 일반적 행동(r=.390), 구강감각처리(r=.513)는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강감각처리(r=.529)는 섭식문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면 특성 중 밤에 깨는 횟수는 감각처리특성 중 감각회피(r=.437)와 감각처리 하위영역 중 일반적 감각처리(r=.283), 행동적 반응(r=.385)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재우는데 걸리는 시간은 감각특성 중 등록저하(r=-.323)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밤에 자는 시간은 감각처리 하위영역에서 청각처리(r=-.364), 촉각처리(r=-.335)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낮잠시간은 움직임처리와(r=-.385)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조산아와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은 섭식, 수면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산아의 감각처리특성과 섭식, 수면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 조산아의 섭식과 수면을 이해하기 위해 감각처리능력이 중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PT) and full-term infant and toddler(FT)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feeding and sleep as well as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with feeding and sleep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The subjects of a study were 107 including 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ITSP) 2 was used to assess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The Behavioral Pediatrics Feeding Assessment (BPFAS) was used to assess feeding behavior. Brief Infant Sleep Questionnaire (BISQ) was used to assess sleep characteristic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α= .05.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PT group and FT group.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with feeding and sleep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ory sensitivityt and oral sensory processing between with PT group and FT group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ing behavior between with PT group and FT group(p<.05). In PT group,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of sensory avoidance (r=.443) and sensory sensitivity (r=.374) with feeding frequency. General behavior(r=.390) and oral sensory processing(r=.513)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eeding frequency. In addition, oral sensory processing(r=.529)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eeding problem. In the sleep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night wakenings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nsory avoidance(r=.437), general sensory processing(r=.283) and behavioral response (r=0.385).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of night sleep duration(r=-0.323) with auditory processing(r=-.364) and tactile processing(r=-.335). In addition to, day sleep tim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vement processing(r=-.385). It is proved that the interrelationship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with feeding and sleep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And it is meaningful to recognize significance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to comprehend feeding and sleep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 SNS 몰: 전자상거래에서 단골관계 형성을 위한 SNS의 기능 분석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김미수 서울市立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셜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와 쇼핑몰을 결합하면 오프라인 거래에서처럼 단골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한번이라도 물품을 구매한 고객은 SNS의 팔로우(Follow)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단골고객으로 등록하여, 구매자와 생산자와의 관계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향후에도 지속될 수 있게 하여 잠재고객이 되고, 장기적으로 재구매가 이루어지게 한다. 단골이 된 고객에게 생산자는 신상품 출하 시 객관적인 물품정보 외에 재배하는 동안의 농장 모습이나 농작물의 성장과정 등 생생한 근황과,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숨겨진 이야기를 통해 자신이 농사지으며 전원생활을 하는듯한 감성을 자극한다. 소비자는 자신의 SNS 홈에서 기존의 단골 관계인 생산자의 파종, 농사, 수확, 신상품 등의 소식을 타임라인에서 확인하여 필요한 상품을 원클릭(one click)으로 구매할 수 있다. 생산자는 소비자에게 뉴스 및 할인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단골로 만드는 고객 관리가 가능하고, 저장법이나 요리법 등의 다양한 사용법을 안내하며 새로운 물품을 추천하거나 홍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기존의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판매와 홍보가 분리되어 링크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어야 하는 문제에서 벗어나 판매와 홍보가 하나의 계정 안에서 수행하도록 하여 사이트 접근성을 높여준다. 이처럼 SNS의 인맥 마케팅 기능에 더하여 시스템은 생산자의 판매 물품을 자동 분류한 카테고리로 소비자의 SNS 홈 페이지에 쇼핑물의 기능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는 자동으로 소비자와 생산자를 단골관계로 연결해준다. 또한 구매자 간에도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경험을 공유하고, 상품추천, 구매후기 작성 및 기존 구매후기의 재배포가 용이하다. 이처럼 서로 알지 못하던 구매자 사이의 소통도 가능하게 하여, 상품을 추천하고 소식을 확산시키는 것이 ‘SNS 몰’의 가장 큰 특징이다. We can build regular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by integrating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internet shopping mall functions. One of the most conspicuous characteristics of a business model that pursues expanding customer relationship is that it tries to lock in customers by encouraging them to repeat purchase in the long-term with the help of “Follow” function in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which enables producers to automatically register the customers as potentially important ones and to offer them customized marketing services. In the value chain of the agriculture sector, producers of agricultural products can use SNS functions to provide loyal customers with valuable information and experiences such as the real-time information of their farm and products, hidden stories about the whole process from seeding to harvesting, and the storage and cooking methods of their products. This means that the producers’s websites are now functioning to enable the producers to perform sales and promotion related activities. These activities help the producers invoke customers’ desire to live in the farm and to grow the products themselves. They also raise the accessibility of the producers’ websites as customers are able to share a variety of news and knowledge such as the release of new products. It is a big leap from the traditional e-commerce business model where sales and promotion of a product were separated and could be connected only through outside links. Besides these SNS personal connection building, our system provides shopping mall functions to consumer's SNS home pages with auto classified catalog of products. This two-way, viral characteristics of marketing services using SNS facilitate customers to share product information and their purchase experience with each other, which leads to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ommunication within the customer community. Then, consumes easily find necessary products and these purchase may lead to regular relationships with sellers. Consumers may redistribute recommendations and reviews and it enables direct communications between consumers who are unknown to each other.

