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관광과 노스탤지어

        강준수(Jun Soo Kang),송영민(Young Min Song) 한국관광연구학회 2015 관광연구저널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ostalgia which make readers feel positive thinking by analyzing “Old Road to Kang-neaung.” As the nostalgic themes are emerging as a new trend, the nostalgic marketing can be applied to various areas. The paper analyzed meaning of this work, and presented the specifications and significance of Lee, Sun-won``s literature as nostalgic phenomenon. The emotional components composed of nostalgia in this work are as follows: warmth, wound, frustration, anger, resistance, and reconciliation. Although the narrator suffers from the memories of his youth even when he becomes an adult, he overcomes his wound in his younger years by transferring his memories to the nostalgia.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kind of nostalgic novel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ental growth of visitors who are in search of self-identity. Also this work leads visitors to experience on essential human life with a more comprehensive view by encouraging them to reflect upon their surroundings. The new form of tourism strategy is necessary to broaden people`s awareness. One of the means is utilizing literary tourism for increasing desire of tourism. The concept of space through literature is a very important key to re-invigorate nostalgia. Therefore, this paper is mor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uses ``literature`` for drawing effective nostalgia tourism. To develop Kang-neung area, the paper introduced the tour course linking the literary space of this work.

      • SCOPUSKCI등재

        보강된 평판구조물의 음향방사특성에 관한 실험적 고찰

        강준수,김정태,Kang, Jun-soo,Kim, Jeung-Tae 대한기계학회 1998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2 No.4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vibration and noise characteristics of a structure to developed quiet machines and lessen their noise. In this paper, the vibration and sou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simple and a bar-stiffened plate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numerical and experimental techniques. In numerical process, FEM analysis has been performed for the vibration level ; the time-space squared and averaged velocity and BEM analysis for sound radiation parameters ; sound power and radiation efficiency. In experimental process, FFT signal processing method has been used. While a power from an exiciter is applied to the structure by using a point contact, sound intensity and vibration level has been measured. Based on these two data, the radiation efficiency has been calculated. Results show that the radiation efficiency for the stiffened structure increases compared to the simple plate, due to the extra edges provided by the stiffener.

      • KCI등재

        <겨울왕국>에 나타난 여성의 젠더 정체성 연구

        강준수(Kang, Jun-Soo)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겨울왕국>을 통해서 드러난 여성 젠더정체성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다양한 시각적 환경에 노출되어있다. 다양한 시각적 환경 속에서 애니메이션은 아이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향이 있다.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미지에 몰입하고 그것을 통해서 자신들을 동일시한다. 이것이 바로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역할이 젠더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는 소녀들에게 매우 중요한 이유이다. 기본적으로 이 이야기는 가족 간의 연대와 희생적인 사랑의 중요성에 관한 이야기이다. <겨울왕국>의 이야기는 두 여성 캐릭터 사이의 주체성, 젠더, 연대감, 그리고 여성 캐릭터에 의해서 주도되는 희생적 사랑의 중요성이라고 하는 다양한 논의들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아이들은 이러한 애니메이션을 통해서 여성의 주체적 삶에 관한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은 절대적 미와 수동적 인물이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면, <백설 공주>, <인어 공주>, 그리고 다른 형태의 공주들은 수동적인 이미지로 묘사된다. 그러나 <겨울왕국>의 여성 캐릭터들은 전통적인 공주들과 비교해볼 때 다른 이미지를 통해서 전체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 본 연구는 디즈니사의 <겨울왕국>을 활용함으로써 페미니즘 시각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 여성 캐릭터들의 주체적 이미지는 ‘렛잇고’ 노래에 반영되어있다. 특히, <겨울왕국>에서 두 여성 캐릭터들은 왕자나 남성 캐릭터들로부터 독립적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고정되고 왜곡된 젠더 이미지가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보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새로운 협력 관계를 찾고자한다. 또한 작가는 두 여성캐릭터들이 남성들로부터 독립성을 유지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묘사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gender identity of female characters through "Frozen" by Disney. Most children are exposed to diverse visual environments in the digital media age. Among various visual environments, animations tend to influence children the most significantly. Children are immersed in the image of character of animation and identify themselves through it. This is the reason why character"s roles in Disney animation are very important to girls for forming their gender identity. Basically, this story is about family bonds and the importance of sacrificial love. The story in "Frozen" treats various issues about subjectivity, gender, bonds between two women characters, and the importance of sacrificial love which led by woman character. Therefore, children have opportunity to recognize new ideology on women"s subjective life through this animation. Usually, traditional animations have common in the points of absolute beauty and passive feature. For example, "Snow White," "Mermaid Princess," and other typical princess are described as passive image. But women characters in "Frozen" lead the whole story through the different image in compared with that of traditional princesses. The paper tries to focus on the view of feminism by using Disney animation, "Frozen" in which the song of "Let it go" represents women characters" subjective image. Particularly, two women characters in "Frozen" show the independence from prince or men characters. Ultimately, the paper suggests that the distorted and fixed image of gender should be changed, and seeks for new relationship of cooperation between men and women for creating better future. Also, the author succeed in describing new ideology by focusing especially on two female characters" independence from male characters.

