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기술이전 체계 개선방안 :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손영수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case of technology licensing transfer, such as patents and/or intellectual rights, from universities to industries has recently increased every year, but it hasn't been actively done yet except a few case in some universities. So far, it has been done only recently fo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enforce the policies of technology licensing, and moreove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enforced many different sorts of poli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fficer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to facilitate in universities on doing their projects, since there are not enough practical case-oriented analyses data of the universities'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useful practical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and hands-on staff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in universities. So, various data related to technology licensing systems, such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abor forces in the related office, and their activities for 3 years (2006~2008) of othe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s the major source are reviewed, and some ideas are suggested how to improve their activities effectively. 대학의 지적재산인 신기술이나 특허 등이 산업체로 이전(이하 “기술이전”이라 함)되는 건수는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술이전에 관한 정부와 대학 자체의 정책이 시행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 동안 정부와 대학은 기술이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이에 관한 사례 중심의 실증적 분석이 충분치 않아서 업무 담당자들이 기술이전을 촉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담당하는 정책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술이전과 관련된 3년 동안(2006~2008)의 각종 자료들을 재정리하여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술이전 전담부서의 조직 구조 및 인력, 제도에 대한 실증적 비교 􍾳 분석을 통하여 기술이전 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日本語敎育と敎科書硏究 : 일본어교육과 교과서연구

