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김지혜의 『喜怒哀樂』 for flute and piano 분석연구

        김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71

        본 논문은 김지혜의 『희노애락』 for Flute and Piano에 관한 분석연구이다. 이 곡은 『희노애락』이라는 제목과 같이 4개의 주요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2개의 주제를 한 부분으로 엮어 A-B의 큰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곡은 2개의 주요한 음, G와 C#이 중심이 되고 있는데 이는 무조음악이지만 으뜸음과 딸림음같은 큰 축이 되어 곡의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고 이 곡의 4부분들은 각자의 경계가 뚜렷하지만 이 중심음들을 통해 통일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반음관계의 음들의 옥타브 배치를 통하여 스케일느낌을 지우고자 하였고, 클러스터의 음형을 악기간, 혹은 성부간을 나누어 익숙하지 않은 울림을 찾고자 하였다. 느슨한 플룻의 선율로 시작하지만 갈수록 좁아지고 빨라지는 음형으로 클라이막스를 이루고 후반부엔 다시 길고 긴음가로 돌아가 마무리되는 A-B-A’의 형식을 따랐다.

      •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나는 if-조건문의 사용양상 비교

        김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난 if-조건문의 사용양상을 비교하여 if-조건문의 사용에 있어 원어민들과 대조가 되는 한국인 학습자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If-조건문의 사용양상 중에서도 특히 조건절과 결과절의 동사구 형태면에서 한국인의 if-조건문과 원어민의 if-조건문이 어떻게 다른지에 초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아울러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오류를 분석하여 빈출하는 오류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코퍼스 기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은 원어민 화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과 비교하였을 때 조건절과 결과절에 쓰인 동사구 형태면에서 어떠한 분포상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한국인의 if-조건문과 원어민의 if-조건문에 나타난 (준)법조동사의 쓰임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한국인의 if-조건문 오류 중 어떤 유형의 오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로서 원어민 코퍼스는 International Corpus of English(ICE)-USA를, 한국인 학습자 코퍼스는 TOEFL11-Korean을 선정하였다. 두 개의 코퍼스에서 if가 포함된 문장을 추출한 후 if가 조건의 종속접속사로 쓰인 문장만을 추렸다. 한 코퍼스 당 500개의 if-조건문을 확보한 뒤 문장별로 조건절·결과절 동사구의 자질-시제, 상, 태, 극성 및 (준)법조동사 사용 여부와 형태, 서법성-을 코딩하였으며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의 경우 오류 분석을 병행하였다. 모든 문장의 코딩을 완료한 후 두 집단의 if-조건문을 동사구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유형별 빈도 및 분포를 조사하였다. 이후 두 집단의 if-조건문 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과 원어민 화자의 if-조건문 사용양상 사이에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1) 원어민들이 결과절이 아닌 조건절에 (준)법조동사를 사용한 조건문이나 결과절이 명령문 형태인 조건문 등 다양한 구조의 조건문을 고르게 사용한 것과 달리 한국인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조건문 분류인 영조건문, 제1조건문, 제2조건문, 제3조건문의 정형화된 구조들을 주로 사용하고 여타 구조들은 적게 사용하는 양상을 보여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은 구조적 다양성 면에서 다소 제한적임을 발견하였다. 2) 조건문 내 (준)법조동사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인 학습자들은 특정 서법조동사에 대한 편중이 더욱 강하였으며 원어민들과 동일한 서법조동사를 사용한 때에도 하나의 서법성에 치우친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에서는 can과 will에 대한 편중이 나타났으며 can은 역동적 서법성의 의미로, will은 인식적 서법성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였던 반면, 원어민 집단은 would와 will에의 편중이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더욱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하나의 서법조동사를 다양한 서법성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한국인 학습자의 if-조건문 오류 중 가장 빈출한 오류는 시제 관련 오류였으며 그중에서도 비현실적 조건문의 시제 역전환(back-shift) 관련 오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져 한국인 학습자들이 if-조건문을 습득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 역전환된 시제가 가상성(hypotheticality)을 표현하는 언어적 장치임을 이해하는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관점에서 본 e-러닝 콘텐츠 평가 기준 개발 : 상호작용성과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김지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e-러닝이란 인터넷 등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쌍방향으로 학습 또는 교육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식경제부조사(2007)에 따르면 국민 10명 가운데 4명이 e-러닝을 이용해 학습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콘텐츠 자체가 아닌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을 중시하는 HCI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HCI란 Human Computer Interaction의 약자로 사람들이 편리하고 즐겁게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과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HCI는 사람과 컴퓨터 시스템 간에 주고받는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여, 궁극적으로 사람과 시스템이 좀 더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요성이 높아가는 e-러닝과 HCI를 접목시켜 새로운 평가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HCI를 e-러닝 콘텐츠 개발에 접목시킨 HCI 평가기준과 사전 연구된 7개의 e-러닝 평가 항목을 상호작용성과 인터페이스의 영역만을 분석한 뒤, 인간과 컴퓨터와 원활한 의사소통인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는 HCI관점에서 본 e-러닝 콘텐츠의 평가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평가 기준은 콘텐츠 자체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사용자가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요소를 고려한 것이다. HCI관점에서 본 e-러닝 평가 기준은 최 상위 영역을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성』으로 구분했다. 인터페이스 영역의 하위 영역은 「친숙한 디자인」, 「사용자 편의성」, 「피드백」 3개의 영역으로 한다. 친숙한 디자인 영역의 세부 항목은 「현실세계와 부합」, 「일관성 있는 화면 구성」, 「심미성 제공」으로 하위 4개의 평가영역으로 나누었다. 상호작용성 영역의 하위 영역은 「학습자-운영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내용 상호작용」 3개의 영역으로 한다. 학습자-학습내용 영역의 세부 항목은 「사용의 용이성」, 「사용자 통제권 부여」, 「사용자 실수 방지」, 「사용자 에러 대처 용이성」, 「도움말 제공」으로 두어 총 79개의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HCI 관점에서 e-러닝 콘텐츠의 상호작용성과 인터페이스 중심의 평가기준을 개발하였으나 개발된 이 평가기준을 적용시켰을 경우 e-러닝 콘텐츠 개발자의 검토가 필요하며, 이러한 기준으로 개발된 e-러닝 콘텐츠가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성과 활용성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추가로 연구가 될 필요가 있다.

