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소설에 나타난 고전소설의 활용 양상과 의미 -<호랑이 어사, 조선을 뒤흔들다>를 중심으로

        서보영 한국고전연구학회 2024 한국고전연구 Vol.- No.65

        이 연구에서는 웹 소설에 대한 관심과 인식의 변화에 부응하여 고전소설과 웹소설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전소설과 웹 소설의 시간적 간극만큼이나 양자를 일대일로 비교하기에는 난망한 까닭에 ‘웹 소설에서 고전소설이 어떻게 활용될수 있는가’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웹 소설에서 고전소설의 생존 방식을 전망하고웹 소설이 고전소설을 수용하면서 나타나는 특수하고 개성적인 지점을 발견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웹 소설은 호랑이 어사, 조선을 뒤흔들다이다. 이 작품은2021년 2월 10일부터 2022년 2월 8일까지 네이버와 카카오페이지에서 연재되었으며 고전소설 <춘향전>, <구운몽>, <박씨부인전>, <허생전>, <심청전>, <장화홍련전> 등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웹 소설로서 성공을 거두었다는 점에서 고전소설을 활용한 웹 소설 창작의 긍정적인 전망을 가늠하게 하는 사례가 된다. 우선 웹 소설에서 고전소설은 내용의 변이를 넘어 작품의 형성 과정과 관련한것들이 활용된다. 고전소설의 작가와 독자, 향유 방식도 웹 소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소재인데 나아가 세책점, 소설가, 악플러 등 소재의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다음으로 웹 소설에서 선행 텍스트로서의 고전소설은 설화나 동화와 같은 ‘옛날 이야기’의 차원에서 소통된다. 고전소설의 인물들은 웹 소설의 인물들과 관계를 형성하며 고전소설과는 다른 방향으로 서사가 진행되고 고전소설 인물들의 형상이나 역할, 기능도 달라지는 등의 다시쓰기를 보여준다. 한편 웹 소설은 이미 어디에선가 경험했던 이야기들의 혼합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이야기로 기존 고전소설의 익숙한 특징들, 즉 구조나 모티프, 소재 등을 답습하며 고전소설과 융합된다. 그 결과 고전소설의 장르성이 무화된 채 계속적으로 복제되며 그 과정에서 약간씩의 차이가 발생한다. 끝으로 웹 소설 호랑이 어사, 조선을 뒤흔들다에서 고전소설의 활용이 이처럼 다양할 수 있었던 것은 기본적으로 작가의 역량에서 비롯된 것으로 웹 소설 속 고전 소설의 활용 양상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ical novels and web novels in the context of the changing interest in and awareness of the latter. Due to the difficulties of directly comparing classical novels and web novels, we considered how classical novels could be utilized in web novels. This study sought to predict the methods by which classical novels survive in web novels and to discover unique and distinct aspects of their adaptation as web novels. The web novel selected for this study is “Tiger Eosa Shakes Joseon.” Serialized from February 10, 2021, to February 8, 2022, on Naver and Kakao Page, this work achieved success as a web novel through storytelling that relied on classical novel techniques, indicating a positive outlook for web novel creation utilizing classical novels. First, classical novels are utilized in web novels regarding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work. Additionally, elements such as the author and readership of classical novels and their consumption methods are observed in web novels. Lending libraries, novelists, critics, and other aspects of novel culture offer possibilities for this type of adaptation. Next, depending on the genre of web novels, classical novels are regarded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facts or tales, with attention to the historical events reflected in classical novels. As classical novels are communicated in the realm of “old stories” such as fables or fairy tales, characters from classical novels form relationships with characters from web novels, leading to a narrative progression different from that of classical novels, with changes in the appearance, role, and function. Moreover, classical novels are newly created within web novels through the reiteration of familiar characteristics, such as structure, motifs, and themes. This is due to the multimodality pursued by web novels, in which the genre of classical novels is continuously reproduced with slight differences. Finally, the diverse utilization of classical novels in the web novel “Tiger Eosa Shakes Joseon” fundamentally stems from the capabilities of the author.

