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속도로 재난/재해에 따른 인접교차로 최적 운영방안

        강진웅,권영혁,이문영,최재영,금기정 한국도로학회 2012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4 No.3

        This research overcomes limit of prevention of disasters connection manual that was stopping in existing administrative formality presentation, and allowed purpose in substantial prevention of disasters countermeasure presentation through powerful engineering access. Did operation plan manual Tuesday in contiguity crossing that can reduce confusion by vehicleses that detour by contiguity IC of disaster point to do unusualness ashes in freeway section for this and solve jam-up phenomenon that occur by processing way insufficiency for roundabout way vehicles when happen. Metropolitan areas to target type classification in the highway along the highway adjacent to the intersection at Main Line Blocking optimum operating point analysis and an analysis of countermeasures in case of disaster, the lower the road entering the highway depending on the type of operating at the intersec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ults of analysis, while each point of a disaster,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eometric conditions, traffic conditions, identify and determine the operating room and the adjacent intersection of media, and building systems to promote the driver if the quick initial response from the impending disaster situations and the safety of drivers can be considered secure. 본 연구는 기존 행정적 절차 제시에 그치고 있는 방재관련 매뉴얼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학적 접근을 통한 실질적인 방재대책 제시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고속도로 구간 내 비상재해 발생 시 우회차량에 대한 처리방안 미흡으로 생기는 교통정체현상을 해결하고자 재난/재해 지점의 인접 나들목으로 우회하는 차량들의 혼잡을 줄일 수 있는 인접교차로 운영방안을 매뉴얼화 하였다. 수도권 내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유형구분에 따라 고속도로 본선 차단 시 인접교차로 운영 시점 분석 및 최적 대응방안을 분석한 결과 고속도로 재난/재해 발생 시 하부도로 진출 형태에 따라 교차로 운영시점이 다르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따라 재난/재해 발생 동시에 각 지점 특성에 맞는 교통조건 기하조건을 파악하여 인접교차로 운영 방안을 판단하고 언론및 운전자에게 홍보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면 긴박한 유고상황에서 신속한 초기대응과 운전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동아일보』 키워드를 통해 본 분단체제 정체성과 이념 갈등 : 동아일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강진웅,이도길,김일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7 No.-

        이 글은 1946년부터 2014년까지 발행된 『동아일보』의 기사 텍스트를 바탕으로 해방 이후 분단체제를 통해 드러난 한국 사회의 이념 갈등 양상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1946년부터 2014년 사이의 기사에서 정체성 관련어들의 빈도 변화를 검토하고 19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이념 갈등과 관련된 핵심어들을 10년 단위로 추출하여 시기별 양상을 비교한다. 디지털 인문학의 ‘폭넓게 보는 방식’(distant reading)을 통해 『동아일보』의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이 논문은 한국사회 이념 갈등의 거시적 변화에 대한 양적인 분석과 함께 시기적 담론 변화에 관한 질적 분석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ideological conflicts of South Korean society in the divided system through analyzing Dong-A Ilbo Big Data between 1946 and 2014. To do this, it reviews the frequencies of the words related to state identity and compares the key words related to the ideological conflicts every 10 years. Through the digital humanities’ distant reading of Dong-A Ilbo Big Data, it offers a qualitative analysis of periodic discursive changes as well as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acro historical changes.