      • 현대적 관점에서 본 제3자를 위한 계약이론의 재정립

        김미수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3자를 위한 계약이란 계약으로부터 생기는 이익을 계약당사자가 아닌 제3자에게 직접 취득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이다. 그러나 제3자를 위한 계약은 로마법 이래 오래 동안 유효성을 인정받지 못하였다. 그것은 ?누구도 타인을 위해 계약을 할 수 없다(Nomo alteri stipulari potest)"는 로마의 법원칙이 지배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발달로 인한 실생활의 필요에 따라 제3자를 위한 계약이 요구되기 시작하여 오늘날 모든 국가가 제3자를 위한 계약의 유효성과 효용성을 인정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민법을 통하여 제3자를 위한 계약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국내문헌들에서는 아직도 제3자를 위한 계약의 유효성의 근거에 관하여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으며 판례 집적의 경우에 있어서도 1990년 이후 30여건에 불과하다는 것은 제3자를 위한 계약이 실무에서 활성화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는 제3자를 위한 계약이 학문적으로 충분히 검토되지 못했다고 볼 수 있고, 사실 제3자를 위한 계약을 적용하여 해결해야 할 사안 중에서 채권자대위권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제3자를 위한 계약에서 민법 제539조 제1항과 동조 제2항의 관계가 문제되었던 것은 동조 제1항에서 제3자는 채무자에게 직접 계약내용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동조 제2항에서는 제3자가 수익의 의사표시를 표시한 경우에 제3자의 권리가 생기는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표면적으로 두 조항이 모순을 이루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제3자의 의사표시가 필수요건인가 아니면 임의요건인가 하는 쟁점이 있었으나 오늘날 독일의 권리직접취득이론을 바탕으로 수익자의 의사표시는 임의규정으로 보는 것이 통설의 입장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제3자의 사적자치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권리취득을 규율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 민법학계에서도 통상의 제3자를 위한 계약에서 제3자의 의사표시는 임의규정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제3자의 권리와 요약자인 채권자의 권리가 경합하는 경우 제3자가 수익의 의사표시를 하지 않아도 제3자가 우선적 지위를 취득한다. 여기에서 주로 피력하고자 하는 것은 제3자를 위한 계약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우리의 법규정상에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아 제3자를 위한 계약인지 여부의 판단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이 경우에 제3자를 위한 계약인가의 여부는 당사자의 의사를 고려하여 판단하고 있으나,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계약당사자의 의사표시가 제3자를 위한 계약인지가 불명확한 경우이다. 따라서 소수의 조문으로 제3자를 위한 계약의 전체적인 내용을 규율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이에 제3자를 위한 계약의 범위에 관하여 현대적 관점에서 제3자를 위한 계약이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우선 제3자를 위한 계약이 19세기 중엽이후 독일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여 거의 모든 국가에서 입법화하였다. 그 입법례를 제2장에서 살펴보면 대륙별로 규정체계의 차이가 있는데, 이는 크게 독일, 프랑스 등의 대륙법체계와 영미법체계 그리고 일본과 우리나라 민법을 들 수 있으나 해석론에서는 모두 계약 당사자에 의하여 제3자가 직접적으로 권리를 취득하는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를 비교법적 검토를 통하여 우리 민법의 해석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리라 본다. 그리고 제3자를 위한 계약의 인정근거와 경제적?사회적 필요성 등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제3장에서는 제3자를 위한 계약에 관하여 기본법리를 살펴봄으로써 제3자를 위한 계약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의 이해를 도모하여 보고 학설과 판례의 태도를 고찰하여 민법의 법조항의 해석상 문제점에 대한 해결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 어떤 계약이 제3자를 위한 계약에 해당되는지 아닌지의 판단하게 되는 제3자를 위한 계약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를 논하여 보고자 한다. 법률규정에 의하여 제3자를 위한 계약의 취지가 포함되는 경우를 알아보고 제도상으로 제3자를 위한 계약이 적용될 수 있는지의 문제점과 법원의 결정에 의하여 제3자를 위한 계약으로 판단한 경우를 알아보고, 또한 그것으로 인한 문제점을 살펴본다. 제3자를 위한 계약인가의 여부를 법률상의 규정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안은 계약당사자의 의사를 고려해야 하는데 그 의사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당사자의 의사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민법은 소수의 조문으로 제3자를 위한 계약을 규율하기 때문에 많은 주요쟁점에서 그 판단기준을 명확히 할 수 없다. 따라서 학설과 판례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독일법의 권리직접취득이론와 거절권에 대한 규정이라든지 아니면 요약자 사망 후 제3자를 위한 계약에 관한 규정을 민법에 적용함으로써 제3자를 위한 계약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한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계약의 양적증가와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보험 및 사회보장제도의 발전에 따라 제3자를 위한 계약을 활용한 범주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계약의 해석이 불분명한 경우 무분별하게 제3자를 위한 계약을 인정하여 그 범위가 확장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제를 통해서 제3자를 위한 계약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활발히 이런 논점을 가지고 제3자를 위한 계약의 범위를 정립하는데 유용한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A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is a contract which provides benefits directly to the third party, not to the actual parties involved in the contract. However,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had not been recognized as valid for a long time since the Roman law era because the Roman law principle that ?No one can not participate in a contract for others (Nomo alteri stipulari potest)? had dominated the practice of contract. That said, the necessity for a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has arisen due to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contract of that kind are now recognized in all countries nowadays. Thus, Korea also recognize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by the Civil law but there are some evidence that the contract of that kind is not yet fully utilized in this country. i.e) still, the basis for the validity of the contract of that kind is much discussed in the trade journals and there are only 30 cases of precedent has been compiled since 1990, etc. These kind of problems prove that academic research for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is yet an uncharted filed, especially so when we look at