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돼지 모델에서 최소긴장선과 부위에 따른 상처수축의 특성

        곽민호 계명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처수축은 상처 주위 전 층의 피부가 구심성으로 이동해 상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이다. 저자들은 Micropig을 실험동물로 이용하여 상처가 위치와 최소긴장선에 따라 어떻게 수축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았다. 7-9개월 수령의 피부 질환이 없는 4마리의 Micropig(Medikinetics, Pyeongtaek, Korea)을 이용하였다. 무게는 25 kg으로 실험이 끝날 때까지 변함이 없었다. 먼저 최소긴장선을 파악한 다음 척추주위의 등에 경부부터 둔부까지 근막층 위의 조직을 모두 절제하여 동일한 면적(9 cm2)으로 정사각형과 원모양의 전 층 피부결손 상처를 만들었다. 상처는 등의 좌, 우측에 5 cm 간격으로 각각 6개씩 한 마리당 모두 12개의 상처를 만들고 위치와 최소긴장선에 따라 5군으로 나누었다. 술 후 이틀마다 상처 크기를 Visitrak Digital(Smith & Nephew, Hull, UK)을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상처수축률을 구하여 수축의 정도를 비교하였고 술 후 4, 8, 11, 14, 20, 28일에 생검 후 H&E 염색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염증세포침윤, 상피화유무, 근섬유모세포를 비교 관찰하였다. 상처수축률은 10-12일에 최대를 보이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였다. 10일부터 상처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상피화가 진행되었다. 최소긴장선은 위치별로 1군에서는 척추에 사선, 3군에서는 척추에 수직, 5군에서는 척추에 평행인 모양이었다. 2군과 4군에서는 서로 수직인 사선모양의 최소긴장선 두 개가 공존하고 있었다. 상처수축은 최소긴장선에 평행한 모양으로 일어났고 최종수축률은 위치별로 1군이 91.65, 2군이 84.44, 3군이 79.08, 4군이 62.94, 5군이 70.22%로 머리부위가 꼬리부위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상처수축은 최소긴장선에 평행한 모양으로 일어나며 머리 부위가 꼬리 부위보다 더 많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ound contraction is defined as the decrease in the size of an open wound as a result of the centripetal movement of the surrounding sk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und contraction rates at different anatomical regions and the wound contraction shapes at different relaxed skin tension line (RSTL) on Micropigs. Four female Micropigs were used in this study. On the backs of the pigs, six pairs of whole thickness skin excisions, nine cm2 in area, were made down to the fascia. The twelve wounds were split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RSTL and the anatomical regions. The wound sizes were measured every other day and wound contraction rates of different anatomical regions were calculated. Biops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epithelializtation, myofibroblast. The cephalic area, represented in two groups, had an oblique RSTL, the center area, represented in one group had a transverse RSTL, and the caudal area represented in two groups had a vertical RSTL. The directions of wound contractions were along the RSTL. The wounds in the cephalic area contracted more than those in the caudal area.

      • 초등과학영재와 과학우수학생 및 일반학생의 언어 영재성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비교

        곽민호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 과학우수학생, 일반학생의 언어 영재성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비교해보고 각 집단에서 언어 영재성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언어 영재성의 각 하위 요인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과학영재 60명, 과학우수학생 56명, 일반학생 59명으로 총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 영재성 검사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집단 간 비교를 위해 SPSS 24를 사용하였다. 집단 간 비교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 과학우수학생, 일반학생의 언어 영재성 비교 결과에서 과학영재는 과학우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과학우수학생은 일반학생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언어 영재성의 하위 요인에 서는 적응성, 환경 수혜, 정서적 수월성, 자신감, 과제 집착력, 창의성에서 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과학우수학생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언어 수월성, 언어 기호성에서는 과학영재는 과학우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과학우수학생은 일반학생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언어 조숙성과 초인지 능력에서는 과학영재가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과학우수학생은 과학영재, 일반학생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물 수혜에서는 세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과학영재, 과학우수학생, 일반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비교한 결과, 총점과 하위요인 모두 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과학우수학생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과학영재, 과학우수학생, 일반학생의 언어 영재성과 과학적 의사소통을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 요인 중 일부가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과학영재, 과학우수학생, 일반학생의 각 집단에서 언어 영재성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세 집단 간에서 미치는 영향이 미미했으며, 세 집단의 하위 요인들도 미치는 영향이 미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교육과 영재성은 언어 영재성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는 과학우수학생들을 위한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그리고 과학영재와 과학우수학생의 선별을 위해서는 다른 요인의 측정을 보완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투입하거나, 참신한 검사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과학영재의 선발과 교육 현장에서 언어 영재성이 어떠한 영향을 구체적으로 미치고 있으며, 언어 영재성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외 다른 잠재 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A) study on optimum nose shape of a front-rear symmetric train for the reduction of the total aerodynamic drag