      • KCI등재

        키워드로 본 웹소설의 10년: 2013~2022년 네이버 포탈 사이트에 게시된 기사를 중심으로

        전성규,곽지은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서강인문논총 Vol.- No.65

        This article analyzed vocabularies placed in collocation relationships with the keyword ‘web novel’, targeting 53,829 titles of articles dealing with the web novel on the Naver portal site from 2013 to 2022 and identified the changes in the topography of the web novel market. In 2013, when Naver launched a new web novel platform called 'Naver Web SoSeol(Novel)', the term ‘Web SoSeol’ was first used, and a new ecology in which web novels were distributed was created. A group of genre novels, which have been crudely referred to as internet novels, have been renamed as ‘Web SoSeol’, and have undergone major changes in the way of creation, enjoyment, and consumption. The 10-year history of ‘Web SoSeol’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First, the web novel platform was incorporated as part of a large corporate complex platform. The complex platform is based on the paid service and has creators and creations under the nam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 secu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s. Second, in the case of web novels, the secondary work is more important than the original work. Since web novels have a limited readership compared to webtoons or other web contents, web novels by themseleves have a little market value. The market value of web novels lies in providing stable narrative models and narrative elements that can predict the success of secondary works such as dramas and movies. Third, in that sense, the web novel platform serves as a database of popular culture. Internet novels were once dismissed as subcultures or virtue cultures, but the successful cases of secondary works based on webtoons and web novels prove that they are no longer a special and incommunicable culture. We live in the world where database-based simulacre is all about culture and “small stories” created by newly arranging and duplicating data were consumed. So in this situation the need for a database in which culture is accumulated is raised. 이 글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네이버 포탈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총 기사 중 ‘웹소설’이란 키워드를 다룬 기사 53,829개의 제목을 대상으로 웹소설과 연어관계 및 공기관계에 놓인 어휘를 분석하여 10년간의 웹소설 시장의 지형변화를 파악하였다. 2013년 네이버가 ‘네이버 웹소설’이라는 웹소설 플랫폼을 새롭게 론칭하면서 웹소설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웹소설이 유통되는 새로운 생태가 만들어졌다. 그간 인터넷 소설이란 용어로 범박하게 총칭되던 장르소설의 일군은 웹소설이란 용어로 새롭게 명명되었으며 창작과 향유, 소비의 방식에 있어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웹소설 10년 간의 역사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거대 기업형 복합 플랫폼의 일부로 웹소설 플랫폼이 편입되었다. 복합 플랫폼은 서비스의 유료화에 기반해 있으며 양적 질적 콘텐츠 확보를 위해 창작자와 창작물을 지적재산권이라는 이름 아래 귀속시킨다. 둘째 웹소설의 경우는 2차저작이 원작보다 더 중요하다. 웹소설의 시장적 가치는 드라마나 영화 등 2차저작물의 흥행을 예측할 수 있는 안정적인 서사모델과 서사요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셋째 그런 의미에서 웹소설 플랫폼은 대중문화의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넷 소설 등이 한때 서브컬쳐나 덕후문화 등으로 치부되기도 했지만 웹툰이나 웹소설 기반의 2차 저작의 흥행사례는 이제 더이상 이들이 특수하고 소통불가능한 문화가 아니라는 점을 방증한다.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창출되는 시뮬라크르가 문화의 전면을 차지하고 기존의 데이터를 새롭게 배치하여 만들어지는 “작은 이야기”와 복제된 이야기를 소비하는 인간이 그 세계를 살아감에 따라 문화가 집적된 데이터베이스의 사회적 필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매체 시대의 소설 쓰기 연구 -웹소설작법을 중심으로-