the cases that should be resolved through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are dealt with the creditor?s right to bring an action in a court. What is problematic in the provisions stipulated for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in the Civil law article 539 clause 1 and clause 2 is that 1) in clause 1, the third party can directly ask the obligator for fulfilling the duty specified by the contract and 2) in clause 2 stipulates that the third party gains right by declaring the ?intention (Willenserklerung)? for the benefit and by doing so creates a conflict in interpretation of the law. In this case, there were some dispute whether the declaration of intension was optional or indispensible but now it is widely regarded as optional based on the German theory of ?direct right of claim.? This is interpreted as defining the claim of right should belong to the area of personal governance. It is also regarded as the norm by Korean civil law scholars to interpret the declaration of intention by the third party as optional in a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and in the cas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 of the third party and the creditor, the right of the third party as preceding that of the creditor. What is mainly discussed here is that the issue of judging criteria of recognizing a contract as a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since the extent of the validity of the contract of that kind is not clearly stipulated in Korean legal rules. In this case, whether the contract is recognized as a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depends on the intention of the contracting parties involved. However, when the intention of the contracting parties is unclear, whether the contract is for the third party or not, it becomes problematic. Therefore it is regarded as controversial and widely criticized to judge these cases only with the limited number of statute. That is why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Theory of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with Contemporary Perspective. First,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for the third party began to be discussed in Germany in the mid 19th century and has been made into a law in most countries. If we look at the legislation cases in chapter 2,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its stipulations among continents such as the Continental laws of Germany and France, Anglo-American laws, and the Civil laws of Japan and Korea but all those laws interpret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is acquired directly from the contracting parties. By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se cases in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it will help clarify the problems involving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and its interpretation in Korean Civil law. The chapter also discusses the bass for recognizing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and the economic and socially necessity for the contract of the kind. In chapter 3, the basic judicial theory for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is examined and derive understanding on the contract of the kind while searching for the solution in interpreting related Civil law clauses by examine related theories and rulings. In chapter 4, the extent of the validity of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 whether a contrac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contract of the kind or not -- is discussed. So is the statues that define the inten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in a contract, whether the contract of the kind could be recognizes within the system, and the cases and rulings on what kind of contract has been recognized as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When it is not possible to rule whether a contract can be recognized as the contract of the kind or not, the intention of the contracting parties becomes important. For the cases in which the intention is not clear,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standard for the intention. However, Korean Civil law only has a few stipulations on that regard and the standard is not always clear on important disputes. Thus the theories and precedents become very crucial and it will be tried to solve problems by applying the German theory of the direct right to the claim, the statues on the right for protest, and the statue for the case of death of a contracting party in a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to the Civil law. In ever changing contemporary society, contract is increasing in volume and the necessity for its variety is increasing as well. Especially in the expansion of social security will bring more needs for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extent of the contract of the kind getting expanded without proper legal interpretation and stipulation. On this principle,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extent of the contract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and hope this will be of useful reference in establishing the extent of the contract of the kind.

