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한 취약점 점검 도구를 이용한 자동화된 네트워크 취약점 통합 분석 시스템 설계 (pp.246-250)

        윤준(Jun Yoon),심원태(Wontae Sim)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2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취약점 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취약점 점검 도구를 통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취약점 자동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전문가에 의한 수동 점검이 가장 정확한 취약점 점검 방법으로 평가되지만, 복잡하고 규모가 큰 네트워크의 경우 효율적인 취약점 분석을 위해 자동화된 네트워크 취약점 점검 도구를 활용한다. 그런데 취약점 점검 도구의 종류에 따라 점검 대상이 다르거나 동일한 점검 대상에 대해서도 점검 항목과 점검 결과가 다를 수가 있어, 상호보완적인 목적으로 몇 개의 취약점 점검 도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취약점 점검 도구들의 점검 결과에 대한 연관성 분석과 통합 분석에는 사람에 의한 수동적인 분석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것은 상당히 시간 소모적인 작업이 되고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통합 분석이 불가능하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취약점 점검 도구를 통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공통의 점검 정책 수립과 통합 분석의 자동화를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취약점 통합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network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which can integrate various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s to improve the preciseness of the vulnerability scan result. Manual checking method performed by a security expert is the most precise and safe way. But this is not appropriate for the large-scale network which has a lot of systems and network devices. Therefore automatic scanning tool is recommended for fast and convenient use. The scanning target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 of vulnerability scanners, or otherwise even for the same scanning target, the scanning items and the scanning results may be different by each vulnerability scanner, Accordingly, there are the cases in which various scanners, instead of a single scanner, are simultaneously utilized with the purpose of complementing each other. However, in the case of simultaneously utilizing various scanners on the large-scale network, the integrative analysis and relevance analysis on vulnerability information by a security manager becomes time-consumable or impossible. The network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suggested in this paper provides interface which allows various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s to easily be integrated, common policy which can be applied for various tools at the same time, and automated integrative process.

      • 취약지역(Vulnerability area) 연구 동향 : 국내 학위논문과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세준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16 地理學論叢 Vol.62 No.-

        취약지역은 사회적 공간의 개념으로, 사전적 의미는 무르고 약하다는 ‘취약(脆弱)’과 전체 사회를 어떤 특 징으로 나눈 일정한 공간 영역인 ‘지역(地域)’의 합성어로서 영어로는 Vulnerability area 혹은 Weak area 등으로 표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이후로 지금까지 취약지역에 관한 여러 측면의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으 나 아직까지 취약지역 연구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와 사회적 약자나 소외계층이 거주하는 거주지로서의 취 약지역에 대한 접근은 전무하다. 이에 본 논문은 취약지역 관련 국내 연구논문들의 동향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그 특징과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에는 주제별로 연구자의 주관에 의해 분류하였다. 그 결과, 비록 주제가 다양화되고 있긴 하지만 국내 취약지역 관련 연구는 아직 발전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고 사료 되며 향후 질적, 양적인 성장을 꾀하고 내실 있는 연구 성과들을 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나아가, 공간을 다 루는 지리적 분야에서도 좀 더 폭넓고 다양한 관점으로 취약지역에 대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동시에 이러한 공간들이 우리사회에서 차지하는 입지와 위상을 면밀히 고찰하고 여러 가지 현실적인 이유들로 그동안 주 목받지 못한 분야들의 취약지역들이 조명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Vulnerability area is a concept of social space area and dictionary definition is a compound word that combine vulnerable and region as a space area. The vulnerability area research is growing dramatically since early of 1990. In this situation, while the number of vulnerability area studies have been increased from the late of 2010, there is no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not only describing the trend of vulnerability area research but also shed light on as a living residence where the people who underprivileged or socially weak live a life.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a trend of the whole domestic studies of vulnerability area and find characteristics with implications. To seek a trend, this study organizes the domestic research papers in thematically. In the result, the subject of the vulnerability area research studies is getting diverse. However, they are still in the early stage and cannot progress from the fragmentary and simple research. Especially, not only the approaching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of vulnerability area but also diversity studying the vulnerability area based on the consilience stance in the geography field is needed to in-depth study on vulnerability area.

