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居昌 道山書院 營建에 대한 고찰

        강민구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Dosan Seowon was the representative seowon of Geochang, which had been bestowed a tablet from the king. But after it was destroyed by the abolition ordinance of Daewongun, it is difficult to find even the remains. Due to the destruction of seowon and the historical confusion, most of the materials of Dosan Seowon appear to have been destroyed. Based on the extant materials, the construction of Dosan Seowon was proposed by Mun-yui[文緯, 1554~1631], a representative figure of Geochang in the mid-Joseon period. In the 「Sanjedong Ibwonchanggyu(山際洞立院創規)」, Mun-yui declared that it was the desire of the local people to build a shrine for commemorating their morals, because there was a remain where Kim Goeng-pil(金宏弼) and Jeong Yeo-chang(鄭汝昌) met and studied at the edge of Mt. Odae[Mt. Odo] in Geochang. According to 「Sanjedong Ibwonchanggyu」, it seems that public opin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seowon was gathered at that time and it was in the stage just before the groundbreaking. However, since the word ‘Sa[祠]’ is used instead of ‘Seowon[書院]’, it seems that the size of the seowon was not considered from the beginning. The record that most clearly organize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Dosan Seowon was the 「Dosanseowon Geonyeong Jeonmalgi(道山書院營建顚末記)」 written in January 1680 by Choi Yun-jeong(崔胤貞). According to this record, at least 26 years have passed since Mun-yui proposed to establish the seowon, and in 1656(the 7th year of King Hyojong), the seowon was built under the initiative of Kim Ik-gyeon(金益堅). At this time, the site was selected, and the composition of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procuremen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were also determined, also Jo Jeong-rip(曺挺立) was appointed as the director. The location of the seowon was to the south of Mt. Doksan(禿山), and there was a person who donated building materials, so first of all, about 10 compartments of Jeongokcheong(典穀廳) were able to be built. However, the Chungcheong-do provincial governor Seo Pil-won(徐必遠) informed the excessive construction and negative effect of seowon, and an ordinance was issued to build a seowon that accepted it, and construction was halted until 1660. After that, in 1660, in the year of King Hyeonjong’s enthronement, the request for the establishment of seowon and the bestowal of tablet was approved, and construction resumed. In 1661, Kim Goeng-pil, Jeong Yeo-chang and Jeong-on were enshrined. At this time, 4 compartments of Jaesa(齋舍) were built, but the lecture hall was not built, so it did not have a complete appearance as a seowon. In 1662, a tablet called ‘Dosan Seowon(道山書院)’ was bestowed from the king. The lecture hall began to be built in 1664, and was completed in 1667, taking the form of a seowon in name and reality. The construction of Dosan Seowon was a long-cherished project for the local residents of Geochang, which took about 40 years from the proposal of Mun-yui to the completion. 도산서원은 거창을 대표하는 사액 서원인데 대원군의 철폐령으로 훼철된 후 현재는 그 遺址조차 찾기 힘들게 되었다. 서원 훼철로 도산서원 관련 자료는 대부분 逸失되었다. 현전 자료를 토대로 본다면, 도산서원의 건립은 조선 중기 거창의 대표적 인물인 文緯[1554~1631]에 의하여 제창되었다. 문위는 「山際洞立院創規」에서 거창 鰲戴山[오도산] 자락에는 金宏弼과 鄭汝昌이 만나 강학한 유적이 있기에 그들의 도의를 기리기 위해 사원을 창건하는 일이 지역민의 염원임을 천명하였다. 「산제동입원창규」에 의하면 당시 서원 설립에 대한 여론이 수렴되어 기공 단계 직전에 있었다. 다만 ‘書院’ 대신 ‘祠’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으니, 처음부터 서원의 규모를 생각했던 것은 아닌 듯하다. 도산서원 건립 과정을 가장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기록은 崔胤貞이 1680년 1월에 작성한 「道山書院營建顚末記」이다. 이 기록에 의하면, 문위가 서원 창건을 발의한 뒤로 최소 26년이 경과된 1656년(효종 7)에 金益堅의 주도로 서원이 기공되었다. 이때 터를 잡고 공사와 관련된 인적 구성과 물적 조달도 획정하였으며 원장으로 曺挺立을 추대하였다. 서원의 위치는 禿山 남쪽이었으며, 건축 자재를 희사한 사람이 있었기에 우선 典穀廳 10여 칸을 지을 수 있었다. 그러나 마침 충청도 관찰사 徐必遠이 서원 남설과 폐단을 啓請하였고, 그것을 수용한 서원 건립 인가령이 발령되어 1660년까지 공사가 중단되었다. 이후 1660년 현종 즉위년에 서원 창립과 사액 요청이 승인되어 공사가 속개되었고, 1661년 김굉필․정여창․정온을 추향하였다. 이때 齋舍 4칸을 지었으나 강당을 짓지 못하였으니, 서원으로서의 온전한 모습을 갖추지는 못하였다. 1662년 ‘道山書院’이라는 편액이 내려와 사액이 완료되었다. 1664년에 강당을 짓기 시작하여 1667년에 준공되어 명실상부한 서원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도산서원 건립은 문위의 발의로부터 준공까지 무려 약 40년이 걸린 거창 지역민의 숙원 사업이었다.