      • 1930년대 모더니즘시의 특성 연구 : 정지용, 김광균, 김기림을 중심으로

        김지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Modernism as old and wide as the history to inclination of 20th century West Europe. So, it is difficult to give definition unified about these modernism.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ism theory of poetry was formed by background age that Japanese colony, West Europe trend of literary thought that is flowed in during shortest time and reimport that flow Japan paragraph that is not direct import. Moreover, the age highbrow who accepted it was a Japan student studying abroad as children of colony middle class generally. They tried to accommodated experience of urbanization actively unlike previous generation and materialize literary. Poetry did not escape romanticism characteristic mainly until the mid-1920s and at latter half, point on ideology of class order, poery that make go ahead politics and thought were time that accomplished most. The 1930s is begun to recover artistry and autonomy of poetry in this circumstance. Korean modernism poetry of intellectualism order of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often represented by Kim gwang-gyun, Kim ki-rim, Jeong ji-young in the 1930s. Kim gwang-gyun handled city civilization by recollection and pessimistic lyricism that long for hometown and he takes spares abstract object and is emphasizing image. Also, he is showing image of pessimistic self who wander in modern civilization with city civilization and self through estrangement and he awakes extensity of modernity was involved imperialism ideology and reflects on this. Other person's nature study of modernism poetry refered with imperialism swelling to grope sense to escape Korean modernism literary settlement in the 1930s that experience clutch. Kim gi-rim was shown high activity to criticism as well as poeticize, and he announced 'Poetry theory of morning' of thingness, painting, intellectualism attitude, exclusion of sentiment and brightness, healthness. He expressed estrangement consciousness by modern civilization and modern person circumstance and then he materialized through sea, night and war. But, he wished to overcome estrangement consciousness and uncertainty consciousness through own intellectualism attitude like sun, daybreak and morning. Time and space consciousness which Jeong ji-young sees reflect image of modernistic self who wander in dark and gloomy scenery. Jeong ji-young accomplished space of peculiar cultural tradition and polished atmosphere in space experience but, closed space consciousness and uncertainty consciousness look for the breakthrough in Catholicism. But, he who fail in internalization comes in the mountain that is space removed from realities and human is world of excl nature perfectly. He shall escape by holy time that time do not exist and intention to romantic world in experience time, because he is to depart from sensitive sense that show consciousness of kept time. I could discover some common in the wide stream studying Korean modernism through Jeong Ji-young, Kim gwang-gyun, Kim gi-rim in the 1930s. It is consciousness time that do not adapt to actuality of settlement and citied space. Landlord can not but be changed by other person in such time and spatial background and a such other person need a lot of times and experience by recurs existence. Modernists encountered estrangement and were anxious within the time and experience. It is very big for modernism when see except ideological side to contribute our poem. Modernism used absolute influence that do not give investigation of the any West Europe early and did to develop in dimension high step that do our poem in technique. Point that modernism contributes in modern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ontorted modernization process can not deny. 모더니즘은 20세기 서구의 한 경향으로 그 역사만큼이나 오래되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이러한 모더니즘에 대한 통일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한국 모더니즘 시론의 특성은 일제의 식민지하라는 시대 배경과 최단시간 동안에 유입된 서구 문예사조, 직수입이 아닌 일본 문단을 거친 재수입이라는 독특한 여건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더욱이 그러한 수용자의 역할을 담당했던 당대 지식인은 대개 식민지 중산층의 자제로서 일본 유학생이었으며, 그들은 이전의 세대와는 달리 대도시화의 체험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려고 했다. 1920년대 시는 중반까지 주로 감상적 낭만주의적 색채를 벗어나지 못했고, 후반에 들어서서는 계급주의 이데올로기를 앞세우면서 정치성과 사상성을 앞세운 프로시들이 주류를 이루었던 시기였다. 1930년대의 시는 이런 상황에서 시의 예술성과 자율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지향에서 출발된다. 1930년대 영·미 이미지즘 계열의 한국 모더니즘 시는 흔히 김광균, 김기림, 정지용으로 대표된다. 김광균은 도시문명을 회상과 향수의 비관적 서정으로 다루었는데 그는 추상적 사물까지 구체화 하여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그는 여기에 도시문명과 자아와의 괴리를 통해 현대문명에서 방황하는 비관적 자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그는 모더니티의 공간성이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와 연관된 것임을 자각하고 이를 반성하게 된다. 모더니즘 시의 타자성 연구는 제국주의 팽창과 관련하여 위기를 경험한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탈식민지적 의의를 모색하려는 데 있다. 김기림은 시작 뿐 아니라 평론에도 왕성한 활동을 보여 사물성, 회화성, 주지적 태도, 감상의 배제 및 명랑성, 건강성 등의 ‘오전의 시론’을 제창하였다. 그는 현대문물과 현대인의 상황을 제재로 소외의식을 표현했으며 바다·밤·전쟁을 제재로 불안의식을 형상화시켰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주지적 태도를 통해 태양과, 태양이 주는 새벽과 아침을 제재로 소외의식과 불안의식을 극복하고자 했다. 정지용이 바라본 시·공간의식은 어둡고 우울한 풍경속에서 방황하는 근대적 자아의 모습을 반영한다. 공간체험에 있어 정지용은 독특한 문화적 전통과 세련된 분위기의 공간을 이루지만, 닫힌 공간의식과 불안의식은 그 돌파구를 카톨리시즘에서 찾게된다. 그러나 내면화에 실패한 그는 현실로부터 유리된 공간이며, 철저하게 인간이 배제된 자연의 세계인 산에 다다른다. 시간체험에 있어서 그는 갇힌 시간 의식을 보여주는 예민한 감각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낭만적 세계로의 지향과 세속을 벗어난 무시간의 신성한 시간으로 도피하게 된다.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을 정지용, 김광균, 김기림을 중심으로 연구하면서 모더니즘이란 광범위한 흐름에서 몇 가지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바로 식민지라는 현실과 도시화된 공간, 그러한 공간에 적응하지 못하는 시간의식이 그것이다. 그러한 시·공간적 배경에서 주체는 타자로 변이될 수밖에 없으며 그러한 타자는 실존적으로 회귀하는데 많은 시간과 경험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 시간과 경험 속에서 모더니스트들은 소외당했으며 불안해했다. 이념적인 측면을 제외하고 볼 때 모더니즘이 우리 시에 기여한 바는 매우 크다. 모더니즘은 일찍이 그 어떤 서구의 사조도 끼친바 없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했고 기법면에서 우리 시를 한 차원 높은 단계로 발전 시켰다. 모더니즘이 왜곡된 근대화 과정에서도 한국문학의 근대화에 기여해온 점은 부인할 수 없는 것이다.