      • KCI등재

        < 바리데기 >에 나타난 서사 유형 고찰

        강준수 ( Jun-soo K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 바리데기 >에 나타난 서사 형태들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 나타난 서사의 주요 모티프는 용서, 효, 그리고 영웅적 특징이다. 본 연구는 바리데기라는 주인공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또한 본 연구는 성장 서사이며, 영웅 서사인 < 바리데기 >를 융의 분석심리학의 측면으로도 접근하였다. 이 작품에서 바리데기는 여성 영웅으로서 제시되고, 고난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에서 자아성장을 경험한다. < 바리데기 >는 모든 종류의 문화콘텐츠와 이미지들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오랜 시간 동안 효의 가장 근본적인 원형 서사의 자료였기 때문이다. 효에 대한 강한 모티프를 지니고 있고, 남성의 삶을 경험하고 있는 바리데기는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로 돌아가는 것을 거부한다. 그녀는 죽은 자들을 좋은 곳으로 이끄는 오구신이 됨으로써 양성성을 획득한다. 바리데기는 작품 속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을 수행함으로써 전통적인 성 역할을 전복시킨다. 즉, 바리데기는 여성의 페르조나인 양성성적 특성을 통해서 양성성을 수행한다. 그녀는 페르조나의 장치를 통해서 그녀의 사회에서 규정된 도덕적 문화적 틀에 저항하고 심지어 전복시킨다. 바리데기는 타인을 배려하고, 이해하면서 저승으로 이끌어가는 오구신의 역할을 수용한다. 결국, 바리데기는 효의 실천과 자기희생의 정신을 통해서 진정한 여성 영웅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ypes of narrative in "Baridegi." The key motif of narrative in this work is forgiveness, filial duty, and heroic features. This paper tried to approach Baridegi, main character, from the various point of views. It also analyzed "Baridegi," growth-narrative, and heroine narrative, from the point of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Baridegi is represented as a heroine, and experiences self-development through overcoming her suffering in this work. "Baridegi" is very important for all kinds of cultural contents and images, because it has long been the source of narratives that is the most fundamental archetype of filial duty. Baridegi who has strong motif for filial duty and gets ability to understand and consider others through her self-development, refuses to come back to traditional women``s roles. She acquires androgyny by becoming the god Ogu who leads to the dead to a paradise. Baridegi subverts conventional gender roles as she performs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Baridegi." That is, Baridegi performs androgyny through an androgynous nature of the female personae. She resists and even subverts the moral and cultural frame prescribed in her society through the mechanism of the personae. Baridegi accepts the role of the god Ogu who consider, understand and lead others to the next world. After all, Baridegi becomes true heroine through the practice of filial duty and the spirit of self-sacrifice.

      • 동성애로 본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강준수 ( Jun Soo Kang ) 안양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19 No.-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은 오스카 와일드의 작품들 가운데에서 가장 대표적인 동성애 소설이다. 와일드의 심미주의 관점에서 예술은 현실을 지배하는 우월성을 갖는다. 와일드의 시각에서 인생은 예술을 모방하는 것에 불과하다. 와일드는 예술을 지향하고 자유분방한 성적 탐닉을 추구하는 주인공을 죽음으로 마무리 짓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왜냐하면, 빅토리 아 시대의 편협한 성적 가치관과 위선을 작품에 퉁장하는 등장인물들을 통해서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동성애에 대한 담론을 세상 밖으로 드러낼 수 없었던 시기에 문학작품이라는 예술 장르에 과감하게 재현시킨 것은 와일드가 지닌 혁신적인 다양성의 관점에 바탕을 둔 것이다. 특히, 작품에 등장하는 청교도주의자인 베질은 도리안에 대해서 동성애적 감정을 느끼면서도 용기 있게 드러내지 못하는 위선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소설의 구조는 주인공 이 자살로 끝맺는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와일드가 빅토리아 시대의 편협성과 위선을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궁극적인 성공을 거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와일드가 이러한 혁신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것은 그가 기본적으로 인간의 이중성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 KCI등재