      • KCI등재

        관개지구의 관행 물관리를 고려한 저수지 용수공급량 추정

        강민구,오승태,김진택,Kang, Min Goo,Oh, Seung Tae,Kim, Jin Taek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6 No.5

        The DIROM (Daily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Model) was modified to estimate amounts of water release from reservoirs, considering customary irrigation water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water supply for puddling and transplanting paddy rice from seeding beds and mid-season drainag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ified model was investigated by simulating amounts of water release from three study reservoirs: Hwamae, Ogi, and Doya Reservoirs. In terms of annual amounts of water release, the relative errors between the observed and simulated values in 2012 and 2013 ranged -26.20 % to 10.28 % and 4.90 % to 30.06 %, respectively; in case of reservoir water levels, the RMSE values ranged 0.45 m to 1.34 m and 0.40 m to 1.27 m, respectively.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 model provided better simulation results for monthly water releases than the original model. In addition, the model presented better performance in simulating 10-day amounts of water release from April to June. However, the model had still significant errors in the simulation results from July to September because the reservoirs were practically operated to adapt to water management circumstance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he modified DIROM can estimate the amounts of water release from reservoirs, reflecting irrigation water management customs in paddy-field districts. To achieve higher prediction accuracy of the model,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practical reservoir operation rules into the model.

      • KCI등재

        암호 없는 사용자의 2차 인증용 복합생체 기반의 FIDO 플랫폼

        강민구,Kang, Min-goo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4

        본 논문에서는 암호 없는(Passwordless) 사용자 환경에서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기반 복합 생체 인증을 제안한다. 다양한 FIDO 2.0(Fast Identity Online) 거래 인증 플랫폼 연동을 위한 메타버스와 연계를 설계한다. 특히,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지자기 센서, 가속기 센서 및 복합인증(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을 위한 생체정보 등을 적용한다. 이때, 조도 및 온도/습도 등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2차 인증으로 복잡한 인증을 통해 사용자 환경에 따른 적응형 복합 인증 플랫폼을 제시한다. 그 결과 사용자 환경에 따라 지문인식과 홍채인식, 얼굴인식, 음성 등 행동 패턴으로 다양한 제로 트러스트를 기반으로 2차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또한 FIDO 플랫폼의 복합 통합 인증 연계 결과를 확인하고, FIDO2.0을 이용한 거래 인증 연계 플랫폼의 인증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a zero trust-based complex biometric authentication was proposed in a passwordless environment. The linkage of FIDO 2.0 (Fast IDENTITY Online) transaction authentication platforms was designed in conjunction with metaverse. In particular, it was appli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or sensor, and biometric information for multi-factor authentication(MFA). At this time, a FIDO transaction authentication platform was presented for adaptive complex authentication with user's environment through complex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uthentication based on situational awareness such as illuminance and temperature/humidit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secondary users based on zero trust with behavior patterns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face recognition, and voic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check the linkage result of the FIDO platform for complex integrated authentication and improve the authentication accuracy of the linkage platform for transaction authentication using FIDO2.0.

