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자비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외상 경험 여대생의 인지, 정서,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강희연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 경험이 있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프로그램을 온라인상에서 실시하여 인지, 정서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 강원, 대전 소재 대학교의 재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고,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 수정판(IES-R-K)을 사용하여 18점 이상인 학생을 선별했다. 선별된 참가자들을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무선할당하여, 처치집단 15명, 대기통제집단 15명이 최종 분석 결과에 포함되었다. 처치집단은 주 2회 1시간 내외로 3주 동안 총 6회를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ZOOM을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자기자비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시점에 사건 검사와 사후 검사를 하도록 했고, 프로그램 종료 후 3주가 지난 시점에 추후 검사를 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 도구는 자기자비 척도(SCS), 사건충격 척도(IES-R-K), 외상 후 인지 척도(K-PTCI),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척도(K-PANAS),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이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사건충격,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침습적 반추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이 유의한 감소의 효과는 추후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또한,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자비, 외상 후 성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 유의한 증가의 효과는 추후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처지집단의 의도적 반추, 적응적·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는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Compassion program on cognition, emotion, posttraumatic growth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an experience of interpersonal trauma. For this purpose, 30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scores on the IES-R-K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15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he treatment group, and another 15, in the wait-control group. The Self-Compassion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6 sessions over 3 weeks. All participants of the treatment group and wait-control group completed a pre-test, a post test, and a 3-week follow-up test. As the measurement tool, the researcher used the Self- Compassion Scale(SCS),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 (IES-R-K),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K-PTCI),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in Korean(K-ERRI), the Korean vers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K-CERQ),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K-PANAS),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Specific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Impact of Event, Posttraumatic Cognitions, intrusive rumination in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and these effects kept on the follow-up test. The scores of posttraumatic growth, self compassion in the treatment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and these effects kept on in the follow-up test. On the other hand, deliberate rumination,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were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대전광역시 자치구별 주거환경격차에 관한 연구

        강희연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도시의 기능은 그 속성이 복잡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도시가 얼마만큼의 사회적·문화적으로 국민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제공 능력의 유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시 기능 능력에서 멈추지 않고 발전성도 내포되어야 한다. 대전시의 총 5개 자치구를 자치구별 1995년부터 2005년까지의 재정, 산업, 주거, 도시기반시설, 문화·복지·교육시설, 환경등 총 6부문 28항목에 대하여 지표를 설정하여 지치구별 인구 또는 가구수로 대비 수치적 산술을 통하여 표준화하였으며, 자치구별 불균형 정도를 수치적 시각적으로 정형화된 자료를 산출하여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그 결과 대전시 자치구중 서구는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로써 인구의 증가율이 어느 정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유성구는 급격한 인구증가로 인한 도시환경을 확충하고 있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른 자치구들은 반대로 인구의 감소를 보여주고 있어 상반되게 다른 도시적 생활환경 조건이 좋아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지표설정에 의한 재정부문에서는 유성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중 1인당 지방세액이 다른 자치구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부문의 사업장 수는 전반적으로 자치구들의 감소형태를 보이고 있는 반면 종사자 수는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치구들의 일반시장은 점진적으로 감소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대형판매시설은 자치구 모두 소폭 상승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주거부문은 1인당 아파트항목은 자치구 모두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그중 가장 많은 수를 보유한 자치구는 유성구로써 많은 양의 아파트 량이 단기간 내에 대폭 증대된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도시기반시설에서는 1인당 공원면적과 1인당도로면적에서 서구가 다른 자치구들 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여줘 이를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고, 환경에서는 대덕구가 많은 오염물질 배출시설이 자리 잡고 있어 환경은 다른 자치구들보다 위험요소를 가진 것으로 보였다. 우선 대전시는 서구와 유성구로 유입되는 인구 편중적인 것을 막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며 이를 위해 대전시의 자치구들은 다양한 형태로 비전 및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발표하고 있으며 이를 보다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방법으로 사업을 성공시켜야하는 것이 대전 도심의 균형적인 발전을 이룰 것이다. It is true that function of a city has characteristics formed with complicated and various shapes. It can be said that the city should have providing ability that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socially and culturally to people to some extent. Also, the city has not only city function ability, but also development possibility. Each index of total five self-governing districts was set about 28 items of total six sections such as finance, industry, housing, city infrastructure, culture, welfare, educati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etc. from 1995 to 2005 according to the self-governing district and was standardized through numeric calculation by comparing population or the number of households according to the self-governing district, and a policy proposal was made by calculating data that an unbalance degree according to self-governing district is standardized numerically and visually. As a result, the Seo-gu of the self-governing district having the most population in Daejeon city showed a stable increase rate of a population, but Yusung-gu showed expansion of city environment due to rapid population increase. Also, other self-governing districts showed decrease of a population on the contrary, so it could be shown that urban living environment conditions got better. Yusung-gu showed the highest value in a finance section by index setting and showed that a local tax per capita was much higher than other self-governing districts. It was shown that the number of a business place of the industry section was generally decreased in the self-governing districts, wheras the number of employees was increased narrowly. Also, a general market of the self-governing districts shows gradually decreasing shape, but large-scale sale facilities shows narrowly increasing shape in all self-governing districts. An apartment amount per capita in a housing section largely increased in all self-governing districts, and the self-governing district having the most number of apartments was Yusung-gu, so a large amount of apartments were largely increased in short time.Seo-gu in infrastructure showed remarkably low value in park area and road area per capita, so the infrastructure expansion is necessary. Daeduk-gu includes many contaminants discharge facilities so it appeared to have more riskful element in environment than other self-governing districts. First of all, it will be important that population concentration to Seo-gu and Yusung-gu should be prevented in Daejeon city, and the self-governing districts of Daejeon city plan vision and projects in various shapes andannounce it for that, and the project should be successful by an in-depth and diversified method, so that balanced development of the downtown ares of Daejeon city will be achieved.

      • 牧谿 繪畵 受容 樣相 硏究 : <觀音猿鶴圖>와 <栗枾圖>를 中心으로