        김 성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7

        (抄錄) 日本語教科書에 대한 分析硏究는 敎育人的資源部에서 정한 “敎育課程”을 準用하고 있는 高等學校 日本語教科書에 集中되고 있다. 본 論文은 이러한 狀況을 直視하면서 日本語와 日本에 관한 一般的인 敎養의 習得을 目標로 하는 大學校 日本語敎養教科書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는 것을 目的으로 하고 있다. 지금 까지, 語彙分析에 있어서 先行硏究의 對象은 私立大學校의 日本語敎養教科書에 限定되어 있었지만, 본 論文는 2007年 現在 日本語 關聯學科가 設置되어 있는 國立 5個 大學校 즉, 慶北大學校(KB), 慶尙大學校(KS), 釜山大學校(PS), 全南大學校(CN), 全北大學校(CB)의 教養科目 『日本語Ⅰ』과 『日本語Ⅱ』를 對象으로 했다. 一般的으로 前者는 1學期, 後者는 2學期에 使用하는 敎科書를 意味한다.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는 高等學校 日本語敎科書와 달리 日本語 關聯學科의 敎授의 主觀的인 觀點에서 執筆한 敎材나 特定 出版社가 製作한 敎材를 그대로 敎科書로 使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삼을 만한 根據가 없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2007年3月 敎育人的資源部가 第7次 敎育課程을 修整・補完한 『2007年 改訂敎育課程』의 基本語彙1,023字를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設定하여,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의 使用語彙와 함께 名詞, 動詞, 形容詞, 形容動詞, 副詞, 連體詞, 接續詞, 感動詞, 助動詞, 助詞, 連語, 接頭語, 接尾語 등의 13品詞로 分類한 後, 兩者의 語彙를 總語彙一致數와 總語彙一致率, 品詞別一致數와 品詞別一致率, 換算品詞別一致率과 偏差値, 種數別共通語彙數와 種數別共通語彙率 側面에서 各各 比較分析하였다. 以下 본 硏究을 통해서 얻은 結果를 敍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総語彙一致數에서 얻은 総語彙一致率를 보면, 慶北大學校(KB)ー釜山大學校(PS)ー慶尙大學校(KS)ー全北大學校(CB)ー全南大學校(CN) 順이고, 各各의 數値는 「54.1%」「49.5%」「39%」「35.3%」「26.2%」이며, 平均的으로는「40.8%」程度이다. 이 結果는,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數에 따른 順序, 釜山大學校(PS)ー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와는 一致하지 않는다. 이것은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数와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는 반드시 比例하지 않는다는 것을 意味한다. 즉, 教養教科書의 使用語彙數가 많다고 해서 改訂教育課程의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가 많아 진다고는 断定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品詞別一致數로 얻은 品詞別一致率을 보면,「名詞」「形容詞」「形容動詞」「副詞」「連体詞」「感動詞」「接頭語」「接尾語」의 8個 品詞에서는慶北大學校(KB),「動詞」「助動詞」「助詞」「連語」의 4個 品詞에서는 釜山大學校(PS)、「接続詞」에서는 慶尙大學校(KS)가 各各 가장 높은 一致率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結果를 基準으로 判斷하면, 総語彙一致數와 品詞別一致數는 대체로 比例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品詞別偏差値の合計を基準으로, 가장 偏差値가 작은 것부터 順序대로 敍述하면, 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ー釜山大學校(PS)이고, 各各의 數値는「0%」「-0.1%」「0.2%」「-2.1%」「3%」가 된다. 이것은 総語彙一致率에 의한 妥当性에 따른 順序와는 전혀 一致하지 않으며, 특히, 釜山大學校(PS)의 경우, 総語彙一致率에 따른 順序에서는 2位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最下位에 位置하고 있다. 이와 같은 現象은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品詞別構成比率에도 バラツキ가 存在하고 있다는 좋은 證據라 말할 수 있다. 또한, 平均偏差値을 보면,「接尾語」ー「動詞」ー「形容動詞」ー「助詞」ー「名詞」ー「感動詞」ー「副詞」ー「接続詞」ー「連体詞」ー「接頭語」ー「連語」ー「形容詞」ー「助動詞」順이며, 各各의 數値는 「-1.3」「+0.8」「-0.8」「+0.7」「-0.7」「-0.4」「+0.3」「+0.2」「-0.2」「+0.1」「-0.1」이 된다. 이것을 合計하면 플러스数値「+2.8%」, 마이너스数値「-2.9%」이고, 兩者의 差를 計算하면, 마이너스「-0.1%」로、基準數値「0%」에서 보면,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속의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의 採用程度가 各 品詞別側面에서도 여전히 마이너스傾向을 띄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種数別共通語數에 있어서는, 3種,4種,5種 語彙數는 적고, 2種과 1種 語彙數가 차지하는 比率이 3.5%로 半 以上이나 된다. 이 數値는, 가령, 種數別共通語率87.7%를 100%로 換算할 경우, 61%에 이르고, 3種,4種,5種 語彙數는 극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結局, 各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그 만큼 크다는 것을 意味한다. 以上과 같은 結果에서 国立 5個 大學校의 教養教科書 使用語彙는, 그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使用語彙의 種類나 數에 있어서 큰 差가 생긴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이것은 國立 5個 大學校의 敎養敎科書는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큰 教材를 授業에 使用하고 있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와 같은 教材를 使用해서는 教養科目 本来의 目的에 適合한 授業은 期待하기 어렵기 때문에 教材의 改善이 시급히 要求되고 있다. 따라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現況을 直視하고, 이와 같은 諸問題를 解決하기 위해서라도 第7次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를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으로 삼는 것을 하나의 方案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以上과 같이,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의 語彙分析을 中心으로 多樣한 分析方法을 利用하여,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고자 努力하였다. 그러나, 본 論文의 對象을 벗어난 그 밖의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에 대한 보다 폭넓고 深度있는 分析硏究가 이루어질 必要가 있다고 思料되지만 이 部分은 今後의 課題로 남기고 싶다.

      •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 경북대학교 교양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임 홍미 경북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general English education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KNU) and to discuss how to improve the general English programs in order that the students of KNU can get better equipped with English proficienc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ents who are attending KNU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learning English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in college education. And they weren't satisfied with the current general English programs in KNU, pointing out several problems that should be further improved. Some recommendable suggestions based on the questionnair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asic goal of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in KNU should be the training of "four skills" to improve the English communicative abilities of the students. Second, we should change the general English courses in KNU into compulsory subject, increasing credit hours in order that students can have more opportunities for using English. Third, we should place students of the same proficiency level in one class, reducing the class size and the number of classroom students with a view to promoting mor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a teacher. Forth, we should offer a variety of general English courses. So students can choose the courses such as ESP/EAP-based education so as to satisfy the needs of each student. Fifth, we should provide many kinds of technological aids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willing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class. Finally, we should establish an authorized department to manage and supervise effectively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program. It is to be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program for the purpose of offering more effective methods to the students of KNU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 대구·경북지역 대학생의 음료섭취 실태 및 관련 요인 분석