      • KCI등재

        학습자전의 향방과 개발에 대한 提言

        강민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한문교육논집 Vol.41 No.-

        사전의 제작은 여타 도서의 제작과 차원을 달리 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사전 편찬과 관련된 전설 같은 일화들이 사전의 권력성을 더해준다. 이러한 이유로 사전의 학습 효용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러나 자전이 한문학습의 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감을 갖기보다는 ‘자전 이용과 한문학습능력 향상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학습사전은 학습자의 언어능력을 배양․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전인데, 엄밀한 의미의 학습자전은 아직도 출현하지 않았다. 현재 학습용으로 이용되는 자전들은 표제자 밑에 지나치게 많은 의미와 그것에 해당하는 예문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오히려 학습의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 현재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는 한자학습사전은 한자 학습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에 한문교육의 미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없다. 현실적으로 한자학습사전이 필요하지만, 그것이 한문학습사전으로 오인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에서 1930년대 최고의 베스트셀러는 단연 자전류였다. 그러나 세계의 모든 사전처럼 자전도 지금은 악성 재고로 전락하였다. 현재 종이 사전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기에 적극적으로 활로를 모색하지 않을 수 없다. 그 활로를 학습자전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자전에서 찾을 수 있겠다. 우리나라에서 근대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자전인 『字典釋要』와 『新字典』은 전통성을 갖고 출발하였으나, 이후에 발전적으로 계승되지 못하고 표절을 둘러싼 소송으로 얼룩지게 되었다. 1959년 명문당은 자신의 『國漢明文玉篇』을 홍자출판사의 『國漢最新玉篇』이 무단 도용 출판했다며 우리나라 최초의 저작권침해 소송을 하였으나 1962년 패소하였다. ‘사전은 의례 가위질을 하여 만드는 것이기에 독창성을 말할 수 없다.’는 학계의 증언과 당시의 저작권에 대한 의식이 패소의 주원인이었다. 자전의 저작권에 대한 관대한 인식은 『자전석요』와 『신자전』의 편찬자들이 지녔던 사명감과 전통 계승 의식에서 퇴행하여 ‘가위질은 하되 창작은 하지 않는다.’는 편찬 지침을 만들어 주었다. 이후에 발행된 대형 자전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주로 일본과 중국의 자전을 번역하고 보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전 편찬의 이와 같은 관행이 종이자전의 위기를 초래한 하나의 원인이다. 본고는 학습자전 제작 편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학습자전은 국어에 사용되는 한자의 빈도와 필독 원전에서 사용되는 한자의 빈도를 참작해서 제작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전통성과 독자성이 있는 자전을 만들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자전이 중국과 일본 자전의 번역본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문장 중에서 전범이 될 만한 것을 예문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한문교과서에 실린 어휘나 문장 중 전범이 될 만한 것을 자전에 올린다. 또 한문교과서나 교재 등의 집필자들이 골라서 쓸 만큼 가치 있는 어휘나 문장을 자전에 올림으로써 교사․학생․교재와 자전 간에 긴밀한 관계가 형성되도록 한다. 디지털자전의 독자와 매체적 특성에 주목하여, 종이자전이 갖는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 디지털자전은 다양한 경로의 檢字가 가능하고 신속한 수정․증보가 가능하다. 또 내용의 복사․인쇄․가공 편집이 가능하며 이미지․음성․동영 ... Making dictionary is regarded that it is different from production of other books. And the legendary anecdotes associated with dictionary compilation add the authority of dictionary. For this reason, critical appraisal about learning effectiveness of dictionary could not be done properly. But it is necessary to examine completely 'Use of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and Improvement of the Chinese classics learning ability' rather than having a vague expectation that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can improve the ability of learning Chinese classics. It is a learning dictionary that functionality is enhanced in order to develope and improve learner's language ability. However learning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n the strict sense did not appear yet.