      • TYPOGRAPHY를 활용한 LIVELOVE연작 소고

        김지혜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문자는 인식 가능한 기호로 공간적이며 시각적인 특성을 가지는 매체이다. 본인은 이러한 문자의 특성을 회화의 새로운 조형적 문제로 인식하여 문자의 추상성에 관심을 가져보았다. 본인의 작업은 타이포그래피의 활용과 함께 시각적 형태 확장에 그 주안점을 두었다. “LIVELOVE”라는 타입의 글자를 우선 기하학적 형태로 만들고 그 위에 체계와 시각적 질서, 그리고 통일성을 부여해 보았다. 이러한 체계적인 타입 나열과 반복을 통한 Tautology를 형성하여 새로운 시각효과를 꾀해 보았다. 나열과 반복으로 얻어지는 인간의 착각을 토대로 움직임과 속도를 느끼게도 하고, 또한 단순문자를 조형물로 옮겨 놓음으로서 3차원 세계, 즉 깊이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반복되는 선과 면은 시각적 표현인 색을 통해 속도감과 공간감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알파벳을 응용한 문자 개발과, 개발되어진 문자의 미적인 요소를 평면과 입체라는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문장효과와 조형적 효과를 동시에 끌어내고자 한 것이다. 시각은 인간의 모든 인지작용 중 어느 감각기관보다도 발달된 감각 기관이다. 보여 지는 모든 것은 색의 영향이 절대적이고, 모든 색은 나름대로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색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메시지의 중요한 수단인 것이다. “LIVELOVE” 연작은 문자의 비주얼을 통한 아트적 표현이며, 시각적 영역의 확장이다. 본인 작업의 목표는 타이포그래피와 회화를 접목시키는 더욱 적극적인 미술의 소통이라 할 수 있겠다.