      • 영어문법 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비교연구

        김미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어 교육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영어 문법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학생과 고등학생에게 적합한 영어 문법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U시에 소속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137명과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영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영어 문법 교육의 목적, 영어 문법 교육의 정의적 태도, 영어 문법 학습 방법, 영어 문법 학습의 내용을 설문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조윤경(2008)과 강효은(2015)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김수철이 수정한 설문지를 참조하였으며 이 자료를 바탕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영어 문법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 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들의 영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영어 문법 교육의 목적, 영어 문법 교육의 정의적 태도, 영어 문법 학습의 방법, 영어 문법 학습 내용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영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에 있어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에서 영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문법 교육의 목적에 대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다수가 좋은 내신 성적을 얻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또한, 영어 문법 교육의 정의적 태도 중 문법 흥미도에 대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들은 학교에서 배우는 문법에 대해 재미가 없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문법 교육의 정의적 태도 중 문법 오류에 대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 모두 영어로 글을 써야 하는 상황에서 문법 오류를 염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영어 문법학습의 방법에 대해 개인 학습의 경우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는 교재와 부교재를 활용한 학습을 하고 있으며 선생님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법 학습에 대한 교사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통합적 학습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법학습의 내용에 대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의사소통에 자주 사용하는 문법과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법을 배우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들의 영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 영어 문법 교육의 목적, 영어 문법 교육의 정의적 태도, 영어 문법 학습의 방법, 영어 문법 학습 내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영어 문법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은 비슷했으나 듣기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문법 학습의 목적에 대해서는 좋은 내신 성적을 받기 위해서 영어 문법을 학습한다는 문항에 대한 인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 모두 비슷했으나 중학생의 경우 좋은 내신 성적 뿐만 아니라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문법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영어 문법 학습의 정의적 태도 중 문법 흥미에 대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 간 문법 실력이 좋아질수록 나의 영어 과목에 대한 흥미는 높아진다는 것에 대해 유의미한 인식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문법 학습의 정의적 태도 중 문법오류에 대해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 학습의 방법 중 개인 학습에 대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문법 학습의 방법 중 교사 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 학습 내용에 대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유의미한 수준의 인식 차이는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영어 문법 교육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들은 영어 문법의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영어 문법 학습에 대한 흥미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다. 뿐만 아니라 영어 문법의 학습 목적을 좋은 내신 성적을 얻기 위해서라는 도구적 동기에 치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습자가 영어 문법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내적 동기를 기를 수 있도록 영어 문법 학습을 듣기나 읽기와 같이 다른 학습 활동과 통합하는 통합 교육을 실현하는 것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은 교사의 설명이 영어 문법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을 많이 함에 따라 교사는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문법 학습 방법을 꾸준히 연구해야 할 것이다.