        곽민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A high-speed train uses two symmetrically corresponding shaped power cars at both ends. Consequently, the same nose shape plays a role as a leading part and a role as a trailing part in one train at the same time. Thus the existing model of the optimized first car nose shape which does not consider the entire train is not sound in terms of the aerodynamic drag. Also, while accurate simulation of the wake area behind the train is very significant for the design optimiz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accuracy of previous studies has been limited by their train shapes and boundary condi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ntire train including the first car nose and the last car nose and especially accurate simulation of the wake area for the optimization of the shape design of a three-dimensional symmetric train in order to reduce the total aerodynamic drag. In this dissertation, two nose shape optimizations of the front-rear symmetric train are performed with no constraint for the reduction of the total aerodynamic drag and with the constraint of the optimized cross-sectional area distribution for the reduction of the total aerodynamic drag and the micro-pressure wave respectively. The three-dimensional train nose shape is constructed through Vehicle Modeling Function and a viscous compressible flow solver is adopted with unstructured meshes to predict the aerodynamic drag. The two optimizations are respectively performed under consideration of two cases – for the total aerodynamic drag of the entire train and for the aerodynamic drag of the first car only by the previous method for the reduction of design time. Als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constructed with the experimental points extracted by Maxi-min Latin Hypercube Sampling method. In the unconstrained optimization,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erodynamic drag of the entire train with the optimized shape for the entire train was reduced by 5.8% when compared to the unconstrained base model, whereas that with the optimized shape for only the first car is changed little. 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ained optimization, the total aerodynamic drag of the entire train with the optimized shape for the entire train was effectively reduced by 15.3 %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constrained base model while that with the optimized shape for only the first car is increased by 9.7% on the contrary. The low-risen and long vertical nose shape of the unconstrained optimum weakens the whirled flow around the nose tip. On the other hand, the low-risen and wide horizontal nose shape of the constrained optimum weakens the up-wash flow and vortices behind the blunt nose. Both shape characteristics reduce the overall aerodynamic drag of each base model. Therefore, the three dimensional modeling is very necessary for design optimization of the actual front-rear symmetric train in that the wake area behind the train must be simulated as accurately as possible. In doing so, Vehicle Modeling Function is a valuable tool in successful three-dimensional shape optimization since it has no modeling constraint to functionalize three-dimensional shape thus efficiently enables the various models of the three-dimensional train shape. Also, it is required to design symmetrically identical both noses in order to reduce the total aerodynamic drag. 레일 위를 주행하는 고속열차의 경우 같은 형상의 동력차가 동시에 앞과뒤 차량으로 방향만 바뀌어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첫번째 차량의 위치에만 적합하게 설계된 이전의 최적 전두부 형상은 마지막 차량의 위치에 있을 때 전체 공기저항의 관점에서 적합하지 않다. 또한 3차원 형상 최적설계에 있어 정확한 후류 모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이전 연구들의 열차 후류 모사는 열차 형상과 경계조건으로 인해 정확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전체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관점에서의 3차원 전두부 형상 최적설계는 전체 차량 형상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특히 후미부에서의 후류 영역을 제대로 모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한 전후대칭열차의 전두부 3차원 형상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전체 공기저항을 줄이는 비제약 최적설계와 전체공기저항과 미기압파를 모두 저감하기 위해 미기압파를 최소화하는 전두부 단면적 분포를 제약조건으로 가지면서 전체공기저항을 저감하는 제약모델 최적설계를 각각 수행하였다. Vehicle Modeling Function을 이용하여 3차원 열차 형상을 구성하였고, Navier-Stokes 방정식과 비정렬격자를 이용하여 그 공기저항을 예측하였다. 전체공기저항을 고려한 경우와 첫번째 차량의 공기저항만을 고려한 경우의 최적설계를 비제약 최적설계와 제약모델 최적설계 모두의 경우에 각각 수행하였다. Maxi-min Latin Hypercube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실험점을 바탕으로 인공신경망을 구성하여 최적설계에 이용하였다. 비제약 최적설계의 경우, 베이스형상과 비교했을 때, 전체공기저항을 고려한 전두부 형상을 적용한 열차모델은 전체공기저항이 약 5.8% 감소하였고, 첫번째 차량의 공기저항만 고려한 전두부 형상을 적용한 열차 모델은 전체공기저항의 감소가 미미하였다. 제약모델 최적설계의 경우, 베이스형상과 비교했을 때, 전체공기저항을 고려한 전두부 형상을 적용한 열차모델은 전체공기저항이 약 15.3% 감소하였고, 첫번째 차량의 공기저항만 고려한 전두부 형상을 적용한 열차 모델은 전체공기저항이 오히려 9.7% 증가하였다. 비제약설계 최적 전두부 형상의 낮게 깔리면서 세로로 긴 형상특징은 열차 뒤쪽 전두부 끝단 근처의 회전유동을 약화시킨다. 반면에 제약모델기반 최적 전두부 형상의 낮게 깔리면서 가로로 긴 형상 특징은 열차 뒤쪽 전두부 아랫면에서 올라오는 유동과 그로 인해 형성되는 와류를 약화시킨다. 이런 두 최적형상의 형상특징들이 전체 공기저항을 감소시킨다. 실제 전후대칭열차의 최적설계를 위해서 후류 영역이 정확하게 모사되어야 하기 때문에 3차원 형상 모델링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Vehicle Modeling Function은 3차원형상을 함수화하여 다양한 형상을 표현하는데 제약이 없기 때문에 형상제약조건의 유무에 관계없이 성공적인 3차원 형상 최적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가치있는 도구이다. 또한 전체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최적설계를 위해서는 앞뒤에서 방향만 다른 같은 전두부 형상의 양방향 주행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 Zero Emission 분산형 에너지를 위한 1.5kW급 메탄 개질기 特性 硏究

