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 생산 공정에서 병의 종횡비와 냉각유량이 압력과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적 연구

        강가연 群山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블로몰딩 공정에서 병의 성형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냉각유체의 유동과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병의 생산 공정에 대하여 ANSYS CFX v19와 슈퍼컴퓨터 NURION 시스템을 사용하여 열유동 현상을 수치적으로 모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원통형 목과 육방형 몸체를 가진 병으로 종횡비를 2:1, 1:1, 1:2 3가지로 분류하였다. 수치계산은 3차원 정상상태 k-ω SST 난류모델을 사용하였고 냉각유체는 표준상태의 공기, 병은 유리, 몰드는 주철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병의 종횡비, 노즐의 위치, 노즐의 각도와 냉각유량에 따른 냉각유체의 유동과 열전달 특성을 비교하였다. 낮은 병은 노즐의 위치에 따른 바닥의 전압력 분포는 거의 같고 노즐의 각도가 증가할수록 와류의 개수가 감소하고 바닥의 전압력 분포가 균일해진다. 병의 압력과 열유속의 균일도를 판단하는 자료를 제시하여 병의 성형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w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cooling fluid in order to improve the molding quality of the bottle in the blow molding process. ANSYS CFX v19 and a supercomputer NURION system were used to simulate the thermal flow phenomen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ylindrical neck and hexagonal body and classified into 3 aspect ratios of 2: 1, 1: 1, 1: 2. Numerical calculations are performed using a three-dimensional steady-state k-ω SST turbulence model. The cooling fluid used was standard air, the bottle used glass, and the mold used cast iron. In this study, the cooling fluid flow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of the bottle, the position of the nozzle, the angle of the nozzle and the cooling flow rate. In the low bottle, the distribution of the voltage on the bottom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nozzle is almost the same, and as the angle of the nozzle increases, the number of vortices decrease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voltage on the bottom becomes uniform. We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molding quality of bottles by presenting data to judge the uniformity of the pressure and the heat flux of the bottle.

      • 2015 개정 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 표현영역의 연계성 분석 연구

        강가연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2015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organized proper educational contents for each grade and school level and displayed significant learning content, it placed emphasis on continuous understanding of learners in curriculum contents. Thus, the learning content should be not duplicated or disconnected in its organization but consider the organic connectivity,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The appropriate connectivity in the educational contents could reduce time spent on unnecessary learning but focus on study and increase effective learning and qualitative learning experience. The learner may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curriculum, leaving the connectivity of educational contents out of consideration. Also, the learning by rote my deteriorat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y. Therefore, the connectivity of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to help learners grow up and develop themselves in a desirable way. The necessity of connectivity in the learning content of the art subject was already proved through the survey conducted in various research. The Connectivity Reinforcement of National Curriculum in Korea(Kim Jin-suk, 2013)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2013 showed that art subject took second place behind the ethics subject in the ranking of 10 subjects which has poor connectivit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Ji Won Chang, “The Research on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Curricula Based on Tyler`s Theory of Education”, Research on Music Education, Volume. 44, Number. 4, 2015, p.224 In addition, according to ‘Exploring a direct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a future society - Art studies (No Yong et al. in 2012)’ conduct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4.8% of teachers responded negatively about the questions on connectivity and order in the learning content, considering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curriculum. No Yong et al., “Exploring a direct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a future society - Art studie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P.80 It indicated that many teachers had critical mind in the connectivity of the art subject’s learning content. Thus, th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connectivity of learning content so that learners continuously understand art curriculum content in the school. Therefore, the textbook which are used as learning materials for teaching should take account of connectivity and avoid duplication and gap in the learning when organizing the learning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nectivity of learning content, especially focusing on expression part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art textbooks which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To achieve such research goal, the five middle and high school’s art textbooks published by same publishing company were chosen and also,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t as ‘repetition’, ‘gap’ and ‘development’ to examine the disconnectivity and connectivity, based upon analysis criteria model. Thus, 3 items for analysis were chosen based upon ‘idea’ and ‘production’ which are core concepts in the expression parts, as the common analysis item on the expression part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he way of thinking’,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 and ‘expression media.’ All of them were suggested as essential content elements to learn the expression part in the curriculum system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nd also, often commonly propos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learning content. Therefore, key concepts from the middle and high school’s learning content which consisted in the sentence were extracted and arranged and then, the level of connectivity between the middle and high school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learning content in the art textbook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s were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ree analysis items, the learning content at the same level in the expression part repeatedly appeared with repetitive disconnectivity. Also, the concept was often suggested too briefly in order to increase redundancy of learning. The gap of learning content was typically found in the way of thinking and it seemed that content organization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level of learners and failed to give sufficient explanation on concept, without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On the contrary, the basic concept was suggested, focusing on student’s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s art textbook in terms of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 Furthermore, the high school’s art textbook induced the students to have contextual background and various points of view, while attempting to deepen and develop the middle school’s art textbook.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the connective structure of learning content played a key role in maximizing the learning performance. If the textbooks by each school level lacked the connectivity, the learners may fail to continuously understand the learning content and find it difficult to study, resulting in the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 even, failure to learn continuously and adjust to the school. Therefore, the art textbook is required to make learners more interested in the art subject through the quality learning content that consider the connectivity in learning content and also, assist to fully understand the learning content and furthermore, continue the study on the connective structure of the art subject to have more advanced art education in future.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년간, 학교급별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조직하여 유의미한 학습내용을 전개함으로써 교과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이해를 강조한다. 이를 위해 학교 급의 진전에 따른 학습 내용은 중복되거나 단절되지 않고 유기적인 연계성이 고려되어 조직되어야 한다. 교육내용의 연계성이 적절히 고려되지 않으면 학습자는 교과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어 지적 호기심을 상실할 수 있고, 단순 암기식의 학습방식으로 창의력과 융합적인 사고력의 계발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을 조력하기 위해 교육내용의 연계성은 중요한 요인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미술 교과 학습 내용의 연계성에 대한 필요성은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 중 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13년 연구과제로 다룬 국가교육과정의 연계성 강화 방안(김진숙, 2013)을 살펴보면, 초, 중등에서 다루어지는 10개의 교과목 중 연계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교과순위에서 미술 교과는 도덕 교과에 이어 2위를 차지하였다. 장지원, “타일러(Tyler)의 교육과정 조직 원리에 근거한 초, 중등 학교급간 음악과 교육과정 연계성 고찰”, 음악교육연구, 제44권 4호, 2015, p.224에서 재인용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2012년에 진행된 미래사회 대비 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노용 외 3인, 2012)를 살펴보면 미술 교육과정의 내용상 학습 내용의 연계성 및 위계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 설문 대상의 교사 중 54.8%가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노용 외 3인, “미래사회 대비 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2, p.80 이는 미술 교과 학습 내용의 연계성에 대해 많은 현직 교사들이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가 미술 교과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의 연계성에 대한 개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수 과정에서 학습 자료로 활용되는 교과서는 연계성을 고려함으로써 학습의 중복과 격차를 줄여 학습 내용을 조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중학교와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표현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의 연계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미술 교과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이해를 제고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의 성취도를 높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연계성의 의미와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연계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계성은 특정 시점의 학생이 배워야 할 학습내용을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학습내용을 수평적 및 수직적으로 조직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습내용간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므로 수직적 연계성에 해당한다.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고려하기 위해 다양한 학자들의 이론이 규명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타일러(R. W. Tyler)와 부르너(J. S. Bruner), 가네(R. M. Gagne)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내용구성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습내용 구성의 연계성과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역량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으로서, 각 교과 내용을 학습함으로써 다섯 가지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이러한 교과역량은 총론에서 강조하는 여섯 가지 역량과 연계성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급별로 전개되는 학습 내용간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며, 학교급별 교육목표와 학교급별 중점사항, 학교급별 내용체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 4장에서는 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방법과 분석준거를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분석 준거 모형에 따라 비연계성과 연계성의 정도를 ‘반복’, ‘격차’, ‘발전’의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인 분석준거를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내용의 연계성 정도를 판단하였다. 제 5장에서는 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 표현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표현 영역의 학습내용은 구체적으로 ‘발상 방법’, ‘조형 요소와 원리’, ‘표현 매체’의 세 가지 분석 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항목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용체계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세 가지 내용요소를 근거로 설정되었다. 제 6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으로,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다섯 곳의 출판사에서 편찬된 미술교과서의 표현영역 학습내용에서 연계성이 잘 고려되었는지를 밝히고, 비연계성이 이루어진 부분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중,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표현 영역의 연계성을 밝히고 분석 결과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성과의 극대화를 위해 연계성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미술교과서는 학습 내용의 연계성을 고려한 질 높은 학습 내용을 통해 미술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지속적인 흥미와 관심을 높이고 학습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하며, 학생들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을 조력하기 위해 미술 교과 내용의 연계적인 구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전개해야 하겠다.

