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정서경,김승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is study developed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Researchers developed a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ccording to a 5-step proc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observed from fifteen parents of S preschool(experimental group) and fifteen parents of H preschool(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the parents of the comparative group read books to their children at home freely.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eight weeks from the 19th of July to the 17th of September in 2021 using a contact or contact-free way. Result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as composed of th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to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effectively, to improve maternal efficacy, and to promote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parents’ maternal efficacy,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young chidlren, and young children’s vocabulary were meaningfully increase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ward increasing parents’ maternal efficacy,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young chidlren, and young children’s vocabulary by demonstrat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about reading books activitie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t wa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ed an effective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increase parents’ maternal efficacy. 목적 본 연구는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자는 5단계 절차에 따라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전라남도의S 어린이집 학부모 15명(실험집단)과 H 어린이집 학부모 15명(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은 영아 부모를 위한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비교집단은 자유롭게 가정에서 자녀에게 책을 읽어주었다. 실험 처치는 대면과 비대면 방식으로 2021년 7월 19일부터 9월 17일까지 8주 동안 총 15차시에 걸쳐 시행되었다. 결과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책 읽어주기 활동을 통해 영아 부모가 자녀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양육효능감을 향상하며 자녀의 언어발달을 도모하는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영아 상호작용, 영아의 어휘력 등이 유의하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부모의 양육효능감과부모-영아 상호작용, 영아의 어휘력 등을 향상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영아발달을 도모하고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부모효능감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박현희 ( Park Hyun Hee ),이경화 ( Lee Kyung-hw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부모가 지닌 부모로서의 효능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아부모 효능감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부모 효능감의 개념과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유아부모 효능감 검사도구는 타당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20~50대의 부모 400명이다. 검사도구 개발 절차를 살펴보면 첫째, 1, 2차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부모효능감의 개념, 구성요인 도출 및 예비문항 개발을 하였다. 둘째, 수집된 테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로 유아부모효능감이란 유아기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적합한 부모역할을 수행하며 자녀와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부모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지각으로 정의하였다. 둘째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부모 효능감 검사 도구는 세 가지(유아부모의 자아 효능감, 양육행동 효능감, 사회적 역할수행 효능감) 영역과 여덟 개의 측정변인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문항내적 일관성과 신뢰도를 분석하여 본 검사도구가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넷째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부모 효능감의 측정모형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부모들의 부모효능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세 영역과 여덟 개 측정변인의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st that can measure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Second, is the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valid and reliable? The 400 young children’s parents with various job in Seoul and Kyungi-Do were participated for a main survey. Then two rounds of panel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content validity about the deduced concept and construct and initial items. As the result of thepanel survey, three domains and eight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were ident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s parent efficacy was defined as the perception of parents' ability to effectively deal with problems with their children by performing appropriate parental rol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arly childhood children. Seco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ng children’s parent efficacy test consisted of three domains and eight measurement variables. The three domains were divided into self-efficacy,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role performance in terms of personal,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role performance. Thir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were analyzed to confirm that the test tool is acceptable. In conclusion, this study developed a tool for testing the efficacy of young children's parents, which consists of 26 questions, which are three domains and eight measurement variables, to measure the efficacy of young children's parents in a reliable and reasonable method.

      • KCI등재후보

        유아 부모의 상호작용 교육을 위한 자기 이해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김혜원,박현정,김일부 한국부모교육학회 2022 부모교육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utilize self-understanding tools for parental interactio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so that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who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can play a role as parents and form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followed these processes to develop a self-understanding tool for parent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teractions themselves based on the Johari window a self-awareness tool. In the first development process,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arent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at home and abroad, the category of interaction type of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was derived through expert advice, review, and consultation. Based on this, adjectives for parental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In the second development proces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ed adjectives, and the adjectives extracted through thi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preliminarily select adjectives for parental interaction characteristics. In the third development process, the appropriateness of adjectives for pre-selected parental interaction characteristics was reviewed three times for nine doctoral students majoring in child welfare and parental interaction experts of young children. Fifty-eight adjectives were finally selected. The self-understanding tool for parental interactio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is meaningful in that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can understand their interactions in depth and promote sustainable growth by actively explor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through self-exposure and feedback from other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분석