        강희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Art historians agree that Muqi (active late 13th century) was a prototypical painter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1127-1279), a Chan Buddhist monk who reached enlightenment under the revered Chan master Wuzhun Shifan (1177-1249) and the founder of the “Liutong school of Zen art.” It is also believed that Yuan dynasty (1260-1368) critics severely criticized Muqi’s style but Japanese audiences began to covet his paintings beginning in the 14th century. Muqi was admired as one of the most famous Chinese masters in Japan.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widespread image of Muqi as a Zen (Chan) master painter celebrated in Japan was, in fact, invented by Okakura Tenshin (Okakura Kakuzō, 1862-1913) and other art historian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is thesis reexamines the life and historical image of Muqi and the reception of his paintings, focusing on Guanyin, Gibbons, and Crane (the “Daitoku-ji triptych”) at Daitoku-ji Temple, Kyoto, and Persimmons (better known as Six Persimmons) in Ryōkō-in, a sub-temple of Daitoku-ji. Chapter I challenges the long-held view of Muqi as a Chan Buddhist painter who studied under Wuzhun Shifan and as a man from Shu (present-day Sichuan province). A close examination of contemporary texts reveals that Muqi’s relationship with both Wuzhun and Chan Buddhism stemmed from insufficient evidence. It is not clear whether Muqi was a monk at Liutong Temple. His Shu origins, however, remain reliable. This chapter looks into Muqi’s activity in the Chang’erxiang area on West Lake in Hangzhou. Figures like the Korean prince-monk Uicheon (1055-1101) came to this region to study Huayan Buddhism, indicating that Muqi’s life and career were, in all likelihood, influenced by the efflorescent culture flourishing in Chang’erxiang. This chapter also considers the impact of Emperor Lizong (1205-1264, r. 1224-1264) on Muqi’s art. Emperor Lizong’s Tianzhusi Guangda Linggan Guanyindian ji (Record of the Broadly Great and Miraculously Inspirational Guanyin Hall in Tianzhu Temple) not only indicates that the faith of Guanyin’s many manifestations was popular in the West Lake region during the mid to late-13th century, but also testifies that three aspects of Guanyin received special emphasis: wisdom, mercy, and purity. The chapter then concludes with a new interpretation of the Daitoku-ji triptych: the three paintings visualized the prevalent belief in the threefold aspects of Guanyin popularized by Lizong. The interpretation posits that the crane and gibbons are not merely flanking attendants but manifestations of Guanyin. It is clear that Muqi’s use of the crane and gibbon motifs was derived from the Shu traditions of yipin (untrammeled) monochrome ink paintings, time-honored lingmao (bird and animal) paintings, and large-scale hanging scrolls of Buddhist figures and motifs. Chapter II examines the reception of Muqi during the Yuan dynasty, the Ming dynasty (1368-1644), and the Qing dynasty (1644-1912). Connoisseurs and critics across the three periods are known to have disparaged Muqi and his oeuvre. A detailed comparison of Yuan texts, however, reveals that these critics, without encountering Muqi’s artworks firsthand, merely excerpted and combined the comments of their predecessors. More vivid accounts of Muqi’s creations from their actual audiences support that Muqi and his paintings were appreciated by myriad figures with Confucian, Buddhist, and even Daoist backgrounds. The poetic inscriptions on Muqi’s paintings also serve as testimony that the works were well-received in various contexts. Chapter II then focuses on the drastic change in the documentation of Muqi’s paintings from the 15th century onward. Documents discussing huahui zahua (flowers, plants, and miscellaneous subjects) by Muqi were nearly nonexistent until the Yuan dynasty. Two of Muqi’s huahui zahua scrolls, one in the Palace Museum, Beijing, and the other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Taipei, however, appeared in early Ming Chinese texts on painting for the first time. This appearance coincides with the Japanese Muromachi period (1336-1573) when the demand for Muqi’s paintings of kashi, fruits or nuts served as confections with tea, burgeoned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chanoyu (tea ceremony) under the Ashikaga shogunate. The culture of chanoyu required certain types of paintings to adorn the tokonoma, an alcove in the wall of a tea room for the display of aesthetic objects. Previously overlooked huahui zahua scrolls attributed to Muqi served to satisfy the demand of the tokonoma, which led to the mass production of kashi paintings with Muqi attributions. Ming artists’ encounter with the sudden increased demand for huahui zahua pictur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hanging the style of monochrome ink paintings and in formulating the more favorable Chinese reception of Muqi. The painters who interacted with the paintings in this context include such renowned figures as Shen Zhou (1427-1509), Li Rihua (1565-1634), and Zha Shibiao (1615-1698). Chapter II finishes with an exploration of the evolution of Muqi’s reputation during the Qing dynasty. The third volume of the Jieziyuan huazhuan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published in 1701, lists Muqi as a master of bird-and-flower paintings. This serves as proof of how Muqi’s reputation continued to evolve. It expands further with the Lidai huashi huizhuan (Biographies of Painters through the Ages) by Peng Yuncan in the late 19th century that highlights Muqi’s eccentricities absent from any previous biographical writings about the painter. Chapter II’s examination of various dimensions of Muqi’s reputation throughout Chinese art history establishes that Muqi and his art became highly regarded in China due to the immense popularity of his works in Muromachi Japan. Chapter III analyzes the Japanese reception of Muqi’s two paintings, the Daitoku-ji triptych and Persimmons, from the Muromachi period through the end of the Edo period (1600-1868). The triptych, comprised of Guanyin, a crane, and gibbons, began its history in the decoration of the kaisho, the meeting rooms of the villas maintained by Ashikaga shoguns. Chapter III first explores how the triptych came to be considered one of the greatest karamono (Chinese objects) and how Ashikaga shoguns used it as a means of demonstrating their elegant taste and artistic and cultural knowledge. The reputation of the Daitoku-ji triptych as the precious property of the Muromachi rulers remained unchallenged, even leading Japanese authors in later periods to mistakenly regard every painting by Muqi in the holdings of Daitoku-ji as part of the Higashiyama gomotsu, the collection of the Ashikaga shogunate. Chapter III also focuses on the aesthetic reception of the Daitoku-ji triptych which set standards for the composition and display of karamono painting in Japan. The unique composition of Muqi’s triptych suited the taste of the Muromachi shogun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e shoguns, many collectors of karamono purchased paintings similar in composition to Muqi’s triptych. Chaper III further examines the later reception of Muqi’s triptych held at Daitoku-ji. Many Edo period documents show that the Daitoku-ji triptych was displayed for both internal rites and public events. During these events, the temple showed Guanyin, Gibbons, and Crane as separate scrolls and sometimes combined them with Dragon and Tiger, attributed to Muqi, now in the collection of Daitoku-ji. This chapter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shusho’e, the New Years’ service in Japanese Buddhist temples, in the display of the Daitoku-ji triptych. Chapter III points out that the shusho’e at Daitoku-ji involved a singular use of the triptych. The centerpiece of the triptych, the white-robed Guanyin, was exhibited alone on the last day of the shusho’e when the priests of Daitoku-ji performed the first tea ceremony of the year in Unmon-an, the burial place of the founder Daitō Kokushi Shūhō Myōchō (1282-1337). Daitoku-ji’s own uses of Guanyin, Gibbons, and Crane further illuminate how Muqi’s triptych was displayed within the context of Buddhist rituals. Chapter III also probes into the provenance, authenticity, and reception of Persimmons (Six Persimmons), one of the diptych Chestnuts and Persimmons, a set of two hanging scrolls, known to exist in Japan since the 16th century. It is noteworthy that Japanese artists, collectors, and tea masters paid more attention to Chestnuts than to Persimmons. A later composition entitled Chestnuts by Kanō Motonobu (1476-1559) shows not only the popularity of this motif over that of persimmons, but also the presence of identical or similar paintings regarded as Muqi’s huahui zahua starting in the early 16th century at the latest. Chestnuts and Persimmons began to be mentioned in written records in 1571. The diverse and complex accounts of Chestnuts and Persimmons raise questions about the possible existence of other paintings with the same title yet different motifs. To explore this possibility, Chapter III traces the provenance of other paintings titled Chestnuts and Persimmons. Yōka Kyokuan (active in 16th century), the first owner of the renowned Persimmons, and Marquis Inoue Kaoru (1836-1915) are said to have possessed Chestnuts and Persimmons respectively. The Jōtenkaku Museum of Shōkoku-ji Temple, Kyoto, has a painting called Chestnuts and Persimmons. These paintings suggest that there were many paintings depicting chestnuts and persimmons in circulation during the Edo period. Copies of Chestnuts and Persimmons by Kanō painters testify to this phenomenon during the Edo period. The wide circulation of paintings called Chestnuts and Persimmons shows the abundance of copies of Muqi’s huahui zahua, especially in 16th-century Japan. The analysis of the provenance and authenticity of Chestnuts and Persimmons in Chapter III is followed by a discussion of its reception. Sen no Rikyū (1522-1591) is recorded as the first tea master to display Muqi’s Chestnuts and Persimmons. He displayed them to show his gratitude to the guests who attended his tea ceremony. During Rikyū’s time, chestnuts and persimmons were symbolic of the host’s gratitude to the guests. As a result, kashi (nuts or fruits) paintings began to take on symbolic meanings. Muqi’s Chestnuts and Persimmons was donated to Ryōkō-in, a sub-temple of Daitoku-ji, by Kōgetsu Sōgan (1574-1643), the second son of the Sakai tea master and abbot of Ryōkō-in Tsuda Sōgyū (?