        송명진 ( Song Myung-jin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1

        웹소설을 중심으로 새롭게 소설의 지형도가 형성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일상의 언어를 웹소설어로 변화시키는 웹소설작법의 특징에 대해 고찰했다. 첫째, 웹소설작법은 웹소설 유통망을 소설작법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 기존의 소설작법에서 강조했던 것이 창작이었다면 웹소설작법에서 강조하는 것은 소설의 생산과 소비와 관련된 유통이었다. 웹소설작법은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전에 우선 여러 플랫폼의 특징을 고찰해야 하며, 이에 따라 소설 쓰기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웹소설의 여러 서사적 특징들 역시 웹소설의 상품성을 극대화하려는 플랫폼의 전략에서 기인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웹소설작법은 장르소설로서의 웹소설의 특징을 강조했다. 이는 웹소설이 주로 모바일을 통해서 소비된다는 매체 환경에서 비롯되었다. 디지털 읽기에 익숙한 독자들에게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웹소설은 장르소설을 선택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즉흥적인 감정에 기초하여 웹소설을 소비하게 되었으며, 웹소설작법은 독자들의 이러한 감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장르소설의 관습을 작법화했다. 이상의 연구는 기존의 소설작법과 변별되는 웹소설작법의 특징을 밝혔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리고 여러 매체들을 통해 실현되는 다양한 웹소설작법을 아우를 때, 웹소설작법에 대한 더욱 심화된 연구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 novel writing method that transforms everyday language into a web novel. First, the method included the web novel distribution network in the novel writing method. The existing novel writing method emphasized creation, but the web novel method emphasized the distribution related to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novels. The latter method insi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platform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writing a novel. Furthermore, the method states a novel should be written accordingly. The various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are also derived from the platform’s strategy to maximize the marketability of web novels. Second, the method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as genre novels. This originates from the media environment where web novels are mainly consumed through mobile devices. For readers accustomed to digital reading, web novels have chosen genre fiction. Readers are consuming web novels based on improvised emotions, and web novel writing has used the conventions of genre novels to elicit these emotions from readers. When including various web novel writing methods realized through various media, this study can be further deepened.