      •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김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교사를 위한 교육은 그 기간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교직 전 기간에 걸쳐 계속된다. 따라서 교사는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에서 양성되는 과정 가운데 완벽하게 준비되는 것이 아니라, 교실에서 마주하는 매일의 문제 상황과 사회의 요구, 학문의 변화에 대응해 나가며 전문성 있는 교사로 성장해 나간다. 그러나 오늘날 제시되는 교사교육을 바라볼 때, 그 중심에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보다는, 교사의 전문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그 책임을 물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자리 잡고 있으며 연수를 통한 교사교육에서의 교사 역할도 제한되어 있는 듯하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함께 연구자는 먼저 한국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노력을 현직 연수를 중심으로 실천해 왔으며, 이는 학교나 개인보다는 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형태를 띠고 있었고, 이러한 특징은 교사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을 소극적으로 제한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지식기반사회에서 가속화 되는 사회의 변화와 불확실한 교실 현장은 교사가 능동적인 전문가로서 교사교육의 주체가 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촉진할 뿐 아니라, 교사교육에 있어서 주체적인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는 기제로 교사공동체를 주목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탐색하였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교사공동체에 대한 개념적인 분석이나 이에 참여하는 교사의 인식에 초점을 두고 실행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교사공동체가 교사연수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를 이해하거나 그 안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인 개발 과정을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가 전문성 신장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교사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방식과 특징 및 시사점을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교사들로 이루어진 교사공동체인 ‘협동학습연구회’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첫째, 협동학습연구회 사례에서 드러나는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방식은 어떠한가? 둘째, 협동학습연구회 사례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교사공동체 중심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이 한국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실제 운영되고 있는 교사공동체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하여 깊이 있게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방법 중에서도 면담과 관찰을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협동학습연구회’ 소속의 지역모임인 안산과 서울의 협동학습연구회와 과학과 협동학습연구회에 참여하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면담 및 관찰 자료와 문서 자료들은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분석되었고, 이에 따라 교사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방식, 특징, 시사점을 도출해 내었다. 먼저, 협동학습연구회의 교사연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첫째, 교사들은 교사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수업 개선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는 공동체가 함께 교수학습이론에 대해 함께 학습하고 이를 적용하여 수업을 개발하는 단계, 그 개발 결과를 개인교사의 수준에서 재구성하고 실천하는 단계, 그리고 실천 결과를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수정·보완하여 전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지속적이고 꾸준하게 반복되었다. 둘째, 이처럼 자신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연구하는 협동학습연구회의 형식적, 비형식적 연구 결과물은 자연스럽게 이 공동체에서 개발하는 교사연수 교육과정의 내용이 되었다. 셋째, 이렇게 준비된 교육과정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사교육을 계획하고, 이를 실행할 강사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을 하였다. 넷째, 개발된 교육과정을 실제로 이행하였고, 다섯째, 마지막으로 연수에 참가한 교사들과 교육과정을 개발한 강의자들에 의한 외부·내부적 반성과 평가 단계를 가졌다. 이와 같이 개발되고, 실행되며, 평가되는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방식은 교사들에 의해 주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협동학습연구회 사례를 통해 분석한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협동학습연구회의 교사연수 교육과정은 수업 실천에 기반을 두고 개발됨으로써, 서적에 근거한 이론적 지식 중심이 아닌, 교사들의 실천 경험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었다. 둘째, 협동학습연구회의 교사연수 교육과정은 협력적으로 개발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육과정은 교사의 발달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교사들이 해당 내용에 대한 전문성을 심화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동학습연구회의 사례를 통하여 연구한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한가지 측면은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관련한 시사점으로서, 교사를 연수 대상자나 교사교육의 수요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개발의 주체로서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일회적인 연수로 그치는 교육과정보다는 연수 후에도 관련 분야에 대한 교사의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연계성을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 측면은 교사 전문성에 대한 시사점으로, 먼저 교사의 전문성을 학생을 가르치는 능력에만 국한하지 않고, 교사를 가르치는 교사교육자로서의 전문성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교사전문성의 신장이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문화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방식과 특징을 ‘협동학습연구회’의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전문성을 신장하는 교사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존의 교사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사례연구의 대상이 대부분 중등 교사로 이루어진 교사공동체임을 감안하여 볼 때, 초등학교급, 교과목별, 모임의 형태별 교사공동체에 대한 연구가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사례선정에 있어서 본 연구가 가진 한계점을 교사변인에 대한 