        곽민호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력에너지의 소비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기 에너지 절약 및 여름철 피크부하는 전력 예비율과 상관하여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피크전력을 피크시간대에서 다른 시간대고 옮길 수 있는 피크 쉬프트 제어방식의 적용이 필요하다. 즉 심야의 값싼 전력을 저장했다가 주간에 소비전력 증가 시에 사용하는 방식인 분산형 발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분산형 발전 중에서 수요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기술은 연료전지 기술이다. 연료전지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수소를 만드는 방법 중에서 천연가스 개질(LNG reforming)이 널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가스 개질기(reformer)를 제작하여 운전한 결과와 simulation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개질기의 상용화를 위해서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인자들을 정리하였다. simulation은 실제 공정 분석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ASPEN PLUS을 이용하였다. 개질기의 주요 반응은 수소를 만들어내는 STR(Steam Reforming)과 CO를 제거하는 WGS(Water Gas Shift), PrOx(Preferential Oxidation) 반응이다. 본 연구에서는 촉매의 최적 활성을 나타내는 조건으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STR의 S/C(steam)/carbon ratio)는 3.0으로 고정하였고 압력은 1~2기압, 온도는 750℃의 조건이다. WGS와 PrOx는 각각2단의 반응기를 두어 CO제거에 효율성을 높였고, 전체시스템의 SV는 5000hr^(-1)로 하였다. 그리고 반응기의 보다 콤팩트화를 위해 metal fiber burner(lean burn)를 사용 하였다. 이러한 조건으로 개질기를 제작 운전하였고, 촉매의 활성 결과와의 운전결과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등온반응기의 설계가 전체 시스템의 결과에 매우 중요한 부분 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로 촉매의 최적활성을 보이는 온도와 시스템에 장착되어 최적활성을 보이는 온도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최종 배출가스의 전체적 추이는 수소가 60%(wet base). CO가 1% 를 나타내었고, SR의 온도는 750℃, WGS는 250℃~300℃, PrOx는 180℃~200℃에서 최적의 운전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제작되어진 개질기의 크기의 대부분은 시스템의 콘트롤 부분과 Water Tank, 냉각부분이 전체 개질기 시스템 2/3을 차지하고 있다. 장치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보다 컴팩트한 제품의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have been increasing exponentially. In case of a peak load related backup power in summer season, it has become conspicuous a long pending issue. Therefore, we really need the peak shift control method to move peak electric power consumption from a peak period to another period in daytime. We need an electric power production system of dispersion type. That is to say, we have to develop a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which product electric power and save it at night and use it at daytime. Among the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a fuel cell technology is predicted that the potential demand is very high. The fuel cell is using hydrogen, and the LNG reforming technology is used very widely among this technology.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actical operating results and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for reformer's efficiency by using LNG reformer. Also, we investigated the important factors considered to commercialize the reformer. We applied a computer simulation program ASPEN PLUS used in a field of process analysis practically. We could know that the main reactions were the STR(Steam Reforming) making hydrogen, PrOx(Preferential Oxidation) reaction removing CO.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esigned the system as follows to induce for an optimum activity of catalysts. Initial S/C(steam/carbon ratio) of STR was fixed by 3.0. Its pressure was 1-2atm, and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750℃. WGS & PrOx designed dual reactor for rise CO removal efficiency. Moreover, we used the metal fiber burner(lean burn) to make reactor more compactly. Syngas composition was hydrogen 70%, CO 0.15% and CH4 0.21% (at dry base). It was SR 750℃, WGS 250℃~300℃ and PrOx 180℃~200℃ that temperature on steady state The size of the greater part of reformer made recently consisted of a control part, water tank, and their composition ratio were about 2/3 of the total reformer system. To commercialize this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decrease a total size of reformer.