        홍윤정 ( Hong Yun Jeong ),김선희 ( Kim Seon Hui ),이영애 ( Lee Young 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3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6년부터 2021년까지 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논문 총 246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Excel을 활용하여 출현 빈도를 산출하고, UCINET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1996년부터 2021년까지 전체 연구기간 네트워크 분석 결과, ‘양육태도’, ‘유아문제행동’, ‘유아기질’이 출현 빈도와 중심성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시기별 네트워크 분석 결과, 1기(1996~2006)에는 ‘양육태도’, ‘유아기질’, ‘사회적지지’, ‘자녀성별’, ‘양육효능감’, ‘취업 여부’가, 2기(2007~2011)에는 ‘양육태도’, ‘유아기질’, ‘부모역할’, ‘부모교육’, ‘부모인식’, ‘매개효과’가, 3기(2012~2016)에는 ‘양육태도’, ‘우울’, ‘양육참여’, ‘양육효능감’, ‘자기상대방효과’가, 4기(2017~2021)에는 ‘유아문제행동’, ‘양육태도’, ‘매개효과’, ‘공동양육’, ‘가족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주제의 과거와 현재를 탐색하여 향후 진행될 연구 방향의 다변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utilized keyword network analys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mong young children's parents. To this end, 246 keywords from academic journals on parenting stress among young children's parents published between 1996 and 2021 were analyzed for frequency of occurrence using Excel, and network centrality was analyzed using the UCINET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entire study period, ‘parenting attitude’, ‘you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nd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and centralit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network analysis by period, the keywords ‘parenting attitude’, ‘young children’s temperament’, ‘social support’, ‘young children’s gender’, ‘parenting self-efficacy’, and ‘mother’s employment’, were prominent in the first period (1996-2006), while ‘parenting attitude’, ‘young children’s temperament’, ‘parental role’, ‘parent education’, ‘parental perception’ and ‘mediating effects’ were prominent in the second period (2007-2011). In the third period (2012-2016), ‘parenting attitude’, ‘depression’, ‘parenting involvement’, ‘parenting self-efficacy’, and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prominent, and in the fourth period (2017-2021), ‘you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parenting attitude’, ‘mediating effects’, ‘co-parenting’, and ‘family interaction’ were promin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ossible diversification of future research directions is expected through exploring the past and present of research topics related to parenting stress in young children’s parents.

      • KCI등재

        조기 교육 실시에 따른 취학 전 유아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 분석

        김주후,김경란,유윤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rent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readiness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by participating in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s and period & expenses for early education was also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653 parents whose young children were attending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located at several cities in Kyoungki-do. The results of analyses showed that first, parent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readiness were associated with their choice and implementation of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particular, in the area of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learning sheets & foreign language, piano, art, and taekwon-do were perceived as importa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ementation of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parents’ demographic variable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t foreign language in cognitive development area. Third, the relationship among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readiness, length and expenses for early education was not strong. From thes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parents’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partially associated with parent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read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조기교육 선택에 따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신념의 차이를 분석하여 유아조기교육의 실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있다. 또한 부모의 취학 전 유아 학교준비도에 대한 신념과 조기교육 실시 시간 및 비용과의 관계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의 부모 6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조기교육 실시여부에 따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은 조기교육 영역 중 학업관련영역은 학습지와 외국어, 예체능영역은 피아노, 미술, 태권도에 대해서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기교육 실시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조기교육 실시 여부와 부모 배경변인과의 관계는 학업관련영역 특히 외국어 영역에서 큰 차이가 발견되었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부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학교준비도 신념과 조기교육 실시정도와의 관계는 준비도 신념, 조기교육 실시기간, 조기교육 비용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우리나라 부모의 조기교육 선택 및 실시는 전체적으로 유아 준비도 신념과 부분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지역사회와 연계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인성교육과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중심으로

