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한영 문학번역에서 의미의 정착: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의 영역본의 분석에 근거해서

        박옥수 ( Ock Sue Park ) 한국비교문학회 2013 比較文學 Vol.0 No.60

        Main considerations a literary translator should have in mind are communicating with the target readers and pursuing aesthetics of the original. Communication has a purpose for transferring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o target readers while the pursuit of the aesthetics is to faithfully transfer the original`s spirit. The imbalance between the sourc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which occurs in translating minor language into major language, has brought translation studies to active argument. Korean-English literary translation is also categorized as “translating to major language” and is difficult to be free from the limitation of literary translation to major language. The main dilemma translators often face is that linguistic and cultural factors are lost in the translation process. This study examines in specific detail how the meanings of the source text is transferred into the target text based on the English translation of “She knows, I know, and Heaven knows” written by Pak Wanso. I will discuss about the imbalance of linguistic and cultural communication, and look at the background of the Korean-English literary translation and the literary features of the source text. In the next stage, I will analyse the strategies adopted by the translator and present the model translation where necessary for producing desirabl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To explain the analyzing method specifically, I established the micro unit such as typical Korean vocabulary and cultural expressions, and then categorized them into the description of typical Korean foods, peculiar Korean characters, Korean socio-cultural phenomenon, idioms, and metaphor. Worldly desires is a universal theme. There are plenty of vocabularies in the original which depicts the customs, culture, and society of the work scene. This expressions are appropriate material to define the human`s desires. Therefore these are mundane and common elements in Korean fiction, which means that the data secures universality as the analysing target,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ppropriate translation corpus for would-be translators.

      • KCI등재

        번역 툴(tool) 사용자로서 ‘번역사 능력(Translator Competence)’의 중요성 고찰

        신지선 한국통역번역학회 2007 통역과 번역 Vol.9 No.1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translation tool using skills in an electronic age. Over the years, there has been extensive discussion into the nature of translation competence. However, the focus has been placed mainly on linguistic and cultural aspects of translation. Becoming a professional translator in a fast-changing high-tech environment entails the capability to produce texts using various tools. Many softwares are also great contributors to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studies by facilitating the analysis of translation phenomena. Accordingly, translator's competence in capitalizing on advanced technology ought to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part of becoming a competent translator.

      • KCI등재

        석보상절 제 9권의 내용과 언어 현상

        이유기(Lee, Yu Ki)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석보상절』은 수양대군이 어머니인 昭憲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편찬한 책이다. 중국의『釋迦譜』와『釋迦氏譜』를 참조하여 한문본『釋譜詳節』을 만들고, 이를 번역하였다. 이 책에 대하여 국어학 분야에서는 서지적 연구와 역주, 저경 소개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아쉬운 점은 상당수의 역주서가 편집의 제약 때문에 소략하게 이루어졌고 저경과의 대비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이 글에서는『약사경』(唐 玄? 한역)을 번역한『석보상절』제 9권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 두 가지 문제를 논의하였다. 첫째는『석보상절』제 9권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 권차에 『약사경』의 번역을 담게 된 동기를 밝힌 것이며, 둘째는『석보상절』제 9권에 나타난 언어 사실을 국어학적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약사경』을『석보상절』에서 번역한 동기는 다음 두 가지로 보인다. 첫째는 ??약사경??에 중생들의 安樂에 대한 약사여래의 12서원이 나타나 있는데, 그것은 세속적 통치자의 사명 또는 소망과 부합하기 때문이다. 둘째는『약사경』에 담겨 있는 정토 신앙이 소헌왕후의 追薦과 밀접하게 관련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언어 사실 중에는 지금까지 자세하게 조명되지 못한 것이 많이 있다. 이 글에서는 논의가 필요한 13 항목을 뽑아서 검토해 보았다. 이 검토를 통해서 중세국어의 몇 가지 언어 현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이 책의 번역이 인도 및 중국과 우리나라의 문화적 차이까지 고려하였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SeokPosangjeol was compiled by the Grand Prince Suyang in order to pray for an easy passing into eternity of his mother, Queen Soheon. Only ten of the 24 volumes have been passed down today(vol. 3, 6, 9, 11, 13, 19, 20, 21, 23, 24). While bibliographical study, translation, annotation and introduction of original texts of these books have been actively done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quite a few copies of the translation with notes have only been roughly made due to the limitation in the compilation process. Furthermore, comparisons with the original texts are limited as they have been barely mad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se books is important in Korean linguistic studies about this book, as it is rather difficult to understand some phenomena of language without comparing the translated copies to the original text. This paper discusses two issues on SeokPosangjeol Vol. 9, which translated Yaksagyeong: firstly, it researches the motive behind the inclusion of the translation of Yaksagyeong into SeokPosangjeol Vol. 9; secondly, it examines language phenomena in SeokPosangjeol Vol. 9 from the aspect of Korean Linguistics. There seem to be two reasons for the translation: i) 12 wishes and vows of Yaksabul for the comfort of mankind are addressed in Yaksagyeong, which correspond to the mission or wishes of king ; ii) the desire for an easy passing into eternity, mentioned in Yaksagyeong, is closely related to the pray for the peaceful rest of Queen Soheon. In fact, a number of language phenomena in this book have not been reviewed in detail. This paper examines 13 items in this book. Through this examination, not only the linguistic phenomena of the book are explained, but also it shows that the translation of the book took account of cultural differences amongst India, China and Korea.