      • 기혼 여성소비자의 사회계층과 건강상태 지각에 따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

        김미수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erests of modern consumers on health are increasing,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ith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all consumption behaviors related to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to consumption behavior related to healthy dietary life is appearing.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scale that exis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in order to solve each limitation. The study examined relation of social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nd identified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 survey was conducted married women of over 20 year old that used the survey company Now & Future. Total 50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treated with SPSS 19.0 Statistics program and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nt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scored the highest points with the mean of 3.37 in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 healthy dietary life 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mean of 3.19 and physic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the lowest with the mean of 2.58. Second, for social status which is the major variable of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 most of research targets belonged to middle class. There was high rate of consumers who perceive themselves as relatively healthy. Third, the difference in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As a result,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much conducted by the group whose age was from 55 to 65, the group with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over 4 million won, the group with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f over 500,000 won on health related consumption, a group that has higher than university for oneself and one’s spouse, and employed housewives. The correlation in social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higher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perceived themselves they were healthy, the mor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Fourth,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variable on th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older age, the higher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physic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In addition, the older age, the more religion they had, the higher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they perceived healthy by comparing with other people of the same age group, the more mental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Finally, the older age, the higher subjective social status they had, the more perceived themselves that they were healthy, the more healthy dietary life 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hey engaged in.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data for a consumer education that lead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to help consumers to become healthy. It also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consumer welfare by suggesting experience-based data for policy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marketing strategy of a company in order to make health-seeking consumption lifestyle a way of life. 현대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한 식생활과 관련한 소비행동 뿐만 아니라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등과 관련한 모든 소비행동을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의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 관련 소비행동에 대한 각각의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이를 동시에 적용한 개념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척도를 개발 및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사회계층과 건강상태 지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전문업체 나우앤푸처(now&future)에서 전국의 만 20세 이상의 기혼 여성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5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요인분석, t-test와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일반적 경향은 정신적 건강추구소비생활이 평균 3.37점으로 가장 높게 수행하고 있었으며, 건강한 식생활추구소비생활이 평균 3.19점, 육체적 건강추구소비생활이 평균 2.5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주요 변수인 사회계층은 중층에 속하는 조사대상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 지각은 자신을 비교적 건강하다고 지각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을 살펴본 결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은 55세 이상 65세 미만 집단, 종교가 있는 집단, 월평균 가계소득이 400만원 이상 집단이 월평균 건강관련 소비지출이 50만원 이상 집단이, 학력과 배우자 학력이 대학교 이상의 높은 집단이, 취업주부일 경우 높은 수준으로 행하고 있었다. 사회계층 및 건강상태 지각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자신이 건강하다고 지각할수록 건강추구소비생활을 높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련변인과 건강추구소비생활양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육체적 건강추구소비생활은 나이가 많을수록, 객관적 사회계층과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추구소비생활은 나이가 많을수록 종교를 가질수록 객관적,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같은 연령대 다른 사람과 비교시 자신이 건강하다고 지각할수록, 높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강한 식생활추구소비생활은 나이가 많을수록,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자신이 현재 건강하다고 지각 할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한 소비자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건강추구소비생활을 이끌 수 있는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건강추구소비생활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기업의 마케팅전략에 있어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소비자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폐기 섬유제품을 활용한 학습자료용 생활용품 디자인 연구