      • KCI등재

        한중 웹소설의 특징 및 시장 현황 비교 분석

        전기정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2

        Web novels are popular novels that are serialized and read based on Web platforms. It has recently become a sensational hit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Web novels themselves make profits, but they are creating new added value in the IP industry as source contents of movies, dramas, games and animations. Web novels have many newly coined and slang words in their language, and their colloquial features stand out. Web novel readers focus on fun rather than on profound or troublesome content. Also, it is composed of typical genre literature, so it has unique code and pattern of genre, and the loyalty of readers by genre is high. Recently, Korean and Chinese web novels have been characterized by a noticeable increase in content related to reincarnation, return, and possessed regardless of genre. Chinese web novels are much lengthier than Korean web novels. In addition, since 2018, Chinese web novel apps have been combined with paid payments and a system that provides free view when advertisements are watched. Korean web novels have been exploding recently, but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ize of the domestic market, there is a limit to continuing the trend.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promote active exchanges with China. However. the challenges and challenges faced by Korean web novels in making inroads into the Chinese market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huge cost of translation and quality of translation, the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hinese web novel market and th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If we solve these problems and actively target the Chinese market, the Korean Wave shown in K-POP and dramas will be able to be sufficiently connected to web novels.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연재되고 읽히는 대중소설인 웹소설은 최근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웹소설은 그 자체로도 수익을 올리지만, 영화, 드라마,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원천 콘텐츠로서 IP산업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웹소설은 순수소설보다는 언어적으로 신조어와 비속어, 유행어 등이 많고, 구어체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웹소설 독자들은 대부분 출퇴근 시간이나 잠자기 전의 자투리 시간에 가벼운 마음으로 웹소설을 읽기 때문에 심오하거나 골치 아픈 내용보다는 재미있는 내용을 선호한다. 또한 웹소설은 전형적인 장르문학 중심으로 이루어져 장르 고유의 코드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장르별 독자의 충성도도 높은 편이다. 최근 한국과 중국 웹소설은 장르를 가리지 않고 환생, 회귀, 빙의와 관련된 내용이 두드러지게 증가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일반적으로 중국 웹소설은 한국 웹소설 보다 편폭의 길이가 훨씬 긴 장편 위주이다. 또 2018년 이후 중국 웹소설 앱은 유료 결제와 더불어 광고를 보면 무료로 웹소설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병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웹소설 시장은 최근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내수시장 규모의 한계로 인해 그 추세를 계속 이어나가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추진할 필요가 있는데, 우리나라 웹소설이 중국시장에 진출하는 데 있어 직면한 도전과 과제는 주로 막대한 번역 비용과 번역의 품질, 중국 웹소설 시장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부재, 전문 인력의 부족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중국 시장을 좀 더 적극적으로 공략한다면 K-POP이나 드라마 등에서 보인 한류가 웹소설로도 충분히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웹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국내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오태영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7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web novel research and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web novel research. To this end, domestic academic papers derived as a result of keyword search for web novels in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from 2015 to 2022 were reviewed. Since the papers are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detailed analysis of the history of web novel research will inevitably be limited. Nevertheless, in the academic discourse,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main trends in the history of web novel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for the past 10 years. The first thing that stands out in the research on web novels is the discussion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web novels. In this regard, it is largely divided into a position to view web novels as a new novel genre or genre novel, and a position to view web novels as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web platform.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web novel research is the analysis of the web novel narrative structure for each genre and the discussion of its effects. These discussions have largely focused on revealing how genre recognition and the function and role of web platforms affect the forma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web novels. On the other hand, in the study of web novel readers, discussions on the conditions and process of reading behavior centered 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ders were the main focus. Web novel research like this will be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future in the status and cultural performativity of web novel writers-readers, the vitalization of the web platform, and the spread of cultural contents. 이 글의 목적은 웹소설 연구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이후 웹소설 연구의 방향을 전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22년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대상으로 웹소설을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도출된 국내학술논문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웹소설 연구사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학술 담론장에서 지난 10여 년 동안 진행되어온 웹소설 연구사의 주요 경향을 조망할 수 있었다. 웹소설에 관한 연구에서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웹소설의 발생 및 전개 과정에 대한 논의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웹소설을 새로운 소설의 장르 또는 장르소설로 보는 입장과 웹 플랫폼 기반의 문화 콘텐츠로 보는 입장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웹소설 연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각 장르별 웹소설 서사 구조의 분석 및 그것의 효과에 대한 논의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대체로 장르 인식 및 웹 플랫폼의 기능과 역할이 어떻게 웹소설의 서사 구조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가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한편, 웹소설 독자 연구에서는 독자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독서 행위의 조건 및 과정에 관한 논의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웹소설 연구는 웹소설 작가-독자의 위상 및 문화적 수행성, 웹 플랫폼의 활성화와 문화 콘텐츠의 확산 속에서 이후에도 다채로운 방식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中国网络小说的特征研究

        向真(향진),김주 한국출판학회 2018 한국출판학연구 Vol.44 No.5

        Recently, the size of the Chinese web novel industry has been rising vertically due to the increase in Internet and mobile use. For example, as of 2016, the Chinese web novel market was 12 billion yuan, up 25 percent from a year earli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web novels and find their characteristics and ways to develop them. Lis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web novels as follows. First, Chinese web novels secure variety of contents. Second, the contents of web novels are based on commerciality, so they can promote high public popularity. Third, Web novels continue to attract diverse types of readers by creating a smooth interaction system between authors and readers. On the other hand, Chinese readers prefer web novels because they can satisfy various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cluding the need for entertainment through web novels as well as proxy satisfaction. Here's how to develop a Chinese web novel. First, through the author development policy, we should seek to develop high-quality web novel contents. Second, media-releasing education should establish proper reading habits for readers. Third, the web novel contents review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pare a policy to enhance the quality of web novel contents. Fourth, we need to find concrete ways to expand the web novel industry through diversification of the digital industry.