      • KCI등재

        의료 취약성을 고려한 폭염 재해 취약성 분석 및 취약지역의 특성 도출

        최혜림,한우석 국토연구원 2021 국토연구 Vol.110 No.-

        This study analyzed heat wave disaster vulnerability considering medical vulnerabilities and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areas through this. As a method of research, first, present vulnerability with the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analyzed. Second, medical resource vulnerabilities and emergency medical access vulnerability assessment were performed to analyze medical vulnerability. Finally, the heat wave vulnerable areas were derived through overlapping analysis, and policy measures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as with high medical vulnerability and heat wave disaster vulnerability are also highly vulnerable to climate exposure, poor residential areas, and vulnerable populations. As a result, measures such as the maintena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expansion of the operation of a hot shelter could be proposed around old houses. On the other hand, areas with relatively low vulnerability were found to have low vulnerability about urban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climate exposure and road area etc. However, in comparison, vulnerability to the vulnerable population is highly derived, making it difficult to respond appropriately in the event of a thermal illness. As a result, measures such as expansion of medical institutions and preparation of a system of care activities for vulnerable groups by region could b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urban planning considering disaster prevention. 본 논문은 의료 취약성을 고려한 폭염 재해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취약지역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중 현재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의료 취약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료 자원 취약성과 응급 의료 접근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첩분석을 통해 폭염 취약지역을 도출하고,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여 폭염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 취약성과 폭염 재해 취약성이 모두 높은 지역은 의료 취약성과 함께 기후노출, 주거불량지역, 취약인구에 대한 취약성이 높은 것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노후 주택을 중심으로 주거환경정비 및 무더위 쉼터 운영 확대 등과 같은 방안들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낮게 도출된 지역은 기후노출과 도로면적과 같은 도시 물리적 환경의 취약성이 낮아 폭염 재해 취약성이 낮게 도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에 비해 취약인구에 대한 취약성은 높게 도출되어 온열질환자 발생 시 적절한 대응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 확대 방안 및 지역별 취약계층 돌보미 활동 체계 마련 등과 같은 방안들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는 재해의 특성을 반영한 취약성 분석 개선방안 마련 및 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도입을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단위 취약점 식별자 부여 자동화에 대한 연구

        김형종 ( Hyung-jong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9 No.6

        단위 취약점(atomic vulnerability)은 기존의 취약점의 표현방법이 갖는 모호성을 개선하여, 취약점을 시스템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취약점의 새로운 정의이다. 단위 취약점은 취약점의 유형, 위치, 결과 등에 따라 보다 세분화하여, 취약점을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자 할 때 필요한 정보로서, 기존의 취약점은 몇 개의 단위 취약점 식별자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현재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취약점 정보인 CVE(Common Vulnerability Exposure)의 경우, 취약점의 핵심적인 내용을 자연어 형태의 설명(description)을 통해 제시한다. 이러한 CVE의 설명 정보는, 정형화되어 있지 않아서 단위 취약점 분석을 위해서는 기존의 CVE 설명 정보에서 특정 단어들을 검색하여 데이터를 분류하는 자연어 검색 및 판단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 검색 기법을 이용하여 단위 취약점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이를 실제 구현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설명위주의 취약점 표현을 정형화된 형태로 변환해 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개발에 있다. AV (Atomic Vulnerability) is a conceptual definition representing a vulnerability in a systematic way. AVs are defined with respect to its type, location, and result. It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meaning based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 Therefore the existing vulnerability can be expressed using multiple AVs. CVE (common vulnerability exposures) which is the most well-known vulnerability information describes the vulnerability exploiting mechanism using natural language. Therefore, for the AV-based analysis, it is necessary to search specific keyword from CVE`s description and classify it using keyword and determination method. This paper introduces soft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result, which can be used for atomic vulnerability analysis. The contribution of this work is i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ftware which converts informal vulnerability description into formal AV based vulnerability definition.