        공진이 ( Gong Jin Yi ),김승희 ( Kim Seung 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rents’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a program connected to local community, as basic data to develop a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local community. This study carried out a preliminary survey on 10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Jeollanamdo, and then conducted a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were 490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ttending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é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rents perceived that parents had a great effect on character of their children, and that responsibility, respect, and communic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among the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Also, parents perceived that a program connected to local community should be demanded in order for young children to adjust to local community, and that an evaluation of the program should place an emphasis on examining whether or not the program was attractive to young childre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develop a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onnected to local community, by examining the parents’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a program connected to loc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홍희숙(Hee-Sook Hong),장영숙(Young-Sook J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와 인천시에 소재한 6곳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250명과 그들의 부모 250명이다. 유아의 기질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인희와 황혜정(2009)에 의해 개발된 부모용 유아 기질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rnstein(1971)과 Gumperz(1973)의 연구를 토대로 도혜숙(1997)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영숙과 황윤세(2009)에 의해 개발된 교사용 유아 리더십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리더십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리더십은 유아의 기질의 하위변인 중 반응성, 적응성, 지속성, 전환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리더십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와 지위지향적 언어통제는 유아의 리더십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 아버지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 어머니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 어머니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 유아 기질 중 규칙성과 적응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리더십을 가장 많이 예언하는 변인은 아버지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이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의 기질에 대한 올바른 이해 뿐 아니라 부모가 바람직한 언어통제 유형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ir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50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six kindergartens of Incheon and Suwon City. In-Hee Jung and Hae-Jeong Hwang’s young children’s temperament scale for parents(2009) was used for the test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Hae-Sook Do’s instrument(1997) was employed for the evaluation of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In order to evaluate young children’s leadership, young children’s leadership scale for teachers developed by Young-Sook Jang and Yoon-Se Hwang(2009)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ponsiveness, adaptability, persistence, and transformation among young children’s tempera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leadership. Second,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human nature-oriented verbal control mode and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mode among parents’ verbal control mod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ird, young children’s leadership was most significantly explained by fathers’ human nature-oriented verbal control mode followed by fathers’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mode, mothers’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mode, mothers’ human nature-oriented verbal control mode, young children’s regularity and adaptability. Fathers’ human nature-oriented verbal control mode was the most predictable factor in explaining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desirable use of parents’ verbal control mode as well as better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for fostering young children’s leadership.

      • KCI등재

        장애유아 부모교육 실태 및 교사와 부모의 요구 비교

        차윤정 ( Cha Yoon-jeong ),전병운 ( Jeon Byoung-un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특수학교 유치부,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특수학급, 조기교육실의 유치부 담당 교사 98명과 장애유아 부모 137명을 대상으로 장애유아 부모교육의 운영실태와 부모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조사결과 첫째, 부모교육 운영실태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부모교육 방법으로 부모면담과 강사초빙 강연회가 주된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부모교육의 내용으로는 자녀 지도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 장애아동에 관한 기초지식, 아동양육에 관한 상담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내용 요구에서는 전체적으로 특수교육 및 장애 관련 지식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상담 및 가족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부모들은 지역사회 서비스 및 아동복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교육 방법 요구에서는 효과적인 운영방법으로 교사는 부모면담과 보조교사로서 참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부모는 부모면담, 수업 참관, 강사초빙 강연회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집단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와 부모 사이의 가치관이나 관심이 다름으로 인하여 부모교육의 요구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about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in educating parents with special need for young children for solidifying the link between the familie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es and for applying effectively education programs. For the purpose,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gainst 98 preschool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the preschool classes of special schools, kindergartens annexed to primary schools and early education centers (welfare centers) and 137 parents of special needs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contains questions asking about the state of education for parents, and needs of contents and methods in educating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stat e of parent education, satisfaction with existing parent education appeared low as a whole. The main methods of parent education were interviews with parents and lectures by guest speakers. The main contents were knowledge and skills for guiding the children, basic information about special needs for young children and consulting on raising children. Second, the content needed most in parent education was knowledge about special education and disabilities. While the teachers concentrated on counseling and family support, the parent concentrated on services at local communities and welfare for children. Third,with regard to the methods of parents education, the teachers replied that interviews with parents and parents’ participation as assistant teachers were the most effective methods, while the parents mentioned interviews with parents, class visiting and lectures by guest speakers as the most effective methods. In conclus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re was a gap in what was needed for parents education due to the different values and interests of the two groups. Above all, it is an essential factor for teachers and parents to understand each other for maintaining cooperative relations. That is, the best education of special needs for young children should embrace not only the children but also all the family members, instead of concentrating on the children as we have done so far.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mitigate the troubles occurring in the rela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and to develop desirable relations.