      • 현직 중등 음악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성

        강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관으로서 기능의 강화가 요구됨에 따라, 중등 음악 교사의 인식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현직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전국의 중등 음악 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사 인식과 필요성, 현직 중등 음악 교사의 재교육을 위해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수집된 설문조사의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자율 기술 문답 결과에 따른 구체적인 원인과 인식을 현직교사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직교사로서 인지하는 현행 교원재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과 실태, 재교육의 방향성 등에 관한 질문도 함께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심층 인터뷰 자료는 크레스웰의 나선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최종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등 음악 교사들은 현행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을 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기능보다, 예비 교원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그 기능이 강화된 기관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대학원을 교사를 위한 재교육 기관으로서 인지하거나 진학하려는 욕구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부(2021b)의 교원양성체제 개편 정책 추진을 통한 교육대학원 기능 개편 계획에 따라, 현직 음악 교사의 교사 전문성을 고취 시킬 수 있는 전문기관으로 발전 및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중등 음악 교사들이 교육대학원 재교육 과정을 통하여 기대하는 바는, 현장에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내용인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들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없는 재교육에 관해 불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자율 문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가 요구하는 현장성이 강조된 교육과정은 ‘교수법’에 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 현장에 곧장 반영될 수 있는 역량 제고에 관한 필요성 요구에 따라, 본인 전공 외 타 음악 전공 실기 역량, 대중음악 등에 관한 교육과정 마련도 함께 간구 되었다. 더하여, 현직교사들은 새로운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고학점제, 과정중심 평가 등의 교육정책 재교육에 관한 필요도가 높았던 반면, 세계시민교육, 생태전환교육 등과 같이 새롭게 강조되는 교육내용과 테크놀로지에 관한 교사 재교육을 통해 이를 이해하고 음악 교과 수업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인지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두 가지 논의를 시사하고자 한다. 첫째, 현직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였을 때, 본인이 인지하는 재교육 영역의 필요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결정하고, 이에 맞추어서 학점 이수 과정을 거칠 수 있는 체제 개편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가령, 교육대학원을 진학하여 여러 가지 실기 역량에 관한 함양을 목표로 하였을 때, 대학원 재학 기간 중 원하는 만큼 이와 관련한 재교육을 받고 교육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이수 체계를 자율화하여 수업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교과목이 현직교사들의 재교육 요구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은 교사의 개별 의지에 달려 있으므로,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교육과정을 제공함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함양 욕구를 고취하기 위한 외적 동기가 제공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이 변화하면서 새롭게 현장에 도입해야 하는 교육내용을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재교육 과정을 선택하였을 때, 외부적인 지원이 우선 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대학원에서는 교사가 본인의 교수 전문성에 관해 재고하고 이를 개발할 목적으로 진학하였을 때, 교사에게 현장 적합성이 높은 교육과정들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해당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을 위한 기능 강화 및 교육과정 재편에 관한 후속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 중등 음악 교사들의 전문성 발달과 다양한 음악 교과 수업 실행에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the retraining of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39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o find out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cessity of the curr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a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curriculum required for ncumbent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pecific causes and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of the collected surveys and the answers of self-descriptive ques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teachers. For the interview, questions o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current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recognized as in-service teachers and the direc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were also composed, Creswell's spiral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e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The final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music teachers perceived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urr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institution rather than in-service teachers training For this reason, they did not show a desir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mplied that music education major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strengthened as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incumbent music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what secondary music teachers expect throug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training course is the curriculum and contents that can actually be used in the field. Teachers tended to perceive educational contents that could not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field as unnecessary,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f-answered quest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ing the field required by in-service teachers was about 'tea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improvement of competencies that can be directly reflected in the classroom, it was also sought to prepare a curriculum for practical skills in music majors other than one's own major, popular music, etc. In addition, incumbent teachers had a high need for educational policy reeducation such as school credit system and process-based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new curriculum changes, while perceived needs for newly emphasized educational content and technology such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not very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ree discus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re-education area recognized by incumbent teachers and reorganize the system so that the credit comple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For example, when you go to graduate school and aim to cultivate your ability to play various instruments, you should be able to provide classes by autonomousizing the method of completing lectures to retrain as much as you want and realize the purpose. To this end, various subjects that can meet the needs of incumbent teachers' re-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econd, since it is up to the individual will of the teacher to go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xternal motiv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spire the teacher's desire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by providing the re-education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selecting a re-education course so that the willingness to actively understand and accept the new educational contents to be introduced in the field as the curriculum changes, external support should first be followed. Thir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a teacher reconsiders his or her teaching expertise and goes on to develop it, he or she should develop and provide curriculums with high field suitability to teachers.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follow-up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trengthening the function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ill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expertise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implement various music curriculums.