      • KCI등재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의 여성적 섹슈얼리티 - 여성의 욕망을 드러내는 플랫폼과 장르 -

        한유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The market for web novels is growing every year. Although there is constant discussion of web novels, there is no accurate definition of media and attributes. In this book, we want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web novel's character as a media transition, which has changed the way it is viewed and read as a popular novel. Romance Web novels are eventually adding genre attributes through a platform that the romance genre is a web novel. The market for romance web novels is growing. It should be noted that adult romance web novels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profits. To this end, we wanted to look at where the sexiness in adult romance web novels is coming from. It noted that the nature of romance web novels for adults is inherited from popular novels, and that the popularity of newspaper-released novels and the sexiness of magazine-released novels have been continuously revealed in Korean literary circles. Since then, the no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60s shows sexual desire of women, which is similar to the current romance web novel. Also, writers such as Park Kyung-ri and Kang Shin-jae, who conducted newspaper series, have also been in fashion because they are short-lived and lack of discussion over their popularity. This part of the project was to look at continuity, which is a common character but has a popular popularity. Adult romance web novels should also note that the speaker of sexuality has become a woman. The woman is showing her own desires. Let's look at how the feminine sexuality of adult romance web novels is expressed. 웹소설의 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다. 웹소설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매체와 속성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웹소설 성격의 기원을 대중소설로 보고 읽히는 방식이 변화한, 매체 전환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로맨스 웹소설은 결국 로맨스 장르가 웹소설이라는 플랫폼을 통해장르적 속성을 더하고 있다. 로맨스 웹소설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때 성인용로맨스 웹소설이 수익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에서 나타나는 섹슈얼리티가 어디에서 기인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의 성격을 대중소설로부터 이어받고있으며 신문연재소설의 통속성과 잡지연재 소설 속의 섹슈얼리티는 지속적으로한국 문단에서 드러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후 60년대 여대생 소설에서는여성이 직접 여성의 성적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는 지금의 로맨스 웹소설과 비슷한 섹슈얼리티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신문연재를 진행한 박경리, 강신재와 같은 작가 또한 섹슈얼리티를 그리고 있으나 기간이 짧고 인기에 비해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유행에 그치고 말았다. 이러한 부분을 살펴 통속적인 성격이지만 대중적 인기를 지니고 있는 연속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은 또한섹슈얼리티의 화자가 여성이 되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여성이 직접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고 있다. 성인용 로맨스 웹소설의 여성적 섹슈얼리티는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웹소설 연재 주기와 연독률의 상관관계 연구 - 웹소설 연재 사이트 문피아 연재작을 중심으로 -

        하철승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rialization periods of web novels and the continuous reading rates in order to provide technical guidelines for serialization that must be kept in mind by writers who just entered the web novel industry to continuously create web novels and grow into professional web novel writers thereby preparing a foundation for the web novel industry to be reborn as a virtuous cycle industry. To that end, this study grasped the serialization periods of the works being serialized on the web novel service platform Munpia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erialization periods on the subscriptions and continuous reading rates to prepare technical guidelines for the successful serialization of web nove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eb novel works should be serialized at least five times a week in order to induce many readers to subscribe, and that serializing seven or more times a week has a positive effect on maintaining many subscriptions and high continuous reading rates. In the case of free serial works, the pause of serialization brought about immediate mass disertion of readers and consequent rapid declines in view counts. In the case of paid serial works, although the pause of serialization did not lead to immediate mass disertion of readers, when the pause of serialization continued for three days or longer, mass disertion of readers and declines in continuous reading rates occurred. Therefore, for a successful serialization with subscriptions by many readers, the work should be frequently and sincerely serialized without pausing serialization based on storytelling that provides fun to the readers to increase the continuous reading rate. Although this study is biased toward the technical aspects of web novel serialization, it is intended to help the development of the web novel industry into a virtuous cycle structure by helping those writers who plan to start serialization in the web novel industry that quantitatively grows day by da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 serialization and providing them with technical guidelines for serialization that will enable them to successfully settle in the industry. 본 연구는 웹소설의 연재 주기와 연독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웹소설 업계에 진입한 작가가 전문 웹소설 작가로 성장하기 위해 염두에 둬야 할 연재의 기술적 지침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웹소설 산업이 선순환하는 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웹소설 서비스 플랫폼 문피아에서 연재 중인 작품의 연재 주기를파악하고 구독과 연독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 7회 이상의 연재가 많은 구독과 높은 연독률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무료연재 작품의 휴재는 독자의 즉각적인 대량 이탈과 급격한 조회 수 하락을 가져왔으며 유료 연재 작품에서는 휴재 기간이 3일 이상 지속되면 독자의 대량 이탈과 연독률 하락이발생했다. 따라서 성공적인 연재를 위해서는 독자에게 재미를 선사하는 스토리텔링을바탕으로 휴재 없이 빈번하고 성실한 연재를 해야 연독률을 높이며 성공적인 연재를 할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웹소설 연재의 기술적인 부분에 치우친 면이 있지만, 웹소설 업계에서 연재를 시작하고자 하는 작가에게 웹소설 연재의 특성을 이해시키고그들이 성공적으로 업계에 안착할 수 있는 연재의 기술적인 지침을 제공하여 웹소설 산업이 선순환하는 구조로 발전하는데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외국 웹소설의 현황과 특성을 통해 본 국내 웹소설 발전의 시사점