      • KCI등재

        清末意譯元素名用字考察——以《化學初階》《化學指南》爲中心

        牛振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3 한자연구 Vol.- No.35

        Translators of chemical translations in the late Qing Dynasty translated element terms in several ways: connected with Chinese natural object nouns and recorded new meanings with the same characters of the nouns, created translated names, used common words, borrowed from inherent Chinese characters, and created new character. Translators use or create characters according to different motivations, and the selected characters may accord with the components of the characters coincidentally, resulting in one character with multiple translations. As different translators translated the foreign names of the same element, different motivations for selecting/creating characters, or the same motivations with different components of the characters, resulting in different characters with the same usage.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words used in the translation of Hua Xue Jian Yuan and the requirements for the systematic use of words, most of the words used for liberal translation that are related to the natural nouns have been retained, and the other words have been almost eliminated. The reasons for the elimination include: the selection of inherent Chinese characters leads to an imbalance in the Chinese character system, the inconvenience of the recognition/use of borrowed and created characters, the phenomenon of one character with multiple translations and different characters with the same usage, etc.

      • KCI등재

        이수정 역(譯) 『신약마가젼복음셔언□』(1885)의 표기 특징 및 국어학적 의의

        김성옥 ( Kim Seong-ok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0

        이 연구는 이수정과 그의 역(譯) 『신약마가젼복음셔언□』(1885)에서의 격조사 및 음운현상의 표기 특징 등을 살피는 데 있다. 조선의 유학자 이수정은 1880년대에 일본에서 기독교 활등을 역동적으로 한 인물이다. 그의 역(譯)에 대한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격조사이다. 체언말 ‘ㅅ’과 ‘ㄹ’, 명사형 어미 ‘ㅁ’ 등의 환경에서는 당시의 표기형 및 표기자의 표기 관습 등이 보이긴 하나 체언과의 연쇄에서 대체로 분철표기라든가, 목적격과 주제격조사가 한글편지나 학부 편찬 개화기 교과서의 ‘□, □’과는 달리 ‘를’과 ‘는’으로 일관되는 등의 현대국어의 표기 특징들을 반영하고 있음을 살폈다. 음운현상의 경우도 평파열음화에서는 표기사적 변화에 따른 음소주의 표기법이 보인다. 하지만 어두제약현상에서 어두 ‘ㄹ’은 ‘ㄴ’과 ‘ㄹ’ 탈락형이, ‘i·y’ 앞의 어두 ‘ㄴ’은 유지형보다 ‘ㄴ’ 탈락형이 우세하다. 구개음화는 몇몇 용례 외에는 구개음화의 실현형이, 원순모음화는 형태소 내부에서는 실현형으로, 그렇지 않은 형태소 경계에서는 미실현형으로 출현하는 등 현대국어의 표기 특징들을 반영하고 있음을 살펴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Lee Sujeo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criptions in terms of case markers and phonological phenomenon in his translation of “Shinyak Magajeon Bokeumshyeo Eonhae” (1885). Lee Sujeong, a Confucian in the Joseon Dynasty, is a person had Christian activity dynamically in Japan in the 1880s . The main points for discussion in his translation is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h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criptions in modern Korean, such as mostly showing syllable transcriptions in a connection with nouns and to be consistent in using “를” and “는” differently with the appearance of “□” and “□” in Korean or the textbooks of the enlightened period for the objective case and subject case, respectively. However, it shows transcription custom of transcribed person in a specific environment such as noun final “ㅅ” and “ㄹ” and nominal ending “ㅁ” in the case of case markers, which is the limitation of personal transla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i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 of transcriptions in modern Korean such as “ㄴ” and “ㄹ” elimination is superior at the beginning of word “ㄹ” and “ㄴ” elimination is superior than maintain at the beginning of word “ㄴ” in 3front of “i·y” in the beginning of word constraint phenomenon. Palatalization is shown excluding several usages, realization inside morphemes and un-realization at the boundary of morphemes not inside in vowel rounding though phonemic transcriptions according to transcriptive change of flat closed negative is shown in phonological phenomenon.