      • 무유(無有)와 차연(différance)에 기반한 물(水)의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가연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project aims to investigate the central idea of Laozi’s Non-being(無, wu) and Being(有, you) and theoretical analysis on the concept of Jacques Derrida’s différance from a deconstructive point of view. The thesis undertakes to achieve an understanding of circular relationship derived from image of water beyond the realm of common visual image of water, especially focusing on the circularity and difference. The study examines the main property of water called circularity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Non-being and Being as well as the concept of différance. Non-being makes Being circulate. Laozi’s philosophy of Non-being is comprised of emptiness and elimination. Emptiness doesn’t come to an end merely by being emptied but is rather a prerequisite for new creation, thereby making creation and extinction repeat and circulate. I came to understand that circularity can be considered pertinent binarism in terms of Non-being and Being. Enlightenment is regarded as the laws of nature and also can be described as interdependence of Non-being and Being. Cause becomes the cause of effect and its effect becomes the effect of cause, which can mean reversible action occurs. Here, the law of repetition is formed. Deconstructive thinking gradually starts eliminating the meanings accumulated from subtraction philosophy. From a deconstructive viewpoint, différance acts as Non-being which takes circularity, thus meaning withholding undecidability. I came to realize that everything takes circularity. Circularity can not only simply be read through the image of water, but also substituted into everything surrounding us. Pertinent binarism of circularity read through Non-being and Being can be used as same meanings as cyclical relationship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as well as of creation and extinction. It must be dispersed and out of focus, not focusing on only one, and must not be stuck in one. Everything of the world flows based upon circularity, so it is dangerous to jump to a conclusion about something. My artwork expresses circularity that can be described as such decentering, ambiguity, and undecidability through the use of gilt and the technique of corrosion. The aim of using such medium is to reveal life and death, and creation and extinction. Cyclical image of water symbolizes both creation and extinction, and also can act as a medium that discovers a variety of new aspect of images. It allows me to conjure up thought-provoking and the prospect of viewing our lives and the society that we are currently living as a cyclical image, rather than dichotomous way of thinking. With observing the constant research and such a way of approach, I will continuously develop my artwork through the image of water. 본 연구는 노자(老子)의 중심 사상인 무유(無有)와 해체적 관점에서의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차연(différance) 개념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분석과 이를 토대로 본인의 작품에 대한 연구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물(水)의 보편적인 시각 이미지의 영역을 넘어 물의 이미지에서 파생된 순환적인 관계성을 연구하였고 그중에서도 순환과 차이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물이 가지고 있는 주요한 성질인 순환성을 이론적 배경인 무유와 차연의 개념을 통해서 연구하였다. 유(有)를 순환하게 해주는 것은 무(無)다. 노자가 말하는 무의 철학이란 비움과 제거로 구성된다. 비움은 단지 비워지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생성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생성과 소멸이 반복되며 순환하게 해주는 것이다. 순환을 무와 유의 상관적 관계의 대대법(待對法)으로 이해하였다. 도(道)는 자연의 법을 말하는데 이는 무(無)와 유(有)의 차연적 상호의존으로 설명할 수 있다. 원인은 결과의 원인이 되고 결과는 또 원인의 결과가 되는 가역 작용이 일어난다. 여기에서 반복의 법칙이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체적 사유는 빼기의 철학으로 쌓아둔 의미들을 점진적으로 제거해나간다. 해체론의 관점에서 차연은 순환하게 하는 무의 역할을 한다. 결정불가능성을 말하고 유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것은 순환에 대하여 말하고 있는 것을 깨달았다. 순환성은 단순히 물의 이미지를 통해서만 읽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에 대입할 수 있다. 무와 유를 통해 읽어낸 순환의 상관적 대대법은 차이와 반복의 순환 관계, 생성과 소멸의 순환 관계와도 같은 의미로 쓰일 수 있다. 중심으로 혹은 하나로 모으는 것이 아닌 점점 흩트려야 하고 초점을 흐려야 하며 하나에 고착되지 않아야 한다. 세상의 모든 것은 순환을 기반으로 하여 흘러가며 그러므로 어떤 것에 대해 단정 지어 말하는 것은 위험하다. 이러한 탈중심화, 애매모호함, 결정불가능성으로 설명할 수 있는 순환을 박(箔)의 사용과 부식기법을 통해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생명과 죽음, 생성과 소멸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매체이다. 물의 순환적인 이미지는 생성과 소멸 모두를 상징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고 새로운 측면의 이미지를 발견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것은 본인에게 깊이 있는 사유를 유도하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과 사회에 대해 이분법적 사고가 아닌 순환적 이미지로서 바라볼 가능성을 조망하게 한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접근방법을 본인의 작품에서 물의 이미지를 통해 풀어나갈 것이다.