      •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 (Ⅰ)

        명수정,최영은,최현일,( Youngil Kim )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 북한의 기후변화는 전 세계 평균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관련한 영향과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기후변화 대응이 시급 ○ 기후변화에 대응한 협력 추진을 위하여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이해하고 남북협력의 기반 마련 필요 □ 연구의 목적 ○ 향후 남북 간 및 국제사회와의 기후변화 대응 협력추진을 위해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검토하고 관련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함 - 기후변화 취약성 파악을 위한 평가틀을 구축하고 관련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시범적으로 적용 Ⅱ.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취약성 동향 1. 국내외 기후변화 동향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이 가속화 ○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는 전례 없는 수준으로 높으며 지표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과 비교하여 약 0.8~1.2℃ 상승하였음 ○ 국제사회는 파리협정의 체결과 탄소중립 선언 등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로 인해 기후변화는 계속 진행될 전망 □ 한반도는 전 세계 평균보다도 빠르게 기후변화가 진행 중 ○ 기상청의 기후평년값 분석에 의하면 최근 남북한은 온난화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남 - 남한의 평균기온은 이전 30년(1981~2010년)의 평년값 12.5℃인 데 반해 최근 30년(1991~2020)의 평년값은 12.8℃로 0.3℃ 상승 - 북한의 평균기온은 이전 평년값 8.5℃인데 반해 최근 평년값은 8.9℃로 0.4℃ 상승 ○ 강수량의 경우 이전 기후 평년값(1981~2010)에 비해 신 기후 평년값(1991~2020)이 남한은 1.4mm, 북한은 7.7mm 감소하였음 2. 기후변화 취약성과 리스크 및 분석 틀 □ 기후변화 취약성의 개념과 기후 리스크 ○ 기후변화 취약성은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특히 중요한 개념이자 필수 정보이며, 이를 바탕으로 적응 방안과 전략을 도출할 수 있어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핵심절차 - 기후변화 취약성은 한 사회나 개인이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대응하거나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경향을 의미함 ○ 기후변화 리스크는 취약성과 같은 평가과정을 거치기도 하며, 대상지역의 기후변화 영향과 피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후 리스크를 목록화하여 적응방안 도출에 활용하는 접근도 이루어지고 있음 □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틀 ○ 기후변화 취약성은 주로 기후변화에 대한 노출과 민감도, 그리고 적응역량의 함수로 평가되어 왔으나 최근 자연재해와 같은 기후 관련 위해(hazrd) 요소를 함께 고려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기후 리스크로 부르기도 함 ○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을 기후 노출과 민감도, 그리고 (기후) 위해의 세 요소가 함께 잠재적인 기후변화 영향을 초래하며, 적응역량을 통해 기후 영향을 상쇄하고 최종적으로 잔류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취약성으로 부름 - 본 연구는 위해 요소가 포함된 기후변화 취약성·리스크 개념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분석틀로서 <그림 1>과 같이 제시함 ※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리스크를 줄여 기후변화 취약성으로 부름 Ⅲ. 북한지역 기후변화 취약성 시범 검토과 1차 연도 결론 1.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틀의 시범적용 □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 검토를 위한 관련 현황 조사 및 자료 수집 ○ 북한지역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파악하고자 이상에서 제시한 취약성 분석틀을 적용하기 위해 관련 현황조사와 입력 자료를 구축함 - (기후) 위해 부문의 경우 폭염, 열대야 일수, 홍수, 재난이력 항목으로 구성 - (기후) 노출 부문의 경우 온도, 강수량, 습도, 풍속으로 구성하였으며, 온도의 경우 다시 연평균 기온, 연평균 최고 및 최저기온 세부 항목으로 구성 - 민감도의 경우 지형, 인구, 토지 및 토양, 보건 및 건강으로 구성하였으며, 인구는 인구 밀집도와 취약인구, 토지·토양은 토지이용과 토양침식, 보건·건강은 발육부진과 질병 발생률의 세부 항목으로 구성 - 적응역량 부문은 교통 접근성, 물 접근성, 하수도 접근성, 청정에너지에 대한 접근성, 식량 접근성, 그리고 정보에 대한 접근성 항목으로 구성 □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틀의 북한지역 시범 적용 ○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파악하고자 이상에서 구축한 입력자료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틀을 시범적으로 적용함 ○ 입력자료는 서로 다른 단위와 범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취약성에 대한 정량적 연산이 가능하도록 표준화 과정을 거침 □ 기후변화 취약성은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역량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평양과 황해북도 및 양강도 지역이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황해 남도와 함경남도 지역은 기후변화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황해남도와 평안북도가 높았으며, 적응역량의 경우 평양과 평안남도 지역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음 2. 1차 연도 결론 및 향후 계획 □ 북한의 기후변화 영향과 취약성 ○ 남북한은 모두 같은 추세로 기후변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북한의 온난화는 남한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은 기후변화의 영향과 적응역량 등에 따라 지역 간 차이를 보임 ○ 적응역량이 높을 경우 취약성을 줄여줄 수 있으므로 적응역량을 높여나가는 것이 필요함 □ 향후 계획 ○ 차기연도에는 IPCC AR6의 새로운 기후 시나리오 반영 등 보다 최신의 입력자료를 수집, 1차 연도의 시범결과를 보완하여 기후변화 취약성을 파악할 예정 ○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유엔기후변화협약 등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논의 동향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남북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Ⅰ.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 Background of the Study ○ Climate change in North Korea is progressing faster than the global average, and its impacts and damage are increasing. ○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rth Korea'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lay the groundwork for inter-Korean cooperation in order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 Purpose of the study ○ In order to promote cooper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nd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vulnerability of North Korea to climate change and collect basic data related to it. - Establishing an analysis framework to figure out the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collect relevant basic data, and apply it as a pilot application Ⅱ. Climate Change an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rends 1. Trends of Global and Domestic Climate Change □ Global climate change is accelerating ○ The concentration of greenhouse gases in the atmosphere is unprecedentedly high, and the average surface temperature has risen by 0.8~1.2℃ compared to the pre-industrial level. ○ Althoug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mitigate climate change, such as the Paris Agreement and the Declaration of Carbon Neutrality,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continue due to the greenhouse gases already emitted. □ The Korean Peninsula is undergoing climate change fast ○ According to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analysis of the average annual value of climate, the recent warming in the Korean Peninsula is clearly visible. - The average temperature in South Korea was 12.5℃ for the previous 30 years (1981 to 2010), whereas the average temperature for the last 30 years (1991 to 2020) was 12.8℃, showing an increase of 0.3℃. - The average temperature in North Korea was 8.5℃ in the previous 30 years, but the recent 30 years’ average temperature is 8.9℃, showing an increase of 0.4℃. ○ In the case of precipitation, the new 30 years(1991~2020) average decreased by -1.4 mm in South Korea and -7.7 mm in North Korea compared to the previous 30 years(1981 ~ 2010). 