-1591). Sogan enjoyed a close friendship with renowned chanoyu masters and artists of the time such as Kobori Enshū (1579-1647), Shōkadō Shōjō (1584-1639), and Kanō Tan’yū (1602-1674). Shōjō and Tan’yū created huahui zahua hanging scrolls similar to Chestnuts and Persimmons. This indicates that they had access to these Muqi-attributed works. Given that Chestnuts and Persimmons was in the Ryōkō-in, the painting gained enormous popularity. It was frequently viewed and appreciated by elite chanoyu practitioners and artists of which Shōjō and Tan’yū were only two. The Chūkō meibutsuki (Masterpieces of the Revival) detailing Kobori Enshū’s tea aesthetics mentions the ways in which Chestnuts and Persimmons was shown to them in the chanoyu ceremony. Chestnuts and Persimmons was received as such during the period. It was regarded not as an artwork embodying the quintessence of Zen, but as a special object for the chanoyu practice. That Edo period illustrated books reveal that the Ryōkō-in zahua was not as much highly valued as the Daitoku-ji triptych indicates that Chestnuts and Persimmons served as a chanoyu object. Chapter IV examines the changes in the Japanese reception of both Guanyin, Gibbons, and Crane and Chestnuts and Persimmons which occurred when these paintings were incorporated into Zen art history start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Okakura Tenshin created his pan-Asianist discourse, arguing that the ideals of the East rest on Zen Buddhism which was forgotten in India or China while it prospered in medieval Japan. Okakura’s ideological framework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art history. His theory of pan-Asianism and his promotion of Zen and Zen art exerted wide influence by the Kinki hōmotsu chōsa (Investigation of the Art Treasures of the Kinki Region, 1884-1888), the publication of collected works such as the Shinbi taikan (Selected Relics of Japanese Art, 1899-1908) by the publisher Shinbi shoi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kuhō (National Treasure) system. As these new art historical and cultural endeavors that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Zen Buddhism began to gain currency, Muqi became a painter who embodied Zen aesthetics and represented Okakura’s discourse on the ideals of the East. Nevertheless, the Daitoku-ji triptych, the most renowned masterpiece of Muqi from the Muromachi period on, did not fit neatly into the principles of Zen art history that celebrated the untrammeled manners of Zen master painters. The Daitoku-ji triptych is a carefully designed and finely executed set of paintings famous for the painter’s meticulous and refined draftsmanship, standing in sharp contrast to the swift, sketchy, abbreviated, rough style of ink drawing typical of Zen artists. As a result, scholars pursuing Zen art history turned their attention to other paintings by or attributed to Muqi that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Zen art. After examining this phenomenon, Chapter IV then focuses on the compromise which Japanese art historians reached after the 1910s. They regarded Gibbons as an example of relatively rough and expressive style closely related to the untrammeled quality in Zen painting. This new interpretation of the Daitoku-ji triptych led to the idea that Guanyin, Gibbons, and Crane originally did not constitute the triptych and the three paintings were assembled as a set of three hanging scrolls in Japan. It must be noted that Guanyin, Gibbons, and Crane had been recorded separately in texts since the Muromachi period. Scholars of the Meiji era (1868-1912) followed this tradition and treated the paintings separately. Guanyin, Gibbons, and Crane came to be enrolled as separate artworks in the system of the National Treasures. Chapter IV then continues to trace the historiography of Chestnuts and Persimmons, or the modern “discovery” of Persimmons. The Gūnpo seigan (Appreciation of Fragrant Flowers, 1913) by Aimi Kōu (1874-1970) is the only literature that introduced Chestnuts and Persimmons as one of the best examples of Zen art in the early 20th-century Japan. Aimi described the Ryoko-in zahua as the prototype of Muqi’s small paintings that visualized the Zen spirit. Otto Kümmel (1874-1952) and Ernst Grosse (1862-1927), two of the German scholars who had read the Gūnpo seigan introduced Chestnut and Persimmons to Western scholars, notably Arthur Waley (1889-1966), by reproducing its plate in their books, Die Kunst Ostasiens (1921) and Ostasiatische Tuschmalerei (1922) respectively. Waley, the author of Zen Buddhism and Its Relation to Art (1922) and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Chinese Painting (1923), recorded that Muqi was the founding father of Zen painting. His books reproduced only Persimmons as the artist’s exemplary work. Persimmons consequently enjoyed tremendous popularity in the West. This Western perception of Persimmons as a masterpiece exemplifying the essence of Zen stands in direct contrast to the traditional Japanese conception of Chestnuts and Persimmons as a special object in the tea ceremony. Chapter IV further examines how Chestnuts and Persimmons came to be celebrated in the West. It is noteworthy that Aimi, the sole Japanese scholar who wrote on Chestnuts and Persimmons in the context of Zen, not only worked together with the Shinbi shoin under the aegis of Okakura but also interacted with Westerners in person while studying in France and England. Aimi’s new interpretation of Chestnuts and Persimmons as Zen painting seems to have been derived from his own experience in Europe where Okakura’s theory of interconnectedness among Zen, Asian ideals, and Japanese art gained enormous popularity. As a result, Persimmons rose to prominence as a masterpiece showing the essence of Zen aesthetics. Arthur Waley’s celebration of Zen art played a key role in the making of Persimmons as a masterwork. Muqi’s paintings cannot be understood solely as artworks representing the quintessence of Zen art forgotten in China. The reception of Muqi and his paintings varied according to different times and places. Each reception is related to its own cultural context. This thesis explores how to understand Muqi within the specific context in which he lived and worked and how to interpret the ways in which he was received in Chin and Japan from various perspectives. 목계(牧谿[목계법상(牧谿法常)], 13세기 후반에 활동)는 중국의 남송시대(南宋時代, 1127-1279)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그는 동양회화사를 개관할 때 반드시 거론되는 인물이다. 여러 동양회화사 개설서는 목계가 선사(禪師) 무준사범(無準師範, 1177-1249)의 제자로 ‘육통사(六通寺)의 선종화파(禪宗畵派)’를 개창했으며 중국에서 평가 절하된 반면 일본에서 상찬(賞讚)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목계에 대한 서술과 인식은 20세기 초 오카쿠라 텐신(岡倉天心[오카쿠라 카쿠조(岡倉覚三)], 1863-1913) 등이 ‘선종 미술사’ 담론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게 된 근대 미술사의 산물이다. 그렇다면 역사적 존재로서 목계는 본래 어떤 인물이었을까? 선종 미술사라는 관점에서 목계를 설명하기 이전에 중국과 일본에서 목계와 그의 그림들은 어떻게 수용되고 평가되었을까? 선종 미술사가 정립되는 과정에서 목계에 대한 담론은 어떻게, 나아가 왜 변화된 것일까? 필자는 이 연구의 각 장을 통해 이와 같은 질문에 대답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이 연구는 남송시대의 목계와 관련된 기록을 토대로 목계의 원형을 추적해보았다. 이를 통해 필자는 목계는 촉(蜀) 출신으로 추정되지만 무준사범의 제자나 선승화가였다고는 단정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오히려 목계가 활동한 장이상(長耳相) 지역은 다양한 불교의 종파와 문화가 교류했던 곳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곳은 고려(高麗, 918-1392)의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이 화엄종(華嚴宗)의 배우기 위해 유학을 올 정도로 국제적이고 황실 친화적인 지역이었다. 이러한 목계의 활동 배경을 고려할 때 주목되는 글이 바로 황제 이종(理宗, 재위 1224-1264)의 「천축광대영감관음전기(天竺廣大靈感觀音殿記)」이다. 이 글은 몽골의 침략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백의관음(白衣觀音)이 다양한 모습으로 응신(應身)하여 중생을 구원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유불(儒佛) 융합적 입장에서 작성된 것이다. 황제가 남긴 이 글은 목계가 활동했던 13세기 중·후반 서호(西湖) 주변에서 유행했던 관음 신앙의 단면을 보여준다. 나아가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던 당대(當代)를 대표하는 선사(禪師)였던 무준사범이 남긴 「관음대사」 찬문은 목계가 <관음원학도(觀音猿鶴圖)>를 그리기 이전에 이미 관음이 원숭이, 학과 같은 영모(翎毛)의 모습으로 응신한다는 발상이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관음의 응신 사상이 서호 전반에 걸쳐 종파를 넘어 유행하고 있었던 상황을 고려할 때 쿄토(京都) 다이토쿠지(大德寺)에 소장되어 있는 <관음원학도>에 그려진 원숭이와 학은 다양한 모습으로 화현(化現)하는 관음의 속성을 동물로 묘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촉 출신이었던 목계는 출신지 특유의 일품적(逸品的) 수묵 기법, 전통적 영모 도상(圖像), 괘축(掛軸)의 대형 불화 등의 회화적 전통을 종합하였다. 그 결과 목계는 이종의 글에서도 강조되었던 관음의 세 가지 측면, 즉 지혜(智慧), 자비(慈悲), 청정(淸淨)을 <관음원학도>라는 작품으로 시각화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이 연구는 원대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 목계의 작품이 어떻게 수용되고 인식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원대(元代, 1260-1368)에 작성된 화사서(畵史書) 중에는 목계를 비판적으로 서술한 경우도 확인된다. 