      • 자연의 다변성과 공존에 관한 산수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가연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paper is to study and analyze this researcher’s work which focused on diversity, the main nature of nature, and expressed the importance as work. In this study, ‘being diversify’ means the generation of endless differences rather than fixed in one state, and it refers to the continuing energy that life is working, not suspens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East Asia’s traditional natural views, modern thinking, and universal human views on nature.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hapter, the study is to clarify the theoretical basis for diversity, a characteristic of nature. For traditional views of East Asia, it was based on the views of nature emphasized in Lao-Zhuang thought, while, for modern thinking, discourses on naturality and generation were used as the study background. In Lao-Zhuang thought, Laozi called the invisible energy of nature Tao (道, the Way), and he described that its form resembles that of nature. This idea was studied through Laozi’s thought of wuwei-ziran (無為自然, nature without artificial touch). While Lao-tzu suggested Tao as a form of nature, Zhangzi regarded Tao as a cultural practice method of enjoying nature through freedom of mind. With such idea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thought of wuwoyiti (物我一體, the unity between the things and the self). The theme that penetrates Lao-Zhuang thought’s view of nature is the importance of nature. Fluid nature without artificiality itself creates and sustains, and it repeats generation and extinction. In the section of modern thinking dealing with discourses on naturality and creation, the study focused on these diverse nature characteristics. Derrida argued that we should break away from the thought that results in the philosophy of reason-centrism, and he emphasized diversity and indeterminability. To support the thinking of indeterminability, the study focused on dissolution and difference among Derrida’s thinking. Bergson emphasized vitality. He believed that life is an ever-changing mobility and exists with continuity that can change every hour and every moment. Continuation is a change in which generation and creation continue and is a kind of flow.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reason that life has potential and fundamental energy internally. In the section of Deleuze’s thinking, the study focused on ‘-becoming’ and rhizomatic vitality as the generation of differences. The difference Deleuze indicated is not something that needs to be recognized or preserved as it is, but something that is constantly newly created by transforming into a different form from the present.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in such theoretical backgrounds, it was possible to secure a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diversity of nature, which implies the importance of invisible things and is a being that constantly creates and flows without staying at any point. In the chapter of the theory of painting for landscape and co-existence, landscape painting was studied as a genre expressed in a formative language that can be interpre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not defining nature as a physical object. Landscape painting is a painting art that visually most prominently captures the natural scenery and ideas of East Asia. It contains both thinking ways and expression techniques. It is not simply a category of imitation