2.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Risk, and Analysis Framework □ The Concept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Climate Risk ○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s a particularly important concept and essential information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because adaptation measures and strategies can be drawn based on this. -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refers to the tendency of a society or individual to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due to lack of capacity to respond or adapt to the negative effects of climate change. ○ Although climate change risks go through the same evaluation process as vulnerability, there is also an approach that lists specific climate risks based on information on the impact and damage of climate change in the target area and uses them to derive adaptation measures. □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Framework ○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has been mainly analyzed as a function of exposure and sensitivity to climate change, and adaptive capacity. ○ The three factor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hat is,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climate) hazard together cause potential climate change impacts. In this study the residual impact of climate change are impacts after the adaptation capacity mitigated the climate impacts. -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vulnerability and risk to climate change including hazard factor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as shown in < Figure 1 >. ※ This study will use the term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o mea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risk”. Ⅲ. A Pilot Analysi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 North Korea and Conclusion of the First Year’s Study 1. Pilot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Framework □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collect data to review North Korea'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 In order to figure out the vulnerability of North Korea to climate change, input data sets were established to apply the framework of vulnerability analysis presented above. - The category of “Hazard” consists of heat waves, nights with extreme hot temperature, floods, and disaster history. - The category of “Climate Exposure” consists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humidity, and wind speed. The “temperature” is further divided into average annual temperature and average annual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 The category of “Sensitivity” was composed of topography, population, land and soil, and health. Population was further divided into population density and vulnerable population. Land and soil contained land use and soil erosion. Health was classified into stunted growth and disease incidence. - The adaptive capacity consists of transportation access, water access, sewer access, access to clean energy, access to food, and access to information. □ Pilot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to North Korea ○ In order to figure out the vulnerability of North Korea to climate change, the framework for evaluating vulnerability was applied as a pilot using the input data constructed above. ○ Since the input data has different units and ranges, a standardiz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to enable quantitative calculation of vulnerabilities. □ Variant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Depending on Regional Climate Change Impacts and Adaptive Capacities ○ The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was relatively low in Pyongyang, North Hwanghae and Ryanggang Provinces, while South Hwanghae and South Hamgyong Provinces showed relatively high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igure 2). ○ As for the sensitivity to climate change, South Hwanghae and North Pyongan Provinces were high, and Pyongyang and South Pyongan Provinces showed relatively high adaptive capacity. 2. The First Year’s Conclusions and Future Plans □ North Korea’s Climate Change Impact and Vulnerability ○ Climate change is progressing in the same trend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s, and the warming in North Korea is progressing faster than in South Korea, affecting the society as a whole. ○ North Korea’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varies among regions depending on climate change impacts and adaptive capacities; if adaptive capacity is high, vulnerability can be reduced. □ Future Plans ○ In the next year, more up-to-date input data such as new climate scenarios by IPCC AR6 will be collected and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will be supplemented to figure out the vulnerabilities and risks of climate change. ○ The researchers hope to propose a plan for inter-Korean cooper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by figuring out the vulnerability to and risk of climate change in North Korea and by identifying the trend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discussions on climate change,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 KCI등재