그러나 이는 실제 그림을 감상하고 작성한 기록이라기보다는 기존에 작성된 서술을 답습하고 편집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평가였다. 작품을 실제로 감상하고 제화시(題畵詩)를 남긴 인물들은 유불도(儒佛道)의 다양한 맥락에서 목계 회화를 수용하였다. 이처럼 수용자의 관심사나 가치관에 따라 유연하게 감상 태도가 변화될 수 있었던 것은 제작 당시 목계의 활동 배경이 지니고 있던 문화적 다양성과 융합성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14세기 전반부터 이미 일본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던 목계 회화는 명대(明代, 1368-1644)에 이르러 독특한 변화를 보여주었다. 송원대(宋元代)에는 기록이 전무하다시피 했던 ‘화훼잡화(花卉雜畵)’ 작품에 대한 기록이 중국과 일본 양국에서 15세기 중반 이후로 급증한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에서 다도(茶道) 문화가 발달하면서 토코노마(床の間)에 걸어둘 카케모노(掛物)로 각종 과일이나 야채를 그린 목계의 ‘과자도(菓子圖)’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목계의 <화훼잡화권> 모본(摹本)이 다량으로 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목계 회화의 독창적인 화의(畵意)가 심주(沈周, 1427-1509), 이일화(李日華, 1565-1635), 사사표(査士標, 1615-1698)에게까지 영감을 준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를 거치며 청대(淸代, 1644-1912)에 목계는 화조화의 명수로서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1701)』제3집에 이름을 올리기까지 하였다. 또한 목계의 인기가 증가하면서 팽온찬(彭蘊璨, 19세기 활동)은 그의 『역대화사휘전(歷代畵史彙傳, 1882)』에서 목계를 기이한 선승화가로 윤색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중국의 목계 회화 수용양상은 목계가 중국에서도 상당한 평가를 받고 있었다는 점을 입증해주는 동시에 일본의 수요가 역으로 중국의 인식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세 번째로 이 연구는 <관음원학도> 및 다이토쿠지 탑두(塔頭)인 료코인(龍光院)에 소장되어 있는 <율시도(栗枾圖)>를 중심으로 일본에서 목계의 회화가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 1336-1573)에 <관음원학도>는 아시카가(足利) 쇼군가의 카이쇼(會所)에서 아시카가 가문을 표상하는 권력의 상징으로 활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목계 회화는 쇼군이라는 최고의 권력자가 향유했던 특별한 카라모노(唐物)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당시 문화계 전반으로 확산되었다. 한편 <관음원학도>를 아시카가 쇼군의 권력을 표상하는 상징으로 이해했던 사회적 인식은 에도시대(江戸時代, 1600-1868)로 이어져 아시카가 쇼군의 소장품이 아니었던 목계 회화까지도 일괄하여 아시카가 쇼군가의 ‘히가시야마 고모츠(東山御物)’로 기록될 정도로 강력한 것이었다. 또한 <관음원학도>는 카이쇼를 카라모노(唐物)로 장식할 때 벽 중앙에 존상(尊像)을, 양쪽에 협시(脇侍)와 같이 영모를 배치하는 것을 애호했던 아시카가 쇼군의 취향에 매우 부합되는 그림이었다. 이후 이러한 아시카가 쇼군의 취향이 사회적으로 확산되면서 일본인들은 실내를 장식할 목적으로 카라모노 그림을 구할 때 이와 유사한 구성을 취할 수 있도록 작품을 수입하거나 주문하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관행은 훗날 역으로 그 원류였던 <관음원학도>마저도 일본에서 조합된 것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정도로 무로마치시대 이후 일본에서 보편화된 관행이었다. 한편 다이토쿠지의 소장품이 된 후 <관음원학도>는 사찰 내부 행사 및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바쿠료(曝凉)의 공개 행사에서 활용되었다. 이때 다이토쿠지에서는 <관음도>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원학도>를 다른 작품과 함께 사용하였는데 이 또한 훗날 <관음원학도>의 각 폭이 개별적으로 존재하였다는 인식이 형성되는데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이토쿠지에서 작품의 사용례 중 주목되는 것은 사찰 신년 행사인 슈쇼에(修正會)이다. 슈쇼에의 마지막 날 참회를 마치고 개산(開山)인 대등국사(大燈國師) 슈호 묘초(宗峰妙超, 1282-1337)를 모신 운몬안(雲門庵)에서 새해의 첫 다회(茶会)를 가질 때 벽에 걸려있던 그림이 바로 목계의 백의관음도(白衣觀音圖)였다. 이처럼 목계의 관음도를 다회에서 사용한 것은 15세기 이전부터 일본의 선림(禪林) 내부에 존재해왔던 오랜 관행으로 소장처의 특성에 따라 목계 회화를 수용하는 양상이 달라지는 것이 확인된다. 한편 <율시도>는 <율도(栗圖)>와 <시도(柹圖)>의 한 쌍으로 전해져 왔다. 문헌상 가장 이른 기록은 1571년에 나타나지만 이보다 앞서 카노 모토노부(狩野元信, 1476-1559)가 제작한 <율도>가 있어 16세기 전반에 이미 이와 같은 작품이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목계의 <율시도>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면 료코인 <율시도>의 최초 소장자로 알려진 요우카 쿄쿠안(養花曲庵, 16세기 활동)이 또 다른 <율시도>를 가지고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 그림은 카노파가 모본을 제작했으며 이노우에(井上) 후작(侯爵)이 소장했던 것으로 오늘날 쇼코쿠지(相國寺)에 소장되어 있는 ‘제2의 율시도’였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이본(異本)의 존재를 통해 16세기에 그만큼 목계의 화훼잡화 그림이 많이 유통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자다탕(菓子茶の湯)’이 발달했던 센노 리큐(千利休, 1521/22-1591)의 시대에 특히 감사의 뜻을 전하는 다회(茶会)에서 목계의 <율시도>는 매우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 소품이었다. 이후 <율시도>는 목계의 화훼잡화를 애호했던 다인(茶人) 츠다 소규(津田宗及, ?-1591)의 소장품이 되었으며 1612년 소규의 차남이었던 코게츠 소간(江月宗玩, 1574-1643)을 통해 료코인으로 들어갔다. 코게츠 소간과 교류한 쇼카도 쇼조(松花堂昭乘, 1584-1639), 카노 탄유(狩野探幽, 1602-1674)가 <율시도>와 유사한 수묵화훼(水墨花卉)를 남겨 이들이 료코인의 밋탄(密庵) 다실에서 <율시도>를 감상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밋탄 다실을 설계한 코보리 엔슈(小堀遠州, 1579-1647)의 미학이 집성된 『중흥명물기(中興名物記[추코메이부츠키])』는 카케모노 중 료코인의 <율시도>를 첫 번째로 소개하였다. 이처럼 <율시도>는 다인들의 명성에 힘입어 다도명물구(茶道名物具)로 인식되어 왔다. 반면 에도시대의 보다 대중적인 기록을 살펴보면 <관음원학도>에 비해 <율시도>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는 것이 드러난다. 네 번째로 이 연구는 일본에서 에도시대까지 형성되어 온 <관음원학도>와 <율시도>의 수용방식이 20세기 초반 선종 미술사를 만나 급격히 변화해 간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활동한 오카쿠라 텐신은 동양 정신의 핵심이 불교의 선종 사상에 있으며 이것은 인도나 중국에서는 잊힌 반면 일본에서만 계승되었다는 담론을 발전시켰다. 그의 이론은 일본 정부의 근기보물조사(近畿宝物調査, 1884-1888) 사업, 『진미대관(眞美大觀[신비타이칸], 1899-1908)』 등 신비쇼인(審美書院)을 통한 전집류 도서의 간행, 국보(国宝) 제도의 도입과 지정 등을 통해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때 목계는 오카쿠라의 이론에 부합되는 화가로 각광을 받았다. 『진미대관』제1권에 목계의 <관음원학도>가 소개된 것은 이러한 인식을 잘 반영한다. 그런데 <관음원학도>는 자유롭고 호방한 화풍으로 일본에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되었던 기이한 선승의 대표작으로는 걸맞지 않은 작품이었다. 이에 일본에서는 1910년대 이후로 새로운 화풍의 창시자로서 목계를 설명하기에 가장 부적합한 <관음도>를 <원학도>와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는 무로마치시대부터 ‘관음’과 ‘원학’을 분리시켜 기록하고 사용했던 일본의 전통에 힘입은 동시에 메이지시대(明治時代, 1868-1912)에 간행된 각종 도록이 세 폭을 한꺼번에 재현할 수 없었던 출판 상의 기술적 한계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이후로 여러 서적에 <관음원학도>의 세 폭 중 일부만이 도판으로 수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제도와 학설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먼저 <관음원학도>의 국보 등록은 <관음도>와 <원학도>가 별도로 이루어져 당시 이 작품을 분리시켜 이해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계에서도 목계의 작품이 일본에서 조합되었다는 ‘이종배합(異種配合)’ 이론이 등장하며 이 이론은 정설화 되었다. <율시도>의 경우 일본에서는 유일하게 아이미 코우(相見香雨[아이미 시게이치(相見繁一)], 1874-1970)가 집필한 『군방청완(群芳清玩[군포세이간], 1913)』에 선종화(禪宗畵)의 대표작으로 소개되었다. 아이미는 이 그림을 선종화의 정신이 담긴 목계의 대표적인 소축(小軸)으로 소개하였다. 『군방청완』을 본 독일의 학자 오토 퀴멜(Otto Kümmel, 1874-1952)과 에른스트 그로세(Ernst Grosse, 1862-1927)는 각각 저서 Die Kunst Ostasiens (1921)와 Die Ostasiatische Tuschmalerei (1922)에 <율시도> 또는 <시도>의 도판을 수록하였다. 여기서 <율시도>를 보게 된 아서 웨일리(Arthur Waley, 1889-1966)는 저서 Zen Buddhism and Its Relation to Art (1922) 및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Chinese Painting (1923)에서 목계를 ‘선종화’의 창시자로 설명했으며 선종화의 대표작으로 <시도>만을 소개하였다. 이후 <시도>는 서양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이것은 에도시대까지 일본에서 <율시도>가 늘 함께 사용되었으며 <시도>보다는 <율도>가 예술가들의 관심을 받았던 것과는 대조적인 현상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군방청완』의 집필자인 아이미가 선종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서구인들과 유럽에서 직접 접촉한 후 텐신의 영향을 받은 신비쇼인에서 활동한 인물이라는 사실이다. 단순한 다도구였던 소품을 갑자기 선종화의 정수로 부각시켜 서술한 것은 분명 선종화에 대한 당시의 뜨거운 관심을 아이미가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엔소(円相)로 대표되는 간결한 묵선(墨線)의 원형적 표현이 선종화로 각광받았던 서구에서 이와 유사한 시각적 특성을 지닌 <시도>는 자연스럽게 선종화의 정수를 간직한 고화(古畵)로 받아들여졌다. 즉 서구인들의 선종화에 대한 관심 속에서 간행된 『군방청완』에 소개된 <시도>는 서구인들에게 알려지는 과정 속에서 명작이라는 새로운 지위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필자는 목계의 그림이 ‘중국에서 잊힌 선종의 정수’를 담은 독특한 그림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목계의 그림은 시대마다 다른 맥락에서 수용되었다. 그러나 이는 특별한 의도에 기초한 담론에 따른 변화만은 아니다. 목계의 작품은 수용하는 사람의 관심사에 따라 새롭게 이해될 수 있었다. 이러한 변용은 문화 활동 전반에서 흔히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특히 목계의 회화 작품들은 본래부터 융합적인 성격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그림이 수용되는 구체적인 맥락에 따라 더욱 다양한 모습으로 발현될 수 있었다. 목계와 그의 회화 세계가 지니고 있었던 다층적인 성격은 역사 속에서 흥미로운 문화적 현상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牧谿(13世紀後半活動)は、中国・南宋代(1127―1279)を代表する画家であり、東洋絵画史概説において必ず言及される存在である。多様な東洋絵画史概説書には、牧谿が禅師・無準師範(1177―1249)の弟子で「六通寺の禅宗画派」を開創したこと、そして文人画家中心の中国ではあまり評価されなかったものの、日本で賞讚されたことが、説明されている。しかしこのような牧谿の叙述と認識は、20世紀初に岡倉天心(1863―1913)などにより、「禅宗美術史」談論が形成されながら産み出された、美術史の産物である。では、本来歴史的存在として、牧谿はどのような人物であったのだろうか。禅宗美術史という観点で牧谿が説明される以前、中国と日本では牧谿とその画をどのように受容したのか。そして禅宗美術史が定立していく過程において牧谿に関する談論は、どのように、そしてどのような背景で変化していったのか。筆者は本研究の各章を通じて、このような疑問に答えることを試みた。 第一に南宋代における牧谿の記録を考察し、ここから牧谿の原型を追跡しようとした。その結果、牧谿は蜀出身と言えるものの、無準師範の弟子であった禅僧画家とは断定しがたいという結論に至った。むしろ牧谿が活動したものと推定される長耳相地域は、多様な仏教の宗派と文化が交わる地域であり、また高麗(918―1392)の大覚国師・義天(1055―1101)が華厳を学びに留学したことで知られるほど、国際的かつ皇室親和的な地域であった。このような牧谿の活動背景を考慮した際、注目される文章が、皇帝・理宗(在位:1224―1264)の「天竺広大霊感観音殿記」である。モンゴル侵略という国家的危機の状況において白衣観音が多様な姿に応身し、衆生を救うことを願い、儒仏融合的な立場から編まれた「天竺広大霊感観音殿記」は、牧谿が活動した13世紀中後半において、西湖周辺で流行した観音信仰の断面を示している。また、ほぼ同じ時期に禅師、無準師範が残した「観音大士」賛文は、牧谿が《観音猿鶴図》を描く以前に、すでに観音が猿鶴のような鳥獣の姿に応身するという発想が存在していたということを示している。このように観音の応身思想が西湖で宗派、活動背景を超えて流行していた状況を踏まえるならば、京都・大徳寺所蔵《観音猿鶴図》の猿と鶴は、多様な姿に変化して現れる観音の属性を動物で表現したものと考えられる。とくに蜀出身の牧谿は、出身地特有の水墨表現、伝統的翎毛図像、掛軸の大型仏画といった絵画的伝統をオーガナイズし、理宗の文章で強調された観音の3つの属性、すなわち智慧、慈悲、清浄を《観音猿鶴図》に視覚化したのである。 第二に元代から清代まで、牧谿の作品がどのように受容認識されたのか考察した。元代(1260―1368)に編まれた画史書には、牧谿を批判的に叙述した例も確認されるが、これは実際に画を鑑賞した作成した記録というより、既存の叙述を踏襲して編集する過程で形成されたものである。実際に作品を鑑賞して題画詩を残した人物は、儒仏図の多様な文化を背景としてそれぞれ固有の脈絡で牧谿の絵画を受容している。受容者の関心事や価値観によって柔軟に鑑賞態度が変化したのは、牧谿の活動背景にもあった文化的多様性と融合性のためと考えられる。いっぽう14世紀前半から日本で高い人気を誇っていた牧谿の絵画は、明代(1368―1644)に至って独特の変化を遂げる。宋元代には記録が絶無といえるほどであった「花卉雑画」作品についての記録が日中両国で、15世紀中盤以降急増するのである。このような変化は日本で茶道文化が発達し、掛物として各種果実や野菜を描いた牧谿の「菓子図」に対する需要が急増したことを背景として推測できる。この需要を満たすため、これまでさほど注目されなかった牧谿の《花卉雑画巻》摸本が大量に制作されたのである。この過程で牧谿の絵画の独創的な画意が、沈周(1427―1509)、李日華(1565―1635)、査士標(1615―1698)にまでインスピレーションを与えている。このような変化を経て清代(1644―1912)に牧谿は、花鳥画の名手として『芥子園画伝』第三集に名を載せるに至った。また牧谿の人気が増加しながら彭蘊璨(19世紀活動)の『歴代画史彙伝』(1882)では、牧谿を奇異な禅僧画家として脚色している。このような中国における牧谿の絵画の受容様相は、牧谿が中国でも相当な評価を受けていたという点を立証すると同時に、日本の受容が逆に中国の認識に影響を与えた可能性を示す興味深い事例と言える。 第三に本研究は、《観音猿鶴図》、そして大徳寺塔頭の龍光院に所蔵されている《栗柿図》を中心として、日本で牧谿の絵画がどのように受容されたかを考察した。まず室町時代(1336─1573)に《観音猿鶴図》は、足利将軍家の会所で足利家を表象する権力の象徴として利用された。この過程において牧谿の絵画は、将軍という最高の権力者が享有した唐物として認識された。