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used for learning suggest too much meaning and examples corresponding to meaning under headword, but it works obstacle factors of learning. Also 'Chinese character learning dictionary' that is actively produced only aims at learning Chinese character, so it can not be positive impact on the future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Practically, 'Chinese character learning dictionary' is required, but it should not be mistaken for 'Chinese classic learning dictionary'. In the 1930s, the best-selling in Korea is definitely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But now these degenerate as malignity stock like all dictionaries of the world. Currently, paper dictionary faces a serious crisis, so it cannot help actively seeking for breakthrough. It is found in learning-Chinese character dictionary that is a new form of dictionary. 『字典釋要』 and 『新字典』 which could be given modern meaning in Korea started out with traditionality. However it didn't be inherited developmentally and got stained with lawsuit surrounding plagiarism. In 1959, Myungmundang sued the first copyright infringement lawsuit that Hong-ja publishing company's 『國漢最新玉篇』 had used 『國漢明文玉篇』 without permission, but they lost lawsuit in 1962. The main reasons for losing a lawsuit were testimony of academics-'It can't say originality because dictionary is made of scissoring.'-and awareness about copyright. Generous consciousness about copyright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regressed from sense of duty and awareness about succession of tradition which the compilers of 『字典釋要』 and 『新字典』have carried with. So, that made compilation guidelines-'It scissors but do not creat.' There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 but the larg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hich have been published after is known that it mainly translated and supplemented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of China and Japan. Such practice about compilation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s the one reason that causes paper dictionary's crisis. This paper proposes as follows about production and compilation of learning-Chinese character dictionary. Learning-Chinese character dictionary should be made by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used in Korean and used in required reading text. We have to produc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ith our tradit onality and identity. In order to deviate from the stigma which our dictionaries are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of China and Japan, it is desirable to suggest examples which can be standards in our sentences. We write vocabularies and sentences which can be standards in existing Chinese character textbook. Also, by writing valuable vocabularies and sentences that authors of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choose them enough to use, it helps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among teacher, student, textbook and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e pay attention to readers and media characteristics of digital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and we should pass over paper Chinese character dictionary's limit. Digital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s possible to seek index with diverse routes and...

