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흰색 목이 '새얀'의 갈변억제처리에 따른 품질 변화

        김다미,김길자,김선곤 한국버섯학회 2020 버섯 Vol.24 No.1

        목이버섯 ‘새얀’은 2018년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출원한 흰색 목이버섯 품종으로, 균배양 속도가 빠르고 병해충에 강한 특성이 있다. 특히 기능성 성분 분석 결과 항비만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특허 출원하였다. 새얀의 생육 적온은 20~30℃로 일반털목이와 비슷하여 봄~가을까지 실내재배와 하우스재배가 가능하다. 목이버섯의 경우 생목이보다는 건목이로 유통되는 경우가 많은데 ‘새얀’의 경우 건조하거나 장기간 저장하면 갈변되는 현상이 있어 농가보급 시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농가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 ‘새얀’에 갈변억제처리를 하고 그에 따른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갈변억제처리는 열처리(데침, 증기가열)와 갈변방지제 4종을 0.5~3.0% 농도로 처리하였다. 열처리의 경우 건조 후 와 재수화 후 모두 갈변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갈변방지제의 경우 sporix 3% 처리에서 재수화 후 자실체의 갓색의 L값이 가장 높고 육안으로 봤을 때 변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노루궁뎅이버섯 신품종 ‘노루3호’의 육성 및 특성

        김다미,김길자,김동관 한국버섯학회 2022 버섯 Vol.26 No.1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은 대표적인 약용버섯 중 하나로 hericenone, erinacine 등의 생리활 성 물질이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계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는 ‘노루2호’ 등이 육성되었으나 육성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났고 가공품 위주로 소비가 이루어져, 현재 소비 트렌드에 맞춰 소비 형태를 다양화 할 수 있는 신품종 육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는 노루궁데이버섯 특유의 쓴맛을 줄이고 기능성분 함량이 높은 노루궁뎅이버섯 신품종 육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노루2호’ 와 ‘JNM5125’의 단포자교배를 통해 ‘노루3호’ 품종을 육성하였다. ‘노루3호’의 자실체 색은 백색으며 너비는 104.0mm, 두께 58.7mm로 크기가 크고 침길이도 7.4mm로 긴편이다. 강도, 경도 등 자실체의 물리성이 대조품종보다 우수하여 단단한 편이다. 균사 생장은 25℃에서 제일 좋았고, 대조 품종보다 배양 속도가 빨랐다. 또한, β-glucan 함량이 23.92±1.14로 대조품종(20.66±0.43)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수량성은 농가 현장실증 결과 병재배와 봉지재배에서 모두 대조품종에 비해 수량성이 높게 조사되었다.

      • KCI등재

        Smartphone-based image analysis coupled to paper-based colorimetric devices

        김다미,김세진,하형태,김상효 한국물리학회 2020 Current Applied Physics Vol.20 No.9

        Advancements in technology have led to the use of smartphones as biosensor detecto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stable color information of colorimetric sensors using multiple smartphones owing to different light conditions and image correction operations. In this study, we attempted color detection of the colorimetric paper chip using smartphone-embedded light-emitting diode (LED) and simple transformation calculation. This method enables the acquisition of stable color information using different smartphones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light sources. Moreover, we studied characteristics such as convergence and distinction of detection result details by the manufacturers and smartphones.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necessity of classification criteria for the use of smartphones to achieve optimal detection. In addition, white and black references were used to set the standard for color correction of various light sources. Based on our results, we conclude that this approach presents the possibility of smartphone-based colorimetric detection in practical applications.

      • GOMS 모델에서의 화면 확대 제스쳐(Zoom-in) 조작자 정의 연구

        김다미,명노해 대한산업공학회 2015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인터페이스 사용성 평가에 있어 공학적 모델의 개념을 적용한 모델 기반 평가 방법은 인지 이론을 근거로 하여 피실험자 없이도 사용자의 행동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GOMS 조작자는 개발 당시 데스크탑 기반 입력장치를 고려했기 때문에 요즘 사용하는 터치 기반 모바일 기기에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한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싱글 제스쳐에 관련된 조작자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통해 기기를 조작하는 멀티 터치 제스쳐에 대한 조작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GOMS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사용성 평가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스쳐인 화면 확대 (Zoom-in) 제스쳐의 수행시간을 추출하는 것이다. 수행 시간을 추출하기 위해서 화면 확대 (Zoom-in) 제스쳐를 단위 제스쳐로 분석해보면 1) 첫 번째 손가락이 닿고 2) 두번째 손가락이 닿으면서 화면 확대가 수행되고 3)원하는 비율로 확대가 이루어진 뒤 손가락을 떼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두 손가락이 동시에 터치되는 화면 확대 제스처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기에 본 실험에서 제외되었다. 실험은 터치 기반 모바일기기를 익숙하게 다루는 9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제스쳐를 이용하여 화면 확대를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결과 두 손가락 사이의 입력 시간차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두 손가락이 동시에 터치되지 않는다는 가설은 성립되었다. 또한 이를 반영하여 새롭게 추출한 화면 확대 조작자(611msec)와 실제 사람과의 평균 수행시간(631msec)에 있어서도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value=0.41).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주관적 불안· 우울 상태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 2013~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김다미,김경희 한국영양학회 201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2 No.1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of Korean elderly according to the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from 2013 to 2015.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504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f age (1,523 in men and, 1,981 in women). The dietary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the 24-hour recall data. The anxiety and depressive state was assessed using the self-reported scale EQ-5D in the quality of life dimens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anxiety· depression group (AD) and non-anxiety· depression group (NAD) according to their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s. Results: In the male elderly, the AD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education and economic level and higher proportion in living alone than the NAD group. The percentage of eating lunch and dinner alone in the male A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AD group. The female AD group showed less a lower frequency of dinner than the NAD group. The male AD group had a lower consumption of total foods, fish and shellfishes, seaweeds, mushrooms, oils and fats, and seasonings than the NAD group. With regard to the nutrient intake, the male elderly NAD group had more sufficient nutrient intakes than the AD group. In particular, the daily intakes of dietary fiber, riboflavin, niacin, potassium and ir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D group. To compare with the nutrient density of the two groups, the vitamin C and niacin intakes were lower in the AD group than in the NAD group. Overall,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male A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AD group. Meanwhile, the female elderly had showed a smaller difference in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ir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re nutritional education and emotional support are need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of the male elderly with anxiety or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