このような認識は、当時文化系全般に拡散した。いっぽう《観音猿鶴図》を足利将軍の権力を表象する象徴として理解した社会的認識は、江戸時代(1600─1868)に続き、足利将軍の所蔵品でない牧谿の絵画までも、一括して足利将軍家の「東山御物」と記録されるほど強力なものであった。また《観音猿鶴図》は、会所を唐物で装飾する時に壁の中央に尊像を、両側に脇侍のように翎毛を配することを好んだ足利将軍の趣向に合う作品であった。以後、このような足利将軍の趣向が、社会的に拡散しながら日本人は、室内を装飾する目的で唐物絵画を求める際、これと似た構成を取ることができる作品を輸入注文することもあった。このような慣行は、後に逆にその源流であった《観音猿鶴図》さえも日本で組み合わされたものという誤解を呼び起こすほど、室町時代以降、日本で普遍化した慣行であった。いっぽう大徳寺の所蔵品になったのち、《観音猿鶴図》は、寺院内部の行事、そして大衆を対象とする曝涼の公開行事に利用された。この時、大徳寺では《観音図》を単独で用いたり、また《猿鶴図》を別の作品と一緒に用いたりしたが、これもまた後に《観音猿鶴図》の各幅が個別に存在したという認識が形成されるうえで主要要因として作用した。大徳寺における使用事例のうち注目されるのは、寺の新年行事である修正会である。修正会の最後の日、懺悔を終えて開山の大燈国師の宗峰妙超(1282―1337)を祀った雲門庵で新年最初の茶会をする際、壁に掛けられていた画が、まさに牧谿の白衣観音図であった。このように牧谿の観音図を茶会に用いたのは、15世紀以前から日本の禅林内部に存在してきた長い慣行であったが、所蔵者の特性に応じて牧谿の絵画の受容様相が異なることを確認できる。 いっぽう《栗柿図》は、《栗図》と《柿図》の一対で伝えられてきた。文献上最も早い記録は、1571年であるが、これに先立って狩野元信(1476─1559)が制作した《栗図》があり、16世紀前半の時点で既にこのような作品が存在していたものと考えられる。また牧谿の《栗柿図》についての記録を考察すると、龍光院本《栗柿図》の最初の所蔵者として知られる養花曲庵(16世紀活動)が、もうひとつの《栗柿図》を持っていたことが推察される。この作品は、狩野派の摸本、井上公爵家の所蔵来歴、相国寺の現存作品などと一致する「第二の栗柿図」であったと考えられる。このような異本の存在を通して、16世紀に牧谿の花卉雑画の絵が多かったということが窺える。「菓子茶の湯」が発達した千利休(1521/22─1591)の時代、牧谿の《栗柿図》はよく用いられた小品であった。以後、《栗柿図》は、牧谿の花卉雑画を愛好した茶人の津田宗及(?―1591)所蔵となり、1612年宗及の次男であった江月宗玩(1574―1643)を経て、龍光院に入った。江月宗玩と交流した松花堂昭乗(1584―1639)、狩野探幽(1602―1674)が、《栗柿図》と似た水墨花卉を残し、これを龍光院の密庵茶室で《栗柿図》を鑑賞したものと考えられる。とくに密庵茶室を設計した小堀遠州(1579―1647)の美学を坂本周斎(1666─1749)が反映した『中興名物記』(18世紀前半)は、唐物のうち龍光院の《栗柿図》を最初に紹介している。このように《栗柿図》は、茶人からの名声を得、茶道名物具として認識されてきた。いっぽう江戸時代の大衆側の記録を踏まえると、《観音猿鶴図》に比べて、《栗柿図》は大きく注目されなかったことが窺える。 第四に本研究は、日本で江戸時代まで形成されてきた《観音猿鶴図》と《栗柿図》の受容様相が、20世紀初めに禅宗美術史と出会うなかで、急激に変化していった様相と背景を考察した。岡倉天心は、東洋精神の核心が、仏教の禅宗思想にあり、インドや中国では、これらが忘れられた一方、日本でのみ継承されたという議論を発展させた。彼の理論が、日本政府の近畿宝物調査(1884─1888)事業、『真美大観』(1899─1908)など、審美書院を通した全集類の刊行、国宝制度の導入と指定などを通して、広範囲に影響力を及ぼしたのは周知の事実である。この一連の動きのなかで牧谿は、岡倉の理論に符合する画家として脚光を浴びた。『真美大観』1巻に牧谿の《観音猿鶴図》が紹介されたのは、このような認識をよく反映している。しかし《観音猿鶴図》は、自由で豪放な画風で日本に影響を与えたと説明された奇異な禅僧の代表作には相応しくない作品であった。これに対して日本では、1910年代以降新たな画風の創始者として牧谿を説明するにあたって、《観音図》と《猿鶴図》を分離させる手法でこの問題を解決しようとした。これは室町時代から「観音」と「猿鶴」を分離させて用い、そしてそれを記録した日本の伝統に力を借りるものであったが、同時に明治時代(1868─1912)に刊行された各種図録が3幅を一度に再現できなかった出版上の技術的限界に起因したものとも推測される。以降、様々な書籍に《観音猿鶴図》の3幅中一部のみが図版で収録された。このような認識は、制度と学説にも影響を与えた。まず《観音猿鶴図》の国宝指定は、《観音図》と《猿鶴図》それぞれ別途に行われ、当時この作品を分離させて理解していたことが分かる。学界でも牧谿の作品が日本において組み合わされたという「異種配合」理論が登場し、この理論は定説化した。 《栗柿図》の場合、日本では唯一、相見香雨(1874─1970)が執筆した『群芳清玩』(1913)に禅宗画の代表作として紹介された。相見は、この絵を禅宗画の精神が込められた牧谿の代表的な小軸として紹介した。『群芳清玩』を見たドイツの学者、オットー・クィメル(Otto Kümmel, 1874─1952)とエルンスト・グロッセ(Ernst Grosse, 1862─1927)は、それぞれ著書 Die Kunst Ostasiens (1921)と Die Ostasiatische Tuschmalerei (1922)に《栗柿図》または《柿図》の図版を収録した。ここで《栗柿図》を見ることとなった、ア─サー・ウェイリ─(Arthur Waley, 1889─1966)は、著書 Zen Buddhism and Its Relation to Art (1922)および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Chinese Painting (1923)で牧谿を「禅宗画」の創始者と説明し、禅宗画の代表作として《柿図》だけを紹介した。以後、《柿図》は、西洋で爆発的な人気を博するようになった。江戸時代まで日本において《栗柿図》が常にセットで用いられ、《柿図》よりは《栗図》が芸術家たちの関心を集めたのとは対照的な現象である。ここで注目されるのは『群芳清玩』の執筆者である相見が、禅宗画についての関心を持っていた西洋人たちとヨーロッパで直接接触したのち、天心が体系を定立した審美書院で活動した人物という事実である。単純な茶道具であった小品を突然禅宗画の精髄と俯角し、叙述したことは、明らかに禅宗画に対する当時の新たな関心を相見がよく分かっていたためと考えられる。円相に代表される簡潔な墨線の円形の表現が、禅宗画として脚光を集めていた西洋においてこれと類似した視覚的特性をもつ《柿図》は、自然と禅宗画の精髄を秘めた古画として受け入れられた。すなわち西洋人の禅宗画に対する関心のなかで刊行された『群芳清玩』に紹介された《柿図》は、西洋人に知られながら名作という新たな地位を得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る。 以上、牧谿の絵画が「中国で忘れ去られた禅宗の精髄」を込めた独特の絵画と捉えがたい点を述べた。牧谿の絵画は、受容者の関心事に沿って、時代ごとに新たに理解されうるものであった。このような変容は、文化活動全般において自然な現象である。とくに牧谿の絵画は、本来より融合的な性格を基盤としたため、絵が受容する具体的な脈絡に沿って、より多様な姿に変化できるものであった。牧谿と彼の絵画世界がもつ多層的な性格が、歴史のなかで興味深い文化的現象として現れたと言えよう。

      • 한국의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에 대한 반복측정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기여도

        강희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연구배경 및 목적 사회경제적 건강 불평등의 크기와 이를 설명하는 요인의 기여도를 밝히는 기전 연구는 건강 불평등에 관한 정책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의 크기와 이를 설명하는 요인의 기여도에 관한 여러 기전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중에서도 건강 불평등을 설명하는 요인 중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과 같은 위험요인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데, 한국의 건강 불평등의 기전을 다룬 그간의 연구에서는 특정 시점에 한정되어 측정된 위험요인을 가지고 건강 불평등에 대한 기여도를 주되게 평가해왔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반복측정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의 위험요인을 여러 시점에서 반복측정하여 평가하였을 때, 한 번 측정된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보다 사망 불평등에 대한 기여도가 높아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코호트DB(NHIS-HEALS)를 이용하였다. 2004-2005년 건강검진을 받은 적이 있는 40-69세의 건강보험가입자를 대상으로, 2004-2005, 2006-2007, 2008-2009, 2010-2011, 2012-2013년의 건강검진 검사 및 문진 결과를 이용하였다. 주요 변수인 사회경제적 위치 지표는 소득으로 월 건강보험료 부과액을 바탕으로 한 건강보험료 분위 자료를 대리지표로 하였다. 건강 결과인 사망은 전체 사망 이외에 주요 사망원인별로 암 사망, 심혈관계질환 사망, 암 및 심혈관계질환 이외 사망, 흡연 관련 사망, 음주 관련 사망, 치료 가능 사망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위험요인은 건강검진의 검사 결과 및 문진 자료의 건강행태 변수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과 함께 임상생물학적 변수로는 혈압, 공복혈당, BMI, 혈색소, 총콜레스테롤,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감마지티피(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요단백을 이용하였다.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사망위험을 알아보기 위해, 성별, 사망원인별 소득수준에 따른 연령표준화 사망률의 차이를 알아보고, 콕스 회귀분석(Cox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성별, 사망원인별로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위험비(Hazard Ratio, HR)를 산출하였다. 또한, 사회경제적 위치와 위험요인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 성별, 검진시기별, 소득수준별 건강행태 및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연령표준화 유병률을 산출하여, 위험요인별 사회경제적 연령표준화율의 차이와 그 추이를 살펴보았다. 위험요인에 따른 사망위험 분석은 콕스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성별, 사망원인별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에 따른 사망위험비를 구하고, 위험요인은 기저 시점(baseline)과 반복측정 시점의 측정자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반복측정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을 이용한 분석은 시간 의존 콕스 회귀분석(time-dependent Cox regression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기여도(설명력)는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사망위험 분석 모형에서 위험요인을 보정하기 전과 후의 가장 높은 소득분위 대비 가장 낮은 소득분위의 초과 사망위험의 감소분(% attenuation)으로 정의하여 산출하였다. 이를 한 시점에서 측정된 위험요인을 고려한 경우와 반복측정된 위험요인을 고려한 경우로 산출하여 설명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기여하는 매개 요인(mediator)으로서, 건강행태 요인과 임상생물학적 요인 각각의 설명력을 산출하였다. 모든 분석은 성별(남녀 전체, 남성, 여성), 사망원인별로 수행하였으며, 위험요인이 기저 시점에서 측정된 경우와 반복측정된 경우 중 어떤 경우에 사망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얼마나 더 잘 설명하는지, 그리고 어떤 위험요인이 가장 잘 설명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2004-2005년 기저 시점의 전체 연구대상자는 228,910명으로 남성은 132,396명, 여성은 96,514명이었다. 이들 중 사망한 사람은 6,643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하였으며, 남성 4,969명, 여성 1,674명으로 남성 사망자가 더 많았다. 사망원인별로는 전체 사망자의 49.6%인 3,292명이 암으로 사망하였으며, 심혈관계질환 사망자는 1,011명(전체 사망자의 15.2%), 치료가능 사망자는 925명(13.9%), 흡연 관련 사망자는 978명(14.7%), 음주 관련 사망자는 628명(9.5%)이었다. 연령표준화 사망률 분석 결과, 남녀별, 사망원인별로 소득수준에 따라 연령표준화 사망률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여성에서 흡연, 음주 관련 사망에 대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의 경우, 소득수준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거나, 역전되어 나타났다. 사망위험비는 사망원인에 따라 성별, 소득수준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성이 여성에 비해 2.65배(95% CI 2.51-2.80) 높았다. 남녀 전체, 전체 사망에서 가장 높은 소득계층 대비 가장 낮은 소득계층의 사망위험비는 1.70(95% CI 1.60-1.81)으로 1.7배 사망위험이 높았다. 남녀 전체에서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위험비가 가장 높은 사망원인은 치료가능 사망으로 2.13배(95% CI 1.79-2.54) 사망위험이 높았다. 소득수준에 따른 시기별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연령표준화율은 남녀 전체의 경우 총콜레스테롤과 요단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낮은 소득계층이 높은 소득계층에 비해 표준화 유병률이 높았다. 여러 지표 중 남성의 과체중 유병률은 높은 소득계층의 유병률이 낮은 소득계층보다 높게 나타나는 소득역전 현상을 보였는데, 비만 유병률의 경우에는 소득역전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여성의 경우에는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과체중 유병률과 비만 유병률 모두 증가하였다. 위험요인과 사망의 관련성 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망원인에서 음주 빈도와 현재 흡연에 따른 사망위험비는 반복측정되었을 때, 그 영향력이 감소하였고, 신체활동은 증가하였다. 임상생물학적 요인에 따른 사망위험은 반복측정자료 분석 결과 사망위험이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사망원인마다 조금씩 달랐다. 혈색소의 경우 반복측정되었을 때, 모든 사망원인에서 사망위험비가 크게 증가하였고, 총콜레스테롤은 심혈관계질환 사망원인에서만 사망위험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기여도 분석 결과, 남녀 전체, 남성과 여성, 모든 위험요인과 사망원인에서 기저 시점의 위험요인보다는 반복측정된 위험요인의 설명력이 높았다. 기저 시점에서 1회 측정된 전체 위험요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 불평등에 대한 설명력은 18.96%였으며, 그 중 건강행태 요인의 설명력은 12.34%,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설명력은 9.11%로 건강행태가 임상생물학적 요인에 비해 설명력이 높았다. 성별 전체 위험요인의 설명력은 남성(20.54%)이 여성(18.00%)에 비해 높았다.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설명력은 남성(10.27%)이 여성(4.28%)에 비해 더 높았고, 여성의 경우에는 건강행태요인의 설명력(14.71%)이 남성(12.99%)에 비해 더 높았다.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시간 가변적 특성을 고려한 반복측정자료 분석 결과,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전체 위험요인의 설명력은 28.78%로 기저 시점의 위험요인의 설명력보다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남녀 모두에서 발견되었는데, 남성(20.54%에서 28.52%)에 비해 여성(18.00%에서 32.96%)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전체 위험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사망원인은 남녀 전체의 경우 흡연 관련 사망과 암으로 인한 사망으로 각각 35.28%, 32.14%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남성 또한 흡연 관련 사망(36.77%)과 암으로 인한 사망(36.74%)에서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여성의 경우에는 전체 사망(32.96%)과 심혈관계질환 사망(29.68%)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남녀 전체 분석 결과, 건강행태의 설명력은 흡연 관련 사망(31.48%)과 암으로 인한 사망(20.41%)에서,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설명력은 암으로 인한 사망(22.19%)과 음주 관련 사망(19.53%)에서 가장 높았다. 