        박애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verages intake and related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he subjects of 518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stidy. The date were analyzed with SAS 8.0 and ANOVA were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and Scheffé test for post-hoc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akes of beverag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Male drank more than female and had low interest in considerations to purchase beverage. Participants who live with parents drank more than others. When they buy beverage, the didn't much care about nutritive value, advertisement, and packing. For BMI, obesi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intake quantity of beverage and highly considered nutritive value. Second, the amount of beverage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ating habit. The group of higher eating habit drank more of milk, dairy products, and tea beverage while lower eating habit group drank more of carbonated drink, which implies that eating habit influences on beverage intake and preferrence. Third, beverage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al type. The group of higher snacking frequently drank more of water, carbonated drink, and fruit juice which goes well with snacks. Taste was the most highly concerned factor for selecting beverage. The group with higher frequency of eating-out drank more of carbonated drink, caffeine drink, and alcohols and they also drank more then any others. Fourth, beverage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cognition and knowledge of beverage also affected the intake of beverage. The group with higher recognition and knowledge leve on beverage drank more of milk and tea and less of for alcohols and carbonated drinks. They considered nutritive value more then any oothers to select bever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everage intake is affected by eating habit and behavior as well as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beverage.

      • 영남지역 寺刹 所藏 冊板의 분석

        김지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조선시대 영남지역 所在 사찰에 所藏된 冊板에 대한 연구로, 소장 책판을 지역별, 시기별, 간행참여자별로 분석하고 사찰에 소장된 책판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지역은 크게 대구와 경북, 부산과 경남 두 지역으로 나누었다. 대구‧경북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91종 2,626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가장 다양한 종류의 책판이 소장된 지역은 청도지역으로 운문사를 포함한 3개 사찰에 총 20종(21.9%)의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 대구‧경북지역 사찰 소장 유교책판은 11개 지역 13개 사찰에 31종 781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상주지역에 소장된 유교책판이 5종 374판(59.4%)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다. 주제별로 대구‧경북지역 사찰에 소장 불교책판을 분석해보면 경전류 책판이 22종(24.1%)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고, 다음으로 의식·의례에 사용되는 예참류 책판이 19종(20.8%)이 소장되어 있다. 판각시기별로 대구‧경북지역에 소장된 불교책판들은 18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24종(26%)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17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8종(19.7%), 16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3종(14.2%) 소장되어 있다. 주제별로 시문집이 17종(53%)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있다. 다음으로 능화판 및 기타 책판이 7종(21%), 초학자들의 한문을 학습시키기 위한 소학류 경전이 4종(12.5%) 소장되어 있다. 대구‧경북지역 사찰 소장 불교책판들은 18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24종(26%)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17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8종(19.7%), 16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3종(14.2%)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은 11개 지역 13개 사찰에 31종 781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상주지역에 소장된 유교책판이 5종 374판(59.4%)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다. 판각시기는 17세기와 18세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17세기에 판각되어 소장된 책판이 7종(21.8%), 18세기에 판각되어 소장된 책판이 7종(21.8%) 소장되어 있다. 부산지역 소재 사찰은 범어사와 복천사 2곳이며 경남 지역은 총 18개 사찰이다. 위의 사찰들에 소장된 책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적으로 대구‧경북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91종 2,626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가장 다양한 종류의 책판이 소장된 지역은 청도지역으로 운문사를 포함한 3개 사찰에 총 20종(21.9%)의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 부산‧경남지역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부산‧경남지역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총 318종 9,763판으로 단연 해인사에 소장된 불교책판이 주를 이룬다. 