        <주토피아>에 나타난 환상과 현실

        강준수(Kang, Jun-Soo)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유토피아적 환상과 디스토피아적 현실사이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진정한 유토피아 세상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들의 현실 인식뿐만 아니라 이상사회 건설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주토피아>의 궁극적인 전략을 드러내고 있다. 이 영화는 주토피아 사회의 지배구조가 구체적으로 유지되는 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주토피아의 현실의 추진체계인 환상은 유토피아이다. 그러나 유토피아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체계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자유를 말살하고, 권력을 통한 불평등을 드러낸다. 즉, <주토피아>는 주토피아로 명명된 이상사회를 통해서 편견과 차별로 대변되는 속물화된 사회 환경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먼저, 구체적인 사회적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주토피아에서 보이는 현실을 파악하고 그곳에 숨겨진 편견, 차별, 지배자와 피지배자 간의 구조를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다. <주토피아>는 현실의 상황을 드러내고 부정적인 사회 권력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는 영화로 간주될 수 있다. 포식자와 피식자 사이의 갈등에 대한 관심의 측면에서 볼 때, 이 영화는 불신과 권력획득경쟁과 같이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보여주고 있다. <주토피아>는 지배자들과 피지배자들 사이의 진정한 회복을 제시하고 있고 유토피아를 향한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영화이다. <주토피아>에서 묘사되는 모든 상황들은 우리의 삶에 속하는 것들이다. <주토피아>는 보편적인 인간존재의 문제들과 이상사회를 이루기 위해서 해결되어야할 숙제들에 대해 면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결국, 주디는 유토피아 사회의 환상에 관한 허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유토피아에 대한 생각은 사회적 환경과 함께 변화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녀는 디스토피아적 현실은 사람들로 하여금 진정한 유토피아 사회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인식하게 해준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만약 디스토피아적 요소들이 제거된다면, 유토피아 사회가 될 수 있다. 디스토피아적 요소들은 차별, 불신, 그리고 폭력성이 있다. 다시 말해서,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개념들은 전혀 다른 개념들이 아니라 동전의 양면과 같이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유토피아 사회를 현실로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성, 협력, 그리고 배려심이 매우 필수적인 요소들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al utopian world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utopian fantasy and the distopian reality. Also, this paper reveals the ultimate strategy of “Zootopia” through examination of an ideal society construction as well as reality recognition of characters in this animation. It suggests fundamental question how its rule mechanism keep concretly. The fantasy of system driving reality of zootopia is an utopia. However, the system for utopian society ironically destroys freedom and reveals inequality through the power. That is, “Zootopia” describes materialized society circumstance that is represented by prejudice and descrimination through an ideal society named zootopia.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find the reality shown in zootopia and understand the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the mechanism of the rulers and subject hidden in it for finding the concrete social aspects. “Zootopia” can be considered to be a movie to disclose the situations of the reality and try criticism of its negative social power. From the point of the interest in the conflict between predator and prey, it is a movie which describes the problems in modern society like distrust and power game. ”Zootopia” has a big meaning because it is a movie to introduce the true reconciliation and trust restoration between rulers and subjects, and show the process toward utopia. All situations described in “Zootopia” are belonging to our living. “Zootopia” requests close reconsideration about general human beings’ problems and assignments to be solved for an ideal society. After all, main character, Judy experiences the illusion about the fantasy for utopian society and realizes that utopian ideas keep changing with social environments and distopian reality makes people realize what is needed for the real utopian society. If distopian elements are removed, it can become utopian society. Distopian elements include discrimination, distrust, and violence. In other words, the concepts of utopia and distopia are different things but they have an intimate connection like the two sides of the same coins.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include diversity,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for moving forward in a utopian reality.