        이용준(Lee, Yong Jun),최연(Cui, Yan) 한국출판학회 2017 한국출판학연구 Vol.43 No.3

        최근 웹소설은 작가의 개성이 자유롭게 드러나는 다양한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드라마, 영화, 게임 등의 원작으로 활용되는 기회가 늘어나면서 콘텐츠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웹소설이 안정적인 시장을 형성하지 못했고, 소수의 주도업체가 관심을 돌리면 언제든지 쇠락할 수 있는 불안전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새롭게 웹콘텐츠 시장에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웹소설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 웹소설이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는 북미, 중국, 일본 등의 웹소설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시장의 장단점을 통해 국내 웹소설의 지속가능한 성장방안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웹소설을 대표적인 IP 영역으로 성장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 문학 시장의 활력소가 되도록 선순환 기능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점, 웹소설에 중요한 요소인 팬픽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 출판사, 이동통신사, 서점 등이 함께 운영하는 웹소설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 연구의 결론으로 도출되었다. Recently, web novels are attracting much attention in the contents market as diverse stories in which the artist s personality is revealed freely are created, and opportunities for making drama, film, and games are increasing based on the web novels. However, Korean web novels still don t form a stable market, and if a few leading companies terminate their businesses, the market will be declined with an unstable environment.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in North America, China, and Japan, where web novels are relatively active, in order to explore the ongoing development direction of web novels that have been recognized as a possibility in the new web content market. And we examines the sustainable growth strategies of Korean web novels through explo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se countries s web novel marke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web novels as a representative IP(Intellectual Property) sector, to develop web novels into a vital place in the literary markets, and to create a web novel platform operated by publishers, mobile carriers and bookstores.