남성의 경우에는 흡연 관련 사망, 심혈관계질환 사망을 제외한 사망원인에서 임상생물학적 요인이 건강행태요인에 비해 다소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건강행태 요인의 설명력이 임상생물학적 요인보다 높았다. 개별 위험요인의 사망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설명력을 비교하면, 모든 경우에서 흡연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남녀 전체, 전체 사망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기저 시점 흡연의 설명력은 9.20%, 반복측정된 흡연의 설명력은 13.89%로 나타났으며, 사망원인 중 남성의 흡연 관련 사망 분석에서 반복측정된 흡연의 설명력은 25.60%로 가장 높았다.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경우에는 혈색소, AST, GGT의 설명력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남녀 전체를 대상으로 암 사망의 불평등에 대한 각 요인의 설명력은 각각 12.40%, 10.33%, 13.45%으로, 흡연(15.41%) 다음으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대체로 사망과의 관련성이 높은 요인들(흡연, 혈색소, AST, GGT 등)이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격차에 대한 설명력도 높았다. 결론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의 기전에 관한 연구로서 사회구조가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측정된 불평등의 크기와 이를 설명하는 요인의 기여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정책적 개입 지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여러 가지 위험요인 중 어떤 요인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지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향후 건강 불평등의 기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때, 각 설명 요인들을 어떻게 측정, 분석할 것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사망과 같은 장기 추적 연구에서 여러 시점에서 반복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 가변적 특성을 고려할 때, 건강 불평등에 대한 기여요인의 설명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흡연은 여전히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사망 불평등을 설명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흡연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줄이는 것이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줄이는 데에 상당 부분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위험요인별 기여도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사망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접근 방안의 세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licies targeting health inequality. Studies have sought to explain the magnitude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and assess the contributions of explanatory factors. Risk factors, such as health behaviors and bioclinical factors, change over time. However, a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ose conducted in Korea, is that they mainly assessed contributions to health inequality using risk factor measurements from a specific time poi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repeatedly measured health behavioral and bioclinical factors in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ies in Korea and compared the contribution of risk factors to mortality inequality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assessed longitudinally at multiple time points or measured only at baselin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Screening Cohort (NHIS-HEALS) database. The study subjects were individuals aged 40-69 who were eligible for health insurance and participated in the NHIS health screening program in 2004-2005. Their health checkup results and questionnaire responses in 2004-2005, 2006-2007, 2008-2009, 2010-2011, and 2012-2013 were reviewed. Their socioeconomic position was measured using income, operationalized as the health insurance premium decile based on monthly health insurance premiums. The underlying causes of death were classified into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smoking-related diseases, alcohol-related diseases, amenable mortality, and all-cause mortality. The major risk factors were health behaviors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and bioclinical factors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hemoglobin, total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GT], proteinuria, and body mass index [BMI]). First, the difference in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according to income level by sex and cause of death was investigated, and hazard ratios (HRs) were calculated by Cox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 and risk factors,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of health behaviors and bioclinical factors by sex, screening period, and income level was calculated. A Cox proportional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death. The HRs for death according to risk factors were calculated by sex and causes of death. The risk factors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longitudinally evaluated five times from 2004 to 2013. Repeatedly measured risk factors were used as time-varying covariates, and HRs were calculated by time-dependent Cox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longitudinal effect. The contribution of each risk factor at a baseline and multiple time points to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was defined by the percentage reduction in the coefficient for income level before and after adjusting for risk factors. The results when the risk factors were measured at one point in tim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epeated measurement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lanatory power. As mediators contributing to socioeconomic inequality in mortality, the explanatory power of each behavioral factor and clinical biological factor was calculated. All analyzes were stratified by sex and cause of death. Results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from 2004-2005 was 228,910 (132,396 men and 96,514 women). The number of deaths was 6,643, accounting for 2.9% of the total population. In total, 4,969 men and 1,674 women died during the study perio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re were 3,292 (49.6%) deaths from cancer, 1,011 (15.2%) deaths from cardiovascular diseases, 925 (13.9%) amenable mortality, 978 (14.7%) deaths related to smoking, and 628 (9.5%) alcohol-related deaths. The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varied according to income level, sex, and cause of death. However, income levels eith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r a reverse relationship for smoking- and alcohol-related deaths in women. The HRs for death differed by sex and income level according to the cause of death. The risk of death in men was 2.65-fold (95% CI, 2.51-2.80) higher than in women. For both men and women, the HR of death for the lowest-income group versus the highest-income group was 1.70 (95% CI, 1.60-1.81). The highest risk of death for the lowest-income group versus the highest-income group was 2.13 times (95% CI 1.79-2.54) for amendable mortality. The prevalence of risk factors varied according to socioeconomic position in the follow-up period. The difference in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rate by income level was maintained for all risk factors, except for total cholesterol and proteinuria, and the standardized prevalence rates were higher in the lowest-income group than in the highest-income group.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in men showed an income reversal phenomenon, with a higher prevalence in high-income groups than in low-income groups. The obesity prevalence rate was income-regressive. Among women, the prevalence rate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lowest-income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highest-income group. When the health behaviors were repeatedly measured, the HRs of most causes of death according to smoking status and drinking habits were lower than when they were assessed at baseline only. However, the HRs for most causes of death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increased when it was repeatedly measured. When repeatedly measured, the HRs for death associated with the bioclinical factors generally increased, but with differences for each cause of death. For hemoglobin, when repeate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he HR for mortality increased substantially for all types of causes of death, while repeated measurements of total cholesterol onl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Rs for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 Regarding the contribution of the health behaviors and bioclinical factors to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the explanatory power of repeatedly measured risk factors was higher than that of only baseline measurements for all risk factors, all causes of death, and both sexes. The explanatory power of inequality by income level for death in all risk factors with measurements made once at baseline was 18.96%; the contribution of health behavioral factors (12.34%) was higher than that of bioclinical factors (9.11%). The contribution of all risk factors