      • KCI등재

        지식 교류의 차원에서 본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 연구 ―번역 개념과 번역 정책을 중심으로―

        김경남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학연구 Vol.57 No.-

        This article aims at objectively describing the realities of translation problems and translation policies in modern Korea. Translation means translating articles from another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and plays a key role in knowledge circulation and exchange. The use of this term is based on the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and it appears from before the 15th century, and it appears that the terms 飜譯, 翻譯, 繙繹 seem to have been mixed in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that, the modern translation scope included translating foreign language into Korean and translating into Korean-style Chinese text(漢文). Translation has an important function in communication and knowledge exchange. In this regard, various translation problems arise in the case of the modern age, where knowledge circulation has become active, and policy debates are emerging to solve them. However,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different in modern China, Japan, and Korea.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this is a major phenomenon in relation to the policy and translation issues that emerged at this time, such as the compilation of Park Mun-guk’s(博文局) compilation the MANGUKJEONGPHYO(萬國政表).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translations in the textbooks of translated edition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modern-style school system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national countermeasures. 이 글은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의 실상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번역은 다른 언어의 글을 또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을 말하며, 지식 유통과 교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용어가 사용된 것은 조선왕조실록을 근거로 할 때, 15세기 이전부터로 보이며, 한자 표기로 볼 때 ‘飜譯, 翻譯, 繙繹’ 등의 용어가 혼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뿐만 아니라 근대의 번역 범위에는 외국문을 국문(國文)으로 번역하는 것과 한문(漢文)으로 번역하는 것이 모두 포함되었다. 번역은 의사소통과 지식 유통 차원에서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이 점에서 지식 유통이 활발해진 근대의 경우 각종 번역 문제가 등장하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논의가 등장한다. 다만 이에 대한 해결책은 근대 중국, 일본, 한국의 대응 방식이 다르다. 중국의 1868년 강남 제조총국 번역관 설립, 일본에서 번역과 관련된 문부성의 역할 등과 같이 근대 지식 유통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강했던 데 비해, 한국의 경우 그러한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1886년 박문국 편찬 『만국정표』, 1893년 오횡묵이 편찬한 『여재촬요』의 범례에 나타난 인지명 번역 원칙 등은 이 시기 등장한 대표적인 번역 문제이자 정책과 관련하여 주목할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근대식 학제 도입과 함께 학부 편찬 교과서 가운데 다수의 번역서가 존재하는 점도 국가 차원의 대응 방식 가운데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 계몽기 가정학 역술(飜譯․編述) 자료를 통해 본 지식 수용 양식

        김경남(Kim, Kyung-Na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6

        이 글은 근대 계몽기 가정학 관련 역술 자료를 대상으로 신지식 수용 과정에서 등장한 번역?편술(이하 역술) 문화의 특징과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표가 있다. 이 시기 학회보 및 교과서 가운데 가정학 또는 가정교육과 관련된 다수의 역술 자료가 발견된다. 이처럼 가정학이 역술이 활발했던 까닭은 국가주의 이데올로기가 도입되면서 아동교육과 그를 책임지는 여성의 역할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역술 자료 가운데 『조양보(朝陽報)』제1호(1906.6.)부터 7호까지 연재된 ‘부인의독(婦人宜讀): 가뎡학, 하뎐가? 뎌, 됴양보? 역’, 박정동 역술(1907)의 『신찬가정학』(우문관), 『호남학보(湖南學報)』제1호(1908.6.)부터 제9호까지 연재된 이기(李沂)의 ‘가정학설(家政學說)’은 시모다 우타고(下田歌子)의 가정학 이론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이 시기 역술의 필요성이나 역술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동일 원저를 대상으로 한 다수의 번역?편술 저작물이 등장하는 까닭은 근대 계몽기 개유신지를 위해 서적 저술?인포가 중시된 시대상황 때문이었다. 이러한 사상은 1895년 근대식 학제 도입과 『독립신문』의 출현 이후 1910년대까지 보편화 되었는데, 개유신지와 서적 인포 자체가 신지식 보급을 위한 문화현상이 되었으며 지식의 수용과 보급은 그 자체로 애국 계몽의 주요 활동으로 간주되었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meaning of translated compilation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 which is focused on the materials of domestic science in scientific journals and textbooks. At this time, domestic science or home education was an interest to many scholars because the school system was not complete and the needs of new knowledge increased rapidity. I identified three translated compilation materials of domestic science and home education written by JOYANGSA in 1906, Park Jeong-dong in 1907 and Lee Gi in 1908. These materials were translated and compiled in to the SINSEON GAJEONHAK(新選家政學, new compiled of domestic science) written by Simoda Woothago(下田歌子) which was published in 1900. The book has been translated in Chinese at least four times. JOYANGSA(1906) translated and compiled the Chinese translation into the Korean language. Park Jeong-dong(1907) translated Simoda(1900) into the Korean Language. These two translations used the pure Korean alphabet. Lee Gi(1908) was translated as a mixed Korean and Chinese style. But Lee Gi added a pure Korean alphabet translation(exclusive use of Hangeul). These translation materials were similar to Park’s. Nothing is more interesting than this. But Lee Gi’s works showed cultural phenomena in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At that time, the reception and diffusion of knowledge was regarded as patriotic ardor.