        노인의 범죄두려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취약성 가설을 중심으로

        송일호 ( Shong Il Ho ),곽대경 ( Kwack Dae Gyung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5

        이 연구는 취약성 가설을 통하여 노인의 범죄두려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범죄두려움 연구에서는 개인이 가지는 취약성에 주목했고 개인의 실질적인 범죄취약성 인식에 주목하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기존의 취약성 가설에서 주장하는 신체적, 사회적 취약성을 측정하는 지표들이 범죄취약성 인식을 거쳐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지, 범죄두려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형사정책 연구원에서 전국을 대상으로 수집한 전국범죄피해조사(KCVS) 2014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의 경우 기존 취약성 가설을 지지하였으며, 범죄취약성 인식을 거쳐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교육수준의 경우 취약성 가설과 상반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범죄취약성 인식을 거쳐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취약성 가설의 설명에 반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노인의 경우 향후 재산형성의 어려움과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경제적 지출의 우려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primarily aimed at examining elderly crime fears through vulnerability hypotheses. Previous studies of crime fears have focused on the vulnerability of individuals and not on the recognition of their actual vulnerability. In response, the study tested whether metrics that measure physical and social vulnerabilities claimed in the existing vulnerability hypothesis affected crime fear through vulnerability awareness or directly affected crime fear.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was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Korean Crime Victim Survey(KCVS)2014,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The analysis shows that gender supports the existing vulnerability hypothesis and affects crime fear through vulnerability awareness. Age and education levels have a contrary effect to the vulnerability hypothesis. Income has been shown to influence crime fears through vulnerability recognition, which in the case of senior citizens, is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create property in the future and concerns about economic expenditures due to increased life expectancy as a result of countering the existing vulnerability hypothesis.