was higher in men (20.54%) than in women (18.00%). The explanatory power of bioclinical factors was higher in men (10.27%) than in women (4.28%), while in women, the explanatory power of health behavioral factors (14.71%)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men (12.99%). In the analysis of repeated measurements, the contribution of all risk factors for socioeconomic inequality in all-cause mortality was 28.77%, which was higher than that obtained with only baseline measurements. Changing from baseline-only measurements to multiple measurements led to a substantially greater increase in explanatory power in women (18.00% to 32.96%) than in men (20.54% to 28.52%). The cause of death with the highest contribution of all risk factors was smoking-related death (35.28%) in both men and women, followed by cancer-related death (32.14%). High explanatory power for overall mortality (32.96%) and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 (29.68%) was observed in women. In men, bioclinical factors showed somewhat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health behavioral factors for causes of death other than smoking-related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health behavioral factors had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bioclinical factors. Smoking was the individual-level risk factor with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for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all-cause mortality. In the analysis of all-cause mortality in both men and women, the explanatory power of smoking when measured at baseline was 9.20%, while that of repeatedly measured smoking was 13.89%. Of the bioclinical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of hemoglobin, AST, and GGT was high. The explanatory power of each factor for inequalities in cancer death among men and women was 12.40%, 10.33%, and 13.45%,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s after smoking (15.41%). In general, the factors closely related to death (e.g., smoking, hemoglobin, AST, and GGT) also had high explanatory power for disparities according to socioeconomic position. Conclusion This study on the mechanism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in Korea aimed to present the magnitude of inequalities and the contribution of explanatory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because they provide information on specific points for policy interventions. This study also explored which risk factors had high explanatory power.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the basis for measuring and analyzing each explanatory factor can be presented in future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health inequality. In long-term follow-up research, considering time-varying variables using repeated data at multiple times could enhance the explanatory power of factors contributing to inequalities in mortality. In this study, smoking was identified as a major cause of inequality in mortality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Therefore, reducing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moking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This study’s findings on the contributions of each risk factor will make it possible to provide a detailed rationale for a long-term approach to reducing mortality inequalities.

      • 통합학급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연구

        강희연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제도적으로 마련된 통합교육 환경에서 유아들이 스스로 구성하는 통합이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 질문은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이 연구에서 다룬 내용은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변화하는가, 그와 관련된 변수는 무엇인가이다. 그리고 이것이 통합유아교육과 일반유아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장애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경기도 소재의 한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2004년 3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발견한 것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는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장애유아는 일반유아와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교육적 가능성’의 세계로 나아간다. 장애유아는 일반유아를 끊임없이 본다. 장애유아는 이와 같은 보기를 통해 ‘하고 싶다’는 욕망을 느낀다. 이것은 단지 욕망으로만 그치지 않고 실행하기를 통해 능력과 결부된다. 그런데 장애유아가 욕망을 실현해내는 데에는 개인차가 있다. 장애유아는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변화 속도로 능력을 키워나간다. 한편, 일반유아는 장애유아와 상호작용을 통해 장애인식의 변화를 보인다. 구체적으로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은 크게 다음 세 단계로 변화한다. (1) 일반유아는 장애유아를 ‘우리와 다르다’고 인식한다. 이때 일반유아는 ‘못하는 것이 많아서 장애인’이라고 구별짓다가 점차 ‘장애인이라서 못한다’고 인식한다. 이와 같은 인식은 장애유아를 차별하는 행동반응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장애유아는 ‘더러운 아이’, ‘침 흘리는 아이’, ‘소리 지르는 아이’ 등과 같이 장애특성에 따라 달리 불려진다. (2) 일반유아는 장애유아를 ‘우리와 다르지만 같다’고 인식한다. 이것은 그 전단계보다 더 진보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능력’을 기준으로 자신과 장애유아를 구분짓는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리고 장애유아는 ‘귀여운 아이’, ‘재미있는 아이’, ‘코코코코’ 등으로 불려진다. 그런데 이것은 일반유아가 전 단계에서 부정적으로 보았던 장애특성을 장점으로 보고 다르게 부르는 것이다. (3)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이 ‘우리는 모두 다르다’에 이르면, 더 이상 ‘능력’을 기준으로 장애유아를 구별해내지 않게 된다. 이때 일반유아는 자신과 다른 장애유아의 ‘차이’를 근거로 차별하지 않고 ‘다양성’으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장애유아는 ‘귀여운 성주’, ‘웃는 게 예쁜 예지’, ‘재미있는 찬수’ 등과 같이 고유한 이름으로 불려진다. 이 세 가지 장애인식은 전반적인 발달 양상이다. 더 세분화시켜 세 가지 집단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것은 ‘경계하거나 무시하는 아이들’, ‘무시도 하고 도움도 주는 아이들’, 그리고 ‘배려하는 아이들’ 집단으로, 장애인식 변화에 따라 발달해 간다. 그러나 모든 일반유아가 이와 같은 장애인식에 다 도달하는 것은 아니다. 그 변화 속도에는 개인차가 있다. 둘째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상호작용 변화에 관련된 변수는 무엇인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관계별, 교사별, 그리고 부모별 변수로 나누었다. 먼저, 관계별 변수가 있다. 여기에는 관계망 형성과 호혜적 교환이 있다. 관계망 형성은 양방 이상의 상호작용에 작용하는 중요한 변수다. 또한 호혜적 교환은 일반유아와 장애유아가 지속적으로 돌봄을 주고받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다음으로, 교사별 변수가 있다. 여기에는 전반적 개입과 유형별 개입이 있다. 교사의 개입전략은 대상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상 속에서 ‘스며들듯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특히, 교사는 체험과 성찰을 통해 장애통합학급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간다. 마지막으로, 부모별 변수가 있다. 특히, 부모 자신이 직접 몸을 통해 보여주는 실천은 일반유아의 장애유아 배려와 관련이 있다. 셋째로, 위 결과들이 장애통합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다음 두 차원으로 제시할 수 있다. 먼저, 통합유아교육에 대한 시사점은 ‘몸을 통한 의미 공유’와 ‘욕망의 중층성과 탈중심화’이다. 음성언어로 타자와 소통하기 어려운 장애유아에게 몸짓언어는 중요한 소통수단이다. 몸은 통합학급 유아들의 상호작용 질서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자 중심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욕망은 장애유아가 점차 더 나은 능력을 갖게 한다. 여기에서 능력은 가능성이지 종결된 상태나 성과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개인마다 능력이 발휘될 수 있는 상황, 조건, 맥락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것은 일반유아의 ‘정상성’을 중심에 놓고 장애유아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에서 벗어날 것을 요구한다. 다음으로, 일반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장애인식 전환교육과 ‘장애사회화’가 아닌 ‘장애교육’ 두 가지가 있다. 일반유아는 장애유아의 동일한 특성을 장애인식에 따라 다르게 본다. 따라서 장애인식 전환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교육적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은 ‘장애유아의 얼굴보기’와 ‘장애유아 되기’와 같은 존재론적 만남을 계기로 전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존의 장애통합과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통합의 당사자인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에게 통합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관심을 상대적으로 많이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제도적으로 마련된 통합 환경 속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상징적 상호작용 속에서 구성해내는 통합이 무엇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 역동적인 과정을 풍부하게 드러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started out as an attempt to find out what kind of inclusion is formed by preschool children themselves in inclusive classroom settings by examining the interaction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reschool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how the interaction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change, what factors are involved, and what the findings imply for inclusive and mainstream preschoo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chose one day care center in Kyung-gi province that offers inclusive education, and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ere from March 2004 through June 2005. This study presents answers to the above-mentioned three questions addressing the objective of the study. First, disabled children were exposed to greater educational possibilities through interactions with non-disabled children. On the other hand, non-disabled children exhibit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disabil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disabled children. More specifically, preschool children's concepts of disability in their peers have changed through the following three stages: (1) Initially, non-disabled children had an awareness that disabled children are ‘different’ from themselves. At first, non-disabled children recognize apeer as disabled ‘because he or she is unable to do things.’ The perception changes gradually to the extent that non-disabled children think their peer is unable ‘because he or she is a person with disability.’ (2) Non-disabled children view their disabled peers as ‘different in someways, but ultimately the same.’ Although this level of awareness is much more advanced, i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previous one in that non-disabled children continue to use the concept of ‘ability’ as their criteria for discerning themselves from disabled peers. (3) When non-disabled children's perception of disability reaches the level of awareness that ‘everyone is different,’ they no longer use the concept of ‘ability’ for discerning disabled peers. At this stage, non-disabled children no longer discriminate against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eir ‘difference’, but rather, accept the difference as stemming from ‘diversity.’ In general, most children undergo these three development stages. More specifically, they can b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those who are wary of or have a disregard for disabled peers; those who disregard disable peers while helping them out; and those who actively take care of their disabled peers. Still, not all children go through the same development stages. The speed and degree of change in perception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anges in interac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reschoolers are relationships, instructors' intervention, and parents' intervention. Relationship factors include relationship building and reciprocal exchange: the former is an important factor that has an influence on interaction between more than two parties; the latter is related to continuous exchange of attention and care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nstructors' intervention comes in two categories: comprehensive intervention a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Instructors' intervention strategies may vary depending on the child. But, the main principle is that intervention should be implemented naturally as part of everyday activities. On the part of the instructor, in particular, her identity as a teacher for an inclusive class is established through a series of firsthand experience and introspection. Lastly, parents' behavior is closely related to the degree of attention and care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Third, these findings revealed useful implications for both inclusive and mainstream education in preschool. For inclusive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through body’ and ‘multiplication of desire and decentralization.’ For understanding impaired children, body language is an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It is evident that body is the center as well as the most basic unit in the order of interac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in inclusive classrooms. Desire, on the other hand, drives disabled children to develop their ability further. Here, ‘ability’ is an open possibility, rather than a finite end or achievement. It should be noted that each individual child requires different settings, conditions, and context for fully performing their ability. Therefore, the ability of a disabled child should not be assessed against the ‘normality’ of non-disabled children. The implication for mainstream preschool education i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change children's perception of disability and conduct ‘inclusive education’, instead of ‘socialization of disability.’ Non-disabled children may see their similarities with their disabled peers, but still consider them as different due to their perception of disability. This is why it is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disability. Ontological encounters through activities like ‘examining the face of a disabled peer’ and ‘becoming the disabled’ are found to be very effective in changing non-disabled children's perception of disability. Existing literature on inclusion of disability has paid relatively less attention to the significance of inclusion for the ‘included’ children themselves. By contrast, this study focused on the inclusion constructed through symbolic interaction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under the inclusive circumstances, and how it is played out in its most dynamic process.

      •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아파트 분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fuzzy-AHP 분석을 이용하여

        강희연 목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과거 주택 분양시장에서는 주택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하여 적극적인 마케팅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으며, 오로지 공급촉진을 위한 택지와 금융지원을 제공하는 공급자 위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의 감소, 베이비붐 세대 세대의 대량 은퇴, 2008년 국제 금융위기를 거치며 분양시장은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부동산 마케팅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전국적으로 주택보급률이 100%를 초과한 상황에서, 공급하는 신규물량이 입지 선호지역이 아니거나 분양 시기를 맞추지 못해 미분양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사업성 확보를 위해서는 미분양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분양마케팅은 초기 분양률 제고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분양사업에 있어 수요자 중심의 시장변화에 따른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분양의 효율적 시행과 마케팅 활성화가 점점 주목받음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구(needs)를 파악하고 특별한 관계마케팅이 필요하다. 또한, 분양사업자인 시행사, 시공사, 분양대행사, 광고대행사, 금융기관 등은 미시적·거시적 측면에서 분양률을 예측하고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는 국토균형발전 목적으로 건설됨에 따라 도시안정과 그 성장에 사람들의 시선이 집중된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지방의 주택 시장에서 분양률 성과에 따라 미분양 영향도 등 그 파급효과가 큰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17년부터 8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설문조사 기간과 이후 설문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최근 상황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내용적 범위는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내 성공적인 신규 아파트 분양 결정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분양대행사와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는 공급자 측면에서 바라보는 분양성과 소비자와의 가교 역할을 진행하는 공인중개사를 통해 분양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서다. 또한, 아파트 분양 결정요인 파악을 위해 중요도 측정을 입지요인, 사회·경제성 요인, 마케팅 요인으로 구성하고, 대분류에 따른 중분류, 소분류를 각각 설정하여 중요도를 통해 분양률 제고를 위한 가장 우선적인 항목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방법인 AHP와 Fuzzy-AHP 분석을 위한 설문 항목 도출을 위해 국·내외 논문, 학술지 단행본 등 선행연구를 통해 나온 항목을 재구성하여 아파트 분양에서의 결정요인 변수를 도출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HP 분석으로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대분류에서 상대적 중요도는 전체집단, 부동산 중개업소, 분양대행, 모두 마케팅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개업소의 경우 특히, 마케팅 요인을 통해 영업을 진행함에 따라 우선순위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분양대행 입장에서는 단기적인 분양 가능성이 가장 우선적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마케팅 요인의 중분류 상대적 중요도는 홍보 마케팅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정책의 변동은 체감이 즉각적이지 않으나 홍보 마케팅 요인을 대면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체감이 빠르기 때문이며 부동산 중개업소와 분양 대행사 입장에서는 소비자와 직접 대면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분양의 성과와 직결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홍보 마케팅 요인의 소분류 상대적 중요도는 지면 및 대면 광고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지면 및 대면 광고를 통해 인지한 소비자들이 모델하우스 방문 등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가교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집단은 마케팅 요인 중 홍보 마케팅 요인이 종합 중요도와 보정 종합 중요도에서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지면 및 대면 광고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인접 지역과의 동시분양, 모델하우스로 나타나 상대적 중요도 분석과 유사하며, 부동산 중개업소 집단에서도 마케팅 요인 중 홍보 마케팅 요인이 종합 중요도와 보정 종합 중요도에서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분양 대행사 집단에서는 전체 집단과 부동산 중개업소 집단 중요도와 차이가 있으며, 홍보 마케팅 요인 중 지면 및 대면 광고는 종합 중요도와 보정 종합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정책요인 중 중도금 정책, 관계성 요인 중 지역사회 교류, 물리적 특성 요인 중 주거지 내부구조 순이었다. 종합해 보면,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분양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면 및 대면 광고를 통해 모델하우스 방문 등으로 소비자의 행동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초적인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파트 분양에서의 필수적인 입지요소는 물론 주거지 내부구조와 물리적 특성 요인의 차별화와 주민들이 지역사회 교류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아파트 분양을 좌우하는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현 정부의 6.19대책, 8.2대책, 10.24 대책 등 강력한 규제로 인하여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부동산시장이 그 영향을 받고 있어 분양경쟁률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아래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계획도시인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분양률 제고를 위한 결정요소에 대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강력한 부동산규제로 인한 미분양 위험을 최소화하고 향후 분양률의 제고할 수 있는 연구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아파트의 분양은 그 요인과 시기, 방향에 따라 수많은 복합적인 요인이 반영됨에 따라 다양한 연구대상과 요인에 대한 보완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아파트의 분양 결정요인에 관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상업시설인 상가나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등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