      • KCI등재후보

        한국 민족주의 연구의 쟁점과 과제

        강진웅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9 민족연구 Vol.0 No.73

        이 글은 식민경험으로부터 다문화 한국에 이르는 근대성의 역사를 회고하며우리의 민족주의 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모색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민족주의는 식민경험, 한국전쟁과 국가건설, 분단체제와 권위주의 통치, 탈냉전 민주화와 남북 화해협력, 세계화와 다문화주의라는시대적 격변 속에서 다양한 얼굴을 드러내며 변화해 왔다. 이 글은 단일민족의신화와 현실,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민족사학과 근대주의, 민족 정체성과 탈민족주의 및 다문화주의로 이어진 민족 담론의 계보를 분석하면서 21세기 한국 민족주의연구의 쟁점과 과제를 성찰한다. 구체적으로 네이션/민족에 관한 동서양의 개념사적 간극과 한국적 예외론, 단일민족론, 분단체제와 종족적 민족주의, 민족주의와탈민족주의, 다문화 한국과 민족 정체성, 21세기 남북통일과 민족주의라는 논제를다루고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여 향후 과제들을 제기한다. 이러한 분석과 성찰을통해 끊임없이 재구성되어 온 한국의 민족주의를 성찰하고 21세기의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는 민족주의 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모색해 본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issues and tasks in the studies of Korean nationalism through introspecting Korean modernity from colonial Korea to multicultural Korea. Korean nationalism has revealed its various faces with the historical changes of Japanses colonialism, the Korean War and state building, divided system and authoritarian rule, post-cold war democracy and south-nort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go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This article explores the genealogy of the discourse of nation/minjok regarding the myth and reality of a single-race nation,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nationalist historiography and modernism, national identity, post-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East-West conceptual gap of nation and minjok and Korean exceptionalism, theory of single-race nation, divided system and ethnic nationalism,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multicultural Korea and national identity, and the 21st inter-Korean national reunification. By doing so, it introspects Korean nationalism and offers a new perspective of the studies of the 21st Korean nationalism.

      • KCI등재

        중학교 역사의 민족 정체성 교육 비판 - 교수요목기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강진웅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4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혈통 중심적 단일민족론에서 벗어나고자 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혁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는 여전히 근원주의적 관점에 기댄 민족 정체성 교육을 고수하고 있다.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우리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들은 실질적으로 종족과 같은 것으로 민족을 묘사하면서도 민족이 종족적 차원을 넘어서는 초역사적 실재라는 것을 주장하거나 암묵적으로 전제해 왔다. 혈연과 종족을 중심으로 하여 민족 구성의 원초론적, 객관론적 관점과 민족의 영속론적, 주관론적 이해가 지배하는 가운데 한민족의 우수성을 설파하는 논리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신화와 사실, 영속적 민족과 서사, 두 얼굴의 민족이라는 논제들을 중심으로 교수요목기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역사 교과서가 어떻게 민족 개념과 이론의 견지에서 민족 정체성을 담론화했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역사적 사실과 정치적 신화를 구분하고 신화화의 사회적 과정을 함께 들여다봄으로써 민족의 기원과 발전에 관해 그동안 주류의 위치를 점했던 근원주의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근대주의적 관점과의 교감 속에서 미래지향적인 역사 및 민족정체성 교육을 성찰해 본다. Our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have held national identity education based upon the fundamentalist approach to nation in spite of the 2007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 that tried to overcome exclusive nationalism consolidated by political discourse of a single-race nation. The primordialist and objectivist viewpoint of nation’s origin based upon blood ties and ethnicity along with the perennialist and subjectivist understanding of nation still have an important effect on our history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n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yllabus period curriculum and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this article explores how our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have justifiedKorean national identity in termsof the theory of nation. By doing so, it suggests the future-oriented history and national identity education that incorporates modernism into the alternative perspective of nation and nationalism.

      • KCI등재

        민족의 사회학— 네이션과 종족성의 관계에서

        강진웅 한국사회사학회 2018 사회와 역사 Vol.0 No.117

        This article offers a conceptual and epistemological analysis of nation/minjok and nationalism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 and ethnicity. Prior research often overlook the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and between modernity and pre-modernity in the studies of nation and nationalism. This article thus examines the historical difference and variations between Western Europe and Korea with a focus on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politics of ethnicit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odernity and modernity. It critically reviews the key words related to nationalism such as their conceptual gaps, nation/minjok as an ensemble of reality and imagination, modernist constructivism, premodern ethnic polity and ethnicity, function of ethnicity, and national/minjok identity in contemporary Korea. 이 글은 네이션과 종족성의 관계에서 네이션/민족, 민족주의에 관한 개념사적, 인식론적 성찰을 모색한다. 네이션/민족, 민족주의에 관한 기존 논쟁은 보편과 특수의 문제, 전근대와 근대의 단속성의 측면을 간과한 채 비생산적인 논의를 전개해왔다. 이 글에서는 네이션/민족의 근대성을 전제하고 전근대성과 근대성의 연계에서 종족성의 정치가 갖는 불연속성과 연속성을 함께 고찰하며 이러한 맥락에서서구와 한국의 역사적 경로의 차이와 변이를 분석할 것이다. 네이션/민족의 이해에서 그동안 간과되었던 종족성의 정치를 전근대와 근대, 서구와 비서구의 이분법을넘어서는 개념적, 분석적 도구로 제시하며 이러한 인식론적 성찰을 한국의 사례에적용, 검토해 본다. 이를 통해 한국적 예외론의 덫에서 벗어나 네이션/민족에 관한연구에서 대안적 성찰과 분석을 모색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여가의 사회사: 근대적 노동-여가의 균열과 재구성