전체 종수의 41.8%, 총 책판수의 60.4%가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책판을 소장하고 있는 곳은 양산 통도사가 54종(16.9%), 하동의 쌍계사가 28종(8.8%)이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의 경우 8개 지역 9개 사찰에서 60종 5,330판을 소장하고 있으며 해인사는 국내최대의 책판수장고답게 유교책판의 경우도 경남지방 유교책판의 87.7%, 영남지방 전체 유교책판의 76.5%를 소장하고 있어 그 종수와 판수에서 다른 사찰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부산‧경남지역의 사찰에서 소장하고 있는 책판을 주제별로 살펴 볼 경우 경북과 비슷한 양상으로 경전류 책판이 86종(27%)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의식 및 의례와 관련된 예참류 책판이 67종(21%)이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의 경우 60종으로 대구·경북지역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유가책판이 소장되어 있으며 책판의 종류는 대구‧경북지역과 동일하게 문집류 책판이 34종(56.6%)으로 주를 이루고 있다. 부산‧경남지역에 소장된 불교책판의 경우 해인사에 소장된 국보 206호(1∼28호) 28종의 책판과 보물 734호(1∼26호) 26종의 고려시대 책판이 소장되어 있어 15세기 이전 판각된 책판의 소장비율이 17.2% 매우 높게 나타난다. 조선시대를 살펴보면 17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66종(20.7%)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18세기 판각된 책판이 47종(14.7%)이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의 판각시기는 경북지역과 마찬가지로 18세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18세기에 판각되어 소장된 책판이 19종(31.6%)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사찰에 소장된 책판들은 16∼19세기에 판각된 책판들이 주로 소장되어 있으며 대규모 개판불사를 통해 판각된 책판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17∼18세기 출간된 개인문집의 상당수가 사찰에 소장되어 있는 것도 확인된다. 그 실례를 본 논문에서는 영남 지역 소재 50개소의 사찰에 한정하여 검토하였다. 추후 조사 범위를 확대하여 전국의 사찰을 대상으로 불교책판의 소장 특징 및 유교 책판의 제작과 서적 인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woodblocks housed in buddhist temples in the Yeongnam area. It is designed to analyze the bookshelves in their collection by region, timing and publication subject, and examine the motives,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 bookshelf was made at the temple. To achieve this goal,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recently reported woodblock-printed investigation reports related to Buddhist book boards were analyzed, while missing data were conducted on-site surveys. Records of Buddhist booklets are hard to identify through book lists made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Nupango(鏤板考) compiled by Seo Yoo-gu(徐有榘) and others in 1796 at the order of King Jeongjo(正祖), contains 12 Buddhist books that are housed in Haeinsa Temple and at Bohyeon Temple on Mount Myohyang. Information on the publication and collection of Buddhist books is not available on the list of other books compil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of the temples in the possession of the bookshelves was compiled by referring to the four kinds of investigation reports conducted in modern times. The National Inspection Office led the investigation in 1987, while the woodblock-printed data (1-4)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found between 2005 and 2007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the Korean temple's cultural assets (5-12) are woodblocks of the temple's hea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which were investigated from 2015-2017, showing a time difference of 30 years. First, Korea's temple cultural assets (5-12) were included as basic data, and the missing data were added through woodblock-printed materials (1-4) in the Gyeongbuk area, woodblock-printed materials (1-3) in the Gyeongnam area, and a list of heads of national inspection sites. Buddhist bookshelves at the temple in Daegu confirmed that there were three different types of Buddhist books, including Donghwa Temple, which was sold in 1866, and Pagan Temple, which was sold in 1648. In the early Joseon period, books were led by Gangyungdogam(刊經都監) or Jujaso(鑄字所),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ubjects were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 offices or individual literary circles. This phenomenon is due to this phenomenon, which has activated the spread of books due to the advancement of forests into central politics, the inflow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publishing. it can be said that temples still take up the portion of Joseon's printed publishing culture. The publishing and printing culture of Goryeo Buddhist temples, which originated from Mugujonggwangdaedaranigyong(無垢淨光大陀羅尼經) and succeeded to Chest Seal Dharani(寶篋印陀羅尼) and The First Tripitaka Koreana(初雕大藏經), continued even after entering Joseon. However, after the 16th century, not only Buddhism-related books were published in Buddhist temples, but also in biblical elementary school textbooks, history books, and private books were continuously published under financial sponsorship by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the public. Many of the personal literary books published in the 16th-19th century were withdrawn from temple editions, and the examples were reviewed only for inspections of 50 sites in Yeongnam area in this paper. Further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will be deemed necessary for the analysis of the production and book withdrawal of Confucian woodblocks for temples across the country, which will be promised later.