      • 다중 스케일 기반 Self-Attention 생성적 적대 신경망을 이용한 비지도 학습 애니메이션 얼굴 변환

        곽민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generator architecture to translate a selfie photo into an anime face image in an unsupervised way. The purpose is to translate selfie images to anime face images that preserves the traits and shapes of facial parts (e.g., eyes and noses) of an input source image with reference anime style. Recent face translation works often fails to preserve the characteristics of facial parts of selfie photos while transferring to anime images. To cope with this, the proposed method develop new adversarial generative network (GAN) architecture composed of (1) simple cycle contents loss, (2) multi-scale assisted self-attention, and (3) adaptive feature fusion. The goal of using cycle contents loss is to make the GAN preserves a wide range of selfie image contents, which includes hair shape, facial expression and shape of face. By comparing feature maps in the process of image translation, cycle contents loss prevents the feature maps being overly summarized by encoder and decoder. This prevents hair styles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selfie image being oversimplified into a plain expression of anime images such as straight hair, tiny nose, and mouth. In addition, multi-scale assisted self-attention complements the existing attention by using its various scales of self-attentions. This multi-scale assistance provides additional spatial relationship of feature maps that cannot be perceived by single-scale attention. It allows model to gain additional facia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useful to generate an anime image containing hair style and facial expression from a selfie photo. Adaptive feature fusion helps model to understand which self-attention map is important among the multiple self-attention maps generated by the multi-scaled self-attention module. It makes GAN model to understand which scales of self-attention map is critical for image translation and allow the optimal elements without being disturbed from too much information. Our extensive and comparative experiments on selfie2anime and photo2anime datasets have been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over other state-of-the-art methods.