        김미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눈부신 과학의 발달에 따른 신속한 대중매체의 정보전달력 및 활발한 산업활동에 의한 경제성장에 힘입어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의류․섬유제품의 구매와 소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다량구매에 의해 증가하는 사장․폐기되는 의류․섬유제품이 환경오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기 섬유제품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가사․실업계열 교과목「홈 패션」의 재활용 생활용품 내용의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학습자료는 환경교육과 가사․실업계열 교과목「홈 패션」의 재활용 생활용품 내용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보조 학습자료이며,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의복 재료․관리 교과의 의복의 재활용 방안과 서양의복구성 교과의 입지 않는 의류의 재활용 방법, 자수와 편물 교과의 편물 제품의 재활용 법 등으로 내용을 보완하였으나 교과서에 수록된 관련 자료 및 내용은 아직도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자기주도적인 창의적학습을 하기에는 부족한 상태이므로 이러한 학습자료는 필요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수행된 본 연구의 내용 및 개발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기 위하여 문헌조사 등을 통한 재활용, 가사․실업계열 고등학교 의상과의 재활용 교과내용, 재활용 상품 브랜드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2. 연구 목적인 재활용 학습자료 생활용품 개발을 위하여 1) 대상 폐기 섬유제품을 선정하였다. 2) 선정된 폐기 의류․섬유제품을 수집하였다. 3) 수집된 소재를 대상으로 하여 기획의도에 맞추어 개발할 품목, 디자인, 제작방법 등을 계획하였다. 데님을 활용하여 식탁매트와 컵받침을, 수건을 활용하여 주방수건과 발매트를, 포장용 보자기를 활용하여 냉장고 손잡이와 다용도 가방을, 포장용 리본을 활용하여 머리핀과 헤어밴드 등 총 8점을 개발하였다. 4) 재활용 주재료 이외의 필요한 부속품과 제작에 필요한 용구를 준비하였다. 5) 손바느질과 재봉틀을 이용하여 계획에 따라 순서대로 제품을 제작하였다. 6) 학습자가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재료 및 제작과정을 자세하게 사진과 함께 정리하였다. 7)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개인 블로그에 자료를 수록하여 많은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폐기 의류․섬유제품을 활용하여 환경교육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가사․실업계열 고등학교 의상과의 재활용 학습의 주도적․창의적 학습을 위한 보조학습자료를 개발하였으나 이에 관련된 자료는 아직 많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을 위해서는 더욱 많은 참고자료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앞으로 재활용 관련 학습자료에 관한 연구․계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들이 재활용 실천적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이에 관한 연수 프로그램 등의 개발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the Design of Living Goods with Waste Fiber Product for Using as Learning Material Kim, Mi Su Department of Cloth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Kim, Byeong Mee Consumption is increasing fast these days due to the economic growth resulting from the press and media’s greater ability to transmit information faster and active industrial activities, following the superb scientific advancements taking place. Purchase and consumption of apparel and fiber products are increasing as well. With the conviction that the apparel and fiber products that are disposed in greater volume resulting from mass purchase significantly affect environment pollution, this research paper leverages the waste fiber products that are easy to obtain in everyday life to develop the learning material for the class on household management and practical training, 「Home Fashion」 offered in high schools to address the issue of recycling Living Goods. This learning material is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 for self-initiated learning that includes the contents pertaining to the recycling of every day products for the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and for the class on household management and practical training, 「Home Fashion」. The 「Revised 2009 Education Curriculum」complemented contents on the management of the apparel materials, measures on recycling apparel, method for recycling apparel that is not worn pertaining to the Western apparel’s recovery capability, and method for recycling embroidery and woven products. However, data and contents included in the textbooks are not sufficient for the students to engage in self-initiated creative learning. Thus, this data is expected to be in demand. Contents and development procedure for this research, executed due to the above mentioned needed are as follows. 1.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 data on recycling, contents on the recycling used in the apparel related departments at the household management and commercial high schools, and brand of recycled products and so forth were gathered through the research of the existing literatures. 2. To develop every day products for the learning material for recycling,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1) Target waste fiber products were selected. 2) Selected waste apparel and fiber products were collected. 3) Collected materials were targeted to plan for the item, design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products subject to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lan. Denim, table mat, cup support, towel, kitchen towel, foot mat, cloth for packaging, refrigerator handle, multi-purpose bag and ribbon for packaging were used to develop total of eight items including hair pin and hair band. 4) Besides the main materials for recycling, other necessary auxiliary materials and tools needed for production were prepared. 5) Manual sewing and sewing machine were used to produce products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plan. 6) Material and production process were organized in detail along with photos so that the students can study easily. 7) Data was posted up the personal blog that many people could view the data, in order to share the data with many people. As mentioned above, waste apparel and fiber products were used to help the education on environment while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 for the student-initiated and creative learning could take place at the apparel related department at household management or commercial high schools. However, the related data are still very lacking. Likewise, greater number of reference materials is required for the cultivation of students’ creativit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tinue on with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materials for learning about recycling and teachers must take an interest in the recycling focused action based education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teach their students. Likewi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the teachers as well towards this end.