      • Comparison of gingival display in smile attractiveness preference across perspectives and races : 경북대학교의 국가별 인종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각별 잇몸 웃음 심미적 선호도에 대한 조사및 연구

        Wu, Fan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연구목적: 경북대학교에서 국가별 인종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각도별잇몸웃음심미적 선호도를 조사하여,인종간 심미적 차이 유무 및 각도별 미소가 심미적 선호도에영향을미치는지통계분석을 통해 연구한다. 연구방법:응답자들은 구글폼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원본 미소사진의정면, 45도, 측면사진은 각각 잇몸 노출-3mm, -1mm, 0mm, 1mm, 3mm, 5mm로 제작한 다음에 그룹별로정면그룹, 45도-측면그룹,3면그룹 (정면, 45도와 측면사진)로 나눠 개인 심미적 선호도에 대한 점수를매겼다.응답자들은잇몸 노출 정도가 다른 미소 사진들에 대해 개인적인 취향으로 채점했으며, 통계분석을통해국가별인종별 학생들이 서로 다른 잇몸 심미적 선호도를 가질 수 있는지 여부와각도가다른심미적선호도에 매우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냈다. 결과:1. 인종 간 잇몸 노출에 대한 심미적 선호도 비교.표 2는 다양한 인종에대한조사결과의평균등급과 표준 편차를 보면, 정면그룹(Asian vs European white, P < 0.05)에서잇몸노출-1mm를제외하고는 인종 간 잇몸 노출 심미적 선호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인종구분않고다양한 각도 잇몸 미소에 대한 미적 선호에 미치는 영향 비교.잇몸 노출 -3mm와+5mm를제외하고,3면그룹 간의 다른 잇몸 노출(-1mm, 0mm, +1mm, +3mm)의 미소 심미적 선호도차이는표3(P < 0.05)과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또한 잇몸 노출은 -1mm일 때 정면그룹과 45도-측면그룹사이에통계적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잇몸 노출은 0mm, +1mm, +3mm일 때정면그룹과3면그룹은비스듬한 측면그룹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결론:1. 경북대학교 국가별 인종별 학생들을는 -1mm 잇몸 노출의 정면 미소사진을보았을때를백인과 아시아인의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P <0.05).다른 국가별 인종별 잇몸 노출대한미소심미적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 다른 각도의 미소 심미적 선호에 대한 인식에영향을미칠수있다.정면도와 3면의 보기 사이에 미적 선호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정면도가아닌보기는때때로심미적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잇몸 노출은 0~3mm 범위일 때 정면도와 3면의 뷰는각각비정면도그룹과비교했을 때 심미적 선호도에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P < 0.05)