      • KCI등재후보

        단클론감마병증에서 면역글로불린 중쇄 및 경쇄 복합체 직접 측정의 유용성: 모세관 전기영동과의 수행능 비교

        강민구,신명근,김진각,장민중,이오진,김혜란,조덕,김수현,기승정,신종희,서순팔,양동욱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4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4 No.1

        Background: Determination of monoclonal gammopathy through conventional protein electrophoresis is sometimes difficult because of the presence of large proteins such as haptoglobin and transferrin, which may obscure the results. Ambiguity in an electrophoresis band can give rise to confusion or difficulty in interpretation. The heavy chain/light chain assay (HLC assay) using Hevylite antibody (The Binding Site, UK) has recently been developed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of monoclonal proteins. We compared the immunotyping (IT) profiles to the immunoglobulin (Ig) heavy/light chain measurements obtained using the HLC assay and observed the ratios between intact Ig kappa and lambda. Methods: We collected 35 and 28 sera from patients with suspicious and definitive monoclonal protein, respectively. Then we performed serum protein electrophoresis (SPEP) and IT by Capillarys2 (Sebia, USA). Monoclonal protein production was investigated using Freelite antibody (The Binding Site) and specific Ig(G, A)κ and Ig(G, A)λ Hevylite antibodie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for Windows (IBM, USA). Results: Direct measurement of Ig heavy/light chains showed discordant IT results for 12 (34.2%) of 35 patients’ sera with suspicious SPEP pattern and identical IT results for 28 patients’ sera with definitive monoclonal peak in the SPEP results. Overall, the results of the HLC assay and IT showed good agreement (κ=0.718, P=0.000 by cross-tabulation Gamma, Kappa analysis). Conclusions:The results of direct measurement of serum Ig heavy chain/light chain pair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IT and were helpful for determination of monoclonality in the case of ambiguous electrophoresis results. Measurement of the heavy chain/light chain pair ratio also allowed precise quantification of the monoclonal Igs with ambiguous electrophoresis patterns and identification or discrimination of clonality. 배경: 전통적인 단백 전기영동에 의한 단클론감마병증의 확인은 합토글로빈, 트랜스페린과 같은 큰 농도를 가진 단백에 의해 가려지므로 어려울 수 있다. 전기영동 밴드에서의 이와 같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혼란스럽거나 해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최근 M단백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Hevylite 항체(The Binding Site, UK)를 사용하는 Heavy chain/light chain assay (HLC assay)가 개발되었기에, 면역 전기영동에 의한 M단백의 형별판정과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 쌍의 직접 측정을 하여 얻은 완전 면역글로불린의 카파 및 람다 비율에 의한 형별판정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Capillarys2(Sebia, Norcross, USA)에 의한 혈청 단백 전기영동과 면역 전기영동에서 의심스러운 소견을 보인 35검체와 확실한 단클론성을 보인 28검체를 각각 모았다. M단백의 생산은 Freelite 항체(The Binding Site, UK)와 특이적인 Ig(G, A)κ and Ig(G, A)λ Hevylite 항체(The Binding Site)에 의해서도 측정되었다. 검사결과는 PASW 18.0에 의해서 분석되었다. 결과: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의 직접 측정은 의심스러운 전기영동 소견을 보인 35검체 중에서는 12검체(34.2%)에서 면역전기영동에 의한 M단백의 형별판정과 일치하지 않았고, 혈청단백 전기영동에서 확실한 단클론성 피크를 보였던 28검체에서는 면역전기영동에 의한 M단백의 형별판정과 모두 일치한 소견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HLC assay와 면역 전기영동검사 결과는 M단백의 형별판정에 있어서 좋은 일치율을 보였다(κ=0.718, P=0.000, 일치도 분석). 결론: 혈청 면역글로불린 중쇄/경쇄 쌍의 직접측정은 면역전기영동과 동등한 유용성을 보이며, 전기영동에서 애매한 단클론성을 보이는 경우 형별판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애매한 전기영동 소견을 보이는 M단백의 경우, 정량을 하여 형별판정의 확인 및 감별을 하는 데 유용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경사지 경지정리지구의 등고선 구획 최적설계

        강민구,박승우,강문성,김상민 한국농공학회 200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5 No.6

        In this study, a new concept in a paddy consolidation project is introduced in that curved parallel terracing with contour-lined layout is adopted in sloping areas instead of conventional rectangular terracing. The contoured layout reduces earth-moving considerably compared to rectangular methods in consolidation projects.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develop a combinatorial optimization model using the network theory for the design of contour-lined plots which minimizes the volume of earth moving.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length of short side of plot is longer or the land slope is steeper, the volume of earth moving for land leveling increases. The developed optimization model is applied for three consolidated districts and the resulting optimal earth moving is compared with the volume of earth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The shorter is the minimum length of short side of a plot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plots, the less is the volume of earth. As the minimum length of short side is 20 m for efficient field works by farm machinery, the volume of earth moving of optimal plot is less by 21.0 27.1 %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onsolidated plots. 본 연구에서는 경사지 경지정리지구의 구획형태를 등고선구획으로 설계할 경우, 등고선 구획의 형태와 대상지구의 경사도에 따른 토공량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토공량을 감소시키기면서 지형에 따라 구획의 단변길이가 변하는 등고선 구획을 배치하기 위하여 두 점간의 최단경로를 구하는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한 최적화 모형을 구성하였다. 최적화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시행된 경사지 경지정리지구에 적용하여 최적화 결과와 시행결과를 비교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① 농기계의 작업효율을 고려하여 굴절각이 150 210 가 되도록한 등고선 구획을 경사지 경지정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