      • 저항성 전분이 풍부한 그린 바나나 분말이 첨가된 컵케이크의 품질특성

        김미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pcakes made using green banana powder, which despite being rich in resistant starch and mass producible, is not commonly used. Cupcakes were made by adding green banana powder in quantities of 20, 40, 60, or 80% relative to wheat flour content,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Specific gravity of the cupcak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higher green banana powder content(0.89-0.92). Moisture content (25.4-28.5%) and mass (52.5-54.1g) increased with higher green banana powder content, while pH (6.83-6.29), specific volume (1.9-1.5), baking loss (12.5-9.8%), volume (103.3-81.7), and height (6.1-4.2) showed decreasing trends with higher green banana powder content. In color analysis, L (73.4-49.6) and b (40.6-22.6) decreased with higher green banana powder content, while a (-0.8-2.6) showed an increase. Among texture characteristics,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green banana powder content, and cohesiveness and resilienc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lower green banana powder content. In sensory evaluation, a preference test showed that green banana powder content in the range 20–40% produced the highest overall preference, as well as taste and texture preference, but not appearance preference. In a test of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increasing the green banana powder content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volume, and the color of the inside of the cupcake being rated as stronger. In addition, the taste was rated as less sweet and less cloying, and there was a strong smell of bananas. Therefore, we determined that using 20–40% green banana powder could result in cupcakes with high preference.

      • 비전형적 Notch Ligand DLK-1의 종양 대식세포 기능 조절에 관한 연구

        김미수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암세포는 면역시스템을 회피하는 동시에 적절한 종양 미세환경 (tumor -microenvironment)을 조성하는 능력을 통해 종양을 성장시키고, 더 나아가 조직 침투 (invasion)와 전이 (metastasis)를 할 수 있는 악성 종양으로 진화한다. 특히, 항종양성 면역반응을 억제하고 오히려 종양의 성장을 촉진하는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암세포의 면역편집 (immunoediting) 기능은 종양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타겟으로써, 최근 면역관문 (immune checkpoint) 억제제 등 항암 면역치료법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종양-유래 면역편집 인자를 탐색하는 선행연구를 통해 B16F1 흑색종 종양의 성장에 따라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Dlk1을 선별하였고, DLK-1 단백질 발현과 종양의 성장 및 종양 미세환경내 면역표현형 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형적 Notch ligand의 일종인 DLK-1이 매개하는 암세포의 면역편집 기능을 입증하기 위해 DLK-1에 의해 제어되는 면역세포를 탐색하고, DLK-1의 면역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흑색종 B16F1, 폐암 LLC1, 췌장암 Panc02 세포주들의 이식 모델을 통해 종양내 DLK-1 발현과 종양 성장 간의 역상관 관계를 재확인하였고, 이는 DLK-1 발현에 따른 암세포-내재적 효과가 아님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B16F1 흑색종 세포주를 C57BL/6 와 Rag1-/- 마우스에 각각 이식하고 종양의 성장을 비교한 결과, 두 종류의 마우스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DLK-1을 과발현하는 흑색종의 성장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T 림프구와 B 림프구가 결여된 Rag1-/- 마우스에서 DLK-1에 의한 종양 성장 억제는 항종양성 선천성 면역반응의 변화에서 기인한 결과로 추정되고, 특히 종양 미세환경 내 대표적 면역 세포군인 종양 대식세포 (tumor-associated macrophage)에 주목하였다. 유세포분석을 통해 종양-유래 DLK-1은 종양 대식세포의 TNF-, iNOS 등 염증성 M1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킨 반면, Arginase-1 등의 조절성 M2 대식세포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DLK-1을 과발현 또는 knockdown시킨 B16F1 암세포주 배양액을 골수-유래 대식세포에 처리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 분비를 정량한 결과, DLK-1은 대식세포의 IL-6, TNF-, IL-12 등 항종양성 사이토카인을 생산하는 기능을 강화하고, 이는 전형적인 Notch 신호전달 경로에 의존적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재조합 DLK-1 단백질을 사용함으로써 DLK-1이 대식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조절하는 NF-B 신호전달 경로를 증폭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암세포의 성장 과정에서 DLK-1 유전자 발현의 감소는 종양 대식세포의 기능적 변화에 기인한 종양 미세환경내 항종양성 면역 기능 저하와 더불어 종양의 성장과 악성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DLK-1의 종양내 면역 미세환경 조성에 기여하는 핵심 인자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DLK-1은 종양 대식세포의 항종양성 면역 기능 강화를 통해 T 림프구 등이 매개하는 적응성 면역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면역편집 인자라는 측면에서 항암 면역치료 요법의 신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Cancer has an ability to shape the tumor microenvironment (TME) that is favorable to growth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of tumor cells, leading to invasion and metastasis. Immune system also contributes to TME and a balance between immunosurveillance and immune evasion is critical for tumor progression. In our previous study, we identified the non-canonical Notch ligand DLK-1 as a novel immunoediting factor that controlled growth of melanoma by affecting anti-tumor immune responses in the TME. Using syngeneic tumor transplantation model with B16F1 melanoma, LLC1 lung carcinoma and Panc02 pancreatic adenoma cell lines, I validated that DLK-1 expression became declined as tumors grew. However, it