        강진웅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 2022 여가관광연구 Vol.37 No.-

        This article analyzes the rupture of modern labor and leisure and the changes in contemporary leisure culture and subject in the history of leisure culture in Korea. Modern national states tried to standardize working hours and utilize extra time as workers’ leisure for labor. Thus, leisure had to be used as the time to recharge for labor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of Korea. However, since the 1990s Korea has experienced an era of labor for leisure along with the 5-day workweek program of the early 2000s. In contemporary Korea, leisure has been changed from the object of state mobilization and the means of labor to an important site for individuals’ integrated lives of labor and leisure by individualistic leisure culture. Through a discursiv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this article explores the social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lead leisure culture and pursue an integrated life of labor and leisure by focusing on the ruptured modernity of labor and leisure. 이 논문은 한국 여가의 사회사에서 근대적 노동-여가의 균열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여가의 개념과 주체가 변화하는 양상을 분석한다. 근대 국민국가는 노동 생산성 확보를 위해 노동 시간의 표준화와 노동을 위한 여가를 기획했고, 식민지 근대와 1960~1970년대 산업화의 과정에서 한국의 여가는 노동을 위한 재충전의 시간으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 초 주 5일 근무제 시행 이후 한국 사회는 개인들이 여가문화를 주도하는 여가를 위한 노동의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 개인주의적 여가문화가 확산되는 현대 사회에서 여가는 더 이상 노동력 통제를 위한 국가 동원의 대상이 아니라 개인들이 노동과 여가의 통합된 삶을 추구하는 독립된 영역으로 변화한 것이다. 질적 자료를 활용하는 담론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근대적 노동과 여가의 균열과 재구성을 중심으로 현대 사회에서 여가문화를 주도하는 개인들이 노동과 여가의 통합된 삶을 추구하는 사회적 과정을 분석한다.

      • KCI등재

        북한의 가족국가 체제의 형성: 국가와 가족, 유교문화의 정치적 변용을 중심으로

        강진웅 평화문제연구소 2001 統一問題硏究 Vol.13 No.2

        이 글은 북한의 국가의 형성 과정에서 국가가 전체 사회의 통합을 위해 가족 집단을 어떻게 지배하고 동원해 나갔는가, 그리고 이 속에서 유교문화가 정치권력에 의해 어떻게 이데올로기적으로 호명(interpellation)되었는가에 기본적인 관심이 있다. 가족국가 체제의 시발을 이루는 1960년대 초반기까지 전통적인 유교문화는 국가의 ‘가정의 혁명화’라는 정치 이데올로기와 병존하며 변화 또는 갈등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 김정일의 권력 장악을 위한 물밑 작업과 후계체제 구축을 위한 흐름이 급류를 타면서 전통적 유교문화에 대한 정치권력의 이데올로기적인 지배 전략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유교문화에 대한 국가의 정치적 활용은 국가가 효의 가치와 가부장권의 질서가 지속적 아래로부터의 전통문화를 적극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아래로부터의 전통문화와의 갈등을 극복함과 동시에 부자세습체제에 대한 정치적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1950-60년대대를 기반으로 1970년대에 안착된 북한의 국가 형성 과정에서 유교문화에 대한 국가 권력의 이데올로기적인 호명의 범위는 정치적 담론을 우선하는 배경에서 궁극적으로는 극히 제한적인 것이었음에 분명하다. 북한 사회의 유교문화의 저변의 흐름은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한국 사회의 오래된 심리문화적인 전통이 정치적인 담론으로 상승, 활용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수령-당-대중의 연계망과 어버이 수령, 어머니 당이라는 권력의 의인화, 즉 유교문화의 이데올로기적 호명 과정은 ‘사회정치적생명체’의 한계 내에 위치하는 것이다. 요컨대, 가족국가 체제의 형성은 국가와 가족간의 내재적인 순응관계를 기본으로 정치권력이 사회 저변의 유교문화를 정치적으로 활용한 역사적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족국가 체제의 안정도 국가와 사회의 역사적인 관계 속에서 재편될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다.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와 신경망 모형 결합에 의한 운전자 우회결정요인 분석