고려를 통해 보완할 때,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is not restricted to a certain period. Rather, it is an ongoing process that lasts all of their teaching careers. In this manner, teachers cannot be completely prepared as experts during their initial preparation programs. To support teachers, Korea focuses mostly on in-service training systems. Many national and local institutions were permitted by the government to develop and operate these programs. Therefore, the development process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approach, in that programs are made by a few experts using systemic methods to apply and deliver the results to teachers. However, many studies on teacher education have shown that the traditional approach has limitations with solving classroom problems related to social change and the needs of students. Moreover, in the respect that the traditional approach presumes teachers as being passive receivers of the designed programs, teachers' autonomy towards learning to teach can be restrict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raditional approach’s understanding of teachers should be chang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eacher education. This change means not only having teachers participate more actively, but also having them be curriculum developers of teacher education. Many researchers emphasize teacher communities as supporting both teachers'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lthough these studies suggest that teacher communities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most of them lack empirical data concerning how the teacher community actually develops curriculum for teachers themselves. This study attempts to spotlight the procedure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in which a teacher community took part. Several research questions provided guidance for this investigation. First, what are the pattern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in a teacher community for cooperative learning?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er communities on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case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in a teacher communit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part of a specialized teacher community for cooperative learning theory. This community develops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and operates it in every school vacation period based on the inquiry of this theory. Observation an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The observation data were gathered through participation in meetings and workshops, and the interview data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ith their permission. Also, the data that were analyzed focused on the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The findings were derived from the acquired data. Foremost, the patterns were organized as follow. First, the teachers studied instruction theory and teaching practices. Second, they developed a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ctivity. Third, they planned the workshop and also prepared the teachers that would lecture the material. Fourth, they operated the program themselves. Last, they had a time for ref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lectures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lecturers themselves. Overall, the process was conducted by teachers independently and voluntarily. Three characteristics were found from the community's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First of all,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on the members' teaching practice and experience which were not from theories or books. Second, the developing process was collaborative. Third,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in stages; therefore, teachers could have opportunities to make their expertise deeper.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in the respects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emost, teachers can be considered as active subjects in curriculum development for teacher education rather than as receivers of it. Also,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consider recessive learning opportunities which can bring deeper professional development. Nex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eachers' expertise can be broaden to include teacher educator, beyond that of being simply a teacher for students. Moreov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an be reached by a collaborative culture through teacher communities. In conclusi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in a teacher community suggests alternative ways to complement existing teacher education by providing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from teaching experiences.