      • KCI등재후보

        영화 <버킷리스트>를 통해 본 액티브 시니어와 웰다잉 고찰

        강준수(Jun Soo Kang)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3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9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의 신체 및 정신의 건강과 함께 죽음에 대한 준비를 통해서 효과적인 인생의 마무리가 지닌 중요성 인식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관련 문헌 연구와 함께 시니어의 삶을 묘사한 영화 <버킷리스트>의 핵심 장면 분석을 통해서 액티브 시니어 개념, 웰다잉의 필요성, 그리고 죽음의 수용과 긍정적 태도 인식의 측면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고자 한다. 결과 액티브 시니어는 상호 소통이 이루어지는 노년기 친구가 필요하고 물질적 욕심보다는 인생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액티브 시니어는 인생의 좋은 마무리를 위해서 과거의 후회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인적 버킷리스트 실천을 통해서 남은 삶의 긍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결론 현대사회의 액티브 시니어들은 적극적 참여 활동을 통해서 삶의 긍정성을 확보하면서 활기찬 인생을 살아갈 수 있고 행복한 죽음을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액티브 시니어 특성과 웰다잉의 중요성 등을 관련 영화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반면 본 연구의 한계점은 액티브 시니어와 관련된 논의를 특정 영화 매체에 한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ding life effectively through preparation for death as well as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old age. Method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oncept of active seniors, the need for well-dying, and aspects of acceptance of death and positive attitude recognition through analysis of key scenes from the movie <Bucket List> that depicts the lives of seniors along with research on related literature. Results Active seniors need friends in old age with whom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need to reflect on their lives rather than material greed. And in order to end life well, active seniors need to secure positivity for the rest of their lives by implementing their personal bucket list as part of their efforts to minimize past regrets.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active seniors in modern society are able to live a vibrant life while securing positivity in life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and are highly likely to die a happy deat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seniors and the importance of well-dying are presented in detail through related films. On the other hand,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iscussions related to active seniors are limited to specific film media.

      • KCI등재

        A Study on the Theatricality of the Stage through Six Characters in Search of an Author

        Kang, Jun-soo(강준수)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8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작가를 찾는 6인의 등장인물』을 통해서 루이지 피란델로가 궁극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공연예술의 연출방식은 무엇이고, 그가 추구하고자 하는 세계관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품 속에서 제시되면서 무대의 연극성이 관객들에게 각인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피란델로는 사실주의나 자연주의 극작가들과는 달리, 이 작품에서 제시되고 있는 연극무대의 공간은 결코 현실을 그대로 재현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관객들에게 지속적으로 각인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피란델로가 이러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수법으로는 피란델로가 등장인물들의 구체적인 신상이나 이름을 밝히고 있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피란델로가 이 작품에서 극중극을 활용하면서 뼈대가 되는 극과 극중극을 분리시키지 않고, 두 극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피란델로는 극중극에 등장하는 두 아이가 맞이하게 되는 죽음이 허구가 아니라, 실제라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두 극의 경계를 허무는 것을 뛰어 넘어서 오히려 뼈대가 되는 극을 압도시키고 있다. 그리고 피란델로는 뼈대가 되는 극에 등장하는 매니저와 배우들이 현실의 복잡한 내면세계를 회피하고, 외형적인 현실의 단편적인 사실들만을 적당히 짜 맞추어서 관객들로 하여금 그것이 현실의 실제 모습인 것처럼 왜곡시키고자 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사실주의 극이나 자연주의 극이 지니고 있는 모순된 태도를 적나라하게 비판하고 있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피란델로는 무대가 갖는 공간의 한계성과 인간의 자아는 획일화되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해간다는 것을 작품 속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무대의 연극성을 극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Luigi Pirandello ultimately expresses the direction of performing arts through the Six Characters in Search of an Author is to grasp whether it is imprinted to the audience. Pirandello, unlike realist and naturalist playwrights, is constantly striving to impress the audience that the space of the theater stage presented in this work can never reproduce reality. Pirandello"s approach to achieving this goal is that Pirandello does not reveal the specific names or names of the characters. Pirandello is using the drama in this piece to break 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plays, without separating the play within the play and the play from the frame. Pirandello overcame the boundaries of the two plays by emphasizing that the two children who appear in the play within the play are not fictional, but real, overwhelming the main play. Manager and actors in Pirandello"s main play avoided the complex inner world of reality and appropriately framed only the fragmentary facts of the actual reality, distorting the audience as if it were the actual image of reality and, Pirandello suggests the contradictory attitude of the realistic and naturalistic plays through their attitude. In conclusion, Pirandello clearly demonstrates the theatricality of the stage by presenting in detail that the human self is not uniformed and fixed and it chang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the context of the work.