        강진웅,금기정,손승녀 한국도로학회 2011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3 No.3

        This study、s purpose is to analyse factors of determination about detouring for making a standard model in regard of unfavorableness and uncertainty when unspecified individual recipients make a decision at the time of course detour. In order to achieve this, we surveyed SP investigation whether making a detour or not for drivers as a target who take a high way and National highway. Based on this result, we analysed detour determination factors of drivers, establishing a combination model of Decision Tree and Neural Network model. The result demonstrates the effected factors on drivers、detour determination are in ordering of the recognition of alternative routevs, reliable and frequency of using traffic information, frequency of transition routes and age. Moreover, from the outcome in comparison with an existing model and prediction through undistributed data, the rate of combination model 8.7% illustrates the most predictable way in contrast with logit model 12.8%, and Individual Model of Decision Tree 13.8% which are existed. This reveals that the analysis of drivers、detour determination factors is valid to apply. Hence, overall study considers as a practical foundation to make effective detour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utility of route networking and dispersion in the volume of traffic from now on. 본 연구는 불특정 다수의 도로이용자들이 경로우회 시 갖는 의사결정과정속에 내포된 비선형성과 불확실성을 고려한 정도있는 모형구축으로 주요 우회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고속도로 및 국도를 이용하는 운전자를대상으로 우회여부에 관련된 SP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대하여 의사결정나무와 신경망이론의 결합된 모형을 구축하여운전자 우회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운전자 우회여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회도로 인지여부, 교통정보 신뢰도 및 이용빈도, 경로전환빈도, 나이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분류표를 통한 기존 모형과의 예측력의 비교결과 결합된 모형의오분류율이 8.7%로 기존 모형인 로짓모형 12.8%, 의사결정나무 단독 모형 13.8%와 비교했을 때 가장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나타나 운전자 우회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모형의 적용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량 분산효과와도로망 효율 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우회관리전략 수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 사회의 낭만적 사랑 담론과 그 전개

        강진웅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3 문화와 정치 Vol.10 No.3

        이 논문은 낭만적 사랑의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서 낭만적 사랑 담론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분석한다. 사랑의 개인화를 통해 진작된 서구의 낭만적 사랑 담론은 연애결혼과 성별분업의 모순적 결합을 통해 사랑-결혼-가족의 합일을 추구하며 근대 체계를 정당화했다. 그러나 소비자본주의와 개인주의의 확산 및 성의 해방과 함께 낭만적 사랑의 신화가 무너지면서 여성의 개인화와 사랑의 아노미라는 양면적인 결과 속에서 조형적, 유동적 사랑이 확산되었다. 일제로부터 수용된 한국 사회의 낭만적 사랑 담론 역시 식민지 근대와 산업화 시대의 낭만적 사랑에서 탈산업사회의 유동적 사랑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맥락과 적지 않은 유사성을 가지며 발전해 왔다. 특히 MZ세대들은 낭만적 사랑의 신화에 균열을 가하면서도 현실 속에서 낭만적 사랑을 성찰하는 실용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언론매체의 자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한국 사회에서 낭만적 사랑 담론이 어떻게 형성, 발전, 재구성되었는가를 탐색한다. This article theoretically reviews Western discourse of romantic love and explores how the discourse of romantic love has changed in Korea. The Western discourse of romantic love promoted by the individualization of love justified a modern world by pursuing the union of love, marriage, and family through a contradictory coupling of a love marriage and gender division. However, the myth of romantic love collapsed with the spread of consumer capitalism and individualism and the liberation of sexuality and this resulted in the diffusion of plastic and liquid love along with the individualization of women and the anomie of love. The discourse on romantic love in Korean society has developed with considerable similarities to the Western context. It was introduc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and established in the industrialization era bu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liquid love in the post-industrialization era. In particular, the MZ generation has reacted to the romantic love in a reflexive way while cracking the myth of it based upon patriarchal gender division. Based on media data, this article examines the evolution of romantic love discours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