      • KCI등재

        <華嚴五敎章> 의 敎判을 통해 본 事事無碍의 위치와 의미 : 法相敎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민윤영 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 2007 泰東古典硏究 Vol.23 No.-

        『오교장』에 나타난 오교십종판(五敎十宗判)의 성립의도와 배경 및 그 교리적 내용들을 따져볼 때, 화엄교학의 실질적인 내용은 대승종교의 심식설이다. 법상종이 대승종교(大乘終敎)의 구유식(舊唯識)을 화엄교학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은 것은 특히 신유식(新唯識)에 대한 견제의식 때문이다. 법장은 화엄교학을 '원교(圓敎)'라고 정의하고, 그것을 대승종교의 위 단계에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승종교의 심식설로 원교의 심식설을 대신했다. 그리고 그것으로 신유식, 즉 법상종의 교학을 비판했다. 결국 법장은 법상종에 대응할만한 원교의 심식설을 따로 제시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원교는 교리적 측면으로는 대승종교의 이사무애를, 수행론적 측면에서는 돈교(頓敎)의 입장을 받아들여 만들어진 또 하나의 교학적 입장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원교의 핵심교학으로서 특별한 경험을 통해서만 파악될 수 있다는 사사무애란 그 실질적인 내용은 이사무애의 연장선성에 지나지 않는다. 사사무애란 다만 화엄교학이 여러 교학 가운데서 가장 뛰어난 교학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의한 의도 하에 만들어진 하나의 방편적 개념이자, 사종법계(四種法界)라는 화엄만의 특별한 가르침을 만들어내기 위한 일종의 구성물에 지나지 않는다. Taking into account Fa-Tsang's intentions and the context behind the doctrinal classification and contents of the 『Hua Yen Wu Jiao Zhuang(華嚴五敎章)』, actual contents of Huayen doctrine is the theory of citta-vijna ̄na(心識說)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大乘終敎). The reason Fa-Tsang chose the Old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舊唯識)as his theoretical basis for the Hua-yen doctrine seems to have been his wariness for the growing powers of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新唯識). Although Fa-Tsang defined Hua-yen doctrine as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一乘圓敎) and put it on a higher level, he replaced the theory of citta-vijna ̄na(心識說) in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by the one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And this is what he used to criticize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school(法相宗). Fa-Tsang did not come up with a theory of citta-vijna ̄na of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which can replace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school. Subsequently,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is in fact just another doctrinal position, formulated by the principles borrowed from the Non-obstruction of Universal-Principle and Particular-Phenomena(理事無碍)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in terms of doctrinal aspects, along with the Abrupt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頓敎) in terms of the practice theory. 頓敎 the principle of the non-obstruction of particular-phenomena and particular-phenomena(事事無碍) is an intentional and expediential concept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Hua-yen doctrine among other doctrines, even a sort of composition forged with the intention of teaching the Universe of Four kinds(四宗法界) which is a unique teaching of Hua-yen.