      • KCI등재

        자연재난에 의한 재난취약계층의 재난안전복지 개선 방향 : 전라북도 임실군의 노인계층을 중심으로

        김명구,양기근,정기성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9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난은 그 피해가 급증하고, 더욱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로 최근 10년간의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는 계속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고령화 또한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초고령 비율이 20%까지 도달하는데 단 9년 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기후변화로 발생빈도와 피해규모가 커지고 있는 자연재난에 취약한 재난취약계층의 현황 및 재난 대응취약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속화되고 있는 노령화에 대비하여 재난취약계층 중 노인계층을 중심으로 재난대응 취약성에 대한 통계자료와 설문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노인계층의 재난안전복지서비스의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맞춤 재난안전복지서비스를 더욱 활성화 시키고자 하였다. 재난대응 취약성 조사를 위해서 전라북도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문헌자료 및 통계자료를 수집하였고, 노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과 경제적 취약성, 신체적 취약성, 환경적 취약성 및 재난정보 취약성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노인계층의 재난취약성 조사 결과, 이들 대부분은 경제적 취약성, 신체적 취약성, 환경적 취약성 및 재난정보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어 재난취약 노인계층을 위한 재난안전복지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damages of natural disasters due to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rapidly and becoming a big threat. Similarly for Korea, damages from natural disasters have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 and also, the society is facing a rapidly aging population. It is projected that it will take only 9 years to reach 20% of the Korea's super-aged popula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disaster countermeasures and status of the vulnerable groups to natural disasters in which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size of damage are getting greater due to the recent climate change. Especially, the focus was on the elderly groups among the vulnerable groups to considering accelerated population aging phenomenon. I'd like to introduce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disaster-safety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groups through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tatistical data and surveys on vulnerability of disaster countermeasures and vitalize the customized disaster-safety welfare services. For the research on vulnerability of disaster countermeasure, literature materials and statistical data on early groups in Jeollabuk-do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and studied from eld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conomic vulnerability, physical vulnerability, environmental vulnerability, and disaster information vulnerability parts. As the result, most of the subjects showed economic vulnerability, physical vulnerability, environmental vulnerability, and disaster information vulnerability.

      • KCI등재

        후견제도에 나타난 정책대상자의 취약성과 피해 경험 - 취약할수록 피해 경험도 더 많은 것일까? -

        김민주,윤태영 한국행정연구원 2022 韓國行政硏究 Vol.31 No.1

        The benefits provided by the policy are also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vulnerability.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its premise. A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using the specific guardianship system, and a total of 229 people respond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4 out of 6 vulnerability questionnaires, the policy target group with low vulnerability experienced more dam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mise that the higher the vulnerability, the greater the experience of damage is not always correct. There are two possible interpretations of this. What is clear, however, is that the less vulnerable are experiencing more damage than the more vulnerab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modify the policy considering that the less vulnerable policy target group may experience more damage. And a policy that grants the right to cancel based only on the degree of vulnerability is not appropriate. 본 연구에서는 후견제도를 사례로 하여 정책대상자의 취약성과 피해 경험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실시 하였다. 흔히 정책대상자의 취약성을 고려하는 정책의 경우 취약할수록 더 많은 피해 경험을 겪을 수 있다고 전제하면서 취약성 정도에 따른 정책 지원 혹은 혜택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바로 그 전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즉, 취약성을 지닌 정책대상자가 취약할수록 피해 경험도 더 많은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후견제도 중 특정후견에 초점을 두고 피특정후견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응답자: 229명)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취약성 항목 중 4개의 취약성 항목 에서 취약성이 덜한 경우에 오히려 피해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취약성이 높다고 해서 피해 경험이 더 많을 것이라는 전제가 옳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결과이다. 물론 이에 대한 가능한 해석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나, 실증 분석에서 드러난 분명한 사실은 취약성이 덜한 경우가 취약성이 더한 경우보다 피해를 더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취약성이 덜한 정책대상자의 피해 경험이 오히려 더 많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한 정책설계 및 기존 정책 수정이 필요하고, 또 취약성 정도만을 기준으로 취소권을 부여하는 정책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기후변화와 대규모 하천정비 사업을 고려한 낙동강 유역 자연재해 홍수 취약성 평가