of the landscape as a simple representation, but a painting art that implies the fundamental providence of the universe and nature. It is an expression of Tao that can be felt in human mental freedom and the features of nature and as a genre of painting that allows us to enjoy the formative beauty of nature, it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East Asian painting history, and its history is also long. As for the section of landscape painting theories, the study focused on Zong Bing, Jing Hao, and Guo Xi. In the section of the first brook for landscape painting theory (he wrote), ‘Preface on Landscape Painting’, Zong Bing described that all the acts of painting and appreciating landscape are intended to contemplate or experience Tao. Zong Bing suggested ‘dream journey’ as an appropriate form accordingly. In the section of Jing Hao’s ‘Record of Brush Methods’, the six principles were primarily focused. Among them, the study focused on the part where ‘moving energy’, which was previously applied to portrait paintings, was separated into ‘energy’ and ‘movement’ and applied to landscape paintings, and the part where brush & ink, which had served as a tool for painting, was divided into brush and ink. In the section of Guo Xi’s Contextual Perspectives,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in observing and experiencing nature, and contemplation and adoption & rejection as methods and attitudes for observing landscape was studi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concept, type, and development of texture stroke which is a major expression technique and formative language of landscape painting, were studied to find out the prototype of modern and deconstructive texture stroke expressions used in this researcher’s work. The unique fluid nature of water allows individuals to experience different kinds of sensory experiences. This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e image of multilateral and fluid water intuitively or implicative-meaningfully through work. By analyzing this researcher’s work and studying the cases of various artists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the story of coexistence with nature was not an individual’s but a process of becoming discoursive. This researcher has also naturally expanded from a preference for aesthetics and properties of water to an interest in nature, the awareness of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nature in the present era, and solutions that can be presented as a researcher. Nature and humans do not exist individually, but they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importance of nature and the need for symbiosis or coexistence through work. The issues of diversity and coexistence of nature were addressed in the thematic perspective, while more practical measures were discussed in the material perspective. Instead of an attitude to grasp nature as a physical object, the researcher presented an integrated experience of becoming nature itself through intuition, which is ‘-becoming’ experience. The experience represents the sensory traces left by the experience of intuition in the form of art. In addition, it creates an ideal space by randomly reconstructing the scenery collected by simply playing and enjoying nature as various spaces. The researcher’s work is an effort to expand the area, frequency, and limitations of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of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which is neither anthropocentrism nor naturalism, is a common problem to be aware not only by researchers but also modern persons who are living in the present. Therefore, the researcher intends to continue the message of the importance of diversifying nature through formative language through art research, analysis, and practice. 본 논문은 자연이 함의하는 주요 성질인 다변성에 주목하여 그 중요성에 대해 작업으로 표현하는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연구·분석이다. 본 연구에서 다변하다는 것은 한 상태로 고정된 것이 아닌 끝없는 차이의 생성을 의미하고, 정지가 아닌 생명이 약동하는 에너지가 지속된다는 것을 말한다. 다변하는 자연의 성질이 함의하는 중요성을 동아시아의 전통적 자연관과 현대의 사유, 동서고금의 작업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자연의 특성인 다변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밝히고자 한다. 