was not due to altered survival, proliferation and stemness of tumor cells intrinsically. When I transplanted B16F1 cells overexpressing DLK-1 into C57BL/6 and Rag1-/- mice, I observed a substantial attenuation in tumor growth compared to control in both recipients. Considering a lack of mature T and B cells in Rag1-/- mice, this result implies a impact of tumor-derived DLK-1 on innate immune population in the TME. Indeed, flow cytometry analysis revealed the increased TNF-+ and iNOS+ tumor-associated macrophages (TAMs) within the tumor tissues, along with increased NK cells and decreased infiltration of MDSCs, while TAMs with a regulatory phenotype such as induction of arginase-1 was not affected by DLK-1. To gain further insight how DLK-1 regulates functional activity of TAMs, I activated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DMs) with a conditioned media in which B16F1 cells overexpressing or knockdown DLK-1 were cultivated. Tumor conditioned media of DLK-1-expressing cells promote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L-6, TNF- and IL-12, which was abrogated by the -secretase inhibitor DAPT, indicating a cross-talk of pro-inflammatory signaling with the canonical Notch pathway. Furthermore, recombinant DLK-1 was able to enhance LPS-induction of IL-6, TNF- and IL-12 in BMDMs and augmented activation of NF-B signaling pathway. Overall, my experimental data demonstrated that DLK-1 has a pivotal role in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umor and immune system in the TME. Therefore, I propose DLK-1 as a novel anti-cancer agent that regulates functional activation of TAMs.

      • XML 실체뷰

        김미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인터넷이 세상을 빠르게 바꾸며 모든 영역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인터넷 상의 데이터 교환의 표준인 XML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이와 반해 현재 상용 데이터베이스 시장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거의 모든 회사나 관공서의 데이터 저장에 사용되고 있고, 대부분의 웹 애플리케이션도 이를 이용해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곳에서도 정보 공유를 위해 XML을 사용해야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하지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자체 내에서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해 서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자상거래의 모든 요구를 처리할 수 없다. 그러므로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보의 손실이 없이 XML 실체 뷰 형태로 문서화(publishing)함으로써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강력한 여러 기능을 사용하면서도 사용자는 반 구조화된 XML 문서에 대한 복잡한 질의를 수행하는 XQuery를 이용하여 질의를 실행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방대한 자료가 축적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웹상의 콘텐츠 교환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는 XML 문서에 대한 XQuery 질의어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기반으로 정보를 교환,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기본이 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부분적인 변경이 발생하였을 경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까지 접근 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XML 실체 뷰 파일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주요어(Keywords) : XML, materialized view, publishing, XQuery, tagging, view join, mapping, RDB update(insertion, deletion) ABSTRACT Materialized XML view: Mapping from relational view updates to XML view updates MiSu Gim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 University of Seoul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Gook Ra, Ph. D.) As the internet, nowadays, has rapidly changed the world and spread over all fields of society it is common to store and manage data by taking advantage of MXL which is the standard of data exchange over the internet. But an actual condition is that Relational Database System is widely used by most corporations, government and public offices as well as web application in the current market of commercial database to that they can manage and store their data. For information sharing, they need to adopt XML instead of using the existing Relational Database System. It is hard to satisfy all the needs that take place in the e-business area only by using Relational Database System since it can handle data only in its own computer system. By publishing the data stored in the Relational Database System as XML materialized view without loss of them, it is necessary for users to adopt XQuery because it can not only be stored in the existing Relational Database System by using that system's powerful and various tools but also evaluate a complex query about semi-structured XML document. Consequently, this paper is to present a scheme of sharing and exchanging web contents by using XQuery query language which can also utilize the enormous data stored in the Relational Database System. In addition, this is to present efficient ways of maintaining XML materialized view files without access to Relational Database System in case underlying Relational Database System is partially up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