        김환석,박기정,김상단,최민하,박무종,윤재영,Kim. Hwan Suk,Park. Gi Jung,Kim. Sang Dan,Choi. Min Ha,Park. Moo Jong,Yoon. Jae Young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2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응전략의 일환으로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취약성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전세계를 대상으로 실시된 국가단위 취약성 평가방법을 국내에 적용하는 것은 공간스케일의 차이로 인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약성 평가의 국내적용의 일환으로서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대규모 하천정비사업 영향에 의한 취약성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조사 및 가용 자료 검토를 통하여 취약성지표 대리변수를 선정하였고, 시군구별 자료를 수집하여 엔트로피 방법에 의해 대리변수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선정된 대리변수와 엔트로피 방법을 사용해 결정된 가중치를 활용해 취약성을 계산하고 이를 지도로 작성하여 검토한 결과 홍수취약성 높은 지역이 과거 침수피해지역과 상당부분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어 방법론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상태와 비교할 때 대규모 하천정비에 의해 취약성이 완화되는 지역이 있었으며, 미래 기후변화에 의해 취약성이 증가하는 지역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래상황에서의 대규모 하천정비사업의 효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 증가로 인해 취약성 완화에 있어 그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취약도 우선순위 지역 판별을 통해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및 방재 계획 수립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has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world due to climate change. As part of adaptation strategies, concept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s introduced abroad to identify flood hotspots and to establish improvement measures. However, there has been very few research on vulnerability domestically. In addition, vulnerability studies conducted at a country level was also reported to be unsuitable for sub-country level. In this study, we conduct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entropy method for the Nakdong River Basin as part of domestic application. Vulnerability for present condition are first determined, and then changes in vulnerability due to climate change and large-scale river restoration project to identify their impacts. To achieve this, proxy variables that make up the vulnerability index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survey and data availability. Using data collected for this area, weights for proxy variables were then determined by entropy method. Finally, vulnerability was calculated and mapped for the basin. Reviewing the vulnerability maps showed that vulnerability hotspots were consistent with historical flooded areas for present condition. This suggests that the methodology employed is reasonable. The results for future scenario also showed that there were areas where vulnerability is mitigated by the large-scale river restoration project but also increased by climate change. However, the effect of the project in the future is found to be minimal because the decrease in water level by the project is offset by the increase in runoff due to climate change.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thought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the disaster prevention plan and climate-change adaptation policy by identifying hotspots.

      • KCI등재

        GIS기반 시공간정보를 이용한 건강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유성진,이우균,오수현,변정연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2

        To prevent the damage to human health by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for establish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this study,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vulnerable area for making adaptation policy.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human health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xtreme heat, ozone, and epidemic disease. To assess vulnerability, suitable indicators were selected by three criteria; sensitivity, adaptive capacity, and exposure. spatial data of indicators were prepared and processed using GIS technique. As a result, high vulnerability to extreme heat was shown in the low land regions of southern part. And vulnerability to harmful ozone was high in the surrounding area of Dae-gu basin and metropolitan area with a number of automobiles. Vulnerability of malaria and tsutsugamushi disease have a region-specific property. They were high in the vicinity of the Dimilitarized zone and south-western plain, respectively. In general, vulnerability of human health was increased in the future time. Vulnerable area was extended from south to central regions and from plain to low mountainous regions. For assessing vulnerability with high accuracy, it is necessary to prepare more related indicators and consider weight of indicators and use climate prediction data based on the newly released scenario when assessing vulnerability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적응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건강 부문의 취약성 평가는 폭염, 오존, 매개질환 전염병의 세부 부문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각 부문별로 민감도, 적응능력, 노출 규준을 설정하고, 적합한 평가 지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GIS를 이용하여 지표별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처리하였다. 그 결과, 폭염에 의한 취약성은 남부 지방의 저지대가 중부지방에 비해 높았고, 오존에 의한 취약성은 대구분지 주변과 자동차수가 많은 수도권 및 대도시권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역 특이성이 높은 말라리아와 쯔쯔가무시증은 각각 군사분계선 근방, 남서 평야지대에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래에는 전반적으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부에서 중부로 그리고 평지에서 낮은 산간지대로 취약 지역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관련 지표 자료의 확보와 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새로운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상예측자료를 사용하면 좀 더 신뢰성 높은 취약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