      • 무용수들의 생리학적 적용에 관한 연구 동향 : 2000 ~ 2006년간의 학회지 중심으로

        김지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and analyze the dissertations about dancers' physiological adaptations published by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0 and 2006 and thereupon, emphasize importance of dancers' physiological adaptations to design a practical frame of analysis integrating various views to research into the topic and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future systematic researches into dancers' physiological adaptations.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issertations about dancing physiology published formally by academic journals in terms of year, scope, measurement points, methodology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o determine the tendency of researches into dancing physiology and address the problems, and reviewed how much specific and precise the information from those researches were to be useful to dancers, and finally discussed whether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dancing physiology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of dance, not sports science, and ultimately, attempted to provide for some basic data conducive to future researches into dancing physiology.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생리학적 적용에 관련된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학회지들을 세밀하게 분류하고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무용학에서의 생리학적 적용의 중요성을 직시하고 다양한 주제와 연구관심을 갖고 이루어지고 있는 복잡한 연구 활동을 좀 더 간단히 들여다 볼 수 있는 틀을 마련하여 실용도와 다양한 관점의 통합으로 연구의 체계적인 발전을 기여할 수 있는 정보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무용 생리학에 관련하여 공식게재 된 학회 논문들을 발표년도와 연구대상, 측정항목, 연구방법, 통계분석방법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무용 생리학적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찾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생각들을 제언 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논문들이 실질적으로 무용수들에게 도움이 되는지 또한 현재의 연구물들이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로 되어져 있는지를 보며 마지막으로는 현재 체육계열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무용 생리학 분야의 학문적 자립성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체계적인 무용 생리학적 연구를 위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 역량 중심 합창 교육의 요구도 연구 :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을 중심으로

        김지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 between choir activity and music education elements and to draw the demand based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choir field. The analysis for the study was difference between schoolteachers and choir directors for choir education among music education fields. To draw priority from reliable IPA, Borich demand and the Locus for Focus we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primary and secondary, tertiary Delphi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survey) were used. The quantitative research drew the conclusion dividing into choir directors and music educators and compared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thing ,as the purpose of music curriculums for the goal of music education in 21st century, was ‘to develop affection by music activities’, and as the purpose of cross curriculum, was cultivation of character (sociality, teamwork, respect others,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Second, the priority was drawn by comparison with 6 core capabilities of music education and index of coincidence of music education elements. Third, as music education in 21st century, it was verified to study if choir activities are proper in music education by comparison and deduction of the importance of each music education elements and of relation between each musical education elements and choir activities The results by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son in 4 fields about importance of choir director and music educator recognition, it was research that overall was appreciation, followed by expression, habituation, and others, choir director was appreciation, followed by expression, others, and habituation, and music educator was appreciation, followed by expression, habituation, and others. Second, overall results in demand of music education elements for choir education were the first one ‘singing with right postures and playing instruments with right postures and techniques, followed by ‘understanding musical characters in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s (after listening to music). The priority of choir director and music educator was different. Third, with looking into demand for choir education dividing into 4 fields, the topmost was ‘singing with right postures and playing instruments with right postures and techniques’ in expression field, and other fields showed different results. By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from recogniti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between choir directors and music educators for music subject core capability, and it suggests that support measures need which considered each education demand to raise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in re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