      •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 진로지원의 인과적 관계

        곽민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ion-behavior, parent's attachment,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undergraduate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to identify the effect of parent's attachment,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on career exploration-behavior, to identify the moderate effect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exploration-behavior, and identify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exploration-behavior.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the 16,325 students atten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according to the 2010 record. The research carried out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considering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grade and gender of the students who are attending university. Through this process it was sampled 400 students, 380 students from 11 different college.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study. It was consisted of career exploration-behavior scale, parent's attachment scale, career support from college scale,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scale, and demographic items. In this study, the existing scales were used for career exploration-behavior,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support from college. career exploration-behavior was consisted of self-exploration and career-exploration.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was consisted of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interview self-efficacy, relation self-efficacy, self exploration efficacy. parent's attachment was consisted of isolation, communication and trust. career support from college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levels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e scale was consisted of informational support, practic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Through pilot test and final survey, reliability of these scales were examin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and e-mail from October 4th to 12th 2011. A total of 400 out of 38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371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8.0-Win statistics package, and AMOS 18.0 version. A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fix indexed of causal model among career exploration-behavior, parent's attachment,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suitably. Second, factor loading of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to career exploration-behavior was significant(β=.579, p<0.01) also factor loading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was significant(β=.196, p<0.01) however the factor loading of parent's attachment to career exploration-behavior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achment as well as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behavior had moderating effect each as .152 and .142. Forth, the causal model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ttending college.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behavio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undergraduates was under the average. Second, as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self-efficiency was higher,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promoted. third career support from colleg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undergraduates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career exploration-behavior.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attending college has effect of causal relationships among career exploration-behavior,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and career support from college. fifth, the higher grade undergraduates perceived the level of support from college less sufficient.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 further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personal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the consciousness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Second, integrativ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should develop. Third,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both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Fourth, the career support system which can assist undergraduates to explore career practically should be constructed.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의 진로지원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의 진로지원의 인과모형은 실증적 자료 예측에 적합할 것이다. 둘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에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의 진로지원은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부모애착과 학교의 진로지원은 진로탐색효능감을 매개로 진로탐색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연구모형이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2010년 서울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전체 학생이다. 2010년 현재 서울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16,325명으로, 이 연구에서는 변인의 특성과 불성실 응답 등을 고려하여 총 380명을 표집 하였다. 이는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관련 있는 기준 변수로 집단을 층화하여 비율을 고려하였다. 주요 층화 기준인 소속단과대학의 특성과 성별을 고려하여 할당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도구는 진로탐색행동,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 진로지원,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진로 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진로탐색행동 측정도구는 최동선(200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나에 대한 탐색 12문항, 직업에 대한 탐색 16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내적 일치도 계수는 .854~912 이었다. 진로탐색효능감 도구는 Solberg(1994)가 개발한 도구를 최옥현(2007)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면접효능감 5문항, 개인적탐색효능감 5문항, 직업탐색효능감 6문항, 관계구축효능감 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841~.911 이다. 학교 진로지원 도구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지지의 측면에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검사의 하위영역을 결정한 뒤, 기존 측정도구의 문항분석과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한 새로운 문항 수집 및 지시문과 응답양식을 결정하여 학교의 진로지원 검사(초안)를 개발하였다. 이후 부적절한 문항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와 예비조사를 실시하는 순으로 이루어졌다. 이 측정도구는 정보적 지원 7문항, 실제적 지원 8문항, 정서적 지원 1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878~.889 이다. 자료 수집은 자료 수집은 2011년 10월 1일 부터 10월 20일까지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통하여 실시되었다. 이에 380명의 자료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5.0%), 회수된 자료 가운데 한 문항이라도 응답하지 않았거나, 역배점되는 문항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문항에 한 번호로 응답한 9명을 제외한 371(유효 자료율 92.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와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에 있어 통계적 판단은 유의수준 5%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의 진로지원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 학교의 진로지원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부모애착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학교진로지원 및 부모애착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탐색효능감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졌다. 넷째,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단과대학 특성에 따라 연구모형이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행동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행동 수준은 보통 이하이며, 직업탐색 영역이 나에 대한 탐색 영역보다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둘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행동이 촉진된다. 이 연구에서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진로지원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행동이 촉진된다. 즉, 서울대학교 학생들은 학교에서 인지되는 진로지원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행동의 빈도가 높다. 이는 직접적인 경로와 간접적인 경로로 모두 설명된다. 넷째, 단일학과로 구성된 단과대학에 비해 다수학과로 구성된 단과대학에서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컸으며, 학교진로지원이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더 컸다. 다섯째, 서울대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저학년학생들에 비해 학교의 진로지원 수준을 낮게 평가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후속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인지된 진로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인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의 진로지원서비스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적인 준거 개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부모애착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과 실제적인 진로지원을 도울 수 있는 진로지원체계가 구축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