      • KCI등재

        한국 웹소설의 매체 변환과 서사 구조- 궁중 로맨스를 중심으로

        한혜원(Han Hye-wo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1 No.-

        본 논문은 한국 웹소설 중 궁중 로맨스의 매체 변환 양상과 서사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웹소설은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소설의 창작, 소비, 유통, 비평의전 과정이 이뤄진다. 한국의 경우 특히 2013년 이후 모바일 플랫폼과 웹 포털 사이트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웹소설이 대중화 및 산업화됐다. 한국 웹소설의 경우, 장르적으로는 주로 로맨스를 마스터 플롯으로 삼으면서, 판타지, 무협, SF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는 점에서 특이할 만하다. 또한 모바일 중심의 웹소설은 불특정 다수의 대중들을 사용자로 삼는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생산 및 소비되고 있다. 한국 웹소설은 웹소설 자체로 소비되는 것은 물론, 동일 서사가 이종 장르로도 매체 변환되고 있다. 웹소설은 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재산권)를 기반으로 삼기 때문에 저작권 중심의 인쇄문학보다 각색(adaptation)과 매체 변환의 유연성이 높은 편이다. 웹소 설에서는 모달리티(modality)를 중심으로 서사 단위를 분절하고, 이를 매체에 적합하게 변환한다. 즉 웹 콘텐츠의 경우 웹소설 등 개별 텍스트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적 이야기 세계(story world)를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매체적으로 볼 때 국내 웹소설의 경우 주로 TV 드라마로 변환되고 있는데, 이는 한국 웹소설과 TV 드라마 사이에 장르적 근접성(genre proximity)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3년 이후 국내 웹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연재된 웹소설 중 ‘조선’을 배경으로 삼는 ‘궁중 로맨스’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특히 조선은 한국 로맨스 웹소설에만 등장하는 배경이자 서사적 특이점이다. ‘왓패드’ 등 영어권 웹소설 사이트 에서 ‘조선(Joseon)’을 핵심어로 삼는 영문 궁중 로맨스가 다수 업로드되어 있다. 장르적 으로 볼 때 한국 궁중 로맨스의 경우, 로맨스를 마스터 플롯으로 삼고 두 개 이상의 세부 장르가 혼합되는 가운데 한국적 환상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윤이수의 웹소설인 <구르미 그린 달빛>을 구체적인 서사 및 매체 전환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 소설은 TV 드라마로도 매체 변환되어 대중적 성공을 거둔 바 있다. 이 소설의 배경이자 특이점인 조선은 로맨스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부조리하고 병폐한 사회로 설정되어 있으며, 젠더 정체성의 문제, 신분의 차별, 가족 로맨스 등 다양한 현대 사회의 문제가 나타난다. 이에 등장인물은 당면한 현실을 비극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적극 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금기를 위반한다. 이들의 로맨스는 우연과 낭만을 통해 이뤄 진다기 보다, 필연과 이해를 통해서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불평등과 부패의 현실 묘사는 2016년의 웹소설 독자에게 가상의 문제가 아닌 현실의 문제로 인식될 수 있다. 이처럼 궁중 로맨스 <구르미 그린 달빛>는 가상의 조선이라는 허구적 시공간의 배경 과, 로맨스라는 마스터 플롯을 기반으로 삼아 현대 한국 사회의 문제들을 허구적 인물과 사건을 통해서 재현한다. 결국 금기와 위반의 사건은 안정적인 가치와 질서를 회복하고 권선징악을 통해서 안전하게 종결된다. 이처럼 한국 웹소설은 불특정 다수의 대중을 중심 으로 창작 및 소비되면서 그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면서, 나아가 적극적으로 매체변환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웹소설은 한국 대중문학의 표본이자 대안이라 할 만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arrative and translation of the Korean web novels. The web novels are based on the web platform, and are produced and consumed mainly by portal sites for the majority of the public. In Korea, web novels have become more popular and industrialized especially since 2013, using various mobile devices. In the case of Korean web novels, romance is mainly used as a master plot, and covers various genres such as fantasy, martial arts, and SF. Korean web novels are translated into other media genres. Since web novels value IP (Intellectual Property), it is easy to adapt to other media. The Web novels focus on the narrative units of the modality and translate them accordingly to the media. Individual texts are linked together to form one integrated narrative world. In particular, the Korean web novels are mainly adapted into TV dramas because the genre proximity between Korean web novels and TV dramas are high. In this study, romance of royal court based on Joseon Dynasty was selected as an analysis text. In particular, Joseon Dynasty is only featured in Korean romance novels. There are a lot of English court romances that use Joseon as a key word in Wat pad . In the case of Korean court romance, romance is used as master plot, and two or more genres are mixed. In this study, Yun Yi-soo s web novel <Moonlight(Groom-ie-grin-dal-bit)> was selected as a specific analysis text for translation. This novel was adapted into a TV drama, and it was also very popular with it. The setting of this novel, Joseon is depicted as a corrupt society, and reflects a variety of contemporary social issues such as sexism, discrimination and family problem. The characters perceive them as tragic and strive to solve them positively. The descriptions of these inequalities can be accepted as a matter of reality not a virtual matter, for the readers of web novels in 2016. In the end, it regains a vested right and cares for morality. As a result, Korean web novels are expanding and consumed through public. They are being actively translated into various media. Therefore they can be considered and expected to be the alternatives of Korean pop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