      • KCI등재

        原作とリメイクドラマから見る文化翻訳の一考察 ‐ 言語教育と異文化教育への応用 ‐

        임현수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Under the examination of remake dramas of “Hakenno hinkaku” and “Jikjangesin”, it has been comparatively studied that how the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 phenomenon are reinterpreted on the remake version. The “Krutatori”and “Mochithuki”of the original work, which are related to the original culture and natural phenomenon, respectively, were omitted in the Korean remake version. However, the scene of kendo, a traditional chivalry, was reinterpreted as a Judo since the viewers of remake version have a sense of more friendliness to Judo than kendo. On the other hand, the food culture and social phenomenon, which can be easily sympathized to the other cultures, were reinterpreted as completely modified forms adjusted to the culture of the remake area. For example, “Maguro Kaitai”and green tea were reinterpreted as “Kanjanggejangshow” and coffee, respectively, and also in an interview, the skill for the work was reinterpreted as academic background or linguistic ability. The audiovisual materials originated both from the original work and remake could be used not only in Japanese and Korean cultural area but also in the other linguistic cultural area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could be used as the study materials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 own culture and the other culture, and also can cause the interesting of the new areas. 『ハケンの品格』(일)과 『직장의 신』(한)을 자료로 하여, 원작의 전통 문화와 사회 현상이 리메이크 판에 어떻게 재해석 되어 나타나는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원작의‘ カルタ取り’와 ‘新年の餅つき’와 같은 전통 문화 및 ‘자연현상(지진) ’에 대해서는 한국어 리메이크 판에서는 모두 생략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전통 무도 중의 하나인 ‘검도’ 장면은 ‘유도’로 재해석되고 있었는데 이는 리메이크 문화 권의 시청자들이 검도보다유도에 친근감과 공감대를 형성하기 쉽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타문 화권의 시청자와도 비교적 공유하기가 용이한 식문화 및 사회현상에 대해서는 리메이크 언어권의 문화에 맞추어 완전히 변용된 형태로 재해석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マグロ解体’는‘간장 게장쇼’로 ,‘녹차’는 ‘커피’로재해석된다. 또한 면접 시 일에 대한 ‘스킬’을 중시하는 원작의 장면을 리메이크 판에서는 ‘학력’과‘어학력’을 중요시 하는 장면으로 변용되어묘사되고 있었다. 원작에는 없으나 리메이크 판에 추가되는 장면에서는 ‘우리’와 ‘식구’라는 표현이 다용되고 있었다. 원작과 리메이크 작품을 이용한 시청각 자료는 일본어와 한국어 권뿐만 아니라 타문화 언어문화 수업에도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타문화와 자국 문화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으면서도 나아가 또 다른 새로운 분야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문화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原作とリメイクドラマから見る文化翻訳の一考察

        任炫樹(임현수)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ハケンの品格』(일)과 『직장의 신』(한)을 자료로 하여, 원작의 전통 문화와 사회 현상이 리메이크 판에 어떻게 재해석 되어 나타나는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원작의‘ カルタ取り’와 ‘新年の餅つき’와 같은 전통 문화 및 ‘자연현상(지진) ’에 대해서는 한국어 리메이크 판에서는 모두 생략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전통 무도 중의 하나인 ‘검도’ 장면은 ‘유도’로 재해석되고 있었는데 이는 리메이크 문화 권의 시청자들이 검도보다 유도에 친근감과 공감대를 형성하기 쉽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타문 화권의 시청자와도 비교적 공유하기가 용이한 식문화 및 사회현상에 대해서는 리메이크 언어권의 문화에 맞추어 완전히 변용된 형태로 재해석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マグロ解体’는 ‘간장 게장쇼’로 ,‘녹차’는 ‘커피’로 재해석된다. 또한 면접 시 일에 대한 ‘스킬’을 중시하는 원작의 장면을 리메이크 판에서는 ‘학력’과 ‘어학력’을 중요시 하는 장면으로 변용되어 묘사되고 있었다. 원작에는 없으나 리메이크 판에 추가되는 장면에서는 ‘우리’와 ‘식구’라는 표현이 다용되고 있었다. 원작과 리메이크 작품을 이용한 시청각 자료는 일본어와 한국어 권뿐만 아니라 타문화 언어문화 수업에도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타문화와 자국 문화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으면서도 나아가 또 다른 새로운 분야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문화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Under the examination of remake dramas of “Hakenno hinkaku” and “Jikjangesin”, it has been comparatively studied that how the traditional culture and social phenomenon are reinterpreted on the remake version. The “Krutatori”and “Mochithuki” of the original work, which are related to the original culture and natural phenomenon, respectively, were omitted in the Korean remake version. However, the scene of kendo, a traditional chivalry, was reinterpreted as a Judo since the viewers of remake version have a sense of more friendliness to Judo than kendo. On the other hand, the food culture and social phenomenon, which can be easily sympathized to the other cultures, were reinterpreted as completely modified forms adjusted to the culture of the remake area. For example, “Maguro Kaitai” and green tea were reinterpreted as “Kanjanggejangshow” and coffee, respectively, and also in an interview, the skill for the work was reinterpreted as academic background or linguistic ability. The audiovisual materials originated both from the original work and remake could be used not only in Japanese and Korean cultural area but also in the other linguistic cultural area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could be used as the study materials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 own culture and the other culture, and also can cause the interesting of the new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