      • 慶北大學校病院의 精神科 諮問現況에 對한 臨床的 考察

        김수용 慶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8655

        1992년 1월 1일부터 1992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경북대학병원에 입원한 환자중 이기간에 자문의뢰된 223명을 일차 조사대상, 138명을 이차 조사대상으로 하여 자문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자문의뢰의 103명을 대상으로 정신과 자문에 대한 타과의사의 견해를 설문형식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입원환자에 대한 자문율은 1.07%였다. 2. 자문의뢰된 환자는 남자(61.0%)가 더 많았으며, 연령분포는 30대와 50대 사이에서 높게 나타났다. 3. 내과에서 가장 많이 자문의뢰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일반외과, 신경과, 흉부외과의 순이었다. 그리고 과별자문율은 신경과, 내과 순으로 나타났다. 4. 정신과에 의뢰한 이유로는 의식변화가 가장 많았으며 특별한 검사 소견이 없는 신체증상, 과도한 정서적 반응, 정신과적인 병력이 있는 경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정신과적 진단으로는 기질성 정신장애가 가장 많았으며, 기분부전, 불안장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 정신과 의사의 권고사항으로는 약물만 권유한 것이 가장 많았으며, 약물투여와 함께 진단을 위한 검사, 지속적 관찰, 정신치료의 단독 권유 등의 순이었다. 7. 설문조사결과 1) 정신과 문제가 있다고 느낀 빈도는 1―4%가 가장 많았으며, 정신과 문제가 있는 환자는 30% 이상에서 자문의뢰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10% 미만에서만 의뢰한다고 한 반응도 약 반수 정도 있었다. 또한 정신과의 자문을 의뢰하는 이유로는 정신과적인 과거력이 있는 경우와 기질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감별하기 위한 이유가 가장 많았다. 2) 현 정신과 자문활동에 대한 불만과 정신과에 대한 환자의 잘못된 인식이 타과 의사의 자문의뢰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정신과적인 문제가 있으나 정신과에 의뢰하지 않은 경우는 주치의의 상식선에서 임의로 처리되어 버리거나 퇴원후에 정신과에 갈것을 권유하는 등 추후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3) 대체로 현 자문체계에 대해서 자문의뢰의의 반수 정도에서 만족하고 있었으며 정신과 자문을 통하여 환자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고 정신과에서 권유한 치료로 임상적 도움을 얻었다는 등의 지적이 있는 반면, 자문응답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한 점, 현실적으로 적응하기 어려운 점, 신속하지 못한 점, 추적자문 진료가 소홀한 점등의 불만이 있었다. 4) 신체변화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에 대해 대부분의 자문의뢰의가 상당한 정도로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과와의 정규적인 임상적, 학술적 교류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었다. 또한 현 자문 현황에 대한 기타 요구사항으로는 신속한 정신과로의 전과, 환자나 환자 보호자에게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해 줄 것, 소아정신과 등 특수 정신과 분야에 대한 자문, 말기 암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등이 있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consultation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23 patients as an initial group and 138 as secondary; The patients were admitted at this hospital and referred for psychiatric consultation between Jan. 1, 1992 and Dec. 31, 1992. And the author also surveyed the opinion of nonpsychiatric doctors in connection with current consultative activities of the psychiatric depar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the patients referred to for consultation in the entire inpatients was 1.07%. 2. Males accounted for the majority as the patients consulted(61.0%), and the ages between 30s and 50s showed higher in age distribution. 3. The department requested for most consultation was internal medicine followed by general surgery, neurology, and chest surgery. The consultation rate by a department was in such order as neurology, internal medicine and chest surgery. 4. The order of frequency in terms of reasons far consultation was changes in consciousness, somatic symptoms without laboratory findings,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nd the cases with previous psychiatric history. 5. In psychiatric diagnoses, the order ran as organic mental disorder, dysthymia, and anxiety disorder. 6. The priorities of the recommendation by psychiatrists were medication only, medication with diagnostic procedure, continual observation and exclusive psychotherapy. 7. The findings of the survey through questionaires were: 1) The cases believed to have psychiatric problems were found to be 1-4%(highest); More than 30% of the patients with problems were referred to for consultation, which receiv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questionaire and the half answered they referred less than 10% of the patients for consultation. The most outstanding reason for requesting for psychiatric consultation was the past psychiatric history and to differentiate organic factor from psychologic factor. 2) The consultees'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psychiatric activities and the patients' misconception of the psychiatric departments hinders the effforts to request for consultation. The cases with psychiatric problems which have not been referred to psychiatric department for consultation was either treated at the discretion of the doctors in charge or been recommended to visit the psychiatric department after discharge, which indicated lack of discreet management. 3) In the present consultation system, half the consultees feel satisfied, the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the patients have been enhanced through consultation, and the psychiatric ways of treatment have helped in clinical practice. On the other hand, dissatisfactions were found in the answers in questionaires were not concrete, inept in terms of real application, not rapid enough, and lack in the sincerity in follow-up. 4) As to the psychological effects on physical changes, most consultees were found to have reached significant understanding,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regular clinical and academic exchanges with psychiatrists. Other requests from the current consultation status call for rapid transfer to psychiatric department, more through explanation to patients or their guardians, consultation on special psychiatric fields including pediatric psychiatry, and drastic intervention in the cases of terminal cancer.