      • KCI등재

        영유아 부모의 자녀 성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홍경선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For a long tim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exuality educatio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have been emphasized. But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and sexuality education are so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knowledge of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and the information of sexuality educatio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o do these, previous studies and internet documents from foreign organizations were reviewed.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and helpful reference for parents were summed up.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is natural to explorer their body and to satisfy curiosity on their developmental stage. The parents’ reaction itself to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can be the ground for building up young children’s conception and attitudes of sexuality. To start with teaching correct name of body parts is good for sexuality education. Accurate sex information from parents make children distinguish false information and sexual abuse.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parents’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오랜 기간 영유아 부모의 자녀 성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나 영유아 부모들이 성교육을 실행하고하 하여도 이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들에게 영유아들의 성에 대한 기본 지식과 성교육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들과 해외 기관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자료를 조사하여 영유아 성행동과 영유아 부모들이 성교육을 실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영유아의 성행동은 영유아 발달 단계상, 자신의 신체를 탐구하고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자연스러운 행동이다. 영유아들의 성행동에 대한 부모들의 반응 자체가 영유아에게는 성교육이 될 수 있으며, 성에 대한 기본 개념과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다. 신체 부위의 정확한 명칭을 가르쳐주는 것을 시작으로, 영유아와 대화를 통해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부모가 성에 대하여 정확하게 정보를 주면, 영유아가 자라면서 잘못된 정보를 구별할 수 있게 되고 성범죄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 정리한 내용은 영유아와 영유아 부모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영유아의 성행동을 이해하는데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양육, 자립의 이중고: 해외 사례를 통해 본 청소년부모 지원 과제

        허민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3 여성연구 Vol.119 No.4

        2021년 「청소년복지 지원법」 개정으로 ‘청소년부모’가 공식적인 정책 대상으로 인지되었다. 그간 정책 대상에서 소외되어왔던 ‘청소년부모’에 대한 법적 지원 근거가 마련된 점은 환영할만하나, 그에 기반한 구체적인 정책이 정비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정책적 주목을 요한다. 이에 이 글은 해외의 청소년부모 지원 제도를 탐색하여 우리에게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년부모에 대한 정책적 대응 경험이 다양하고 풍부한 미국, 영국, 캐나다,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의 청소년부모 지원 제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요국에서는 통합적인 지원 제도를 갖춘 상태에서 청소년부모에 대한 교육지원을 강조하는 점이 확인된다.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청소년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할 때, 교육・훈련을 통한 청소년부모의 자립이 청소년부모 가정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청소년부모 정책을 고안하는 데 있어 청소년부모가 정책 사각지대에 머물지 않을 수 있도록 기존의 서비스에 연계하는 것을 포함하여 청소년부모를 특정한 지원 제도가 마련될 필요가 있고, 자녀 양육의 주된 책임자이지만 무엇보다 성장과 발달이 필요한 청소년이라는 점을 충분히 고려한 주거, 자립, 가정방문, 교육지원 서비스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re have been young parents who raise their children together, neither laws nor policies have been established until 2021 based on the bias that young parent must be a single mother. Now 「Youth Welfare Support Act」 clearly recognizes the existence of young parents and clarifies social services that need to be funded and run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Despite the legal basis for supporting young parents, specific welfare services have not yet been prepared or provided. In this respect, this paper explores how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S., the UK, Canada, Ireland, Australia and New Zealand deal with similar issues. These countries have relatively more diverse policy experiences in supporting adolescent par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of them are focusing on providing education programs to young parent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completion of education plays a key role in ensuring the independence of the young parents and hence making a crucial difference in all aspects of the whole family’s life. Also,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education programs include childcare and transportation services to help them continue learning and training in a stable way. With regard to prepar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programs for young parent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is that they are not only parents who raise their children but also young people who need to be supported and encoura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