      • KCI등재

        가톨릭 성지순례 공간에서의 기억과 관광상품 개발 고찰 - 강화도 지역을 중심으로 -

        강준수(Kang, Jun-Soo),송영민(Song, Young-Mi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1 觀光硏究論叢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강화도 지역이 지닌 천주교와의 특별한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면서 기억과 관광의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강화도 지역은 다양한 역사 문화자원이 확보된 매력적인 관광지이다. 강화도의 관광지 매력은 역사문화자원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측면에서도 특별한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강화도 지역은 가톨릭의 유입이 쉬운 교통 접근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교통 접근성은 강화도 지역에서 초창기 천주교가 뿌리내릴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성지순례 관광에 참여하는 방문객들은 종교적인 목적을 가진 사람들뿐만 아니라,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삶의 가치와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는 사람들도 포함된다. 다시 말해서, 성지순례 방문객들은 다양한 욕구를 지닌 사람들로 구성된다. 강화도 지역은 한국 천주교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가 담긴 성지들과 독특한 동서양 결합의 건축물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천주교 역사와 관련된 관광상품과 방문객들이 천주교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공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강화도 지역에 남아 있는 천주교의 역사, 문화, 그리고 가치를 기억하면서 관광자원으로 개발하여 순례 관광의 활성화에 대한 논의를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천주교 관련 다양한 지역과 연계한 관광상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ssues of memory and tourism while grasping the special historical value and meaning of the Ganghwa Island region with Catholicism. Basically, Ganghwa Island is an attractive tourist destination which has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attraction of Ganghwa Island as a tourist destination is that it has special value and meaning not only in term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ut also in terms of religion. Ganghwa Island had easy transportation access for Catholics to enter. Such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early Catholicism to take root in Ganghwa Island. Visitors participating in the pilgrimage tour include not only those with a religious purpose, but also those who wish to fulfill cultural needs or reflect on the value and meaning of life. In other words, pilgrimage visitors are made up of people with diverse needs. Ganghwa Island is competitive in that it has sacred sites that contain the historical values and meanings of Korean Catholicism and unique buildings that combine East and West. The need for tourism products related to the history of Catholicism and a cultural space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the history of Catholicism is rais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evitalization of pilgrimage tourism by developing it as a tourism resource while remembering the history, culture, and values of Catholicism remaining in Ganghwa Island.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was no discussion of tourism products linked to various regions related to Catholicism.

      • KCI등재

        노마디즘을 통해 본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는가?』

        강준수 ( Jun Soo K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9 No.3

        본 논문의 목적은 등장인물들이 환상과 현실의 경계를 허물면서 주체적 삶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들뢰즈(Gilles Deleuze)의 노마디즘은 공간 내에서의 이동성과 지속성을 의미하며, 그것은 거주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이동을 하도록 한다.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는가?』에서 노마드적 현상은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몸짓으로 재현된다. 노마디즘이 수평지향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처럼, 등장인물들은 사회적 관습과 질서의 환상을 깨고 실존적 삶의 자세를 획득한다. 그들은 지속적으로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경계 안에서 자신들을 억압하는 기존 질서체계에 대해 저항을 시도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탈영토화와 리좀 체계를 적용하였다. 등장인물들은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을 반복적으로 넘나들면서 지속적으로 환상이라는 경계지역을 가로지르고자 한다.인간의 욕망을 포함하는 경계를 가로지름으로써, 등장인물들은 자기 정체성을 확장시키고, 서로에 대해 이해심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환상의 영역에서 위선적인 삶을 살아왔던 이 극의 주요 등장인물들은 그러한 환상을 깨부수고 실재의 영역에서 현실을 대면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characters realize their true selves b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fantasy and reality. Gilles Deleuze`s nomadism means mobility and continuity within space, which makes resident keep moving. Characters in this play experience the expansion of perception in their communication by breaking fantasy. The nomadic phenomena in Who`s Afraid of Virginia Woolf? are various gestures of characters which are eager to seek self-identity, subjectivity and revolt against modern society suppressing them through the boundaries. Therefore, the concep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hizomic system were suggested in the paper. Characters continuously try to cross over the boundaries of fantasy by repeating communication of closed and open space.By crossing over the boundaries which include human being`s desire, characters experience the expansion of self-identity and the mutual understanding of each other. In conclusion, main characters in this play who have been living hypocritical lives in fantasy break up that fantasy and face reality straight at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