동아시아의 전통적 관점으로는 노장사상에서 강조하는 자연관에 기초하였고, 현대적 사유로는 자연성과 생성에 대한 담론을 연구의 배경으로 삼았다. 노장사상에서 노자는 보이지 않는 자연의 에너지를 도(道)라고 하였고, 그 성질이 자연의 모습과 닮아있다고 이야기한다. 이러한 내용을 노자의 무위자연의 사상을 통해 연구하였다. 노자가 자연의 모습으로서의 도를 제시했다면 장자는 정신의 자유를 통해 자연을 즐기는 문화적 실천방식으로서의 도를 말하였다. 이에 대한 부분을 물아일체 사상과 연관하여 연구하였다. 노장사상의 자연관을 관통하는 주제는 자연의 중요성이다. 인위가 없는 유동적인 자연은 그 자체만으로 생성하고 지속하며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 자연성과 생성에 대한 담론을 다룬 현대적 사유에서는 이러한 다변적인 자연의 특성에 주목하여 연구하였다. 데리다는 이전까지의 이성중심주의 철학의 하나로 귀결시키는 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며 다양성과 결정불가능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결정불가능성의 사유를 뒷받침하기 위해 데리다의 사유 중 해체와 차연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베르그송은 생명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생명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는 가동성이며, 매시간, 매 순간마다 변화할 수 있는 지속성을 가지고 존재한다고 보았다. 지속은 생성과 창조가 이어지는 변화이고 일종의 흐름이다. 지속의 관점에서 생명이 내부적으로 잠재적이고 근원적인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는 사유에 주목하였다. 들뢰즈의 사유에서는 차이의 생성으로서 ‘-되기’와 리좀적 생명성에 대한 부분을 연구하였다. 들뢰즈가 말하는 차이는 대상을 존재하는 그대로 인정하거나 보존해야할 무엇이 아니라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이고, 현재와 다른 모습으로 변화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론적 배경의 연구와 분석을 통해 어느 한 시점에 머무르지 않고 끊임없이 생성·유동하는 존재이자 이러한 특성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함의하는 자연의 다변성에 대한 이론적 당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조형론에서는 자연을 물리적 대상으로 정의내리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이 가능한 조형언어로써 표현한 장르인 산수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산수화는 동아시아의 자연관과 사상을 시각적으로 가장 두드러지게 담고 있는 회화예술이다. 산수화에는 사유방식과 표현기법이 모두 담겨있다. 산수화는 단순히 풍경을 단순한 재현으로써 따라 그리는 모방의 범주가 아니라, 우주와 자연의 근원적 섭리를 내포하고 있는 회화예술이다. 산수화는 인간의 정신적 자유와 자연의 성질에서 느낄 수 있는 도의 표현이자, 자연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회화의 장르로서 동아시아의 회화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고 그 역사 또한 길다. 산수화론으로는 종병과 형호, 곽희의 화론에 집중하여 연구하였다. 최초의 산수화서인 『화산수서』에서 종병은 산수를 그리고 감상하는 행위 모두가 도를 관조하거나 도를 체험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 종병은 이에 따른 적절한 형식으로 와유를 제시하고 있다. 형호의 『필법기』에서는 ‘육요’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기존에는 인물화에 적용시켰던 ‘기운’을 기와 운으로 분리해 산수화에 적용한 부분과, 회화의 도구 역할을 해왔던 필묵을 필과 묵으로 분리하여 해석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고, 곽희의 『임천고치집』에서는 자연을 관찰하고 체험하는 데 있어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 부분과 산수를 관찰하는 방법과 태도로서 관조와 취사(선택)에 대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또한 산수화의 주요한 표현기법이자 조형언어인 준법의 개념과 종류, 전개를 연구하여 연구자의 작업에서 사용되는 현대적인, 해체적인 준법 표현의 원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물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유동적인 성질은 각자 개인에게 다른 종류의 감각적 체험을 경험하게 한다. 연구자가 체험한 다변적이고 유동적인 물의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혹은 의미 함축적으로 작업을 통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작업을 분석함과 동시에 다양한 작가들의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자연과의 공존에 대한 이야기가 개인의 것이 아닌 담론화 되어가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 또한 물이 가지고 있는 미감이나 성질에 대한 호감에서 자연에의 관심과 현 시대의 자연의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 연구자로서 제시할 수 있는 해결 방안에 대한 주제로 자연스럽게 확장되었다. 자연과 인간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관적 관계에 놓여있다. 연구자는 작업을 통해 다변하는 자연의 중요성과 공생 혹은 공존에 대한 필요성을 주제로 제시하고 있다. 주제적 측면에서 자연의 다변성과 공존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다면, 소재적 측면으로는 좀 더 실천적 방안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한다. 연구자는 자연을 물리적 대상으로 파악하려는 태도 대신, 직관을 통해 자연 그 자체가 되어보는 물아일체적 체험, -되기의 체험을 제시한다. 직관의 경험으로 남겨진 감각적 흔적을 예술의 형식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공간의 자연에서 그저 노닐고 즐기며 수집한 풍경을 무작위로 재구성하여 이상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연구자의 작업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소통 영역과 빈도, 한계를 확대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인간중심주의나 자연중심주의가 아닌 ‘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한 문제는 비단 연구자뿐만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가져야 할 공통적인 문제의식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작업적 연구와 분석, 실천을 통해 다변하는 자연의 중요성에 대한 메세지를 조형언어를 통하여 지속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