      • 대구·경북지역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간식섭취 실태

        박희영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간식섭취실태를 파악하고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지리적 요인에 따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간식섭취빈도, 영양지식 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합리적인 식습관 형성 및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자는 대구지역 초등학생 200명(남학생:104,여학생:96명) 경북지역 초등학생 200명(남학생:95명, 여학생:105명)을 대상으로 남학생 199명, 여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특성과 신체계측 결과는 대구지역과 경북지역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족형태에서는 핵가족의 비율이 대구지역(40.5%)이 경북지역(38.5%)보다 높았으며, 어머니 직업유무에서는 경북지역(51.7%)이 대구지역(48.3%)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학생들이 받는 한 달 용돈은 1만원 미만이 두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아침식사 횟수에서는 매일 아침을 먹는 비율은 대구지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침식사를 먹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대구지역은 입맛이 없어서(48.5%)가 가장 높았고, 경북지역에서는 늦잠을 자서(55.0%)로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편식의 정도는 두 지역 공통으로 조금 하는 편이 가장 높았으며, 편식을 전혀 하지 않는 비율은 대구지역이 경북지역에 비해 높았다. 편식하는 음식으로는 전체적으로 채소류와 생선 및 해물류로 나타났다. 3. 여가 활용 방법으로는 두 지역 모두 TV시청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운동을 통해 여가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가장 낮았다.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스마트폰으로 여가를 활용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TV 시청시간은 두 지역 모두 1시간~2시간 이내가 가장 높았으며, 운동 빈도는 두 지역 모두 주 1~2회 운동을 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컴퓨터 사용시간 역시 두 지역 공통으로 1시간 이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이어트 경험에 있어서는 경북지역(42.5%)이 대구지역(29.5%)에 비해 높았으며,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간식 섭취 빈도는 하루 2~3회 간식을 섭취한다는 의견이 두 지역에서 공통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간식 구입 방법은 두 지역 모두 직접 구입한다가 가장 높았다. 부모님이 구입해 주시는 경우는 대구지역(31.0%)이 경북지역(19.5%)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식 구입 장소로는 대구지역 슈퍼마켓, 분식점, 문구점, 패스트푸드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북지역은 슈퍼마켓, 분식점, 문구점, 포장마차, 패스트푸드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식 섭취 이유로는 배가고파서라는 의견이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습관적으로 간식을 섭취하는 경우는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품별 간식 섭취 빈도를 살펴보면 두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과일, 우유 및 유제품, 과자가 높은 섭취 빈도를 보였으며 그 중 우유, 과일주스, 햄버거, 떡에서는 지역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5. 영양지식 정도를 비교한 결과 대구지역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8.64±1.56이고, 경북지역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7.94±1.58으로 대구지역이 경북지역보다 영양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 중 탄산음료를 많이 먹으면 충치가 생기기 쉽고 뼈가 약해진다의 정답률은 96.3%로 두 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과일은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의 문항에서는 61.5%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구·경북의 지역적 요인에 의한 식습관과 간식섭취 실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들이 있어서 지역별 차별화된 영양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기 때문에 다양한 식품을 균형 있게 섭취하도록 학령기 아동의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편중된 식습관을 교정시켜 바람직한 식생활과 간식선택 기준을 가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snack intake and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investigated whether geographical factors have a different impact on eating and living habits, frequency of snack intake, nutritional knowledge. 1. Two hundred of students in Daegu(boys:104, girls:96) and 200 in Gyeongbuk(boys:95, girls:105)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2. The result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nthropometr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3. It was shown that more students in Daegu have breakfast and more in Gyeongbuk skip a meal. Most of both cases said that they sometimes eat only what they want and more samples in Daegu said that they eat everything. Students were generally particular about vegetables, fishes and seafoods. 4. Both cases answered that they often watch TV during free times and students in Daegu spend more times with their smart phones. Furthermore, more samples in Gyeongbuk said they were on a diet and two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5. In both cases, most students stated that they personally buy snacks and parents are more involved in buying snacks in Daegu. The primary reason why students ate snacks was to appease their hunger and more students in Daegu eat snacks habitually.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having snacks, fruits, milk, dairy products and snacks were usually eate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gions for milk, fruit juice, hamburgers and rice cakes. 6. Students in Daegu had more knowledge on nutrition, compared to those in Gyeongbuk. As the result showed,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act of the geographical factor on the practice of eating habits and snack intake between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So, differentiated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for each region. Additionally, it is really important for school-aged children to form a balanced eating habits, take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and establish a criterion of decision on which to 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